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4295A1 -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4295A1
WO2014014295A1 PCT/KR2013/006454 KR2013006454W WO2014014295A1 WO 2014014295 A1 WO2014014295 A1 WO 2014014295A1 KR 2013006454 W KR2013006454 W KR 2013006454W WO 2014014295 A1 WO2014014295 A1 WO 20140142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information
digital system
confi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4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진
김대진
심충섭
이태경
이항기
이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ublication of WO20140142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42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H04B5/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H04B5/45
    • H04B5/48

Abstract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결제측 시스템에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는 태깅 단계, 및 상기 태깅 단계가 수행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확인신호 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이 된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결제 승인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본 발명은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카드와 디지털 시스템 두 가지 물건을 모두 점유하고 있어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임과 동시에 카드를 지갑이나 주머니 등에서 꺼낼 필요 없이, 간단하게 카드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결제를 함에 있어서 카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과 카드 정보 노출에 따른 보안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카드결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모바일 폰을 이용한 결제 관련 기술 및 NFC 등의 무선 통신기술이 배경이 될 수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디지털 시스템들(예컨대, PC, 타블렛, 네비게이션, 뮤직 플레이어, 카메라, 차량용 디지털 시스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들은 소형화 및 컨버전스(convergence)화되고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경우, 원래의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정보저장장치, 뱅킹(결제, 이체 등)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소자들의 집적화 등을 통해 사용자들이 휴대하기 충분할 정도의 크기로 소형화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기능들의 컨버전스가 이루어지면서 디지털 시스템들은 단순히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더구나 디지털 시스템들의 소형화로 인한 휴대성이 높아지고 고가화 되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분실이나 도난에 따른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고, 분실이나 도난에 대한 부담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최근의 디지털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어서, 이러한 디지털 시스템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한편, 카드결제의 간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된 바 있다. 예컨대,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 핸드폰 번호만 입력하면 상기 핸드폰 번호에 대응되는 카드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일 예는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0-0031640, "이동전화번호를 이용한 결제방법"),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8-0133237, "모바일 카드결제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결제 서비스 방법"),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8-0112238, "전화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시스템, 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방법") 등을 통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핸드폰만 소지하고 있으면 편리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편의성으로 인해 보안성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핸드폰을 분실 또는 도난당하는 경우에는 얼마든지 핸드폰 번호가 노출될 수 있어서, 카드결제를 타인이 수행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험성은 결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왜냐하면, 비밀번호의 노출은 악의적 공격이나 사용자의 지인에 의해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결국, 종래의 방식은 결제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부정 사용자가 잠시라도 사용자의 핸드폰을 점유하고 있으면, 얼마든지 부정 결제가 일어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종래의 결제방식은 카드정보(예컨대, 카드번호 및/또는 유효기간 등 결제를 위해 사용되는 카드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방식이어서 키보드의 입력을 통한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번 카드 정보의 입력에 따른 정보 노출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보안성의 문제점은 항상 편의성과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편의성도 일정 부분 만족할 수 있는 카드결제를 위한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분실, 도난, 또는 도용당하는 경우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및 카드의 분실, 도난, 또는 도용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확률이 높은 디지털 시스템 및 카드 두 개의 독립적인 물건을 모두 점유하고 있을 때에 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운 카드정보가 아니라, 디지털 시스템(예컨대, 모바일 폰)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요청을 수행할 수 있고, 비접촉식 통신인 태깅을 통해 카드의 점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보안성과 함께 카드를 지갑이나 주머니 등에서 꺼내지 않고도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매번 입력해야 하는 카드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결제카드의 카드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에 1번만 입력해두고 그 이후에는 비접촉식 통신인 태깅을 통해 상기 카드의 점유여부를 확인하고 결제요청을 수행함으로써, 결제카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결제 카드의 점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디지털 시스템이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는 태깅 단계, 및 상기 태깅 단계가 수행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확인신호 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이 된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결제 승인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승인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여야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태깅 단계가 수행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일부인 제1파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깅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카드의 카드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 정보인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여야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한 상기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인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인신호 전송단계는 소정의 확인신호 전송요건을 충족하여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제1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태깅 단계를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도록 결정된 제2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1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정보를 상기 태깅 단계를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측 시스템 제공방법은 결제측 시스템이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소정의 카드와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은 결제요청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거나,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신호는 소정의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제1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태깅을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도록 결정된 제2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이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1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정보가 상기 태깅을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은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듈, 및 상기 태깅이 수행되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이 된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결제 승인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승인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측 시스템은 결제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B는 결제요청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있는 디지털 시스템과 카드 두 개의 물건을 모두 점유하고 있어야 결제가 수행되므로, 카드 또는 디지털 시스템 하나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높은 보안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결제를 위해 카드를 지갑에서 꺼내지 않아도 사용자가 알고 있는 디지털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ID 등)의 입력으로 결제요청이 가능하고, 결제확인 또는 승인 역시 비접촉식 통신인 태깅을 통해 수행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디지털 시스템과 카드를 모두 점유하고 있되 실질적으로 카드는 전혀 만지거나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결제의 편의성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디지털 시스템과 카드가 태깅만 되면, 결제가 승인되는 것이 아니라, 결제확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일정 요건이 만족될 때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거나, 태깅을 하여야 카드정보가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시스템(디지털 시스템 또는 카드)의 위변조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결제에 사용되는 카드정보를 태깅 후에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시스템이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도, 수신된 정보를 확인신호가 전송된 후 삭제하는 보안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결제 이후 디지털 시스템이 외부 공격을 당하여도 관련 정보가 누출되지 않고, 태깅을 수행하지 않고서는 카드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번 입력해야 하는 카드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결제카드의 카드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에 1번만 입력해두고 그 이후에는 비접촉식 통신인 태깅을 통해 상기 카드의 점유여부를 확인하고 결제요청을 수행함으로써, 결제카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결제 카드의 점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사용자의 카드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감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따라 결제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제측 시스템이 결제관련 정보에 카드정보의 일부를 전송하는 경우의 결제 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이 확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해야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이 확인신호에 카드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이하, '디지털 시스템' 100), 카드(200), 및 결제측 시스템(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카드(200)와 태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카드(200)에 구비된 카드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태깅(tagging)이라 함은, RFID 통신, 또는 NFC 통신과 같이 비접촉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 상기 카드(200)가 일정 거리 이하(예컨대, NFC 통신인 경우, 10cm 등)로 근접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또는 상기 카드(200)를 상기 카드(200)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일정 거리 내로 근접시킴으로써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도1에서는 모바일 폰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고, 상기 카드(200)와 태깅을 통해 통신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태블릿(tablet), 뮤직 플레이어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 용이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카드(200)는 카드결제에 사용될 수 있는 금융거래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카드(20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태깅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1통신장치(예컨대, RF 안테나, RF 태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드(200)는 IC칩이 내장된 IC카드 또는 스마트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카드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무관하게 종래의 방식으로 카드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적인 결제수단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소유주, 점유자)가 상기 카드(200)도 소지하고 있다고 추정/인증되는 경우(즉, 태깅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상기 카드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카드(200)를 모두 점유하여야 카드결제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은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드를 지갑이나 주머니 등에서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높은 보안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리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온라인 결제 시에는, 자신의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를 온라인상에 입력하거나 로그인 등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결제를 매개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100)을 특정하는 행위를 한 후, 결제관련 정보가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상기 카드(200)가 보관된 지갑 또는 주머니에 태깅만하면 카드결제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카드(200)는 자체적인 전력원은 없으나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고 간단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IC카드(또는 스마트카드, 201)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카드(200)는 독자적인 연산능력 및 저장능력이 존재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통신을 비접촉식 무선통신(예컨대,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카드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결제요청을 수신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결제의 승인여부를 결정하는데 참여하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결제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수신 시스템(310) 및 상기 수신 시스템(310)을 통해 요청되는 결제요청을 승인할 수 있는 승인 시스템(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상기 승인 시스템(320)으로 결제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신 시스템(310)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수신 시스템(310)은 예컨대, 온라인 결제를 위한 페이지 또는 UI를 제공하는 웹 서버(311), 가맹점에 설치된 카드결제 단말기(312), 또는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313)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시스템(31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로부터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결제요청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결제요청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특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미리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승인 시스템(320)은 상기 결제요청을 상기 카드(200)로 결제처리할 수 있는 카드사 시스템(321)(본 발명에서의 카드사 시스템(321)은 독립적인 카드회사의 시스템뿐만 아니라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모든 금융기관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카드사 시스템(321)과 상기 수신 시스템(310)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VAN 시스템(322)이 상기 승인 시스템(32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승인 시스템(32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서비스 시스템(예컨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 등, 미도시)이 상기 카드사 시스템(321) 및/또는 상기 VAN 시스템(322)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도록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VAN 시스템(322)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 시스템(310)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결제요청을 입력하는 수신 시스템(310)으로부터 상기 카드사 시스템(321)까지의 네트워크 경로 상에 존재하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드사 시스템(321)이 상기 수신 시스템(310)의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결제가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모바일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이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는 상기 모바일 폰의 모바일 전화번호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결제요청을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0). 결제요청 시에, 필요한 경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로그인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미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디지털 시스템(100)을 특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입력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소저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예컨대, 컴퓨터 등)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소정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였다가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온라인 결제를 위한 웹 페이지 또는 UI를 제공하는 웹 서버(311)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소정의 가맹점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알려주면 가맹점 측 직원이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소정의 ATM(313)에 상기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를 이용해 결제요청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결제요청을 위해 카드를 꺼내지 않음으로써 편리함과 함께 여러 가지 보안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카드정보는 대체로 사용자가 기억하지 못할 확률이 높아서 카드정보를 입력하여 결제요청을 하기 위해서는 카드를 꺼내야 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런 경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성이 있고, 또한 중요한 금융정보인 카드정보를 타인에게 알려주거나 온라인상에서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있기 마련이므로, 카드 정보를 이용하되 카드를 꺼내지 않은 기술적 사상은 보안상 매우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이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특정할 때 이용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할 디지털 시스템(100)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미리 저장된 디지털 시스템을 통해 결제관련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요청이 수행되면(S100), 어떠한 방식이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출력되는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적어도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결제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가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된 결제내역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 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상기 카드(200)에 태깅할 수 있다(S12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0). 상기 결제내역 정보에는 상기 확인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의 식별정보(예컨대, (콜백)URL 등)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세션(session)을 유지하고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의 식별정보를 알고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출력한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S140). 그러면, 상기 카드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수신된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태깅(S120)이 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된 결제내역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0). 물론, 사용자는 소정의 UI를 선택하여야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의해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카드로의 결제가 승인되어 처리될 수 있다(S140).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는 결제수단이 되는 상기 카드의 식별정보(본 명세서에서 카드식별정보라 함은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정보(예컨대, 카드번호, 유효기간 및/또는 비밀번호 등) 외에 결제를 위한 정보는 아니나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의 고유 식별정보 등 기타의 정보까지 포함한다)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3에 도시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수신모듈(120), 전송모듈(130), 및 통신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저장장치(150), 및/또는 보안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나 특정 개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예컨대, 상기 수신모듈(120), 상기 전송모듈(130), 상기 통신모듈(140), 상기 저장장치(150), 및/또는 상기 보안모듈(16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12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예컨대, 컴퓨터 등)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수신 시스템(310)으로 전송되거나, 사용자 또는 타인(예컨대, 소정의 가맹점측 직원 등)이 수동으로 상기 수신 시스템(31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수신 시스템(310)으로 상기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승인 시스템(320)은 상기 수신 시스템(310)으로부터 상기 결제내역 정보 및 상기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승인 시스템(32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메시지(예컨대, SMS, MMS 등)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소정의 패킷 데이터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승인 시스템(320)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일 수도 있다.
상기 전송모듈(13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포함된 승인 시스템(320)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확인신호는 단순히 태깅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거나, 태깅이 되어야 전송되어질 수 있는 신호일 수도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이 결제에 이용될 카드식별정보(본 명세서에서 카드식별정보라 함은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정보(예컨대, 카드번호, 유효기간 및/또는 비밀번호 등) 외에 결제를 위한 정보는 아니나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의 고유 식별정보 등 기타의 정보까지 포함한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확인신호의 전송은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확인신호에 어떠한 정보를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신호는 일회에 걸쳐 전송되는 정보가 아니라 연속되어 전송되는 신호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40)은 상기 수신 시스템(310)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200)와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태깅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140)은 상기 카드(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 상기 카드(200)에 포함된 카드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통신모듈(140)이 상기 카드(200)와 태깅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태깅을 통해 특정 정보를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태깅이 수행되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확인신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카드(200)로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결제가 승인되는 결제 승인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드(200)로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결제가 승인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를 알아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카드의 식별정보를 소정의 DB에 저장해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결제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의 DB에는 복수의 카드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결제에 이용될 복수의 카드의 식별정보(예컨대 카드번호 또는 유효기간 등)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확인신호에 포함된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저장된 카드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카드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카드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태깅하여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의해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가 승인될 수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카드결제에 이용될 수 있는 카드정보가 아니라, 단순히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카드사, 카드이름, 카드정보의 일부 등)만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카드정보를 특정한 후, 특정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카드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예컨대, 카드정보 또는 카드이름 등)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확인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DB에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카드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태깅이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DB에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미리 등록된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결제요청이 되어야만 결제를 승인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결제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결제요청이 미리 상기 DB에 등록된 디지털 시스템(예컨대, 100)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등록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요청이어야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결제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미리 등록된 디지털 시스템(100)인지를 판단하여 결제의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는 미리 카드 식별정보 및/또는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미리 등록된 정보에 상응하는 카드 및/또는 디지털 시스템(100)이 서로 태깅을 수행하여야만, 태깅한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카드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저장장치(15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저장장치(150)에는 상기 카드정보의 일부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 또는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임시로 상기 저장장치(15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보안모듈(160)은 상기 카드(200) 및/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정보가 이용이 완료되면, 상기 정보를 삭제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확인신호에 카드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카드식별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결제가 완료되고 상기 카드식별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여전히 상기 저장장치(150)에 남아있다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부정한 사용자에게 습득되어 해킹 등을 통해 공격당하는 경우, 상기 카드(200)와 태깅을 수행하지 않아도 상기 카드식별정보(특히,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가 수행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결제 건에 대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수행할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보안모듈(160)은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결제 솔루션의 완결성 및 보안성을 높이는데 중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명의의 복수의 카드들 중 어느 하나와 태깅이 수행되면, 태깅이 수행된 카드의 카드정보로 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카드가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태깅이 수행된 카드정보가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된 카드정보에 의해 카드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결제가 수행될 카드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예컨대, 카드정보 또는 카드의 고유식별정보 등)를 포함시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카드와 태깅이 수행되어야만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의해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카드정보에 대응되는지가 판단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결제관련 정보를 특별한 조건 없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카드(200)가 태깅이 되어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만약 타인이 일시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점유하고 있거나 볼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야만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UI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 역시 보호되어야 할 개인정보이므로,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카드(200)를 사용자가 모두 점유하고 있어야만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확인신호도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일 예 등은 도4에 도시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따라 결제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도 4a와 같이 결제관련 정보 중 결제내역을 특별한 조건 없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4b와 같이 결제내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소정의 카드(200)와 태깅이 되어야 결제내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는 결제내역(예컨대, 결제금액, 가맹점(또는 ATM 기기 정보 등)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확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결제측 시스템(300)의 식별정보(예컨대, URL, 콜백 URL, IP 등)가 포함될 수도 있다. 결제측 시스템(300)의 식별정보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구성하는 패킷 등의 단위 데이터 등에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인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의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는 상기 카드(200)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카드 식별정보는 카드정보일수도 있고, 카드정보 이외의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의 명칭 등일 수도 있으며, 기타 상기 카드(200)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식별정보는 상기 결제요청에 포함된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미리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카드(200)의 카드 식별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카드 식별정보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결제관련정보에 카드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된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카드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태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카드 식별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미리 결제측 시스템(300)에 등록된 카드를 태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결제관련 정보에 카드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카드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태깅이 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확인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40)은 상기 카드(200)와 태깅을 통해 상기 카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식별정보와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카드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카드 식별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복수의 카드 식별정보 중에서 결제를 수행할 카드의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카드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태깅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카드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카드명칭 등)만이 저장되어 있고 결제에 필요한 카드정보는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어떠한 정보를 포함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10) 역시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어떠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깅이 수행되어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된 정보(예컨대, 결제내역)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단순히 결제요청이 수행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정보 및/또는 특정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특정 카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고(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확인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소정의 UI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야만 상기 확인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태깅되어야 할 카드(200)의 카드정보 중 일부인 제1파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저장된 상기 카드정보 중 일부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시켜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 제2파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카드정보 중 제1파트를 제외한 정보일 수도, 또는 다양한 형태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제1파트가 결정되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카드정보 전체일 수도 있다.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파트 및/또는 상기 카드정보에 상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카드(200)가 위변조되는 경우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위변조되는 경우 등 부정한 결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카드정보가 아니라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예컨대, 카드사, 카드이름 등 카드정보를 제외한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카드와 태깅이 되어야 확인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드의 식별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복수의 카드의 식별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선택된 카드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확인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제측 시스템이 결제관련 정보에 카드정보의 일부를 전송하는 경우의 결제 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측 시스템(300)은 저장하고 있는 카드정보(예컨대, 1234-5678) 중 일부 즉 제1파트를 추출할 수 있다(S10). 추출된 정보는 예컨대, 12X4-X678 즉, 카드정보의 1, 2, 4, 6, 7, 8번째 숫자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기 제1파트에 대한 정보(예컨대, 추출된 숫자들이 카드정보 중 몇 번째 숫자들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0).
이 후 상기 제1파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카드(200)와 태깅을 하면, 상기 통신모듈(140)은 상기 카드정보 중 제1파트를 제외한 제2파트(33, 55)를 획득할 수 있다(S30). 여기서 Ab 라는 표기는 카드정보 중 b번째 정보가 A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고 함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카드(200)의 카드 저장장치에 저장된 카드정보 전체를 획득한 후, 제2파트에 대한 정보(정보 및/또는 상기 정보가 카드정보 중 몇 번째인지)만을 추출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고, 상기 카드(200)로부터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카드의 카드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 이때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 즉, 저장된 카드정보와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판단결과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파트와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S60).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카드정보 중 제1파트로 무엇을 추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추출할 때마다 서로 다른 번째의 숫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몇 번째 숫자를 제1파트로 추출할지에 대한 알고리즘을 공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시간대에 따라 상기 제1파트가 몇 번째, 몇 번째 숫자인지에 대한 정보가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파트를 선택하는 룰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간에 동기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서 배포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기 제1파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2파트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하는 제1파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 제2파트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카드(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태깅을 통해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되어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확인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2파트가 서로 상응하는지 여부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이 아니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후술하는 도 6에서도 도시된다.
한편,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어야 요청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인신호는 단순히 사용자에 의해 정당하게 요청된 것임을 확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확인신호에 결제에 필요한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가 저장된 경우이며, 후자의 경우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상기 카드정보가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확인신호만 전송하면 결제가 승인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소정의 기술적 사상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인신호는 태깅이 되어야만 출력되도록 제어되기는 하지만, 혹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해킹 등의 공격에 의해 위변조되어 태깅이 되지 않아도 확인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보안방식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안방식은 상기 제어모듈(110)이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확인신호 전송요건은 상기 카드(2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야만 충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6에 도시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이 확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해야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1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카드(200)가 태깅(S120)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었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S125). 만약,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면(S125),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S13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태깅이 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 즉, 2중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은 도6b 또는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200)로부터 소정의 제1정보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는 서로 쌍(또는 요철(凹凸))이 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도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정보의 일부인 제1파트와 나머지 일부인 제2파트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카드(200)만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상기 제2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드(200)에 미리 특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정보는 상기 특정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모두 획득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이 소정의 암호화된 정보(제1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6). 상기 암호화된 정보(제1정보)의 복호화키는 상기 카드(200)의 식별정보(제2정보) 또는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카드(200)로부터 상기 카드(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S126-1), 수신된 식별정보(제2정보)가 상기 암호화된 정보(제1정보)와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6-2).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식별정보 또는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해 생성되는 소정의 키를 이용해 상기 암호화된 정보가 복호화되는지 여부로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S127).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제2정보를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하고(S127-1), 수신된 제2정보와 상기 제1정보가 대응하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7-2).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카드(200)의 식별정보인 경우를 일 예로 들었지만, 상기 카드(200)에 저장되어 있는 어떠한 정보도 상기 제2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정보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미리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제2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제1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정보는 일련의 숫자로 구성된 카드정보 중 몇 번째 숫자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정보는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는 실제 숫자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를 아는 경우,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가 미리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확인신호는 단지 사용자에 의해 결제요청이 확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에도 뛰어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확인신호는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200)로의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상기 카드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확인신호는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는 상기 카드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저장하고 있거나, 상기 카드정보 전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되어야만,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의해 카드정보가 특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정보의 전부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에 의해 결제에 이용될 카드정보가 특정될 수 있다. 상기 카드정보의 일부만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저장된 상기 카드정보의 나머지 일부와 결합되어 결제에 이용될 카드정보가 특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카드정보의 일부만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카드정보의 일부는 단순히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저장된 카드정보 전체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결국, 어떠한 경우든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야만,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수신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결제에 이용될 카드정보를 특정할 수 있고, 특정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되는 카드정보는 카드정보 전체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일부만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결제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 예들은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이 확인신호에 카드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저장장치(150)는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S131).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상기 통신모듈(140)이 NFC 칩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NFC 칩을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단순히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고 있을 뿐, 본원발명은 카드(200)와 태깅이 되어야 태깅이 된 상기 카드(200)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특정된 결제 건(즉, 결제관련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결제 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독자적으로 카드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개념과는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150)에 상기 카드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카드(200)와 태깅될 수 있다(S131-1).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태깅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장치(150)에 상기 카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태깅을 수행한 카드(200)가 상기 저장장치(150)에 저장된 상기 카드정보와 상응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응하는 경우에만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어모듈(110)은 태깅이 수행된 후(S131-1), 상기 저장장치(15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S131-2).
그러면, 결제측 시스템(300)은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처리를 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카드(200)에 저장되어 있고(S132),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태깅을 통해 상기 카드(200)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S132-1).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수신된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2-2).
이때 태깅을 수행한 후 상기 카드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그대로 저장되어 있다면, 태깅을 수행하지 않아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카드정보를 가지고 있게 되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해커 등으로부터 공격을 받는 경우에는 카드정보가 누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깅을 수행하지 않아도 상기 확인신호에 저장되어 있던 카드정보를 포함시켜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위험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된 후에는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한 카드정보를 삭제하는 보안절차를 수행(S150)하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절차는 상기 보안모듈(1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저장장치(150)의 특정 영역에만 저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보안모듈(160)은 상기 확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상기의 보안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정보 중 일부(제1파트)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저장장치(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제2파트)는 상기 카드(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나머지 일부(제2파트)만 상기 카드(20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카드정보 모두가 상기 카드(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제1파트를 미리 상기 저장장치(15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S133). 그리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제2파트를 태깅을 통해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33-1). 상기 제2파트를 태깅을 통해 수신한다고 함은, 상기 제2파트만을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카드정보 전부를 수신한 후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상기 제2파트부분만 추출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2파트를 결합하여 카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3-2). 그리고, 생성된 카드정보를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3-3).
물론,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삭제하는 보안절차가 상기 보안모듈(160)에 의해 수행(S150)될 수 있음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처럼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정보가 포함되고, 결제측 시스템(300)이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의 승인 및 결제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미리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와 대응되는 카드정보를 결정해두지 않을 수 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결제요청을 입력한 후 자신이 보유한 카드 중 자신이 원하는 카드를 임의로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실제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드를 임의로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결제환경을 제시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8 및 도9와 같이 상기 카드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공격에 의해 위변조되어 확인신호를 전송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확인신호에 카드정보가 포함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결제가 승인될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시스템(100) 및 카드(200)를 모두 점유하고 있어야만 상기 카드(200)로의 카드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카드(200)의 부정한 결제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도1에 도시된 결제측 시스템(300)에 포함된 승인 시스템(320)일 수 있다. 즉, 도10에 도시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카드사 시스템(321), VAN 시스템(322),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 구현되어 상기 카드사 시스템(321) 및/또는 상기 VAN 시스템(322)과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소정의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제어부(331), 수신부(332), 송신부(333), 및 DB(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제어부(331), 수신부(332), 송신부(333)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나 특정 개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은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331)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3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수신부(332), 송신부(333), 및/또는 DB(334)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332)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332)는 상기 수신 시스템(310)을 통해 상기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통해 직접 상기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333)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333)가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 또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어떠한 정보가 포함될지 여부는 상기 제어부(33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소정의 카드(200)와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수신부(332)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332)에 의해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331)는 상기 카드로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1)는 상기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미리 상기 DB(334)에 저장된 상기 카드(200)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처리를 할 수도 있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처리를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카드(2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결합되어 생성된 정보일 수 있음도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DB(334)는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DB(334)에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결제요청에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되거나 결제요청시에 이미 사용자가 로그인 등으로 통해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결제를 매개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100)이 특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200)의 카드식별정보 중 제1파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는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소정의 제1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확인신호 전송요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카드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결제요청을 함으로써 결제요청시에 카드정보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를 진행할 때 사용자는 카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를 특정 결제 건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 디지털 시스템은 이를 매개하는 매개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시스템에 결제기능 또는 결제를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카드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수단인 카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매개수단인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결재수단의 점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간편성과 함께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시스템 및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디지털 시스템이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는 태깅 단계; 및
    상기 태깅 단계가 수행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확인신호 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이 된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결제 승인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승인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여야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태깅 단계가 수행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일부인 제1파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깅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카드의 카드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는 정보인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파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파트에 상응하여야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한 상기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신호 전송단계는,
    소정의 확인신호 전송요건을 충족하여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제1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태깅 단계를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도록 결정된 제2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1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정보를 상기 태깅 단계를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9. 결제측 시스템이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소정의 카드와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측 시스템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측 시스템은,
    결제요청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거나,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측 시스템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신호는,
    소정의 확인신호 전송요건이 충족되어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신호 전송요건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제1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태깅을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도록 결정된 제2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이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1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정보가 상기 태깅을 통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제공방법.
  13.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듈; 및
    상기 태깅이 수행되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이 된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가 승인되는 결제 승인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결제승인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확인신호에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결제승인 과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16. 결제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결제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카드와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카드의 카드 식별정보가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태깅된 상기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결제요청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어야,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확인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드의 카드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PCT/KR2013/006454 2012-07-18 2013-07-18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142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215A KR20140016444A (ko) 2012-07-18 2012-07-18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12-0078215 2012-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295A1 true WO2014014295A1 (ko) 2014-01-23

Family

ID=4994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454 WO2014014295A1 (ko) 2012-07-18 2013-07-18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16444A (ko)
WO (1) WO2014014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17B1 (ko) * 2017-11-21 2018-06-19 우일정보기술(주) 신용카드 부정사용 방지 시스템
WO2019182178A1 (ko) * 2018-03-23 2019-09-26 주식회사 블록젠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950A (ko) * 2005-02-23 2005-03-16 백원모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3149A (ko) * 2005-11-14 2005-12-01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금융 ic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9714A (ko) * 2007-02-05 2008-09-02 (주)케이스카이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의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2452A (ko) * 2010-09-02 2012-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950A (ko) * 2005-02-23 2005-03-16 백원모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3149A (ko) * 2005-11-14 2005-12-01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금융 ic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9714A (ko) * 2007-02-05 2008-09-02 (주)케이스카이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의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2452A (ko) * 2010-09-02 2012-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444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04777A2 (ko) 안전 로그인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1715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ignature service of block chain using the same
WO2015093734A1 (ko) 빠른 응답 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6137307A1 (en) Attestation by proxy
WO2017222169A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 방법,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및 스마트 카드
WO2016171295A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증
WO20191470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matic wi-fi connection with enhanced security method when making electronic wallet payment
WO2016122035A1 (ko) 거래 전 확인이 가능한 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WO20191726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key thereof
WO2019107907A1 (ko) 전자 지불 결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5068904A1 (ko) 카드 리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WO2017176051A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213933A1 (ko) 근접 필드 통신 카드의 복제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08958A1 (ko) Nfc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16085062A1 (ko) 엔에프씨 인증카드를 이용한 인증방법
WO2015126037A1 (ko) 일회용 랜덤키를 이용한 본인 확인 및 도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WO2021157790A1 (ko) 얼굴 정보를 이용한 등록 및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0091525A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916426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0190099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3039304A1 (ko) 전자 결제를 위한 회원 등록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단말기
WO2014014295A1 (ko)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23128341A1 (ko) 동형 암호화된 데이터를 이용한 부정 거래 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1975A (ko)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9177408A1 (ko)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06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206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