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83937A1 -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 Google Patents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83937A1
WO2013183937A1 PCT/KR2013/004963 KR2013004963W WO2013183937A1 WO 2013183937 A1 WO2013183937 A1 WO 2013183937A1 KR 2013004963 W KR2013004963 W KR 2013004963W WO 2013183937 A1 WO2013183937 A1 WO 20131839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heating
main heat
auxiliar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9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석
Original Assignee
아이엘지에너지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엘지에너지기술(주) filed Critical 아이엘지에너지기술(주)
Priority to CN201380027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364601B/zh
Publication of WO20131839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839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83Means for filling or sealin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04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a closed circuit for a heat transfe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ipe for orthogonal fitting he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heat pipe in an orthogonal direction of a main heat pipe uniformly heated by convection of distillation gas by heating a distillate filled in the body. It is to simply and securely close the heat source transfer of the main heat pipe to the clos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heat pipe to realize a uniform heating as a whole.
  • heating is provided on the floor of a home or room, or inside a wall such as a wall or a ceiling, and heats the air to heat the room.
  • hot water pipes are connected by zigzag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loor. There is a way to warm the floor by the heat of hot water flowing through it.
  • heating the floor using such a hot water pipe is inconvenient because it has a problem of delaying the time point of heating and heating time by first boiling the water to make hot water and starting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pipe. .
  • the heat pipes of the pre-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0962979 (June 1, 2011) and the heat pipes used in the heating panel using the sam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heat pip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eating area, By heating the distillate filled inside the body through the heat generating member to be uniformly heated by the convection of the distillation gas,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quickly warm the walls such as the floor or the wall and ceiling to enable room heating.
  • the heat pipe is to facilitate the heating by the heat pipe by heating the distillate filled inside the linear body to quickly transfer the heat by the convection of the distillation gas.
  • the heat pipes are formed in a line and arrang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the heat pipes do not reach the heat of the heat pipes.
  • a heat pipe provided with a heat generat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heat pip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narrow the interval of the arranged heat pipes so as to generate uniform heat by the heat generating members for heating. .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plurality of heat pipes provided with a heat generat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s in order to uniformly heat the interior of the home or indoor floor or walls such as walls and ceiling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installation cost and heating cost,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heat pipe to provide a plurality of heat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wall, such as the floor or wall and ceiling of the home or room, the heating,
  • a hollow portion 11 is formed thereinto to fill the distillate 12, an exhaust portion 13 is formed at one side, and a pipe shape at which the opening portion 17 is formed at the other side.
  • the heating member 20 for evaporating the distillate 12 is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ver 30 for connecting the delivery member 40 and the mesh net 50 to seal the opening 17 may be installed
  •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4 may b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16 in a straight line to accommodate the space, and the fitting grooves 14 may be accommodat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part 11,
  • a hollow portion 61 is formed to fill the distillate 62 therein, an exhaust portion 63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opening 67 is sealed at the other side.
  • a pipe-shaped auxiliary heat pipe 60 having a stopper 64 is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4.
  • the fitting groove 14 is to form a step (15)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heat pipe (60) in close contact with the fitting groove (14).
  • the fitting groove 14 is to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auxiliary heat pipes into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that can accommodate the auxiliary heat pipes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members are remov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traight line main heat pipes provided with the heat generating members, thereby generating heat of the main heat pipes.
  • the heat is removed from the auxiliary heat pip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by the heat generating member of the main heat pipe, and the advantage of transferring heat quickly into the auxiliary heat pip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 the heat transfer member of the main heat pipe facilitates the transfer of he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main heat pipe and the auxiliary heat pipe are orthogonal to the main heat pipe. Benefit from improving workability by being fixed and simplifying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resulting installation cos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heat pip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hea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 6,7,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9 and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and 12 are exemplary views showing still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Body 16 of the main heat pipe 10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onstant diameter, one end of the exhaust portion 13 In order to form a)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so that the exhaust portion 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heat pipe 10 to be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16.
  • the shapes of the bodies 16 and 66 of the main heat pipe 10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are most preferably circular, but may be formed in a polygon.
  • the embodiment of the polygon be a square or a triangle.
  • the auxiliary heat pipe 60 to the main heat pipe 10 for uniform heating by installing the main heat pipe 10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on the wall 70 such as the floor of a home or a room. To install in the orthogonal direction.
  • the main heat pipe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heat as the distillate 12 is fill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heated as the distillate 12 is heated, and the hollow filled with the distillate 12 is filled therein.
  • a portion 11 is formed, and an exhaust portion 13 is formed at one side, and a pipe shape in which the opening 17 is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the opening 17 is filled with a distillate filled in the main heat pipe 10 ( 12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member 20 to vaporize at the same time to the other side connecting the transmission member 40 and the mesh net 50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cover 30 for sealing the opening 17 can be installed.
  • the auxiliary heat pipe 60 fills the inside of the distillate 62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generates heat as the distillate 62 is heated.
  • Filled hollow portion 61 is formed, the exhaust portion 63 is formed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made of a pipe shape is formed with an opening (67).
  • the distillate 12, 62 filled in the hollow portion 11, 61 of the main heat pipe 10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is used as a liquid having a relatively low breaking point so as to evaporate well.
  • ethanol, acetone or distilled wat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height of the distillate (12) filled in the main heat pipe 10 is filled to a level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exhaust portion (13) (63) is formed, the auxiliary heat pipe (60) without the transfer member (40)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distillate (62) filled in the same level as the distillate (12) filled in the main heat pipe (10).
  • the main heat pipe 10 may be filled with the distillate 12 and 62 to about 10% of the height of the hollow portions 11 and 61 of the main heat pipe 10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And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vaporized distillation gas convection inside the auxiliary heat pipe (60).
  • the main heat pipe 10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seal the openings 17 and 67 on the other side with the cover 30 and the stopper 64 and distillate the hollow portions 11 and 61. 12) 62 are filled as desired, and then the air in the hollow portions 11 and 61 is exhausted using the exhaust portions 13 and 63 so that the hollow portions 11 and 61 are in a vacuum state.
  •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4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heat pipes 60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linear cylindrical main heat pipe 10, but the fitting grooves 14 are as shown in FIG. 5. As such, it is form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hollow portion 11 of the main heat pipe 10.
  • the fitting groove 14 forms the latch 15 at both sides of the fitting groove 14 so that the auxiliary heat pipe 60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4 is upper by the latch 15.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furnace.
  • fitting groove 14 is a conventional wire or to insert and fix the auxiliary heat pipe 60 by removing the step 15 to both sides of the fitting groove 14 as shown in FIG. It can be tied with a string and fixed.
  • the main heat pip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als the opening 17 of the main heat pipe 10 with the cover 30, and then distillates 12 into the hollow part 11.
  • a separate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example, soldering may be used to seal the insertion groove 31 into which the heating member 20 is inserted, and then the hollow portion 11 of the main heat pipe 10 may be used.
  • the distillate 12 is partially filled, and the rest is kept in a vacuum state.
  • the auxiliary heat pipe 60 When the auxiliary heat pipe 60 is insert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main heat pipe 10 and heat is generated to the heat generating member 20 of the main heat pipe 10, the inside of the body 66 of the main heat pipe 10 is formed.
  • the main heat pipe 10 is uniformly heated by the convection of the distillation gas by heating the distillate 12 to be filled. At this time, if the main heat pipe 10 is uniformly heated as a whole, the main heat pipe 10
  • the hea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heat pipe 60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groove 14 and the auxiliary heat pipe 60 is heated by the role of the heating member 20 of the main heat pipe 10.
  • the distillate 62 is filled in the body 66 of the auxiliary heat pipe 60. ) Is heated uniformly by convection of distilled gas.
  • the heat source of the main heat pipe 10 is simply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heat pipe 60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o the groove 14 so as to be provided inside the wall 70 as shown in FIGS. 9 and 11.
  • the heat source is uniformly transmitted as a whole to facilitate heating to the wall 7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을 가열시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는 주히트파이프의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를 간단하게 밀착고정시켜 주히트파이프의 열원전달을 보조히트파이프의 밀착된 외주연으로 용이하게 하여 난방을 요구하는 벽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난방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해, 발열부재를 마련한 원통형의 일직선상 주히트파이프의 직교방향으로 발열부재를 제거한 보조히트파이프를 수용가능한 다수개의 끼움홈에 보조히트파이프를 삽입시켜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끼움홈에 삽입되어 밀착된 보조히트파이프로 신속하게 열을 전달시키는 이점과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해 직교방향으로 끼움홈에 삽입되는 보조히트파이프에는 발열부재를 제거하여도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해 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과 주히트파이프와 보조히트파이프를 직교방향으로 별도의 고정구 없이 간편하게 주히트파이프에 직교방향으로 고정가능케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동시에 설치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본 발명은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을 가열시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는 주히트파이프의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를 간단하게 밀착고정시켜 주히트파이프의 열원전달을 보조히트파이프의 밀착된 외주연으로 용이하게 하여 난방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은 가정이나 실내의 바닥 또는 벽면과 천정 등과 같은 벽체의 내부에 마련하여 열을 가해 실내로 공기를 데우는 것으로, 최근에는 온수관을 바닥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온수관을 통해 흐르는 온수의 열로 바닥을 데우는 방법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수관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는 난방은 먼저 물을 끓여 온수로 만들기 위한 시간과 온수를 온수관을 통해 흐르게 하여 난방을 시작하는 것으로 높은 비용과 난방의 시점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불편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본인의 선등록된 특허등록 10-0962979호(2011.06.01)의 히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난방패널에 사용되는 히트파이프를 난방면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히트파이프를 배열한 후 히트의 발열부재를 통해 몸체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을 가열시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바닥 또는 벽면과 천정 등과 같은 벽체를 데워 실내 난방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일선상의 몸체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을 가열시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열을 신속하게 전달하도록 하여 히트파이프에 의해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파이프는 몸체를 일선상으로 형성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로 배열시 히트파이프의 간격이 넓어지면 히트파이프의 열이 미치지 못하게 되어 히트파이프의 주위만 난방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균일한 난방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히트파이프의 사이사이로 발열부재를 마련한 히트파이프를 마련하여 배열된 히트파이프의 간격을 좁혀 발열부재에 의해 균일한 열을 발생시켜 난방을 하도록 하였다.
이 또한, 발열부재를 마련한 히트파이프를 많이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조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과 발열부재를 가열하여야 하므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불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발열부재를 마련한 히트파이프를 사용하여 난방을 신속하게 함과 동시에 많은 발열부재를 마련한 히트파이프를 줄여 제조단가 및 설치비용과 난방비용을 상승시키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가정이나 실내의 바닥 또는 벽면과 천정 등과 같은 벽체 내부에 균일한 난방을 하기 위해, 발열부재를 마련한 히트파이프를 좁게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제조단가 및 설치비용과 난방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열부재를 마련한 원통형의 일직선상 주히트파이프의 직교방향으로 발열부재를 제거한 보조히트파이프를 수용가능한 끼움홈을 다수개 형성하되 끼움홈은 주히트파이프의 내부 중공부와 통하지 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주히트파이프의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를 삽입시 끼움홈에 보조히트파이프의 외주연을 최대한 밀착가능케 하여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한 열을 끼움홈에 삽입된 보조히트파이프의 외주연으로 열을 전달하여 보조히트파이프로 열을 신속하게 전달가능케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난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실내의 바닥 또는 벽면과 천정 등과 같은 벽체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난방을 시키는 히트파이프에 있어서,
내부에 증류액(12)을 충진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부(1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구부(17)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부(17)에는 충진되는 증류액(12)을 기화시키는 발열부재(20)가 삽입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전달부재(40)와 매쉬망(50)을 연결하여 개구부(17)를 밀폐시키는 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며 일직선상의 몸체(16) 외주연에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60)를 수용가능한 끼움홈(14)을 다수개 형성하되 끼움홈(14)은 주히트파이프(10)의 내부 중공부(11)와 통하지 않게 형성하며,
상기 다수개의 끼움홈(14)의 내부에는 증류액(62)을 내부에 충진되는 중공부(6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부(6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구부(67)를 밀페시키는 마개(64)를 마련한 파이프 형상의 보조히트파이프(60)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4)은 끼움홈(14)에 밀착되는 보조히트파이프(60)의 양측 상부로 걸턱(15)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4)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부재를 마련한 원통형의 일직선상 주히트파이프의 직교방향으로 발열부재를 제거한 보조히트파이프를 수용가능한 다수개의 끼움홈에 보조히트파이프를 삽입시켜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끼움홈에 삽입되어 밀착된 보조히트파이프로 신속하게 열을 전달시키는 이점과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해 직교방향으로 끼움홈에 삽입되는 보조히트파이프에는 발열부재를 제거하여도 주히트파이프의 발열부재로 인해 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과 주히트파이프와 보조히트파이프를 직교방향으로 별도의 고정구 없이 간편하게 주히트파이프에 직교방향으로 고정가능케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동시에 설치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히트파이프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히트파이프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7,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예시도
도 9,10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의 몸체(16)는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의 단부는 배기부(13)의 형성을 위하여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져서 그 단부에 주히트파이프(10)의 몸체(16) 직경보다 상당히 작은 정도의 배기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의 몸체(16)(66) 형상은 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의 몸체(16)(66)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시 다각형의 실시예로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실내의 바닥 등의 벽체(70)에 설치하여 균일하게 난방을 하기 위해 주히트파이프(10)에 보조히트파이프(60)를 직교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히트파이프(10)는 내부에 증류액(12)이 소정 높이까지 충진되어 상기 증류액(12)이 가열됨에 따라 발열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증류액(12)을 충진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부(1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구부(17)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부(17)에는 주히트파이프(10)에 충진되는 증류액(12)을 기화시키는 발열부재(20)가 삽입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전달부재(40)와 매쉬망(50)을 연결하여 개구부(17)를 밀폐시키는 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보조히트파이프(6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증류액(62)을 소정 높이까지 충진되어 상기 증류액(62)이 가열됨에 따라 발열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증류액(62)이 충진되는 중공부(6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부(6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구부(67)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의 중공부(11)(61)에 충진되는 증류액(12)(62)은 기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끊는점이 비교적 낮은 액체로 사용하며 그 실시 예로는 에탄올, 아세톤 또는 증류수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히트파이프(10)에 충진되는 증류액(12)의 높이는 상기 배기부(13)(63)가 형성되는 위치보다 낮은 수준으로 채워주며, 전달부재(40)가 없는 보조히트파이프(60)에 충진되는 증류액(62)는 주히트파이프(10)에 채워지는 증류액(12)과 동일 유사한 수준으로 채워주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의 중공부(11)(61) 높이의 약 10% 수준까지 증류액(12)(62)을 채워서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 내부에 기화된 증류가스가 대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는 타측의 개구부(17)(67)를 커버(30)와 마개(64)로 밀폐하고 중공부(11)(61)에 증류액(12)(62)를 원하는 만큼 충진한 다음 배기부(13)(63)로 하여 중공부(11)(61)의 공기를 배기시켜 중공부(11)(61)가 진공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를 이용하여 실내바닥 등의 벽체(70)에 설치하여 난방의 열전달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직선상의 원통형 주히트파이프(10)의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60)를 수용가능한 끼움홈(14)을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끼움홈(1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히트파이프(10)의 내부 중공부(11)와 통하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4)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끼움홈(14)의 양측으로 걸턱(15)을 형성하여 끼움홈(14)에 삽입된 보조히트파이프(60)가 걸턱(15)에 의해 상부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14)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끼움홈(14)의 양측으로 걸턱(15)을 제거하여 보조히트파이프(60)를 삽입시켜 고정시키기 위해 통상의 와이어 또는 끈으로 묶어 고정시켜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끼움홈(14)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7,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히트파이프(10)에 삽입하여 밀착되는 보조히트파이프(60)는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의 밀착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사각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주히트파이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히트파이프(10)의 개구부(17)를 커버(30)로 밀폐한 다음 중공부(11)에 증류액(12)을 채우고, 배기부(13)를 통하여 주히트파이프(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다음 배기부(13)를 밀봉하고, 상기 커버(30)의 삽입홈부(31)에는 발열부재(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발열부재(20)가 삽입된 삽입홈부(31)를 밀봉하기 위하여 별도의 밀봉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납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면 주히트파이프(10)의 중공부(11)에 증류액(12)이 일정 부분 채워지고, 나머지가 진공상태로 유지된 상태가 된다.
상기 주히트파이프(10)의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60)를 삽입시켜 끼움홈(14)에 보조히트파이프(60)의 외주연을 밀착시키게 하여 주히트파이프(10)로 발열부재(20)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끼움홈(14)에 삽입된 보조히트파이프(60)의 외주연으로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 열의 전달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주히트파이프(10)의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60)를 삽입시켜 주히트파이프(10)의 발열부재(20)로 열이 발생하면 주히트파이프(10)의 몸체(66)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12)을 가열시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주히트파이프(10)가 균일하게 가열되며, 이때, 주히트파이프(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면 주히트파이프(10)의 열원이 삽입홈(14)에 외주연으로 밀착고정된 보조히트파이프(60)로 전달되면서 주히트파이프(10)의 발열부재(20) 역할로 보조히트파이프(60)가 가열되는 것이다.
이렇게 주히트파이프(10)의 삽입홈(14)에 밀착고정된 보조히트파이프(60)의 외주연으로 열이 전달되면 보조히트파이프(60)의 몸체(66)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62)이 가열되면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열부재(20)를 마련한 주히트파이프(10)의 몸체(16) 내부에 충진되는 증류액(12)을 가열시켜 증류가스의 대류현상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시켜 주히트파이프(10)의 삽입홈(14)에 직교방향으로 외주연을 밀착고정된 보조히트파이프(60)로 간단하게 주히트파이프(10)의 열원을 전달시켜 도 9,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70)의 내부에 마련한 주히트파이프(10)와 보조히트파이프(60)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열원을 전달시켜 벽체(70)에 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가정이나 실내의 바닥 또는 벽면과 천정 등과 같은 벽체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난방을 시키는 히트파이프에 있어서,
    내부에 증류액(12)을 충진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부(1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구부(17)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부(17)에는 충진되는 증류액(12)을 기화시키는 발열부재(20)가 삽입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전달부재(40)와 매쉬망(50)을 연결하여 개구부(17)를 밀폐시키는 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며 일직선상의 몸체(16) 외주연에 직교방향으로 보조히트파이프(60)를 수용가능한 끼움홈(14)을 다수개 형성하되 끼움홈(14)은 주히트파이프(10)의 내부 중공부(11)와 통하지 않게 형성하며,
    상기 다수개의 끼움홈(14)의 내부에는 증류액(62)을 내부에 충진되는 중공부(6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부(6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구부(67)를 밀페시키는 마개(64)를 마련한 파이프 형상의 보조히트파이프(60)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4)은 끼움홈(14)에 밀착되는 보조히트파이프(60)의 양측 상부로 걸턱(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4)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PCT/KR2013/004963 2012-06-05 2013-06-05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WO20131839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27213.7A CN104364601B (zh) 2012-06-05 2013-06-05 垂直相交插入式暖气用导热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409A KR101203876B1 (ko) 2012-06-05 2012-06-05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KR10-2012-0060409 2012-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3937A1 true WO2013183937A1 (ko) 2013-12-12

Family

ID=4756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963 WO2013183937A1 (ko) 2012-06-05 2013-06-05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03876B1 (ko)
CN (1) CN104364601B (ko)
WO (1) WO20131839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19756A1 (en) * 2015-01-28 2016-07-28 Cooler Master Co., Ltd. Heat sink structure with heat exchange mechanism
WO2019215662A1 (en) * 2018-05-09 2019-11-14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Heating support for objects to be heated and heating closet comprising such heating support
WO2021094874A1 (en) * 2019-11-11 2021-05-20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Heating support for objects to be heated and heating closet comprising such heating sup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64B1 (ko) 2013-03-27 2014-02-03 아이엘지에너지기술(주) 난방용 히터파이프 및 그를 이용한 열전달패널
KR101782099B1 (ko) * 2015-12-30 2017-09-26 박상석 온수 발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443Y1 (ko) * 2004-05-03 2004-07-15 김흥진 히트파이프용 히트싱크 구조
KR20060040876A (ko) * 2004-11-05 2006-05-11 한국엔텍 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온돌용 폐회로 난방장치 및 그조립방법
KR100716238B1 (ko) * 2006-08-25 2007-05-08 주식회사 와이에스에너지 히트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979B1 (ko) * 2009-10-19 2010-06-10 박자현 히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난방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6278Y (zh) * 1995-11-17 1997-01-29 周天元 热管式散热器
GB0115548D0 (en) * 2001-06-26 2001-08-15 Lam Co Holdings Ltd An underfloor heating apparatus
KR200422085Y1 (ko) 2006-02-21 2006-07-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난방패널
CN2896144Y (zh) * 2006-04-04 2007-05-02 天津商学院 利用热管提供冷、热源的热泵系统
CN200965439Y (zh) * 2006-07-12 2007-10-24 捷飞有限公司 均温板模块
CN201053837Y (zh) * 2007-07-05 2008-04-30 宋国强 串联式超导节能节水暖气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443Y1 (ko) * 2004-05-03 2004-07-15 김흥진 히트파이프용 히트싱크 구조
KR20060040876A (ko) * 2004-11-05 2006-05-11 한국엔텍 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온돌용 폐회로 난방장치 및 그조립방법
KR100716238B1 (ko) * 2006-08-25 2007-05-08 주식회사 와이에스에너지 히트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979B1 (ko) * 2009-10-19 2010-06-10 박자현 히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난방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19756A1 (en) * 2015-01-28 2016-07-28 Cooler Master Co., Ltd. Heat sink structure with heat exchange mechanism
US9721869B2 (en) * 2015-01-28 2017-08-01 Cooler Master Co., Ltd. Heat sink structure with heat exchange mechanism
WO2019215662A1 (en) * 2018-05-09 2019-11-14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Heating support for objects to be heated and heating closet comprising such heating support
WO2021094874A1 (en) * 2019-11-11 2021-05-20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Heating support for objects to be heated and heating closet comprising such heating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876B1 (ko) 2012-11-22
CN104364601A (zh) 2015-02-18
CN104364601B (zh)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3937A1 (ko) 직교방향형 끼움식 난방용 히트파이프
WO2011049339A2 (ko) 히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난방 패널
WO2012030061A2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US11088523B1 (en) Poke-through floor box assembly
WO2014084486A1 (ko) 외부망을 이용한 보일러의 외기온도 보상제어 방법
WO2011034293A2 (ko) 배기라인용 히팅 파이프 및 반도체 공정의 배기라인 구조
WO2013183862A1 (ko) 세라믹 히터용 전기 단자 구조
CN207529709U (zh) 消防安全用防火电缆
WO2018016681A1 (ko) 난방용 온수패널
WO2017082612A1 (ko) 전지셀 어셈블리
WO2023140557A1 (ko)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WO2012070746A1 (ko) 급기공기를 이용한 연소실 냉각구조
CN215835082U (zh) 一种电缆线槽盒穿墙装置
WO2014077639A1 (en) Floor heating system
KR100581579B1 (ko)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화염창 구조
WO2018221778A1 (ko) 발열장치를 구비한 방열기
WO2023136659A1 (ko) 건식 온수 온돌 패션 패널
WO2013105792A1 (ko) 연소기기용 급, 배기구
WO2017065581A1 (ko) 보일러 연소실용 공냉판 및 그 공냉판이 구비된 보일러 연소실
WO2017191980A1 (ko) 난방 시스템
KR101357761B1 (ko) 히트파이프용 열전달장치
WO2013002444A1 (ko) 유도가열부로 열전달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한 인덕션 레인지
WO2013187647A1 (ko) 히트파이프 난방장치
WO2011102617A2 (ko) 온수 온돌 패널
WO2015053428A1 (ko) 온수식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주택 및 농업용하우스 난방장치 및 난방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00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00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