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77408A1 -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77408A1
WO2019177408A1 PCT/KR2019/003004 KR2019003004W WO2019177408A1 WO 2019177408 A1 WO2019177408 A1 WO 2019177408A1 KR 2019003004 W KR2019003004 W KR 2019003004W WO 2019177408 A1 WO2019177408 A1 WO 20191774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yment
data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interf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0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윤
이충민
강경민
이신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971,5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87907A1/en
Publication of WO20191774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774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Definitions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901 in a network environment 9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biometric authentication proces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biometric authentic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agency serv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3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biometric session key from the authentication agent server 200.
  • the payment service server 42 may further transmit the identifier of the payment card and the payment request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41 to the financial server 43.
  • the financial server 43 may generate a payment toke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received payment card and the identifier of the payment case.
  • the payment service server 52 may transmit the payment token request and the received password data to the financial server 53.
  • the POS device 62 transmits data identifying a user account and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to the payment service server 64 and then indicates a payment approval result stored in the payment service server 64 to be described later. Status values can be polled periodically.
  •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ym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enefit that can be received when the payment is made through the POS device 62 using the payment means.
  • the information on the benef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upon information, point accumulation information, or amount discount information.
  • the benefit that can be paid when paying with the first card at one payment destination may be different.
  • the POS device 62 may display a result of the payment approval.
  • the electronic device 73 may display a GUI indicating a plurality of payment means.
  • the POS device 72 may request payment approval from the VAN 71 based on payment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n object 803 indicating a use point,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oint to be us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payment destination 804 corresponding to a POS device that performs a payment on a payment destination item.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payment amount 805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yment obtained in operation 701 or 801.
  • the input device 950 may receive a command or data to be used for a component (for example, the processor 920) of the electronic device 901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901.
  • the input device 9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or a keyboar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POS(point of sale)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된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전송하며 결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 및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를 승인 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의 승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POS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전자 장치는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달로 급격하게 고기능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를 들어, 뮤직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또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통화, 무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금융(finance) 기법과 상기 IT 기술을 결합한 이른바 핀테크(fin-tech)가 주목받고 있다. 금융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도 평가되는 핀테크는 종래의 온라인 금융 서비스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금융 서비스, 및 금융 플랫폼 서비스까지 그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제조사들은 신용 카드 회사 또는 은행과의 협업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플랫폼의 구축, 모바일 결제 서비스, 및 진화된 모바일 뱅킹의 확산 등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전자 장치에는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또는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MST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결제 인프라스트럭쳐(예: 신용카드 가맹점에 구비된 POS(point of sale) 단말 등)와 결제 거래를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MST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는 종래의 POS 장치를 통해 결제 거래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POS 장치가 NFC 리더를 구비하지 않으면, NFC 방식을 이용하는 결제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추가적인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된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전송하며 결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 및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외부 서버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의 승인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의 승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POS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인증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된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전송하며 결제 데이터를 요청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POS 장치로 수신된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회로, 생체 센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생체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결제 서비스 계정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 전송하고,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밀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 또는 상기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인증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추가적인 결제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POS 장치가 결제 거래를 위한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통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거래가 이루어지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제 서비스 서버가 VAN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POS 장치가 VAN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제 수단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플랜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포인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9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900) 내의 전자 장치(901)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인증 대행 서버(200), 인증 서버(300), 결제 서비스 서버(400), 금융 서버(500) 및 결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인증 대행 서버(200), 인증 서버(300), 결제 서비스 서버(400) 및 금융 서버(5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및 결제 장치(미도시)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결제 정보 등록, 삭제 또는 결제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을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세션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결제(또는, 출금)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예: 삼성 페이 어플리케이션(Samsung PayTM Application)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카드 등록(card registration), 지불(payment), 또는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신원 확인(ID&V,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서비스 계정(예: samsung account), 생체 인증 서비스 계정 및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카드 정보(또는,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생체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인증 대행 서버(200) 및 인증 서버(300)를 통해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인증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인증 대행 서버(200)로부터 생체 인증 세션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서비스 서버(400)로 결제 토큰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서비스 서버(400)로 결제 토큰 요청과 함께 생체 인증 세션키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금융 서버(500)에서 발급한 결제 토큰을 이용하여 결제(또는, 출금)를 진행할 수 있다.
인증 대행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인증 서버(3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대행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 계정(예: samsung account), 생체 인증 서비스 계정 및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카드 정보(또는, 계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대행 서버(200)는 인증 서버(300)로부터 인증 결과(또는, 인증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생체 인증 세션키를 생성하여 저장 또는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인증 세션키는 인증 서버(300)를 통한 생체 인증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며 랜덤값(random value)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인증 세션키는 지정된 유효 기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대행 서버(200)는 유효 기간 동안 생체 인증 세션키를 저장한 후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대행 서버(200)는 생체 인증 세션키에 설정된 유효 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대행 서버(200)는 결제 시스템(1000)의 정책(policy)에 따라 생체 인증 세션키의 유효 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대행 서버(200)는 금융 서버(500)로부터 결제 정보와 관련된 생체 인증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생체 인증 세션키를 이용하여 생체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대행 서버(200)는 금융 서버(500)로부터 생체 인증 확인 요청과 함께 생체 인증 세션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대행 서버(200)는 저장된 생체 인증 세션키 및 금융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증 세션키를 비교하여 생체 인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대행 서버(200)는 생체 인증 세션키가 일치하면 결제 정보와 관련된 대한 생체 인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는 전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FIDO(fast identity online)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대행 서버(20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400)는 전자 장치(100) 및 금융 서버(5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400)는 결제 서비스 계정(예: samsung account), 생체 인증 서비스 계정 및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카드 정보(또는, 계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4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결제 토큰이 요청되면 금융 서버(500)로 결제 토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4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토큰 요청 및 생체 인증 세션키를 금융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400)는 금융 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토큰을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00)는 카드사 또는 은행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00)는 카드를 발급하고 카드 정보(또는, 계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00)는 결제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00)는 결제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00)는 결제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결제 토큰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대행 서버(200)에 사용자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서버(500)는 결제 토큰 요청과 함께 수신된 생체 인증 세션키를 인증 대행 서버(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00)는 인증 대행 서버(200)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가 수신되면 결제 토큰을 생성하여 결제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토큰은 금융 서버(500)와는 별개의 토큰 서버에서 생성되어 전자 장치(1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거래가 이루어지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10)(예: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20)와 무선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10)는 비접촉식 결제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장치(220)는 POS(point of sale)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20)는 바코드 리더기(221)를 이용하여 바코드를 읽음으로써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장치(220)는 전자 장치(210)에 표시된 바코드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10)와 외부 장치(220)는 NFC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210)에 내장 또는 외장 결합된 NFC 모듈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전자 장치(210)는 상기 활성화된 NFC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한 지정된 주파수(예: 13.56MHz)의 전기장(또는 전자기장)을 생성 및 방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210)가 외부 장치(220)에 구비된 NFC 리더(reader)(222)에 지정된 거리(예: 약 10cm)보다 가까이 접근하면,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는 상기 방출되는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통해 외부 장치(22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2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2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무선 통신 회로(320), 생체 센서(330), 메모리(340) 및 프로세서(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0) 및 도 2의 전자 장치(210))에 대응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31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310)는 터치 패널과 함께 구현(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touch screen display) 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310)는 하우징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20)는 전자 장치(300)가 외부 서버(예: 인증 대행 서버(200), 인증 서버(300), 결제 서비스 서버(400) 또는 금융 서버(500) 등) 또는 외부 장치(예: POS 장치) 등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무선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또는 셀룰러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센서(330)는 생체 센서(33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유래한(originated from) 생체적 특징(biometric feature)을 검출하거나 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센서는(330)는 상기 생체적 특징을 검출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프로세서(3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50)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과 메모리(340)에 등록되어 있는 인증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정당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 및 사용자 인증은, 생체 센서(330)에 내장된 드라이버 IC의 컴퓨팅 리소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330)는,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정맥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350)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5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310) 장치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인증값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예: 프로세서(120)) 메모리(3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후술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술될 지문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방법 및 비밀번호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방법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의 동작들은 전자 장치(41, 51), 결제 서비스 서버(42, 52), 금융 서버(43, 53) 및 인증 서버(4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의 전자 장치(41, 51), 결제 서비스 서버(42, 52), 금융 서버(43, 53) 및 인증 서버(44) 각각은 도 1의 전자 장치(100), 결제 서비스 서버(400), 금융 서버(500) 및 인증 서버(30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장치들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들은 무선 통신 회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상호간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41)와 인증 서버(44)는 생체 인증 절차를 수행할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1)는 생체 센서(33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또는 정맥 패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1)는 생체 센서(330)를 통해 생체적 특징을 검출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과 메모리(340)에 등록되어 있는 인증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41)는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성공이면, 전자 장치(41)는 인증 서버(44)로 인증 세션 키를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서버(44)는 인증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세션 키를 전자 장치(4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전자 장치(41)는 결제 서비스 서버(42)로 인증 요청 및 인증 세션 키를 결제 서비스 서버(4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1)는 결제 카드의 식별자 및 결제 건의 식별자를 결제 서비스 서버(42)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42)는 금융 서버(43)로 결제 토큰 요청 및 수신된 인증 세션키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42)는 전자 장치(41)로부터 수신된 결제 카드의 식별자 및 결제 건의 식별자를 금융 서버(43)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토큰은 결제 서비스 서버(42) 또는 POS 장치가 VAN(value added network)으로부터 결제 승인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VAN은 전자 장치가 결제를 수행할 때, 금융 서버로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금융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금융 서버(43)는 인증 서버(44)로 생체 인증의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43)는 생체 인증의 확인을 위해 수신된 인증 세션키를 인증 서버(44)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09에서, 인증 서버(44)는 생체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44)는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41)로 제공된 인증 세션 키와 금융 서버(43)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키를 비교함으로써 생체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11에서, 인증 서버(44)는 생체 인증의 확인 결과를 금융 서버(43)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금융 서버(43)는 생체 인증이 성공이면, 결제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 토큰을 결제 서비스 서버(4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43)는 수신된 결제 카드의 식별자 및 결제 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결제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415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42)는 생체 인증의 결과를 전자 장치(4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체 인증이 성공이면, 결제 서비스 서버(42)는 생체 인증의 성공을 나타내는 응답을 전자 장치(4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1)는 생체 인증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5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밀번호는 숫자, 문자 또는 특수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비밀 번호는 터치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전자 장치(51)는 인증 요청 및 비밀번호 데이터를 결제 서비스 서버(5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는 결제 카드의 식별자 및 결제 건의 식별자를 결제 서비스 서버(52)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밀 번호 데이터는 입력된 비밀 번호가 암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505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52)는 결제 토큰 요청 및 수신된 비밀 번호 데이터를 금융 서버(5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52)는 전자 장치(51)로부터 수신된 결제 카드의 식별자 및 결제 건의 식별자를 금융 서버(53)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토큰은 후술될 절차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 또는 POS 장치가 VAN으로부터 결제 승인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금융 서버(53)는 수신된 비밀번호를 인증(예: 비밀 번호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3)는 미리 저장된 결제 카드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 번호 데이터와 수신된 비밀 번호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수신된 비밀 번호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금융 서버(53)는 비밀 번호 검증이 성공이면, 결제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 토큰을 결제 서비스 서버(5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53)는 수신된 결제 카드의 식별자 및 결제 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결제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11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52)는 비밀 번호 검증의 결과를 전자 장치(5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비밀 번호 검증이 성공이면, 결제 서비스 서버(52)는 비밀 번호 검증의 성공을 나타내는 응답을 전자 장치(5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는 비밀 번호 검증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프라인 결제가 수행되는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의 동작들은 POS 장치(62, 72), 전자 장치(63, 73), VAN(63, 71), 결제 서비스 서버(64, 75), 금융 서버(65, 75) 및 인증 서버(66, 7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의 전자 장치(63, 73), 결제 서비스 서버(64, 75), 금융 서버(65, 75) 및 인증 서버(66, 76) 각각은 도 4 및 도 5의 전자 장치(41, 51), 결제 서비스 서버(42, 52), 금융 서버(43, 53) 및 인증 서버(44)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의 POS 장치(62, 72)는 도 2의 외부 장치(22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장치들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들은 무선 통신 회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상호간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제 서비스 서버가 VAN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601에서, POS 장치(62)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OS 장치(62)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전화 번호 또는 사용자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OS 장치(62)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63)로부터 무선으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S 장치(62)는 NFC리더를 포함할 수 있고, POS 장치(62)는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전자 장치(63)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POS 장치(62)는 바코드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고, POS 장치(62)는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바코드를 읽음으로써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와 관련된 정보는 결제 금액 또는 할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POS 장치(62)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결제 서비스 서버(64)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OS 장치(62)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결제 서비스 서버(64)로 전송한 후, 후술될 결제 서비스 서버(64)에 저장된 결제 승인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수신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건의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POS 장치(62)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자 장치(6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결제 금액)를 전자 장치(63)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푸시 메시지 형식으로 POS 장치(62)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자 장치(6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생성된 결제 건의 식별자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전자 장치(63)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3)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GUI를 표시하기 전, 동작 605에 따른 요청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3)는 표시된 요청을 승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3)는 결제 서비스 서버(64)로 POS 장치(62)에 대응하는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결제 서비스 서버(64)로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63)의 POS 장치(62)에 대응하는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금융 서버(65)로 요청할 수 있다. 금융 서버(65)는 요청에 응답하여,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결제 서비스 서버(64)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수신된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전자 장치(6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는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POS 장치(62)를 통한 결제시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혜택에 대한 정보는 쿠폰 정보, 포인트 적립 정보 또는 금액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개의 결제처에서 제1 카드로 결제시 받을 수 있는 혜택과 제2 카드로 결제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63)가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63)는 복수의 결제 수단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63)가 결제 수단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예시는 아래에서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동작 609에서, 전자 장치(63)는 복수의 결제 수단 중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3)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3)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발화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발화 입력에 기반하여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동작 611에서, 전자 장치(63), 결제 서비스 서버(64), 금융 서버(65) 및 인증 서버(66)는 사용자 인증 및 OTT(one time token)발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OTT는 한번만 사용할 수 있는 결제 토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21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생체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절차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비밀 번호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토큰을 발행하는 절차일 수 있다.
동작 613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결제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VAN(63)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데이터는 동작 611에서 발행된 OT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OTT를 VAN(63)으로 전송하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 및 할부 정보에 따라 VAN(63)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VAN(63)은 금융 서버(65)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AN(63)은 수신된 OTT를 금융 서버(65)로 전송하며, 요청된 결제 금액 및 할부 정보에 따라 금융 서버(65)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617에서, 금융 서버(65)는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VAN(6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65)는 수신된 OTT와 동작 621에서 발행된 OTT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결제 승인 여부를 VAN(6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9에서, VAN(63)은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결제 서비스 서버(64)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AN(63)은 금융 서버(65)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따라 결제 서비스 서버(64)의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1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결제 승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POS 장치(6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VAN(63)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결제 승인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동작 603의 설명에서 전술된 것과 같이 POS 장치(62)는 결제 승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폴링할 수 있다. POS 장치(62)는 상태 값의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값의 변경에 따라 결제가 승인됨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64)는 POS 장치(62)의 폴링에 응답하여, 결제 승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POS 장치(6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OS 장치(62)는 결제 승인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POS 장치가 VAN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701에서, POS 장치(72)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POS 장치(72)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결제 서비스 서버(74)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OS 장치(72)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결제 서비스 서버(74)로 전송한 후, 후술될 결제 서비스 서버(74)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주기적으로 폴링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74)는 POS 장치(72)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자 장치(73)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전자 장치(73)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전자 장치(73)는 복수의 결제 수단 중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전자 장치(73), 결제 서비스 서버(74), 금융 서버(75) 및 인증 서버(76)는 사용자 인증 및 OTT발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74)는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동작 703의 설명에서 전술된 것과 같이 POS 장치(72)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폴링할 수 있다. POS 장치(72)는 상태 값의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값의 변경에 따라 인증의 성공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701 내지 동작 711은 전술된 동작 601 내지 동작 611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며, 동작 601 내지 동작 611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동작 701 내지 동작 7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713에서, 결제 서비스 서버(74)는 결제 데이터를 POS 장치(7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데이터는 동작 721에서 발행된 OT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74)는 VAN(71)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동작 603의 설명에서 전술된 것과 같이 POS 장치(72)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값을 폴링할 수 있다. POS 장치(72)는 상태 값의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값의 변경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성공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74)는 POS 장치(72)의 폴링에 응답하여, 발행된 OTT를 POS 장치(72)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POS 장치(72)는 결제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VAN(71)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데이터는 결제 서비스 서버(74)로부터 수신된 OT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서버(74)는 OTT를 VAN(71)으로 전송하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 및 할부 정보에 따라 VAN(71)으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717에서, VAN(71)은 금융 서버(75)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AN(71)은 수신된 OTT를 금융 서버(75)로 전송하며, 요청된 결제 금액 및 할부 정보에 따라 금융 서버(75)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719에서, 금융 서버(75)는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VAN(7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서버(75)는 수신된 OTT와 동작 621에서 발행된 OTT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결제 승인 여부를 VAN(7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21에서, VAN(71)은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POS 장치(7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AN(71)은 금융 서버(75)로부터 수신 응답에 따라 POS 장치(72)의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은 결제 승인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POS 장치(72)는 결제 승인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제 수단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플랜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포인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UI 오브젝트(801), 할부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02), 사용 포인트(예: 결제수단의 리워즈 포인트)를 나타내는 UI 오브젝트(803), 결제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04), 결제 금액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805), 비밀 번호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UI 오브젝트(806) 및 생체 인증 방식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807)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0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 가능한 복수의 결제 수단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결제 수단은, 예를 들어, 신용카드, 체크 카드 및 선불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결제 수단은 다양한 종류의 신용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0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는 삼성 리워즈 신용카드(801a), 삼성 체크카드(801b) 및 상성 선불카드(801c)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표시된 복수의 결제 수단(801a, 801b, 801c)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된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할부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02)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 가능한 결제 플랜을 표시할 수 있다. 결제 플랜은, 예를 들어, 일시불, 2개월 할부 및 3개월 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할부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02)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는 할부 기간으로써 일시불(802a), 2개월 할부(802b), 3개월 할부(802c) 및 4개월 할부(802d)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표시된 할부 기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된 할부 기간에 따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 포인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03)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사용될 포인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사용 포인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03)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 가능 포인트(예: 5000포인트(803a), 4900포인트(803b), 4800포인트(803c))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될 포인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결제 수행시 선택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결제처 항목에 결제를 수행하는 POS 장치에 대응하는 결제처(804)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작 701 또는 동작 801에서 획득된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805)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비밀 번호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오브젝트(806)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입력된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전술된 비밀 번호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지문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메시지(807)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된 생체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900) 내의 전자 장치(901)의 블럭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900)에서 전자 장치(901)는 제 1 네트워크(9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9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서버(908)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입력 장치(950), 음향 출력 장치(955), 표시 장치(960), 오디오 모듈(970), 센서 모듈(976), 인터페이스(977), 햅틱 모듈(979), 카메라 모듈(980), 전력 관리 모듈(988), 배터리(989), 통신 모듈(990), 가입자 식별 모듈(996), 또는 안테나 모듈(9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9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960) 또는 카메라 모듈(9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9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9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예: 프로세서(35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920)에 연결된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9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9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9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9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메인 프로세서(9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9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923)은 메인 프로세서(9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923)는 메인 프로세서(9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9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9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9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와 함께,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960),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9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980) 또는 통신 모듈(9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30)(예: 메모리(340))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 또는 센서모듈(9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휘발성 메모리(9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9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940)은 메모리(9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942), 미들 웨어(944) 또는 어플리케이션(9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는,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960)(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는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9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9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970)은, 입력 장치(9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955), 또는 전자 장치(9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6)은 전자 장치(9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9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예: 생체 센서(330)),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7)는 전자 장치(9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9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9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9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9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9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988)은 전자 장치(9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989)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9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예: 무선 통신 회로(320))은 전자 장치(9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프로세서(9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90)은 무선 통신 모듈(9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9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9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992)은 가입자 식별 모듈(9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998)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9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9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998)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9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9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999)에 연결된 서버(908)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와 외부의 전자 장치(9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902, 904) 각각은 전자 장치(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902, 904, or 9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9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9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9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936) 또는 외장 메모리(9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9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9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된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전송하며 결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 및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외부 서버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의 승인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의 승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POS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전화 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는, 결제 금액 또는 할부 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더 전송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결제 식별자를 상기 전자 장치로 더 전송하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POS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는 쿠폰 정보, 포인트 적립 정보 또는 금액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데이터는 1회만 사용될 수 있는 결제 토큰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온라인 인증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된 인증 토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전송하며 결제 데이터를 요청하는 동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POS 장치로 수신된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식별자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생성된 결제 식별자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기 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 상기 POS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제 데이터는 1회만 사용될 수 있는 결제 토큰을 포함하는, 방법.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회로;
    생체 센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생체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결제 서비스 계정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POS(point of sale) 장치로 전송하고,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POS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생체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밀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생체 정보 또는 상기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인증의 결과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결제 수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비밀번호를 획득하기 전,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결제 수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비밀번호를 획득하기 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POS 장치를 통한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제1 외부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POS 장치를 통한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된 상기 POS 장치를 통한 결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PCT/KR2019/003004 2018-03-15 2019-03-15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WO20191774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71,519 US20200387907A1 (en) 2018-03-15 2019-03-15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ffline payment by using online authent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70 2018-03-15
KR1020180030370A KR20190108821A (ko) 2018-03-15 2018-03-15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408A1 true WO2019177408A1 (ko) 2019-09-19

Family

ID=6790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004 WO2019177408A1 (ko) 2018-03-15 2019-03-15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87907A1 (ko)
KR (1) KR20190108821A (ko)
WO (1) WO2019177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634A (ko) * 2020-07-23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라인 인증을 통한 모바일 결제 수행 방법
CN111966343A (zh) * 2020-08-11 2020-11-20 福建博思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构建支付开发者平台的方法和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973A (ko) * 2009-05-14 2010-11-2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2672A (ko) * 2012-05-21 2013-12-05 김주한 결제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asp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160046410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8652A (ko)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제 방법
KR20170035251A (ko) * 2015-09-22 2017-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973A (ko) * 2009-05-14 2010-11-2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2672A (ko) * 2012-05-21 2013-12-05 김주한 결제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asp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160046410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8652A (ko)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제 방법
KR20170035251A (ko) * 2015-09-22 2017-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7907A1 (en) 2020-12-10
KR20190108821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715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ignature service of block chain using the same
WO2021010766A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전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WO2020050555A1 (en) Method for uwb transa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91726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key thereof
WO2019107907A1 (ko) 전자 지불 결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40308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 request from device
WO201212846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ocessing payment data
WO20191470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matic wi-fi connection with enhanced security method when making electronic wallet payment
WO2020091525A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0213933A1 (ko) 근접 필드 통신 카드의 복제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010088A1 (ko) 모바일 결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WO2022060149A1 (ko)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권리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3117384A1 (en) Payment method, payment apparatus, and payment system using electronic wallet
AU2019337074A2 (en) Method for UWB transa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018498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cure integrated circuit
WO2019132555A1 (ko) 이모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WO20190936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action betwe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ader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WO2023013861A1 (ko)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71516A1 (en)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9177408A1 (ko) 온라인 인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WO2021210918A1 (en) Electronic device for sending cryptocurrency to blockchain accou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6175422A1 (ko) 모바일 스탬프 장치
WO2015182838A2 (ko) 결제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3085588A1 (ko) 운전자 인증에 기반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9172610A1 (ko) 오디오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672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672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