WO2014017868A1 -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7868A1
WO2014017868A1 PCT/KR2013/006731 KR2013006731W WO2014017868A1 WO 2014017868 A1 WO2014017868 A1 WO 2014017868A1 KR 2013006731 W KR2013006731 W KR 2013006731W WO 2014017868 A1 WO2014017868 A1 WO 20140178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ll
back tone
ring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7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박인영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201519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8536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WO20140178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78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call ring ton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call ring tone information of a call ring tone provided to a call terminal as a call terminal during call connection, and to use the call ring tone as a sound source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t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that can be set to.
  • the call connection sound transmission signal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er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ixth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ring back ton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calling terminal after the fifth step.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additional service menu interface.
  • a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ing back tone information from the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alling terminal 200.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ll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ncluded in the calling terminal 200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an open operating system such as Android (android) will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opens a variety of event detection within the operating system for use by terminal manufacturers or application developers.
  • the application program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used, the application program include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calling terminal 200 when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s described below. desirable.
  • the terminal processing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call ring ton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ll ring tone providing system 400 to the calling terminal 100, where the call ring tone information, the call ring ton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0 Receiving a ring back tone outgoing signal from the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and correspondingly sending a call back t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call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and receiving the call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in response thereto.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ring back tone transmiss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ring back tone is sent from the call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to the caller terminal 200, and receives a call ring tone sent to the call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to the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and receives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from the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 the received ring back ton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200 through the terminal processing unit 110 as described above.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0 having received the ring back tone transmiss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for the ring back tone transmitted to the caller terminal 200 to the call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Transmits and receives ring back tone information in response.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information made by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RBT-MCP RingBack Tone Master Content Provider, 430
  • CS / BS Customer Care System / Billing System, 440
  • CS / BS Customer Care System / Billing System, 440
  • the RBT-IP 410 receives a ring back ton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AM) from the exchange 50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RBT server 420 to query th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set by the terminating terminal 300. (S170).
  • the RBT-server 420 inquires th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set by the called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sound source query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call ring tone sound source to the RBT-IP 410 (S180).
  • the RBT-IP 410 transmits the ring back tone to the calling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ring back tone sound source information (S10).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0 of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receives the call back tone transmission signal and receives the call back t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for the ring back tone sent to the calling terminal 200.
  • the RBT-MCP 430 of the providing system 300 is transmitted (S210).
  • the RB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 sound source code of the RBT received from the RBT providing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 the RBT-MCP 430 transmits corresponding call ring tone information to the call ring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call ring ton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0) based on the received sound source code (S220).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is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source code,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itle information, singer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of a server where the sound source is stored, and the lik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alling terminal 200.
  • the calling terminal 200 selects "catching" as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510), the RBT-MCP 430 of the call connection sound providing system 400 (S520), the RBT-MCP 430 in response to the call ring tone of the calling terminal 200.
  • the service screen and the payment screen for setting the call connection sound ar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200 (S530).
  •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200 sets "catching", that is, the corresponding ring back tone as its own ring back tone according to the provided service screen and the payment screen (S540). Accordingly, the call connection tone setting request signal for the calling terminal 200 user is transmitted to the RBT-MCP 430 (S550), and the RBT-MCP 430 communicates with the RBT-server 420 to make the calling terminal 200. Change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for the user (S560). When the change is completed, the RBT-MCP 43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ll connection tone setting is completed to the calling terminal 200 (S570).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is synchronized with the RBT-MCP 430 of the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400 stores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for each user therein and then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Obtain and retrieve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 FIG. 7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3, but when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alling terminal 200 to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is provid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 ring tone providing system 400 and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is received as a response thereto.
  • steps S700 to S740 are performed instead of steps S200 to S210.
  • the ring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inquires a database such as a number portability database (NPDB), for example, and inquires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which a user of the called terminal 300 is subscribed (S710). In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called terminal 300 is subscribed to the sam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s the calling terminal 200.
  • NPDB number portability database
  • the RBT-server 420 transfers the sound source code to the RBT-MCP 430 as call ring ton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ring tone (S740), and the RBT-MCP 430 transmits call ring t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source code. Inquiry and transmit it to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S220).
  • the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 the configuration required for the originating terminal 200 in order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operating system.
  • application application
  • the operating system such as Android (androi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minal manufacturer or application manufacturer is open to receive a call service event from the operating system (OS) to enable a variety of processing.
  • OS operating system
  • the event detection unit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alling terminal 200 may detect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application and then operate the call connection soun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ll back tone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ncluded in the calling terminal 200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the event transmitter 51 receives various events generated from the hardware or the application (applic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200 and checks the application to transmit the received event to the application manager 52 to the confirmed application. It executes a function to run an application by notify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 the application manager 52 stores in advance a list of application programs that will receive the event according to the type of event. The list of such applications i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manager 52 when installing the applicatio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r 52.
  • the application manager 52 includes a type 521 of an event and a list 522 of application programs to receive the event. 9 exemplarily illustrates "call connection request" and "call end” events as types of events.
  • a "Call Call Request” event is an event for placing a call, which can be caused by entering a phone number on the keypad, selecting a contact from the address book, requesting a call from an application, and so on when this "call call request" event occurs.
  •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detects this and informs the event transmission unit 51, and the event transmission unit 51 displays a list of application programs set for the corresponding event in the application program list 522 as shown in FIG. 9. Check and run the identified application.
  •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alling terminal 200 that is, the calling terminal
  •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 th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n additional service menu interface.
  •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servic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additional services included in the displayed additional service menu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 the event transmitter 51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set for the event that the call request signal is detected to the application manager 52.
  • the application manager 52 informs the event transmitter 51 of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 1 (the existing call manager) and the application # 2 (the call ring tone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registered for the event at the same time.
  • the transmission unit 51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 1 (call manager) and the application program # 2 (call connection tone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t the sam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을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화 연결음(ringback tone)이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전화를 연결하는 도중 발신 단말로 전화가 연결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통화 연결음을 단말 사용자가 노래나 인사말 등과 같은 음원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연결 도중 설정해 둔 통화 연결음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컬러링", "링투유" 서비스 등).
한편, 발신 단말 사용자가 통화 연결시 착신 단말 사용자가 설정해 둔 노래와 같은 통화 연결음을 청취하는 도중 예컨대, 노래 제목, 가수 정보 등과 같은 통화 연결음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때는 단말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DTMF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통화 연결음의 정보를 ARS, SMS, MMS 등의 형태로 제공받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또한, 해당 통화 연결음을 자신의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8367호(2005.10.12.공개)는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것으로서,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 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교환기, IP 서버, 서비스 제어기 등의 통신망의 자원과 결합하는 링백톤 대체음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 제공되는 링백톤 대체음(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의 음성 신호나 DTMF 신호에 의해 발신 단말의 링백톤 대체음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서비스는, 통신망의 자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신망 내의 자원과의 복잡한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의 정보 또한 ARS를 통한 음성 신호나 SMS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고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을 다른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과정 또한 음성 신호나 DTMF 신호에 의존해야 한다는 한계점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8367호(2005.10.12.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망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통화 연결시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을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접속 요청 신호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신 단말로부터 발생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착신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는, 상기 수신한 음원 코드에 상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음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정보는, 음원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음원이 저장된 서버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 이후, 발신 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는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부가 서비스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발신 단말이 접속하고, 해당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에 상응하는 음원을 해당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처리부;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통화 연결시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을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과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통신망과의 연동을 위한 설정이 용이하고 관리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통화 연결음 정보가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해당 통화 연결음을 자신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는 부가 서비스인 "캐치링"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200)에 포함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발신 단말(200),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300) 및 착신 단말(400)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발신 단말(200)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과 결합하여 발신 단말(200)로부터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 도중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에서 발신 단말(200)로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200)로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은 착신 단말(300)과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며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300)과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통신망은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은 망을 의미하며, 실제 통신망은 교환기 및 HLR 등의 통신망의 자원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이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통신망은 2G, 3G 및 4G 등과 같은 종래 알려져 있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망의 종류에는 종속되지 아니하며 통신망의 종류와 상관없이 종래 알려진 통신망에 그대로 적용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신망내에는 교환기(MSC, CSCF), HLR 등과 같이 종래 알려져 있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해서는 착신 단말(300)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 사용자로 제공하기 위한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은 종래 알려져 있는 유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이른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은 내부에 전체적인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포함한다.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은 통신망 내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결합하여 발신 단말(200)이 착신 단말(300)로 통화를 시도하는 도중 착신 단말(300)이 미리 설정해 놓은 음악이나 광고 멘트 등과 같은 음원을 통화 연결음(ringback tone)으로서 발신 단말(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예컨대, 컬러링, 링투유 등과 같은 서비스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의 구체적인 구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종래 알려져 있는 어떠한 종류의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이러한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과 결합하여 발신 단말(200)로부터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 도중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을 통해 발신 단말(200)로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200)로 제공하는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한편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인터넷망과 같은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 단말(200)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에서 나타낸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 단말(200)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과 결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단말 처리부(110) 및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단말 처리부(110)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발신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 요청 신호는, 발신 단말(200)에서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신 단말(200)에서 발생하여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단말 처리부(110)로 전송된다.
이를 위하여, 발신 단말(100)에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는 발신 단말(100)의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발신 단말(100)에 설치되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발신 단말(100)이 인터넷 접속 기능과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이른바 스마트폰인 경우 발신 단말(100)에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개방적 운영 시스템은 운영 시스템 내에 다양한 이벤트 검출을 단말기 제조사나 응용 프로그램 개발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기능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발신 단말(100)의 접속 요청 신호에 의해 발신 단말(100)과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가 수신되면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300)의 식별자에 의해 접속을 요청한 발신 단말(100)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 처리부(110)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에서 통화 연결음 정보는,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여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한 것이다.
이 때, 통화 연결음 정보는 발신 단말(200)로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에 대한 정보인 음원 정보로서, 예컨대, 음원의 제목, 가수, 음원이 저장된 서버의 주소 정보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발신 단말(200)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 전송하고,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된 통화 연결음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처리부(110)를 통해 발신 단말(200)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에서 발신 단말(200)로 통화 연결음이 송출된 경우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이 착신 단말(30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이동 통신망에 포함된 교환기, HLR 등의 구성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에서 종래 알려진 방식에 의해 착신 단말(300) 사용자가 설정해 둔 통화 연결음이 발신 단말(200)로 전송되게 된다. 이 때,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은 통화 연결음이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이 A가수의 B라는 노래인 경우, 이에 대해 미리 설정해 둔 예컨대 "1234" 등과 같은 음원 코드를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은 각각의 통화 연결음에 대해 미리 코드화된 음원 코드를 미리 저장해 두고 있다.
또한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접속된 상태이며, 이 접속 요청 신호는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이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져 있는 발신 단말(200)을 확인하고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할 대상인 발신 단말(200)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는, 앞서 수신한 음원 코드 즉,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은 음원 코드를 수신하고 해당 음원 코드에 상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음원 정보, 예컨대, 음원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음원이 저장된 서버의 주소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통화 연결음 정보로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로 전송한다.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는 수신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처리부(110)로 전달하고 단말 처리부(110)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200)로 전송하게 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에서 접속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구성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구성이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
또한, 도 3에서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은 RBT-IP(410), RBT-서버(420), RBT-MCP(430) 및 CS/BS(440)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지만, 본 발명에서의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은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로 송출한 이후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고 이후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통화 연결음 정보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RBT-IP(410), RBT-서버(420), RBT-MCP(430) 및 CS/BS(440) 등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바와 같지만 참고적으로 이들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BT-IP(RingBack Tone IP(Intelligent Peripheral))은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교환기(500)로부터 통화 연결음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RBT-서버(RingBack Tone Server, 420)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발신 단말(200)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BT-서버(420)는 사용자별로 설정해 놓은 통화 연결음과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저장하고 있으며 RBT-RP(410)로부터의 통화 연결음의 음원 요청에 대해 해당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조회하여 이를 RBT-IP(410)로 전달한다.
RBT-MCP(RingBack Tone Master Content Provider, 430)은 통화 연결음에 필요한 음원을 저장하는 수단이며, CS/BS(Customer Care System/Billing System, 440)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의 가입자의 가입정보나 과금 정보 등을 관리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발신 단말(200)에서 착신 단말(300)로 통화를 연결하기 위하여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S100), 이에 의하여 발신 단말(200)로부터 교환기(500)로 호 접속 요청 신호(SET-UP)가 전송된다(S110). 이와 함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의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단말 처리부(110))과 접속한다(S120). 이 때,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발생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발신 단말(200) 내에서 미리 실행되어 메모리 영역에 상주하고 있는 경우라면 즉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환기(500)는 착신 단말(300)로 호 접속 요청 신호(SET-UP)를 전송하고 착신 단말(300)로부터 통화 가능 상태를 알리는 신호(ALERTING)를 수신한다(S130,S140). 이어서 교환기(500)는 착신 단말(300)이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것을 확인하고 착신 단말(300)이 설정해 놓은 통화 연결음 송출을 요청하는 신호(IAM)를 RBT-IP(410)로 요청한다(S150). 한편, 교환기(500)는 착신 단말(300)이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ALERTING)를 발신 단말(200)로 전송한다(S160).
RBT-IP(410)는 교환기(500)로부터의 통화 연결음 송출 요청 신호(IAM)를 수신한 후 RBT-서버(420)로 착신 단말(300)이 설정해 놓은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질의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70). RBT-서버(420)는 음원 질의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착신 단말(300)의 설정해 놓은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조회하고 조회된 통화 연결음 음원의 정보를 RBT-IP(410)로 전송한다(S180). 다음으로, RBT-IP(410)는 수신한 통화 연결음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200)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한다(S10).
이어서 RBT-IP(410)는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로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200). 이 때,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와 발신 단말(200)과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 단말(200)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300)의 RBT-MCP(430)로 전송하는데(S210), 이 때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를 포함한다.
RBT-MCP(430)는 수신된 음원 코드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으로 전송한다(S220). 이 때, 통화 연결음 정보는 상기 수신한 음원 코드에 상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음원 정보로서, 예컨대 음원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음원이 저장된 서버의 주소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RBT-MCP(430)로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가입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S230). RBT-MCP(430)는 CS/BS(440)로 발신 단말(200)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240), 이에 대한 결과를 응답 신호로서 수신하고(S250), 수신된 응답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260). 상기 단계(S230) 내지 단계(S26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단말 처리부(110)는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120)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발신 단말(200)로 전송한다(S270). 발신 단말(200)의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한다(S280).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신 단말(200) 사용자는 통화 연결 도중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통화 연결 도중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발신 단말(200)의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연결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때,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라 함은 통화 연결음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또 다른 부가 서비스들의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부가 서비스로서는 예컨대 해당 통화 연결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나, 해당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 사용자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나, 해당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 사용자의 벨소리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통화 연결음 정보가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연결 도중 통화 연결음이 제공되면서, 발신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통화 연결음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자 정보(착신 단말(300) 사용자의 정보)가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제공되는 통화 연결음의 앨범 자켓 이미지 정보, 음원 타이틀 및 가수 정보, 제목 정보, 가사 정보 등이 통화 연결음 정보로서 화면 중간부에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캐치링", "캐치벨", "캐치MP3","선물하기" 등과 같이 해당 통화 연결음을 이용하여 또 다른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가 그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캐치링"은 해당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 자신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이고, "캐치벨"은 해당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의 벨소리로 설정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이고, "캐치MP3"는 해당 통화 연결음을 MP3의 형태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서비스를 말한다. "선물하기"는 해당 통화 연결음을 다른 사람에게 통화 연결음, 벨소리 또는 MP3의 형태로 선물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서비스이다.
발신 단말(200)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표시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자신이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한 부가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해당 통화 연결음 정보에 상응하는 음원을 해당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해당 통화 연결음을 자신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는 부가 서비스인 "캐치링"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캐치링"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면(S500), 발신 단말(200)은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캐치링"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S510),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의 RBT-MCP(430)에 접속하고(S520), RBT-MCP(430)은 이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200)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화면 및 결제 화면을 발신 단말(200)로 전송한다(S530).
발신 단말(200) 사용자는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 및 결제 화면에 따라 "캐치링" 즉, 해당 통화 연결음을 자신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한다(S540). 이에 따라 발신 단말(200) 사용자에 대한 통화 연결음 설정 요청 신호가 RBT-MCP(430)로 전송되고(S550), RBT-MCP(430)는 RBT-서버(420)와 통신하여 발신 단말(200) 사용자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변경한다(S560). 변경이 완료되면 RBT-MCP(430)는 통화 연결음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발신 단말(200)로 전송한다(S570).
이후, 발신 단말(200)은 통화 연결음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580).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이를 저장해 두었다가 추후 과금이나 정산 등의 관리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RBT-MCP(430) 및 CS/BS(440) 등과 연동하여 발신 단말(200)로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후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캐치링" 이외의 다른 부가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도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가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기본적인 과정은 동일하지만, 단계(S210) 및 단계(S220)를 수행하지 않고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 내부에서 통화 연결음 정보를 획득(S600)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의 RBT-MCP(430)와 동기화되어 사용자별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하는 음원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조회하여 획득한다.
기타 다른 과정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기타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가 발신 단말(200)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된 경우,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단계(S200) 내지 단계(S210)을 수행하는 대신 단계(S700) 내지 단계(S740)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S190)를 수행하면, 발신 단말(200)에서는 통화 연결음이 송출되는데, 이 때 발신 단말(200)은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700).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예컨대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착신 단말(300)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조회한다(S710). 도 7에서는 착신 단말(300)이 발신 단말(200)과 같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400)의 RBT-MCP(430)로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720), RBT-MCP(430)는 RBT-서버(420)로 다시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730). 이 때 착신 단말(300)의 전화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함께 전송한다.
RBT-서버(420)는 해당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로서 음원 코드를 RBT-MCP(430)로 전달하고(S740), RBT-MCP(430)는 수신된 음원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220). 이후의 단계는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에서, 단계(S100) 내지 단계(S190)와, 단계(S220) 내지 단계(S280)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을 위하여 사용되는 발신 단말(200)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200)에 필요한 구성은 운영 시스템 내에 통합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후적으로 발신 단말(200)에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형태(전술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로 설치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와 같은 운영 시스템은 단말기 제조사나 응용 프로그램 제조업체가 운영체제(OS)로부터 통화 서비스 이벤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신 단말(200)의 운영 시스템의 이벤트 검출부에서 이를 검출한 후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200)에 포함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200)은 운영 시스템(OS) 내에 이벤트 전송부(51)와 응용프로그램 관리부(52)를 구비한다. 도 8의 구성은 안드로이드 운영 시스템을 실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른 운영 시스템에서도 용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유사하다.
이벤트 전송부(51)는 발신 단말(200)의 하드웨어 또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에 등록된다.
도 9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의 종류(521) 및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5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서는 이벤트의 종류로서 "통화 연결 요청", "통화 종료" 이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는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이벤트로서 키패드에서의 전화 번호 입력, 주소록에서 연락처의 선택, 응용 프로그램에서 전화 발신 요청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검출부(미도시)가 이를 검출하여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게 되고, 이벤트 전송부(51)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확인하여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9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목록은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의 2가지가 등록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이 등록되어 있음을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리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 #2로 "통화 연결 요청"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벤트 전송부(51)는 이벤트를 응용 프로그램 #1, #2로 전송할 때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전부에 대해 동시에 이벤트를 알릴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우선 이벤트를 알리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완료되거나 실행이 중지된 경우 다음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벤트를 알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 내부에 어떠한 방식으로 이벤트를 알릴 것인가를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먼저 이벤트를 알리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응용 프로그램 #2로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먼저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로서 응용 프로그램 #1의 정보를 수신하면 응용 프로그램 #1으로 이벤트를 전송하게 되고 응용 프로그램 #1은 이벤트의 수신에 따라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게 된다.
한편,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응용 프로그램 #1과 응용 프로그램 #2로 동시에 이벤트를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이벤트 전송부(51)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1 및 응용 프로그램 #2의 정보를 모두 알려주게 된다.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 및 #2의 정보를 수신하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로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응용 프로그램 #1 및 #2가 병행하여 함께 실행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리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200)에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즉, 발신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여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표시된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부가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을,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발신 단말(200)에서의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예컨대 콜 매니저(call manager)라고 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콜 매니저만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응용 프로그램 #1으로 등록되어 실행되어 통화 연결 과정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발신 단말(200)에 설치하면서 도 8의 응용 프로그램 목록(522)에서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순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설정해 둔다.
즉,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의 경우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응용 프로그램 #2로 등록되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 #1(콜 매니저)과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정하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1(콜 매니저)과 응용 프로그램 #2(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벤트 중의 하나로서 통화 요청 신호(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로 통화 요청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요청하고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2)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1(기존 콜 매니저)과 응용 프로그램 #2(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동시에 이벤트 전송부(51)로 알려주고 이벤트 전송부(51)는 응용 프로그램 #1(콜 매니저)과 응용 프로그램 #2(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를 동시에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 #2(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발신 단말(200)에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후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등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운영 시스템의 종류나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따라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발신 단말(200) 및 착신 단말(3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아니면서 유선 전화 단말기이거나 m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유선 단말인 경우에도 단말 내부의 운영 시스템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발신 단말(200) 사용자와 착신 단말(300) 사용자가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발신 단말(200) 사용자가 "A"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고 착신 단말(300) 사용자가 "B"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각각의 통신사의 망 내에 설치하고, 이들을 서로 연동하면 본 발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300) 사용자의 통화 연결음 정보는 "B" 통신사에 구비된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획득하여 발신 단말(200) 사용자의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4)

  1.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접속 요청 신호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연결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신 단말로부터 발생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착신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는,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는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원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는, 상기 수신한 음원 코드에 상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는, 음원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음원이 저장된 서버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이후,
    발신 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는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메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부가 서비스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서비스 메뉴에 상응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발신 단말이 접속하고, 해당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통화 연결음 정보에 상응하는 음원을 해당 부가 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12.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처리부;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요청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
  13.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하였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음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발신 단말로 송출되는 통화 연결음에 대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14. 발신 단말 및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과 결합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통화 연결 도중 발신 단말로 통화 연결음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 통화 연결음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연결음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음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PCT/KR2013/006731 2012-07-26 2013-07-26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01786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795 2012-07-26
KR20120081795 2012-07-26
KR10-2012-0151919 2012-12-24
KR20120151919A KR101485369B1 (ko) 2012-07-26 2012-12-24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7868A1 true WO2014017868A1 (ko) 2014-01-30

Family

ID=4999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731 WO2014017868A1 (ko) 2012-07-26 2013-07-26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178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613A (ko) * 2003-07-12 2003-08-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98367A (ko) * 2004-04-06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119764A (ko) * 2004-06-17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한음원정보 제공방법
KR20080064333A (ko) * 2007-01-04 2008-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 단말기의 다중 오디오 코덱 정보 및 지능망을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20056192A (ko) * 2010-11-24 2012-06-01 (주)씨케이커뮤스트리 콜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613A (ko) * 2003-07-12 2003-08-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98367A (ko) * 2004-04-06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119764A (ko) * 2004-06-17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한음원정보 제공방법
KR20080064333A (ko) * 2007-01-04 2008-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 단말기의 다중 오디오 코덱 정보 및 지능망을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20056192A (ko) * 2010-11-24 2012-06-01 (주)씨케이커뮤스트리 콜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6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use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mobile terminal for establishing a call between two other terminals
CN100574498C (zh) 专用通信系统中的呼叫处理方法和设备
WO2014035094A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9062403A1 (fr) Procédé pour réaliser un service de présentation du nom de l'appelant et dispositif de service d'informations relatives à l'appelant
WO2012134151A2 (ko) 호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WO2018084566A2 (ko) 보이는ars에서 웹/앱의 세션 연결과 전화채널을 동기화시켜주는 착신 연결 방법
WO20110406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aller identification multimedia contents
WO2013165119A1 (ko)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JP38831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KR20130059278A (ko) 인터액티브 ars 음성 메뉴 접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WO2014017868A1 (ko)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85369B1 (ko)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70190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ireless intelligent services
WO2022114637A1 (ko)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3172563A1 (ko) 통화 서비스 수행 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 서비스 수행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WO2014196740A2 (ko) 원격지 국가의 통신망 및 원격지 전화번호를 이용한 국제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158766A (ja) 通信システムとそのコールバックの制御方法、及びコールバック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129157A (ja) 電話装置
WO2009136773A2 (ko)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이용한 상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0954A (ko)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WO2011099671A1 (ko) 영상 단말과 음성 단말 사이에서 영상 단말 측으로 영상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77919B1 (ko)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000122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전화 서비스 제공방법
JP2001320485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への話中転送方式
JP2004080314A (ja) 着信履歴表示方式、着信履歴表示方法、呼び返し呼の課金方式及び呼び返し呼の課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2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8/05/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22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