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4315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4315A1
WO2014014315A1 PCT/KR2013/006500 KR2013006500W WO2014014315A1 WO 2014014315 A1 WO2014014315 A1 WO 2014014315A1 KR 2013006500 W KR2013006500 W KR 2013006500W WO 2014014315 A1 WO2014014315 A1 WO 20140143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eams
adjustment value
gain adjustment
output gai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5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영
유현규
설지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13,30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38480B2/en
Publication of WO20140143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43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path-specific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a beamforming system operating in a millimeter wave b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output power of the antenna by changing the output gain for each RF path when the number of beams used by the user can vary.
  •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voice services while guaranteeing user activity.
  •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gradually expanding to not only voice but also data services, and now also provide high-speed data services. Accordingly, the demand for wireless data traffic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re is a need for supporting high data rates.
  • Transmission beamforming is generally a method of concentra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antenna in a specific direction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 An array antenna in which a plurality of antennas are collected will be referred to as an array antenna and an antenna included in the array antenna will be referred to as an element antenna.
  • the use of transmit beamforming can increase the propagation reach of a signal, and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terference to other users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signal is hardly transmit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 the reception side may perform reception beamforming by using a reception array antenna.
  • the reception beamforming also concentrates reception of radio waves in a specific direction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a reception signal coming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a signal coming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t is a technology that can block the interference signal by excluding the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 This beamforming technique is advantageous for application to a communication system in a high frequency band.
  • the higher the transmission frequency the shorter the wavelength of the radio wave. Therefore, when the antenna is configured at half-wavelength intervals, the array antenna can be configured with more element antennas in the same area. That is, a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a high frequency band is advantageous to apply a beamforming technique because a relatively higher antenna gain can be obtained than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in a low frequency band.
  • the output gain of each RF path is simultaneously adjusted while using a PA (Power Amplifier) having a fixed output val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verall output value.
  • a PA power amplifier
  • a PA connected to each array antenna is used. Since there is a fixed output value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multiple beams, a difference occurs in the output value rad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F paths used, that is, the number of multiple beams used. Since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multiple beams will transmit at a greater power,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is is necessar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adjust the output gain for each RF pa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fferent multiple beams for each user at a relatively low cost.
  • the power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mission beam to use for each of at least one subcarrier; Determining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for each of the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beams; And applying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to each of the transmission beams.
  • the base station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terminal; And determine at least one transmit beam to use for each of at least one subcarrier, determine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for each of the transmit beam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t beams, and output power for each transmit beam. And a control unit for applying the adjustment value.
  •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mission beam to be used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Determining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for each of the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beams; And applying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to each of the transmission beams.
  • th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mission beam to be used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and determining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for each of the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beams, and outputting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for each of the transmission beam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pplying.
  • a communication method of a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for causing a base station to determine at least one transmission beam to use for each of at least one subcarrier. Transmitting to; And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by the transmission beam to which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is applied from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is used by the base st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ubcarrier. For each of them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beam.
  • the output gain can be adjusted for each RF path to efficiently control the total output value of the array antenna.
  • PA power amplifie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ransmitting end of an existing MIMO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a cellular band (5 GHz or less band).
  • FIGS.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ransmitter of a MIMO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hybrid BF structure operating in an ultra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different numbers of multiple beams are operated for each user when beamforming is applied in an ultrahigh frequency band;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supporting different numbers of multiple beams for each user by using a fixed PA.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wer control apparatus of a transmitting end using different numbers of multiple 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transmitter for determining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F path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using different numbers of downlink transmission beams for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using different numbers of uplink transmission beams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RF path 100 in the conventional MIMO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n IFFT / FFT module, a DAC / ADC module, a mixer, and the like according to a transceiver. .
  •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110 in the existing MIMO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the cellular band (5 GHz or less band) is limited by the physical antenna siz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in proportion to the operating frequency wavelength.
  • a MIMO system consisting of up to 8 antennas is applied.
  • the conventional MIMO communication system is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ame number of RF paths as the limited number of antenna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ntennas.
  •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s fixed.
  • the fixed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s determin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mobile carrier. Therefore, the maximum output value of the PA 120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used.
  • the maximum output value of the PA 120 for each antenna is fixed to P / N.
  • the PA 120 uses an element having the same maximum output value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users used and the maximum number of streams transmitted simultaneously.
  • FIG. 2A and FIG. 2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structure of a transmitter of a MIMO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hybrid beamforming (BF) structure operating in an ultra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F hybrid beamforming
  • the frequency wavelength is short in the ultra-high frequency b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r number of antennas can be arranged in the same area than the antenna operating in the cellular band.
  • a high beam gain can be obtained using the beamforming technique, and the beamforming technique can compensate for a higher propagation path loss than the cellular band.
  • Hybrid BF structure which is a beamforming structure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alog BF (200, 250) and Digital BF (220, 27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beam gain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beam using Analog BF, and further transmission rate improvemen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various MIMO prior arts using Digital BF.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dividually along FIG. 2A or 2B by the Hybrid BF structure to which it is applied.
  •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FIG. 2A and FIG. 2B are distinguished by whether one array antenna is connected to one RF path 230 or a plurality of RF paths 280.
  • 2A illustrates a case where one array antenna is connected to one RF path 230
  • FIG. 2B illustrates a case where one array antenna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F paths 280.
  • one RF path 100 is connected to one antenna 110.
  • the hybrid B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alog BF (as shown in FIGS. 2A and 2B). Since 200 and 250 are included, one RF path 230 and 280 may be connected to an array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hybrid B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only one RF path signal 230, 280 through a beam formed by the analog BF 200, 250.
  • the number of RF paths may be different for each base station and is predetermined. However, not all RF paths are always used like the antenna of the existing MIMO communication system. In the hybrid B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some RF paths may operate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ethod and the number of users transmitted at a specific time. In order to use the RF path, the scheduler of each base station should select a possible user and a transmission method by reflecting the preset number of RF paths and transmit related information.
  • the maximum output values of the PAs 210 and 260 connected to the array antenna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antennas constituting the array antenna. In other words, when the total radiated output value is P and one array antenna is composed of N antennas, the maximum output value of the PAs 210 and 260 is determined as P / N. However,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using a low maximum output value and a fixed PA device is also preferred for ultra-high frequency BF structures.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 of operating in a different number of multiple beams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using beamforming in the ultra-high frequency band.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300 and terminals 310 and 320 that provide beamforming using an array antenna.
  • the base station 300 may transmit data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a downlink transmission beam by using an array antenna.
  • the terminals 310 and 320 may also receive data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eception beam.
  • the base station 300 and the terminals 310 and 320 may be configured to obtain an optimal channel environment among various transmission beams or reception beams, and The data service can be provided by selecting the number. This process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uplink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terminals 310 and 320 to the base station 300 as well as the downlink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base station 300 to the terminals 310 and 320.
  • FIG.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re are two users 310 and 320 in the serving base station 300, and different numbers of multiple beams may be operated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region and environment where the user is located.
  • the MS-1 310 would prefer only one beam towards the serving base station since there is no obstruction around that user.
  • the MS-2 320 cannot receive the beam toward the serving base station by the obstacle 340.
  • strong reflecting signals can be received through adjacent reflectors 350 and 352. Therefore, for those beams that are reflected and transmitted, the MS-2 may prefer to receive on both beams.
  • the beam direction and the number of beams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according to obstacles and reflectors located around the user when transmitting using beamforming in an ultra high frequency band. That is, following the method of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number of beams used according to the user environment and location is a suitable method for ensuring more stable reception performance in various environments.
  • the number of multiple beams is individually select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of the user in the beamforming structure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ple beams.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supporting different numbers of multiple beams for each user by using a fixed PA.
  • FIG.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ree data bursts (blocks 400, 402, and 404) allocated to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exist in a transmitter structure including a total of eight RF paths. Each data burst has a different number of preferred multiple beams. . In other words, data burst 1 400 prefers four multi-beams, data burst 2 402 prefers three multi-beams, and data burst 3 404 prefers one beam.
  • the PAs 410, 412, 414 connected to each array antenna have a fixed output valu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multiple beams used, the number of RF paths, i.e. each data burst (blocks 400, 402, 404)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put valu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multiple beams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mpensation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for example, the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of a larger transmission power using a large number of multiple beams.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wer control apparatus of a transmitting end using different numbers of multiple 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a transmitter includes an analog beamforming unit 500, an RF-path mapping unit 510, a digital beamforming unit 520, a scheduler 530, and the like. It includes a power regulator 540.
  • the total number of RF paths implemented in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is N and the number of RF paths actually used. Less than this is used.
  • the power control apparatus of FIG. 5 changes the output gain for each RF path in the digital stage instead of the analog stage by using a power adjustment block (power adjuster 540)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design requirements. .
  • the apparatus of FIG. 5 may set the total output power valu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F paths or the number of multiple beams used.
  • the power adjustment block 540 includes information on an index for the RF path used for each subcarrier,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RF paths used, and MIMO technique applied to the subcarrier, from the scheduler 530. At least one or more may be received (536). Thereafter, the power adjustment block 540 may determine an appropriate output gain value for each RF path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MIMO transmission scheme used.
  • the scheduler 530 determines a predetermined index from a terminal to determine an index for an RF path used for each subcarrier,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RF paths used, information on a MIMO scheme applied to a subcarrier, and the lik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received.
  • the RF-path mapper block (RF-path mapping unit, 510) i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RF paths and indexes used for each subcarrier from the scheduler 530, and information on MIMO techniques to be applied to the subcarriers, etc. The abnormality can be received.
  • the RF-path mapper block 510 may connect the output gain value determined by the power adjustment block 540 with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data stream.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transmitter that determines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F path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wer adjusting unit 54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F paths used for each subcarrier from the scheduler 530. If the number of RF paths used by the kth subcarrier is N, the power regulator 540 determines whether the MIMO scheme applied to the kth subcarrier is SU-MIMO or MU-MIMO in step 610.
  • the power adjuster 540 may set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to ⁇ 10 ⁇ log 10 N (dB) for the RF path that is the index J of the k-th subcarrier. This means that the output value is equally distributed and transmitted over the entire RF path used.
  • the details of the MU-MIMO technique is SDMA or other methods, for example using a digital precoder or ZF (Zero Forcing) MU -Identify whether it is MIMO technique.
  • the power adjusting unit 540 sets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to 0 in step 640. Set to (dB). However, when MU-MIMO is supported by a method other than the SDMA method, sinc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N RF paths, in step 650, the power adjusting unit 540 sets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as -10 ⁇ log as in SU-MIMO. Can be set to 10 N (dB).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using different numbers of downlink transmission beams for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ceiver 710 and a controller 720.
  • the transceiver 7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r signals with a terminal or an adjacent base station.
  • the controller 720 controls the signal flow between each block of the base station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 the controller 720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720 determines at least one downlink transmission beam to b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That is, scheduling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and direction of beams to be used according to a user environment and location for receiving downlink.
  • the controller 720 may set the total power value equally regardless of the number of downlink transmission beams to be used by applying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to each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beams. That is, the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beams based on the number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beams, the indexes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beams, and the multi-input multi-output (MIMO) technique to be applied to the subcarriers. This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beams.
  • MIMO multi-input multi-output
  •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using different numbers of uplink transmission beams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ceiver 810 and a controller 820.
  • the transceiver 8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r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 the controller 820 controls a signal flow between blocks of the terminal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 the controller 820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uplink transmission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820 determines at least one uplink transmission beam to be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That is, the number and direction of beams used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location to transmit the uplink.
  • the controller 820 may set the same output power valu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uplink transmission beams to be used by applying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to each of the uplink transmission beams. That is, an output gain adjustment value is adjusted for each uplink beam based on the number of uplink beams, an index for each uplink beam, and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technique to be applied to uplink signal transmission. It can be calculated and applied to each uplink transmission beam.
  • MIMO multi-input multi-output
  • a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navigatio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bstract

본 발명은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빔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지국의 전력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다른 수의 송신빔을 사용하는 경우 빔 개수와 관계없이 전력 출력 전력 값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빔포밍 시스템에서, 주파수 경로별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 각각 사용하는 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는 경우, RF path 별로 출력 이득을 변경하여 안테나의 출력 전력 값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에 대한 니즈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데이터 전송률 제공 방법으로는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과 주파수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현 세대의 통신기술들이 이미 이론적인 한계치에 가까운 주파수 사용 효율을 제공하고 있어서 기술 개량을 통해 이 이상으로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기술이 주목된다.
현재 이동 통신 셀룰라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5GHz)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 확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이러한 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의 주파수 분배 정책 상 1GHz 이상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한 대역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30GHz 이상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방안이 대두된다.
하지만, 이런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거리에 따른 신호감쇄가 매우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통신을 위한 전송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 경로 손실은 증가하며, 이로 인하여 전파 도달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져 서비스 영역(coverage)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파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기술 중 하나가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다.
송신 빔포밍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방법이다. 다수의 안테나가 집합된 형태를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어레이 안테나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를 요소 안테나 (antenna element)라 하기로 한다. 송신 빔포밍을 사용하면 신호의 전파 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가 있고, 또한 해당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신호가 거의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이 매우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수신 측에서도 수신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는데, 수신 빔포밍 또한 전파의 수신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해당 방향으로 들어오는 수신 신호 감도를 증가시키고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 신호에서 배제함으로써 간섭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빔포밍 기술은 고주파수 대역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전송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파장은 짧아지므로, 반 파장 간격으로 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 동일한 면적 내에 더 많은 요소 안테나들로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으므로 빔포밍 기술을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 각각 사용하는 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는 빔포밍 시스템에서, 출력값이 고정된 PA(Power Amplifier)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각 RF path 별로 출력 이득을 조절하여, 적은 비용으로 어레이 안테나의 전체 출력 값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4G 시스템과 같이 고정된 안테나 수에 따라서 고정된 PA(Power Amplifier)가 적용된 송신단 구조와 같이 초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빔포밍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각 어레이 안테나에 연결된 PA는 사용되는 다중 빔 개수에 상관 없이 고정된 출력 값을 갖기 때문에 사용되는 RF path 수, 즉 사용하는 다중 빔의 개수에 따라서 방사되는 출력 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많은 수의 다중 빔을 사용할수록 더 큰 전력으로 전송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하나의 방안으로, 어레이 안테나에 연결된 PA의 출력 값을 고정시키지 않고 사용되는 RF path 수에 따라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PA의 최대 출력 값 및 넓은 출력 값 범위로 인하여 PA 소자의 비용이 증가하게 됨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사용자 별 서로 다른 다중 빔 개수에 따라 해당 RF path 별 출력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단말의 전력 제어 방법은,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은,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출력 이득 조정 값이 적용된 상기 송신 빔에 의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 각각에 대하여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주파 영역에서의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황에 따라 각각 사용하는 빔 개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각 RF path 별로 출력 이득을 조절할 수 있어 어레이 안테나의 전체 출력 값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각각 빔 개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출력값이 고정된 PA(Power Amplifier)를 사용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어 안테나 설계 비용의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셀룰라 대역(5GHz 이하 대역)에서 동작하는 기존 MIMO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초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Hybrid BF 구조 기반의 MIMO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초고주파 대역에서 빔포밍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 별 서로 다른 수의 다중 빔이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고정된 PA를 사용하여 사용자 별 다른 수의 다중 빔을 지원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다중 빔을 사용하는 송신단의 전력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F path 개수에 따라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송신단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하향 송신 빔을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상향 송신 빔을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셀룰라 대역(5GHz 이하 대역)에서 동작하는 기존 MIMO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MIMO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RF path (100)은 송수신단에 따라 IFFT/FFT 모듈, DAC/ADC 모듈, Mixer등을 포함한다. .
셀룰라 대역(5GHz 이하 대역)에서 동작하는 기존 MIMO 통신 시스템의 송신 안테나(110)들의 개수는 물리적인 안테나 크기 및 동작 주파수 파장에 비례하는 안테나 사이 거리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최대 8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MIMO 시스템이 적용된다. 그리고 종래의 MIMO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안테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RF path (100)가 해당 안테나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셀룰라 대역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MIM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안테나 개수가 고정된다. 고정된 송신 안테나 개수는 이동 통신사의 선호에 따라 결정되고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안테나 개수에 따라 PA(120)의 최대 출력 값이 미리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체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력이 P,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개수가 N인 경우, 각 안테나 별 PA(120)의 최대 출력 값은 P/N으로 고정된다. 한편, 종래의 MIMO 통신 시스템에서 PA(120)는 사용되는 사용자 수 및 동시 전송되는 최대 스트림 개수에 관계 없이 항상 동일한 최대 출력 값을 갖는 소자가 사용된다.
참고로, PA의 최대 출력 값 및 출력 전력 범위가 클수록 PA 소자의 가격은 증가한다. 따라서, 낮은 최대 출력 값 및 출력 전력 범위가 작은 PA 소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설계 요구 조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초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Hybrid Beamforming(BF) 구조 기반의 MIMO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주파수 파장이 짧기 때문에, 셀룰라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에 비해 동일 면적에 더 많은 개수의 안테나를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높은 빔 이득을 얻을 수 있어,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면 셀룰라 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파 경로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빔포밍 구조인 Hybrid BF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alog BF (200, 250)과 Digital BF (220, 2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따르면, Analog BF을 이용하여 빔을 형성하여 높은 빔 이득을 얻을 수 있고, Digital BF을 이용하여 다양한 MIMO 선행 기술을 적용하여 추가 전송율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용되는 Hybrid BF 구조에 의해 도 2a 또는 도 2b를 따라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의 구조적인 차이점은 하나의 어레이 안테나가 한 개 RF path (230) 혹은 복수 개의 RF path (280)와 연결 되었는지에 의해 구분된다. 도 2a는 하나의 어레이 안테나가 하나의 RF path (230)와 연결된 경우이며, 도 2b는 하나의 어레이 안테나가 복수의 RF path (280)와 연결된 경우이다.
도 1에서 도시된 기존 MIMO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은 하나의 RF path(100)가 하나의 안테나(110)와 연결되는데, 본 발명을 따르는 Hybrid BF는 도 2a및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nalog BF (200, 250) 가 포함되기 때문에 하나의 RF path (230, 280)가 다수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르는 Hybrid BF는 Analog BF(200, 250)에 의해 형성되는 빔을 통해서는 오직 하나의 RF path (230, 280) 신호만 전송될 수 있다.
이때, RF path의 개수는 기지국 별로 다를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 MIMO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와 같이 모든 RF path가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따르는 Hybrid BF는 특정 시점에 전송되는 사용자의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수에 따라서 일부 RF path 만이 동작될 수 있다. RF path를 사용하기 위해서 각 기지국의 스케쥴러는 미리 설정된RF path 개수를 반영하여 가능한 사용자 및 전송 방법을 선택하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어레이 안테나에 연결된 PA(210, 260)의 최대 출력 값은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 개수에 반비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전체 방사되는 출력 값이 P이고 하나의 어레이 안테나가 N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경우, PA(210, 260)의 최대 출력 값은 P/N으로 결정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이유로 낮은 최대 출력 값과 고정된 PA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초고주파 BF 구조에서도 선호된다.
도 3은 초고주파 대역에서 빔포밍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본 발명을 따라 사용자별 서로 다른 수의 다중 빔으로 동작하는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제공하는 기지국(300)과 단말(310, 320)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하향 송신 빔의 방향을 바꿔가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310, 320)도 수신 빔의 방향을 바꿔가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직접적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300)과 단말(310,320)은 다양한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에서 최적의 채널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 및 개수를 선택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은 기지국(300)에서 단말(310,3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채널뿐 아니라 단말(310,320)에서 기지국(3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채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도 3은 서빙 기지국(300)에 두 명의 사용자 (310, 320)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 및 환경에 따라서 사용자 별로 다른 수의 다중 빔이 동작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MS-1 (310)는 해당 사용자 주위에 방해물이 없으므로, 서빙 기지국 방향의 빔 하나만을 선호할 것이다. 하지만, MS-2(320)는 장애물 (340)에 의하여 서빙 기지국 방향으로 빔을 수신할 수 없다. 그러나, 인접해 있는 반사체 (350, 352)를 통하여 강한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사되어 전송되는 해당 빔들에 대해서 MS-2는 두 가지 빔들을 통해 수신하기를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예를 통하여, 초고주파 대역에서 빔포밍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 및 반사체에 의해서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빔 방향 및 빔 개수가 다를 수 있음을 확인된다. 즉, 사용자 환경 및 위치에 따라서 사용되는 빔의 개수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따르는 것이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수신 성능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방식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중 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빔포밍 구조에서 다중 빔 개수는 사용자의 위치 및 환경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선택 결정되는 것을 전제한다.
도 4는 고정된 PA를 사용하여 사용자 별 다른 수의 다중 빔을 지원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총 8개의 RF path로 구성된 송신단 구조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블록 400, 402, 404)가 3개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각 데이터 버스트는 선호하는 다중 빔 개수가 다르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버스트 1(400)의 경우는 4개의 다중 빔 사용을 선호하고, 데이터 버스트 2(402)는 3개의 다중 빔 그리고 데이터 버스트 3(404)는 하나의 빔 사용을 선호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어레이 안테나에 연결된 PA(410, 412, 414)는 사용되는 다중 빔 개수에 상관 없이 고정된 출력 값을 갖기 때문에 RF path 수, 즉 각 데이터 버스트(블록 400, 402, 404)가 사용하는 다중 빔의 개수에 의해 방사되는 출력 값에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 예를 들어 많은 수의 다중 빔을 사용할수록 더 큰 전송 전력으로 전송하게 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보상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어레이 안테나에 연결된 PA(410, 412, 414)의 출력 값을 고정시키지 않고 사용되는 RF path 수에 따라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PA(410, 412, 414)의 최대 출력 값 및 넓은 출력 값 범위로 인하여 PA 소자의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도 4를 통해 제기된 문제점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다중 빔을 사용하는 송신단의 전력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송신단의 전력제어 장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500), RF-path 맵핑부(510), 디지털 빔포밍부(520), 스케쥴러(530) 및 전력조정부(540)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예시하는 BF 구조는 도 2b와 같이 하나의 어레이 안테나가 복수의 RF path (280)와 연결된 경우이며, 해당 기지국에서 구현된 전체 RF path의 개수는 N개이며, 실제 사용되는 RF path 개수는 이보다 적은 수가 사용된다.
앞서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출력 값이 고정되어 있는 PA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는 RF path 개수에 따라 다르게 방사되는 출력 값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렇다고, 고정된 출력 값을 갖는 PA소자를 사용하는 대신 사용하는 RF path 개수에 따라 다른 출력 값을 내는 PA소자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 면에서 적합하지 않는 해결책이다. 따라서, 고정된 출력을 내는 PA(410, 412, 414)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복잡도를 갖는 방안 및 장치를 통해 사용하는 RF path 개수에 따라 출력 값을 변경하는 방법이 바람직한 해결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도 5의 전력 제어 장치는 위와 같은 설계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Power Adjustment 블록(전력조정부, 540)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단이 아닌 디지털 단에서 각 RF path 별로 출력 이득을 변경시킨다. 이를 통하여 도 5의 장치는 RF path 개수 혹은 사용하는 다중 빔 개수에 관계 없이 전체 출력되는 전력 값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Power Adjustment 블록(540)은 스케쥴러(530)으로부터 해당 시점에서 각 부반송파 별로 사용되는 RF path에 대한 인덱스와 사용하는 전체 RF path 개수에 대한 정보, 그리고 부반송파에 적용할 MIMO 기법 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536). 이후, Power Adjustment 블록(540)은 수신한 정보와 사용하는 MIMO 전송 기법을 바탕으로 해당 RF path 별 적절한 출력 이득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러(530)는 각 부반송파 별로 사용되는 RF path에 대한 인덱스와 사용하는 전체 RF path 개수에 대한 정보, 그리고 부반송파에 적용한 MIMO 기법 등에 관한 정보 등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말로부터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RF-path Mapper 블록(RF-path 맵핑부, 510)은 스케쥴러(530)로부터 각 부반송파 별 사용하는 전체 RF path 개수와 인덱스에 관한 정보, 그리고 부반송파에 적용할 MIMO 기법 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534) 이후, RF-path Mapper 블록(510)은 Power Adjustment 블록(540)에서 결정한 출력 이득 값을 해당 전송 데이터 스트림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F path 개수에 따라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송신단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600에서 전력조정부(540)는 스케쥴러(530)로부터 각 부반송파 별로 사용하는 RF path 개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k번째 부반송파가 사용하는 RF path 개수가 N개인 경우, 단계 610에서 전력조정부(540)는 k번째 부반송파에 적용된 MIMO 기법이 SU-MIMO 혹은 MU-MIMO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U-MIMO 기법인 경우, 단계 620에서 전력조정부(540)는 상기 k번째 부반송파의 인덱스 J인 RF 패스에 대해 출력이득 조정 값을 -10×log10N (dB)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되는 전체 RF path 에 대해 출력 값을 동일하게 분배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MU-MIMO 기법인 경우, 단계 630에서 전력조정부(540)는 상기 MU-MIMO 기법의 세부내용이 SDMA 혹은 이외 방법, 예를 들어 디지털 프리코더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ZF(Zero Forcing) MU-MIMO 기법인지를 구분한다.
만약 SDMA 방식으로 MU-MIMO를 지원할 경우, 사용되는 RF path는 N개일지라도 하나의 RF path를 이용하여 한 명의 사용자의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계 640에서 전력조정부(540)는 출력 이득 조정 값을 0(dB)로 설정한다. 그러나 SDMA 방식이 아닌 방법으로 MU-MIMO를 지원할 경우, N개의 RF path를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단계 650에서 전력조정부(540)는 출력 이득 조정 값을 SU-MIMO와 동일하게 -10×log10N (dB)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하향 송신 빔을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송수신부(710)와 제어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710)는 단말 또는 인접한 기지국과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720)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기지국의 각 블록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720)는 본 발명에 따라 하향 송신 빔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20)는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 송신 빔을 결정한다. 즉, 하향링크를 수신할 사용자 환경 및 위치에 따라서 사용되는 빔의 개수 및 방향을 결정하는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나아가 제어부(720)는 상기 하향 송신빔 각각에 대해 출력 이득 조정값을 적용하여 사용하게 될 하향 송신 빔 개수에 관계 없이 전체 출력되는 전력 값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하향 송신 빔의 개수, 상기 하향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인덱스, 상기 부반송파에 적용할 MIMO(Multi-Input Multi-Output) 기법 등을 기반으로 하향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출력 이득 조정값을 산출하여 이를 하향 송신빔 각각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상향 송신 빔을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송수신부(810)와 제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810)는 기지국과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82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단말의 각 블록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820)는 본 발명에 따라 상향 송신 빔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20)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 송신 빔을 결정한다. 즉, 상향링크를 전송할 환경 및 위치에 따라서 사용되는 빔의 개수 및 방향을 결정한다.
나아가 제어부(820)는 상기 상향 송신빔 각각에 대해 출력 이득 조정값을 적용하여 사용하게 될 상향 송신 빔 개수에 관계 없이 전체 출력되는 전력 값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향 송신 빔의 개수, 상기 상향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인덱스,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적용할 MIMO(Multi-Input Multi-Output) 기법 등을 기반으로 상향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출력 이득 조정값을 산출하여 이를 상향 송신빔 각각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인덱스, 상기 부반송파에 적용할 MIMO(Multi-Input Multi-Output) 기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ingle User-MIMO 인 경우,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10×log10N (dB)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경우,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0(dB)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DMA 이외의 것인 경우,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10×log10N (dB) 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MIMO 기법이 ZF(Zero Forc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빔 결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8.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해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인덱스, 상기 부반송파에 적용할 MIMO(Multi-Input Multi-Output) 기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ingle User-MIMO 인 경우,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10×log10N (dB)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경우,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0(dB)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MDA 이외의 것인 경우,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10×log10N (dB) 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MIMO 기법이 ZF(Zero Forc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빔 결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스케쥴러; 및
    상시 스케쥴러로부터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을 결정하는 전력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출력 이득 조정 값이 적용된 상기 송신 빔에 의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각각에 대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빔 각각에 대하여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송신 빔의 개수, 상기 송신 빔 각각에 대한 인덱스, 상기 부반송파에 적용할 MIMO(Multi-Input Multi-Output) 기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은,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ingle User-MIMO 인 경우, -10×log10N (dB)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은,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경우, 0(dB)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득 조정 값은,
    상기 송신 빔의 개수가 N이고, 상기 MIMO 기법이 SDMA 이외의 것인 경우, -10×log10N (dB)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PCT/KR2013/006500 2012-07-19 2013-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0143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13,308 US10038480B2 (en) 2012-07-19 2013-07-19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multiple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27A KR101972950B1 (ko) 2012-07-19 2012-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12-0078527 2012-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315A1 true WO2014014315A1 (ko) 2014-01-23

Family

ID=4994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500 WO2014014315A1 (ko) 2012-07-19 2013-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38480B2 (ko)
KR (1) KR101972950B1 (ko)
WO (1) WO20140143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35A1 (ko) * 2014-11-26 2016-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기법
WO2018052177A1 (ko) * 2016-09-19 2018-03-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696B1 (ko) 2013-08-01 2020-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송신 전력 정규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840866B (zh) * 2014-02-26 2017-05-03 北京邮电大学 一种分布式波束成形方法和系统
US9451536B2 (en) * 2014-06-18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UE initiated discovery in assisted millimeter wavelength wireless access networks
KR101810633B1 (ko) 2014-12-19 2017-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운용 방법 및 장치
US9590711B2 (en) 2015-05-11 2017-03-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beamformed signals to optimize transmission rates of sensor arrays
KR102340499B1 (ko) 2015-09-04 2021-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7132629A1 (en) * 2016-01-27 2017-08-03 Ping Liang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nhanced by intelligent self-organizing wireless distributed active antennas
US10498425B2 (en) * 2017-04-13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 and receive beam refinement based on spatial power profile
US11317353B2 (en) * 2017-09-11 2022-04-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indication for uplink power control
EP3776893A1 (en) 2018-04-04 2021-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beam change management
US10924164B2 (en) 2018-05-29 2021-02-16 Skyworks Solutions, Inc.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 with power control based on antenna pattern configuration
KR101916636B1 (ko) 2018-06-29 2018-11-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신기 위치를 확인하여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0650525B (zh) * 2019-08-12 2022-05-03 浙江工业大学 一种多波束分配功率mac协议通信方法
US11337168B2 (en) * 2019-11-27 2022-05-17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ing shared low noise amplifiers by limiting transmission p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381A (ko)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64278A (ko) * 2008-12-04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득 제어 장치 및 신호 수신 방법
US20110026630A1 (en) * 2009-07-31 2011-02-03 Cisco Technology, Inc. Power Allocation of Spatial Streams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82050A (ko) * 2008-10-29 2011-07-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안테나 전송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5040A1 (en) * 2001-11-06 2003-07-03 Walton Jay R. Multiple-access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270512B2 (en) * 2004-08-12 2012-09-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carrier and antenna selection in MIMO-OFDM system
GB2419493A (en) * 2004-10-19 2006-04-26 Ict Ltd Communications system utilising feed-back controlled multiple antennas
US7457607B2 (en) * 2005-01-04 2008-11-25 Stmicroelectronics, Inc.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mobile station receiver power consumption by dynamically controlling linearity and phase noise parameters
US7881265B2 (en) * 2006-03-15 2011-02-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loading transmit beamforming in MIMO-OFD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271043B2 (en) * 2006-08-21 2012-09-18 Qualcomm Incorporated Approach to a unified SU-MIMO/MU-MIMO operation
US7944985B2 (en) * 2006-08-24 2011-05-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IMO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supporting downlink communication of single channel codewords
KR101049616B1 (ko) * 2006-10-31 2011-07-1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역방향 링크 전송들을 위한 동적 simo, su-simo 및 mu-mimo 동작에 대한 통합 설계 및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US8798012B2 (en) * 2007-03-26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paration phase for switching between SU-MIMO and MU-MIMO
KR101107940B1 (ko) * 2007-06-08 2012-01-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에서 통신 채널들을 위한 계층적 변조
EP2163004B1 (en) * 2007-06-27 2015-02-25 Unwired Planet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nd arrangement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8761834B2 (en) * 2008-12-31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selection and power control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Y161646A (en) * 2009-10-02 2017-04-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for devices having multiple antennas
WO2011104718A1 (en) * 2010-02-28 2011-09-01 Celeno Communications Ltd. Method for single stream beamforming with mixed power constraints
US8811514B2 (en) * 2011-05-06 2014-08-19 Dynamic Invention Llc Partial interference alignment for K-user MIMO interference chann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381A (ko)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82050A (ko) * 2008-10-29 2011-07-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안테나 전송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00064278A (ko) * 2008-12-04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득 제어 장치 및 신호 수신 방법
US20110026630A1 (en) * 2009-07-31 2011-02-03 Cisco Technology, Inc. Power Allocation of Spatial Streams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35A1 (ko) * 2014-11-26 2016-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기법
US10314080B2 (en) 2014-11-26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techniqu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10999872B2 (en) 2014-11-26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techniqu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11006459B2 (en) 2014-11-26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techniqu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WO2018052177A1 (ko) * 2016-09-19 2018-03-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77698B2 (en) 2016-09-19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8480B2 (en) 2018-07-31
KR101972950B1 (ko) 2019-04-26
US20150195015A1 (en) 2015-07-09
KR20140012240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431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104800A1 (e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a beam-forming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905150B (zh) 分布式无线天线和毫米波扫描中继器
EP3413477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WO201112626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atial division duplex(sd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
WO2015060645A1 (ko)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RU2405257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для объединения сигналов восходящего направления в режиме сектор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WO201402163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3028012A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base statio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ulti-cooperative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09905886B (zh) 增强型客户驻地设备
WO2016204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by using antenna arr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9151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58612A1 (en)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5326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스캐닝 절차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29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빔 링크 형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17854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효과를 고려하여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648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downlink beams
WO2005053182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la mise en forme de faisceaux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a acces multiple par code de repartition
WO201615963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를 고려한 반복 패턴을 기반으로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14013A1 (ko)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817761A (zh) 多输入多输出发送和接收
KR20190058057A (ko) 밀리미터파 기반의 인빌딩 릴레이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0149487A1 (ko)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080471A1 (ko)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오픈-루프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Li et al. A suboptimal STDMA scheduling for concurrent transmissions in mmWave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19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330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9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