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452A -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 Google Patents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452A
KR20120022452A KR1020100086053A KR20100086053A KR20120022452A KR 20120022452 A KR20120022452 A KR 20120022452A KR 1020100086053 A KR1020100086053 A KR 1020100086053A KR 20100086053 A KR20100086053 A KR 20100086053A KR 20120022452 A KR20120022452 A KR 2012002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ervice
client terminal
short
authentication
ran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2452A/ko
Publication of KR2012002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예를 들어, USIM)와, 신용카드 또는 보안카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상호 인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 신용카드 등을 분실한 경우에 결제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또는 USIM)과 보안카드(또는 신용카드) 간의 주기적인 상호인증 과정에 의해, 인증 실패시나 상호간 거리가 설정거리보다 멀어질 경우에 알람(예를 들어, 가청 경보)을 발생시키고, 인증실패 시간 및 거리에 비례하여 단계적인 자동 보안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YMENT SERTVICE, CLIENT DEVICE AND SMART CARD FOR PAYMENT SERVICE}
본 발명은 결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시에 단말과 신용카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 등을 통해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에 한해 결제 진행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고, 이에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이슈화되고 있다.
예컨대,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 Identity Module, 이하 SIM이라 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신용카드 정보, 금융 정보 등이 저장된 SIM 카드를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에 삽입/장착한 후 이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SIM 카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보안상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SIM 카드 또는 SIM 카드가 장착된 휴대 단말을 분실할 경우에, 제3자에 의한 결제가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제시마다 휴대 단말 상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고는 있으나, 매번 입력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공공장소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른 노출의 위험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신용카드 등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분실 사실을 사용자가 즉시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3자에 의한 도용 결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시에 단말과 신용카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 등을 통해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에 한해 결제 진행을 허용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또는 USIM)과 보안카드(또는 신용카드) 간의 주기적인 상호인증 과정에 의해, 인증 실패시나 상호간 거리가 설정거리보다 멀어질 경우에 알람(예를 들어, 가청 경보)을 발생시키고, 인증실패 시간 및 거리에 비례하여 단계적인 자동 보안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결제 서비스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경우에 상기 결제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지국 정보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결제 서비스의 요청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와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인증 실패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알람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상기 결제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결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사용자 정보에 대해 잠금(lock) 기능을 부여하거나, 해당 정보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실패 알림 동작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팝업 동작 및 경보음 송출 동작을 포함하거나, 상기 팝업 동작 또는 상기 경보음 송출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카드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결제 서비스의 요청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카드 제어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데이터 입/출력 및 상기 카드 제어부의 데이터 입/출력을 각각 처리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인증 실패 알림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결제 요청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서비스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근거리 통신의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에 인증 실패를 알리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과정과,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결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의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증 알고리즘이 실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지국 정보 및 GPS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실패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비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을 사용 중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 압축 및 숨김 기능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서비스 방법은, 상기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 압축 및 숨김 기능을 적용한 후, 상기 데이터에 대한 판독이 시도될 때 상기 데이터를 영구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와, 신용카드 또는 보안카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 등을 통한 상호 인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를 분실한 경우에 결제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 모바일 결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상호 인증 결과를 신용카드 결제에도 적용하여, 신용카드 분실 사실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모바일 결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장치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과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장치로서,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와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a는 도 1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b는 도 2a 또는 도 2b의 임의의 스마트 카드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의 결제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 예컨대 결제 서비스 서버의 결제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 예컨대 결제 서비스 서버의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시의 처리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은,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NFC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대략 10cm이내의 거리에서 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며,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RF) 등과 상호 보완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스마트 카드(신용카드, 보안카드 등) 간의 무선 인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결제 서비스 서버(100), 클라이언트 정보 DB(DataBase)(102), 카드사 서버(200), 광대역 통신망(300),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 근거리 통신망(500), 스마트 카드(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으로부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될 때,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으로부터 근거리 통신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근거리 통신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에만 결제가 처리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으로부터 인증 실패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결제 처리를 중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기지국 정보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실패 메시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과 스마트 카드(600)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메시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서비스 서버(3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정보 DB(102)로부터 기 저장된 클라이언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카드사 서버(200)와 연계하여 신용카드 결제 정보 요청, 결제 내역과 관련된 승인 요청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제 서비스 서버(100)의 구체적인 서비스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흐름도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정보 DB(102)는 상술한 결제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수단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각 클라이언트 정보, 예를 들어 ID, 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들과, 결제 수단 정보, 예를 들어 신용카드 정보 등이 저장 및 수정될 수 있으며, 저장 및 수정된 임의의 정보가 필요에 따라 결제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정보 DB(102)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 서버(100)와 연계되어 임의의 클라이언트의 임의의 결제 내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 후 그 결과를 결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에 별도의 POS(Point Of Sale) 시스템이 포함될 경우에는 결제 서비스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광대역 통신망(300)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과 직접 연결하여 임의의 결제 내역에 대한 승인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서 광대역 통신망(300)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의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광대역 통신망(300)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통신망(300)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광대역 통신망(3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 예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은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으로부터 호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시도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제어하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cell)간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 오버(hard hand-over)의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록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대역 통신망(300) 내의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결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그룹으로서, 예를 들면 영상전화 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형태의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은 상술한 광대역 통신망(300)과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광대역 통신망(300)에 접속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은 다수, 또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그룹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의 결제 시스템, 예컨대 POS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POS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이 광대역 통신망(300)에 직접 접속하여 결제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되는 방식이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가맹점에 방문하여 가맹점의 POS 시스템(또는 가맹점 없이 클라이언트 단말과 직접 접속될 수 있는 POS 시스템)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스마트 카드(600)와 근거리 통신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결제 서비스를 진행하거나 중단하고, 해당 인증 실패 메시지를 결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은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시에 결제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에 부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400/1) 내의 주요 정보, 예를 들면 전화번호, 주소, 계좌번호, 공인인증서 등의 사용자 정보에 대해 잠금(lock) 기능을 부여하거나, 해당 정보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서비스 과정에 대해서는 도 4의 흐름도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근거리 통신망(500)은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과 스마트 카드(600) 간의 근거리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NFC,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600)는 결제용 스마트 카드, 예를 들어 신용카드용 스마트 카드, 보안카드용 스마트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과 근거리 통신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과 스마트 카드(600) 간의 무선통신 환경에 대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과 결제용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은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제1 스마트 카드(602) 또는 제2 스마트 카드(604)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에 인증 실패를 알리는 동작(예를 들어, 팝업, 경보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은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시에, 해당 인증 실패 메시지를 광대역 통신망(300)을 통해 결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마트 카드(602)는, 예를 들어 신용카드일 수 있으며, 제2 스마트 카드(604)는, 예를 들어 보안카드일 수 있다. 단지, 이러한 설명은 예시일 뿐이며, 보안카드 대신 또 다른 신용카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와 결제용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는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제1 스마트 카드(602) 또는 제2 스마트 카드(604)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에 인증 실패 메시지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이 W-CDMA 방식의 단말인 경우,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이하 USIM이라 함)을 지칭할 수 있으며, 기존의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과,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되어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 결제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마트 카드(602)는, 예를 들어 신용카드일 수 있으며, 제2 스마트 카드(604)는, 예를 들어 보안카드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3a는 도 1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42), 제어부(44), 알람 처리부(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42)은, 예를 들어 NFC 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임의의 스마트 카드,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카드(602)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근거리 통신 모듈(42), 알람 처리부(46)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모듈(42)의 통신 처리 결과,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로 확인될 경우에 알람 처리부(46)를 통해 인증 실패 알림 동작, 예를 들어 팝업 동작, 경보음 송출 동작 등을 처리하도록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는 도시 생략된 광대역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 즉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메시지를 결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알람 처리부(46)는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 수단, 음성 송출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실패 알림 동작, 즉 팝업 동작, 경보음 송출 동작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b는 도 2a 또는 도 2b의 임의의 스마트 카드, 예를 들어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62), 카드 제어부(64), 입출력부(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카드를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로 설명하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필요에 따라 결제용 스마트 카드인 제1 스마트 카드(602) 또는 제2 스마트 카드(604)가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62)은 예를 들어 NFC 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다른 스마트 카드,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카드(602)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카드 제어부(64)는 근거리 통신 모듈(42), 알람 처리부(46)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모듈(42)의 통신 처리 결과,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로 확인될 경우에 인증 실패 메시지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인증 실패 메시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62)을 통해 제공되거나, 후술하는 입출력부(66)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와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이 분리된 경우이며, 후자의 경우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가 클라이언트 단말1(400/1)에 장착(또는 삽입)된 경우일 수 있다.
입출력부(66)는 근거리 통신 모듈(62)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 및 카드 제어부(64)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을,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결제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S400), 제어부(44)는 근거리 통신 모듈(4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402).
이후, 제어부(44)는 근거리 통신 모듈(42)을 통해 근거리 통신 인증이 성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4).
단계(S404)의 판단 결과, 근거리 통신 인증이 성공되면, 제어부(44)는 광대역 통신망(300)을 통해 결제 서비스 서버(100)와 접속하여 결제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S406).
반면,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경우, 제어부(44)는 단계(S408)로 진행하여 결제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때의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인증 알고리즘이 실패되는 경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과 결제용 스마트 카드,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카드(602) 간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여부의 판단은,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이 주체가 되거나,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 또는 결제용 스마트 카드(예를 들어, 제1 스마트 카드(602))가 주체가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예시들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첫째,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의 인증 알고리즘 실패,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와 결제용 스마트 카드(602 또는 604) 간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둘째, 결제용 스마트 카드(602 또는 604)의 인증 알고리즘 실패, 또는 결제용 스마트 카드(602 또는 604)와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402) 간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등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서비스가 중단된 이후, 제어부(44)는 인증 실패 알람, 예컨대 가청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알람 처리부(46)를 제어하며,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알람 처리부(46)는 인증 실패를 알리는 알람 동작, 예를 들어 팝업 동작, 경고음 송출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S410).
이후, 제어부(44)는 근거리 통신 모듈(42)을 통해 인증 실패 메시지를 결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412).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은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시에 결제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에 부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400/1) 내의 데이터들, 예를 들면 전화번호, 주소, 계좌번호, 공인인증서 등의 사용자 주요 정보에 대해 잠금 기능을 부여하거나, 해당 데이터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됨에 따라 결제 서비스를 중단시킴과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기능을 사용 중지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1(400/1) 내의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 압축 및 숨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 및 압축 및 숨김 기능이 적용될 경우, 통상적인 저장장치의 판독(reading) 기법으로는 해당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보호장치에도 불구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제3자의 판독 또는 접근이 시도되는 경우에는, 정보보호의 확실성을 위해 해당 데이터를 영구 삭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은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한 강제 결제 요청(예를 들어, 기 설정된 통신거리를 초과하는 위치에서의 결제 요청)을 필요에 따라 처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에 별도의 비밀번호 입력 창(팝업 창)을 활성화시켜 추가 인증을 유도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 예컨대 결제 서비스 서버(100)의 결제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광대역 통신망(300)을 통해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부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S500), 결제 서비스가 요청될 경우에 단계(S502)로 진행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 기재하였으나, 결제용 스마트 카드인 제1 스마트 카드(602) 또는 제2 스마트 카드(604)에 의한 결제 서비스 요청도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의 POS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근거리 통신 인증 성공 여부 확인은,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부터 인증 실패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며, 인증 실패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506)로 진행하나, 인증 실패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에는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508)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506)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카드사 서버(200) 등과 연계하여 결제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반면, 단계(S508)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부터 인증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로서, 현재 요청된 결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이후,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기지국 정보, GPS 정보 등을 수집 및 저장함으로써, 현재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51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400/1)의 결제 서비스 요청시에 일방적으로 결제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 인증이 성공되거나 클라이언트 단말1(400/1)과 결제용 스마트 카드(602 또는 604) 간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에 한해서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되거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 또는 신용카드를 분실한 것으로 인지하여 결제 서비스를 일시 중지시키고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더 이상의 도용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 예컨대 결제 서비스 서버(100)의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시의 처리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4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부터 근거리 인증 실패 메시지가 수신된 횟수를 체크할 수 있다(S600).
만일, 근거리 인증 실패 메시지가 최초 수신된 경우라면(S602),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604)로 진행하여 분실 가능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1(4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분실 가능 메시지는, 예를 들어 "고객님의 휴대폰(또는 신용카드)을 통해 무단 결제가 1회 시도되었습니다. 확인 바랍니다." 등의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근거리 인증 실패 메시지의 수신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라면(S606), 결제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608)로 진행하여 카드사 서버(200)로 분실 신고가 접수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결제가 요청되고 휴대 단말과 신용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경우(또는 그 역으로도 가능)에, 해당 결제 서비스를 중지시키되, 이동통신 단말(또는 USIM)과 보안카드(또는 신용카드) 간의 주기적인 상호인증 과정에 의해, 인증 실패시나 상호간 거리가 설정거리보다 멀어질 경우에 알람(예를 들어, 가청 경보)을 발생시키고, 인증실패 시간 및 거리에 비례하여 단계적인 자동 보안작동, 예컨대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횟수에 따른 적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와, 신용카드 또는 보안카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NFC)을 통한 상호 인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를 분실한 경우에 결제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 모바일 결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상호 인증 결과를 신용카드 결제에도 적용하여, 신용카드 분실 사실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모바일 결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와, 신용카드 또는 보안카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상호 인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용 스마트 카드를 분실한 경우에 결제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 모바일 결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바,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결제 서비스 서버
200: 카드사 서버
300: 광대역 통신망
400: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
500: 근거리 통신망
600: 스마트 카드

Claims (15)

  1. 통신망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결제 서비스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비스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경우에 상기 결제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지국 정보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장치.
  3.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결제 서비스의 요청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와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인증 실패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알람 처리부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상기 결제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근거리 통신 인증 실패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결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사용자 정보에 대해 잠금(lock)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당 정보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실패 알림 동작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팝업 동작 및 경보음 송출 동작을 포함하거나, 상기 팝업 동작 또는 상기 경보음 송출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7. 클라이언트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결제 서비스의 요청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카드 제어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데이터 입/출력 및 상기 카드 제어부의 데이터 입/출력을 각각 처리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될 때 인증 실패 알림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카드.
  9. 이동 통신망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결제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결제 요청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서비스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근거리 통신의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에 인증 실패를 알리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과정과,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결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의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증 알고리즘이 실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통신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지국 정보 및 GPS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실패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4.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결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간의 근거리 통신 인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실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비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을 사용 중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 압축 및 숨김 기능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비스 방법은,
    상기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 압축 및 숨김 기능을 적용한 후, 상기 데이터에 대한 판독이 시도될 때 상기 데이터를 영구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KR1020100086053A 2010-09-02 2010-09-02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KR2012002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053A KR20120022452A (ko) 2010-09-02 2010-09-02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053A KR20120022452A (ko) 2010-09-02 2010-09-02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52A true KR20120022452A (ko) 2012-03-12

Family

ID=4613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053A KR20120022452A (ko) 2010-09-02 2010-09-02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245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28B1 (ko) * 2012-06-25 2013-01-16 주식회사 씽크풀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333689B1 (ko) * 2012-08-02 2013-11-28 주식회사 씽크풀 태깅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14295A1 (ko) * 2012-07-18 2014-01-23 주식회사 씽크풀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73886A1 (en) * 2012-11-12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function of input means
KR101437050B1 (ko) * 2013-06-12 2014-09-04 주식회사 씽크풀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4077509A (zh) * 2013-09-25 2014-10-01 苏州天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解锁装置及其方法
KR101457131B1 (ko) * 2012-07-18 2014-10-31 주식회사 씽크풀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인증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9182178A1 (ko) * 2018-03-23 2019-09-26 주식회사 블록젠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제공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292A1 (ko) * 2012-06-25 2014-01-03 주식회사 씽크풀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219528B1 (ko) * 2012-06-25 2013-01-16 주식회사 씽크풀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457131B1 (ko) * 2012-07-18 2014-10-31 주식회사 씽크풀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인증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14295A1 (ko) * 2012-07-18 2014-01-23 주식회사 씽크풀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333689B1 (ko) * 2012-08-02 2013-11-28 주식회사 씽크풀 태깅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21585A2 (ko) * 2012-08-02 2014-02-06 주식회사 씽크풀 태깅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21585A3 (ko) * 2012-08-02 2014-03-20 주식회사 씽크풀 태깅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4073886A1 (en) * 2012-11-12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function of input means
CN103810594A (zh) * 2012-11-12 2014-05-2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用于控制输入装置的支付功能的方法
KR20140060757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수단의 결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RU2615496C2 (ru) * 2012-11-12 2017-04-05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функцией платежа средства ввода
KR101437050B1 (ko) * 2013-06-12 2014-09-04 주식회사 씽크풀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4077509A (zh) * 2013-09-25 2014-10-01 苏州天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解锁装置及其方法
CN104077509B (zh) * 2013-09-25 2017-04-19 中安智慧安全技术(徐州)有限公司 一种解锁装置
WO2019182178A1 (ko) * 2018-03-23 2019-09-26 주식회사 블록젠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452A (ko)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US11129123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hotspot regist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US10096181B2 (en) Hands-free fare gate operation
KR101725779B1 (ko) 결제수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결제수단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단말
US8532069B2 (en) Local area wireless airspace management
US2017010974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ducting Payment Transactions
EP2671398B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visioning
RU2636679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устройство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центр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US20090298467A1 (en) Enabling & charging non-sim devices for broadband (wimax, 3g, gprs) services thru nearby sim devices
US20140043141A1 (en) Servic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N104255064B (zh) 将接入信息从实体接入控制系统发送到用户终端
CN102083064B (zh) 用于增强密钥推衍算法灵活性的方法和系统
JP2016506152A (ja) タグ付けによるデバイスの認証
EP2845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 sharing
US20200228981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60328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yment relate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5830476A (zh) 用于从无线电接入网络提供安全的方法和系统
CN114268943A (zh) 授权方法及装置
US2018031705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verifying a user identity and/or enabling/disabling an action, using a current and/or previous user location
KR20160143333A (ko) 이중 채널을 이용한 이중 인증 방법
CN109495894B (zh) 一种伪基站的防范方法及系统
WO2012035338A1 (en) Authentication in a wireless access network
JP200616631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938746B (zh) 一种用户标识模块反克隆的方法及装置
US20120120933A1 (en) Method for enhance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