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41535A1 -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41535A1
WO2013141535A1 PCT/KR2013/002167 KR2013002167W WO2013141535A1 WO 2013141535 A1 WO2013141535 A1 WO 2013141535A1 KR 2013002167 W KR2013002167 W KR 2013002167W WO 2013141535 A1 WO2013141535 A1 WO 20131415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groups
aps
network zon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1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영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1415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415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aging a network zone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by the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connected by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service the entire network zone.
  • a network zone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AP groups that can be covered by an area and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one of the groups, a method for accessing a mobile terminal by the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connected by the method It is about.
  • the use of the Internet has become easier through a WiFi device capable of wireless LAN connection.
  • the user can use the Internet within a certain distance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AP).
  • AP wireless access point
  • Wireless APs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personal, corporate, and small-scale, and as the number of APs increases, overlapping service areas provided by APs result in an increase in signal interference, operation and management costs, and through the AP.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user to use the network efficiently.
  •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unnecessary frequent handovers. Therefore, data loss and delay time due to handovers are unnecessary.
  • a network zone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unnecessary frequent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in a network zone in which a plurality of APs are overlapped and a method for accessing a mobile terminal using the apparatus are provided.
  • a network zone management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network zone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P), based on the AP device information of the AP belonging to the network zone,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APs
  • a network zon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group management unit for classifying into AP group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AP groups can cover the entire network zone as a service area.
  •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AP scanner scanning a surrounding wireless access point (AP); And an access manager configured to access the mobile terminal to the currently accessible AP of the AP list of the group based on the AP list scanned by the AP scanner and the AP list of the predetermined AP group assigned by the mobile terminal.
  • the allocated predetermined AP group is one of a plurality of AP groups in a network zone having a plurality of AP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P groups inclu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vering the entire network zone as a service area. Is provided.
  • the apparatus in a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n AP by an apparatus for managing a network zone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Ps), the apparatus is a method of accessing APs belonging to a network zone.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obile terminal access method on a computer.
  • a network zone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load of APs in a network zone in which a plurality of APs are overlapped, and a method for accessing a mobile terminal using the apparatus efficiently provides a network.
  • a network zone management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unnecessary frequent handover of the mobile terminal in a network zone in which a plurality of APs are overlapped, and a mobile terminal access method using the device. This can reduce data loss and latency due to handover.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a network zone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an access point (AP),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grouping of APs in a network z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ve concept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rouping APs in a network z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ve concept.
  • FIG.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low chart of FIG.
  • FIGS. 7A to 7C are diagrams each illustrating a group management table, an AP management table, and a user management table, which may be stored in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management table that may be stored in an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 AP, and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assigned one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mobile terminal, an AP, and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a network zone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anagement server 1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Ps) 50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20.
  • APs wireless access points
  • the management server 10 manages a network zone 40 composed of a plurality of APs 50, thereby controll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APs 50 the mobile terminal 30 should acces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management server 10 manages one network zone 40. However,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manage a plurality of network zones.
  • the network zone 40 is a management unit that can be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10 and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Ps 50.
  • Each of the plurality of APs 50 has a basic service area (BSA) in a predetermined range.
  • BSA basic service area
  • Each AP 50 may connect with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30 in its BSA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to the mobile terminal 30.
  • the AP 50 may be a device supporting a WLAN accord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an access point (AP),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include a group manager 110, a group assigner 120, a quality manager 130, a user authenticator 140, and a storage 150.
  • the group manager 110 performs a function of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s constituting the network zone 40 into a plurality of grou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 groups”). That is, the group manager 110 may obtain AP device information from each of all APs 50 in the network zone 40, and classify the AP 50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AP device information.
  • AP groups a plurality of groups
  • classifying APs into a plurality of groups means generating a plurality of AP groups that may have one or more APs as members, and assigning each AP to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AP groups. Also, each AP group at this time should cover the entire network zone 40 with a server area. Therefore, classifying APs into a plurality of groups must satisfy at least the following conditions.
  • APs forming the AP group should cover the entire network zone 40 with a service area.
  • One AP may be assigned as a member to one or more AP groups.
  • One AP group must include at least one AP as a member.
  • the group manager 110 generates a plurality of groups that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ssigns a group ID to each group, and generates a list of APs belonging to each group as member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group AP list"). .
  • the group manager 110 classifies the AP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AP devi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P 50 in the network zone 40.
  • the group manager 110 may indirectly obtain at least some of the AP devic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 located in the network zone 40 and use the information to classify the AP into a plurality of groups.
  • each mobile terminal 30 may transmit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AP to the management server 10 while traveling around the network zone 40, and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transmit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to the service area of each AP. Information can be obtained.
  • the group allocator 120 assigns a mobile terminal entering the network zone 40 to one of the plurality of AP groups.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receive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number of users and traffic volume of each AP from the AP 50, the group assignment unit 120 based on this real-time information
  • the mobile terminal may be assign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AP groups.
  • the quality management unit 130 may perform a function of managing a quality of service (QoS) of communication in the network zone 40.
  • QoS quality of service
  • the quality management unit 130 receives quality data such as the total traffic amount, latency, and number of accesses of the AP 50 constituting the network zone 40, thereby providing QoS for the entire network zone 40.
  • the quality control unit 130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 the user authenticator 140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a user entering the network zone 40. For example, before the user enters the network zone 40 and is assigned an AP group, the user authenticator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lready been assigned an AP group. In addition,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may process authentication for each AP 50 access or process authentication for using a specific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
  • the storage unit 150 i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s of the group manager 110, the group assigner 120, the quality manager 130, and the user authenticator 140. It may be a volatile memory.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50 may include data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s into AP groups and managing AP groups, and data for allocating and managing one group of AP groups for each user. Data tha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each of the APs 50 may include a user authenticator 510 and a storage 520.
  • the user authenticator 510 is a component that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AP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a user accessing the AP 50. For example, if a certain AP 50 belongs to a certain AP group, if any user attempts to access the AP 50,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510 is a user to which the user is assigned the specific AP group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is user is allowed to access.
  • the storage unit 520 is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AP 50 to function as a normal access point, and may be a volatile memory and / or a nonvolatile memory.
  • the storage unit 520 may store information such as a terminal ID, a MAC address, an IP address, etc. of a user accessing the AP 50.
  • the storage 52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authenticator 510.
  • the mobile terminal 30 may include a connection manager 310, an AP scanner 320, and a storage 330.
  • the access management unit 310 checks whether there are currently accessible APs in the AP list of the group based on the AP list scanned by the AP scanner 320 and the AP list of the AP group assigned by the mobile terminal 30. When there are two or more APs that are currently accessible, one is selected and the mobile terminal 30 connects to the selected AP.
  • the AP scanner 320 may scan an AP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30 is accessible and generate a “scanned AP list”.
  • the AP scanner 320 receives a beacon signal transmitted periodically by the AP to generate passive scanning, or the AP scanner 320 transmits a request signal directly to neighboring APs. Receiving an AP signal in response to this may perform any one of the active (active) scanning to make a list of the scanned AP.
  • the storage unit 330 i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s of the access management unit 310 and the AP scanner 320, and may be a volatile memory and / or a nonvolatile memory.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the AP list received by the access management unit 310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 and may store the AP list scanned by the AP scanner 320.
  • the mobile terminal 30 may request an AP connection to either the management server 10 or the AP 50.
  • the AP 50 may transmit the AP device information and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users and the traffic volume to the management server 10.
  • the group manager 11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classifies the AP 50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AP de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ll the APs 50 in the network zone 40. That is, a group ID is assigned to each group, and an AP list of each group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which group the AP belongs to each AP (50).
  • the group assignment unit 12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assigns any one group of the AP group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 Can be.
  • th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assigned group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group is preferably the AP list of the group.
  •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grouping of APs in a network z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the embodiment of FIG. 3 assumes that the management server 10 manages one network zone 40 and nine APs (AP1 to AP9) are distributed in the network zone 40. do.
  • AP1 and AP2 overlap service areas
  • AP3 and AP4 overlap service areas
  • AP6 and AP8 overlap AP7 and AP9 with service areas, respectively, but AP5 does not overlap with any other AP.
  • the group manager 11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obtains AP device information of all APs AP1 to AP9.
  • the AP device information includes device-specific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the location (physical location and / or relative location), the maximum number of users, the service area size, and the supportable access method of the AP.
  • the group manager 110 classifies the AP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 the illustrated embodiment shows that the group manager 110 classifies APs in the network zone 40 into two groups (group A and group B).
  • group A includes AP1, AP3, AP5, AP6, and AP8 as members
  • group B includes AP2, AP4, AP5, AP7, and AP9 as members.
  • AP5 is included as a member in both groups because there is no other replaceable AP in the area where AP5 is located. Therefore, each of group A and group B must include AP5 to cover the entire area of network zone 40.
  • the group allocator 120 is assigned to each user.
  • the group of any one of group A and group B is allocated.
  • each group may be assigned to each user in order, and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number of accesses and / or traffic amounts of the AP may be determined.
  • a user may be assigned to a group having a low load (number of users or traffic volume) based on real time information.
  • FIG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lowchart.
  • This exemplary method creates a group of APs covering the entire network zone by dividing the network zone 40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SAs) and selecting one or more APs in each sub area (SA). Indicates.
  • the group manager 110 divides the network zone into sub-areas SA1 to SA6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size of the subregions does not need to be the same, and the method of dividing into subregions does not need to be specified in any one.
  • the embodiment of FIG. 5 shows dividing the network zone 40 into six sub-regions SA1 to SA6.
  • the group manager 110 selects an essential AP and an optional AP for each sub area SA.
  • the "essential AP” is an AP that must be included in each group in group classification. For example, if only one AP exists in any subregion and no other replaceable AP exists, this AP becomes a mandatory AP. Conversely, if two or more APs exist in any subregion and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ese APs may be “selected APs”.
  • the APs shown in FIG. 5 are selected as essential APs and selected APs by way of example in FIG. 6. 5 and 6, since there are one AP (AP1 and AP4) in the subregions SA1 and SA3, AP1 and AP4 are selected as essential APs. There are two APs in each of the subregions SA2, SA4, and SA6, all of which are assumed to be selected APs.
  • step S405 one or more APs are selected for each sub area SA to generate one AP group covering the entire network zone.
  • the mandatory AP is always selected if there is only a mandatory AP, (ii) at least one of them is selected if there are only selected APs, and (iii) a mandatory AP if both mandatory and selected APs are present. Is always selected and none or one or more of the selected APs can be selected.
  • AP1, AP4, and AP9 which are essential APs, are selected in the subregions SA1, SA3, and SA5, and one or more arbitrary APs are selected in the subregions SA2, SA4, and SA6.
  • group A shown in Fig. 6 can be generated.
  • the plurality of AP groups may be generated by repeating step S405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 the mandatory AP can generate a group B as shown in FIG. 6 by selecting all of the APs similar to the group A and selecting some of the APs excluded from the group A among the selected APs.
  • Group C ⁇ AP1, AP2, AP4, AP6, AP7, AP9, AP10 ⁇
  • the group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one of various methods for classifying APs into a plurality of groups by the group manager 11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 the network zone 40 may not be divided into sub-areas or the AP may be classified into a mandatory AP and a selected AP.
  • FIGS. 7A to 7C are diagrams each illustrating a group management table, an AP management table, and a user management table, which may be stored in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s into AP groups and data necessary for allocating AP groups to the terminal 30 in the storage unit 150.
  • such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P group, information about the AP,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as a group management table, an AP management table, and a user management table, as illustrated in FIGS. 7A-7C. Each may be stored.
  • a group management table may have data about a network zone ID, a group ID, an affiliated AP, a group user number, and a group traffic amount of a group for each AP group.
  • the network zone ID i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network zon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network zones 40. If there is only one network zone to be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10, the network zone IDs of all groups will have the same value.
  • the group 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each AP group, and the belonging AP indicates an AP belonging to each AP group as a member.
  • FIG. 7A member APs of group A and group 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are displayed.
  • the number of group users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users currently assigned to the group, and the group traffic amount represents the total traffic volume of the current group.
  • the AP management table may have data on SSID, AP device information, MAC address, number of accessors, and traffic amount for each AP.
  • the SSID (Service Set 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each AP, and another identifier other than the SSID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AP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device-specific information about each AP device.
  • the AP devic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following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Location of the AP physical location and / or relative location
  • the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s an identifier unique to the AP device, the number of users is the number of users currently connected to the AP, that is, the mobile terminal 30, and the traffic amount is the total traffic caused by the user currently connected to the AP. Indicates the amount.
  • the user management table may have data on terminal ID, MAC address, affiliation group, connected AP, and traffic amount for each user.
  • the terminal 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terminal used by the user
  • the MAC address is a terminal unique identifier.
  • the MAC address of the terminal may be used as the terminal ID.
  • the belonging group may display the ID of the group assigned by the user, and the connected AP may display the AP currently connected to the user.
  • the traffic volume represents the traffic volume that the user is currently generating.
  • the management table of FIGS. 7A to 7C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inventive concept. Accordingl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ome of the data items of the management table may be deleted or new data items may be add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each management table in FIGS. 7A-7C need not be stored in one table.
  • Each management tabl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anagement tables, and may be stored in any of various data structure formats or in a database (DB) format.
  • DB database
  • FIG. 8 illustrates a user management table that may be stored in an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ve concept.
  • Each AP 50 in the network zone may store the user management table shown in FIG. 8 in the storage unit 520.
  • the user management table may have data on terminal ID, MAC address, IP address, and traffic amount for each user.
  • the terminal ID, MAC address, and traffic amount are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C.
  • the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may be, for example, a private IP address assigned to each user's terminal by the currently connected AP.
  • the user management table of FIG. 8 may further include an item indicating the belonging AP group of each user.
  • the management table of FIG. 8 is also merely an example for describing the inventive concept, and some of the data items of the management table may b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the management table can be stored in any data storage format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table format of FIG.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 AP, and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step S901 th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the AP information from all the APs 50 in the network zone 40. Although only AP1 to AP3 is shown in FIG. 9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AP 50 may be configured with more APs.
  • the information of the AP may include AP device information and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users and the traffic volume.
  • step S903 the group manager 11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classifies the AP 50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AP device information for all the APs 50 in the network zone 40. That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 plurality of AP groups including one or more APs may be generated.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transmit to each AP 50 information about which AP group the AP belongs to (eg, a group ID of the belonging group).
  • step S905 the mobile terminal 30 of the user entering the network zone 40 can scan the surrounding accessible AP, and in step S907, the management server 10 through any AP You can request a connection to.
  • the management server 10 that receives the access request may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30 has already been assigned an AP group. If the terminal 30 has not been assigned an AP group, in step S911, the group allocating unit 12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allocates one of the AP groups to the terminal 30.
  • step S909 may be omitted.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operate to immediately assign an AP group to the terminal.
  • th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assigned group to the terminal 30.
  • the information of the group is an AP list of the group.
  • the terminal 30 receiving the allocated group information selects one of the group's AP lists if there are two or more currently accessible APs (step S915).
  • the access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selected AP (step S917).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assigned one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step S1001 the mobile terminal 30 of the user entering the network zone 40 may scan the accessible APs around and generate the scanned AP list.
  • step S1003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10 of the terminal 30 determines whether the AP list of the group alloc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f there is an AP list of the assigned group,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1005. However, if there is no AP li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07 and requests for ac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10.
  • the terminal ( 3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is assigned group.
  • the information of the group is an AP list of the group.
  • step S1005 the access management unit 310 compares the AP list scanned by the AP scanner 320 with the AP list of the group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AP currently accessible from the group AP list. Check if there is.
  • the access management unit 310 selects one AP (step S1011), and the mobile terminal 30 accesses the selected AP (step S1013). .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mobile terminal, an AP, and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 FIG. 11 is similar to FIG. 9, but when the terminal 30 is outside the network zone 40, the terminal 30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 to be assigned an AP group, and the terminal 30 may be assigned to the network zone 4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AP 5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access request is made by entering the service.
  • th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information of an AP from all APs 50 in a network zone 40.
  • the information of the AP may include AP device information and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users and the traffic volume.
  • the group manager 11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classifies the AP 50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AP device information for all the APs 50 in the network zone 40.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transmit to each AP 50 information about which AP group the AP belongs to (eg, a group ID of the belonging group).
  • the mobile terminal 30 may request a connec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0 from the outside of the network zone 40.
  • a connection may be,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a user wants to be allocated an AP group before entering a network zone.
  • the user may directly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10 through the wired Internet network without accessing the AP 50 in the network zone 40.
  • step S1109 the management server 10 that receives the access request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30 has already been assigned an AP group. If the terminal 30 has not been assigned an AP group, in step S1111, the group allocator 120 of the management server 10 assigns any one group of the AP groups to the terminal 30.
  • step S1109 may be omitted.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operate to immediately assign an AP group to the terminal.
  • th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assigned group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
  • the information of the group is an AP list of the group.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notify the APs of the assigned group that the user has been added to the group.
  • the terminal 30 that has received the allocated group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P list of the group) enters the network zone 40, the terminal performs AP scanning to generate an accessible AP list.
  • the AP list of the allocated AP group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be compared with the accessible AP list. Therefore, in step S1115, if there are two or more currently accessible APs in the group's AP list, one is selected and an access operation is performed to the selected AP (step S1117).
  • the AP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for this user.
  • the user authentication may be, for example,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30 correctly connects to the AP of the AP group to which the terminal 30 is assigned.
  • the AP may receive and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among management information of FIGS. 7A to 7C in advance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
  • step S1119 the AP grants access to the terminal 30 (step S1121), whereby the terminal 30 accesses the AP in the network zone 40.
  •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perform the user authentication.
  • step S1115 to step S1115 of FIG. 11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 the AP transmits the access request to the management server 10, performs a user authentication step on the management server 10, and manages the management server 10.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 management server 30 mobil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AP 그룹을 복수개 생성하여 그 중 하나의 그룹에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의 증가와 함께, 무선 랜 연결이 가능한 WiFi 장치를 통해서 인터넷 사용이 용이해졌다. 사용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일정거리 내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무선 AP들은 개인형, 기업형, 소규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이 되며, AP 의 증가로 AP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면, 신호간섭, 운영 및 관리 비용의 증가가 초래되고, AP를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사용이 어려워진다.
특히 도심지역에서는 한정된 지역에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됨으로 인하여 AP 들간의 서로 혼선이 심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AP에 사용자 접속이 집중되면, 이미 주변 다른 AP들을 통하여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이를 알지 못한다. 이로 인하여, 전체 네트워크 사용에 있어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주위에 접속가능한 여러 AP가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불필요한 잦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핸드오버로 인한 데이터 손실과 지연시간은 불필요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AP들의 부하를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불필요한 빈번한 핸드오버를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네트워크존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스캐닝하는 AP 스캐너; 및 상기 AP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AP 리스트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의 AP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에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은 다수의 AP를 가지는 네트워크존의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의해 상기 AP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AP들의 부하를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불필요한 빈번한 핸드오버를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핸드오버로 인한 데이터 손실과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존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액세스 포인트(AP), 및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존의 AP의 그룹화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존의 AP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5 및 도6은 도4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그룹 관리표, AP 관리표, 및 사용자 관리표를 각각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관리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의 그룹을 할당받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존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가 인터넷(2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50)와 연결될 수 있다.
관리서버(10)는 다수의 AP(50)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존(zone)(40)을 관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30)가 다수의 AP(50) 중 어느 AP에 접속해야 하는지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관리서버(10)가 하나의 네트워크존(40)을 관리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관리서버(10)가 복수개의 네트워크존을 관리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존(40)은 관리서버(10)가 관리할 수 있는 관리 단위로서, 다수의 무선 AP(5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AP(50)의 각각은 소정 범위의 기본 서비스 영역(Basic Service Area: BSA)을 가진다. 각각의 AP(50)는 자신의 BSA 내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30)와 접속하여 모바일 단말기(30)에 무선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P(50)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무선랜(WLAN)을 지원하는 기기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액세스 포인트(AP), 및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그룹 관리부(110), 그룹 할당부(120), 품질 관리부(130), 사용자 인증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을 구성하는 다수의 AP(50)를 복수의 그룹(이하 “AP 그룹”이라 칭하기도 함)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의 각각으로부터 AP 장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하나 이상의 AP를 멤버로서 가질 수 있는 AP 그룹을 복수개 생성하여, 각각의 AP를 상기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 이상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때의 각각의 AP 그룹은 네트워크존(40) 전체를 서버스 영역으로 커버해야 한다. 따라서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 AP 그룹을 구성하는 AP들은 네트워크존(40)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해야 한다.
2) 하나의 AP는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멤버로서 할당될 수 있다.
3) 하나의 AP 그룹은 최소한 하나의 AP를 멤버로서 포함해야 한다.
그룹관리부(110)는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복수개의 그룹을 생성하여 각 그룹마다 그룹 ID를 부여하고, 각 그룹에 멤버로서 속하는 AP들의 리스트(이하, "그룹의 AP 리스트"라고도 함)를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AP(50)로부터 획득한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AP 장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간접적으로 획득하여, 이 정보를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모바일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곳곳을 다니며 수신한 AP의 신호세기를 관리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서버(10)는 이 정보로부터 각 AP의 서비스 영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룹할당부(120)는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각 AP의 현재 접속자수 및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AP(5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그룹할당부(120)는 이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품질관리부(13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통신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관리부(130)는 네트워크존(40)을 구성하는 AP(50)의 전체 트래픽량, 지연속도(latency), 접속자수 등의 품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트워크존(40) 전체의 QoS를 관리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존(40) 내의 AP별로 QoS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품질관리부(130)는 관리서버(1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40)는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하여 AP 그룹을 할당받기 전에, 사용자 인증부(140)는 해당 사용자가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증부(140)는 각 AP(50)별 접속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거나 특정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사용자 인증부(140)는 관리서버(1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그룹관리부(110), 그룹할당부(120), 품질관리부(130), 및 사용자 인증부(1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50)는 다수의 AP를 AP 그룹으로 분류하고 AP 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별로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할당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AP)(50)의 각각은 사용자 인증부(510) 및 저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510)는 실시 형태에 따라 AP(5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AP(50)에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AP(50)가 특정 AP 그룹에 속하는 경우, 임의의 사용자가 해당 AP(50)에 접속 시도를 하면, 사용자 인증부(510)는 이 사용자가 상기 특정 AP 그룹을 할당받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AP(50)가 통상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20)는 AP(5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저장부(520)는 사용자 인증부(5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30)는 접속 관리부(310), AP 스캐너(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관리부(310)는 AP 스캐너(320)가 스캐닝한 AP 리스트와 모바일 단말기(30)가 할당받은 AP 그룹의 AP 리스트에 기초하여,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있는지 확인한다.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둘 이상일 때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AP에 모바일 단말기(30)가 접속하도록 한다.
AP 스캐너(320)는 모바일 단말기(30)가 접속가능한 AP를 스캔하여 "스캐닝된(scanned) AP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AP 스캐너(320)는, AP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여 스캐닝된 AP 리스트를 만드는 수동(passive) 스캐닝, 또는 AP 스캐너(320)가 주위 AP들에게 직접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응답하는 AP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스캐닝된 AP 리스트를 만드는 능동(active) 스캐닝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접속관리부(310)와 AP 스캐너(3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330)는 접속관리부(310)가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받은 AP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AP 스캐너(320)가 스캐닝한 AP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바일 단말기(30)는 관리서버(10) 또는 AP(50) 중 어느 하나에 AP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AP(50)는 AP 장치정보, 및 접속자수와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관리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로부터 받은 AP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각 그룹마다 그룹 ID를 부여하고, 각 그룹의 AP 리스트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관리서버(10)는 각 AP(50)에게 해당 AP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10)가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AP 접속 요청을 받으면, 관리서버(10)의 그룹할당부(120)가 상기 AP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해당 단말기(30)에 할당할 수 있다. 관리서버(10)는 이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30)로 전송하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도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존의 AP의 그룹화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3의 실시예는 관리서버(10)가 하나의 네트워크존(40)을 관리하고, 네트워크존(40) 내에 9개의 AP(AP1 내지 AP9)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AP1과 AP2는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고, AP3과 AP4도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고, 마찬가지로 AP6 및 AP8은 AP7 및 AP9와 서비스 영역이 각각 중첩되고, 그러나 AP5는 다른 어느 AP와도 중첩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모든 AP(AP1 내지 AP9)의 AP 장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AP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AP의 위치(물리적 위치 및/또는 상대적 위치), 최대 접속자수, 서비스 영역 크기, 지원가능 접속방식 등의 장치 고유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룹관리부(110)는 이러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AP들을 두 개의 그룹(그룹A 및 그룹B)으로 분류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그룹A는 AP1, AP3, AP5, AP6, 및 AP8을 멤버로서 포함하고, 그룹B는 AP2, AP4, AP5, AP7, 및 AP9를 멤버로서 포함하게 된다. 이 때 AP5는 양쪽 그룹에 모두 멤버로서 포함되는데, 이것은, AP5가 위치하는 영역에 다른 대체가능한 AP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룹A 및 그룹B 각각은 네트워크존(40)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AP5를 필수로 포함해야 한다.
이와 같이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40)의 AP를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면, 이후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할 때 그룹할당부(120)가 각 사용자에게 그룹A 및 그룹B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할당한다. 그룹할당부(120)가 그룹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각 그룹에 순서를 정하여 각 사용자에게 하나씩 순서대로 할당할 수 있고,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AP의 접속자수 및/또는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load)(접속자수 또는 트래픽량)가 적은 그룹에 사용자를 할당할 수도 있다.
이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가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예시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존의 AP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5 및 도6은 이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시적 방법은 네트워크존(40)을 다수의 서브영역(Sub Area: SA)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SA)에서 하나 이상의 AP를 선정함으로써, 네트워크존 전체를 커버하는 AP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도5에 도시하였듯이 네트워크존(40)에 총 11개의 AP(AP1 내지 AP11)가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존에 대해, 도4의 단계(S401)에서,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을 소정 간격의 서브영역(SA1 내지 SA6)으로 분할한다. 서브영역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필요가 없고,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도 어느 하나로 특정될 필요가 없다. 다만 모든 서브영역의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AP를 포함하도록 서브영역을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도5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존(40)을 6개의 서브영역(SA1 내지 SA6)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한다.
그 후 단계(S403)에서, 그룹관리부(110)가 각 서브영역(SA)별로 필수(essential) AP와 선택(optional) AP를 선정한다. 여기서 "필수 AP"는, 그룹 분류에 있어서 각 그룹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AP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서브영역에 단 하나의 AP만 존재하고 다른 대체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AP는 필수 AP가 된다. 반대로, 임의의 서브영역에 둘 이상의 AP가 존재하여 서로 대체가능한 경우, 이 AP들은 "선택 AP"가 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AP들을 예시적으로 필수 AP와 선택 AP로 선정한 것을 도6에 표로서 나타내었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서브영역(SA1 및 SA3)에는 AP(AP1 및 AP4)가 하나씩 있으므로, AP1와 AP4는 필수 AP로 선정된다. 서브영역(SA2, SA4, SA6)에는 각각 2개씩 AP가 있는데, 모두 선택 AP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서브영역(SA5)에는 3개의 AP가 있는데, 하나(AP9)는 필수 AP이고 나머지(AP7, AP8)는 선택 AP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은, 예컨대 AP9는 서브영역(SA5)을 커버할 수 있으나 AP7이나 AP8은 단독으로는 서브영역(SA5)을 커버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05)에서, 각 서브영역(SA)별로 하나 이상의 AP를 선택함으로써, 네트워크존 전체를 커버하는 하나의 AP 그룹을 생성한다. 이 때, 각 서브영역에서, (i) 필수 AP만 있으면 필수 AP를 항상 선택하고, (ii) 선택 AP들만 있으면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iii) 필수 AP와 선택 AP가 모두 있으면 필수 AP는 항상 선택하고 선택 AP 중에서는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나타낸 것처럼, 서브영역(SA1, SA3, SA5)에서 필수 AP인 AP1, AP4, 및 AP9를 선택하고, 서브영역(SA2, SA4, SA6)에서는 임의의 선택 AP를 하나 이상씩 선택함으로써 도6에 나타낸 그룹 A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407)에서, 상기 단계(S405)를 소정 횟수 반복함으로써 복수개의 AP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 AP는 상기 그룹 A와 마찬가지로 모두 선택하고 선택 AP 중에서는 그룹 A에서 배제된 AP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그룹 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 AP들 중에서 또 다른 조합을 만들어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그룹 C를 생성할 수도 있고,
그룹 C: {AP1, AP2, AP4, AP6, AP7, AP9, AP10}
이러한 방법으로 그룹 D, 그룹 E 등 더 많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그룹화 방법은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에 의해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예로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존(40)을 서브영역으로 분할하거나 AP를 필수 AP와 선택 AP로 분류하는 방식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그룹 관리표, AP 관리표, 및 사용자 관리표를 각각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서버(10)는 다수의 AP를 AP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 단말기(30)에 AP 그룹을 할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데이터는 AP 그룹에 관한 정보, AP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7a 내지 도7c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표, AP 관리표, 및 사용자 관리표로서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그룹 관리표는 각 AP 그룹에 대해 그룹의 네트워크존 ID, 그룹 ID, 소속 AP, 그룹 사용자수, 및 그룹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존 ID는 네트워크존(40)이 복수개 있을 때 각 네트워크존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관리서버(10)가 관리할 네트워크존이 하나만 있다면 모든 그룹의 네트워크존 ID는 동일할 값을 가질 것이다.
그룹 ID는 각 AP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소속 AP는 각 AP 그룹에 멤버로서 속하는 AP를 나타낸다. 일 예로서, 도7a에서는 도3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A 및 그룹 B의 소속 AP를 표시하였다.
그룹 사용자수는 현재 해당 그룹을 할당받은 사용자의 전체 수를 나타내고, 그룹 트래픽량은 현재의 그룹의 전체 트래픽량을 나타낸다.
도7b를 참조하면, AP 관리표는 각 AP에 대해 SSID, AP 장치 정보, MAC 어드레스, 접속자수,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SSID(Service Set ID)는 각 AP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며, 실시 형태에 따라 SSID가 아닌 별도의 다른 식별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AP 장치정보는 각 AP 기기에 대한 장치 고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 AP의 위치: 물리적 위치 및/또는 상대적 위치
- 인증방식: WPA, WEB 등
- 사용하는 무선채널
- 대역폭
- 지원가능한 접속방식: IEEE 802.11 a/b/g/n
- 지원가능한 최대 접속자수
- 지원가능한 최대 서비스 영역 크기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는 AP 기기 고유의 식별자이고, 접속자수는 현재 해당 AP에 접속한 사용자, 즉 모바일 단말기(30)의 수이고, 트래픽량은 현재 해당 AP에 접속한 사용자로 인한 총 트래픽량을 나타낸다.
도7c를 참조하면, 사용자 관리표는 각 사용자에 대해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소속 그룹, 접속된 AP, 및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MAC 어드레스는 단말기 고유의 식별자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를 단말기 ID로 사용할 수도 있다.
소속 그룹에는 사용자가 할당받은 그룹의 ID가 표시될 수 있고, 접속된 AP에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하고 있는 AP가 표시될 수 있다. 트래픽량은 현재 해당 사용자가 발생시키고 있는 트래픽량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도7a 내지 도7c의 관리표는 본 발명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관리표의 데이터 항목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새로운 데이터 항목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7a 내지 도7c의 각각의 관리표가 하나의 테이블로 저장될 필요가 없음도 이해할 것이다. 각 관리표가 다수의 관리표로 분할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또한 다양한 자료구조 형식 중 임의의 형식으로 저장되거나 데이터베이스(DB)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관리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네트워크존 내의 각각의 AP(50)는 도8에 도시한 사용자 관리표를 저장부(5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사용자 관리표는 각 사용자에 대해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및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및 트래픽량은 도7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는 예컨대 현재 접속된 AP에 의해 각 사용자의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 IP 어드레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8의 사용자 관리표는 각 사용자의 소속 AP 그룹을 표시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8의 관리표도 본 발명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관리표의 데이터 항목 중 일부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관리표가 도8의 테이블 형식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데이터 저장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음도 이해할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단계(S901)에서, 관리서버(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로부터 AP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도9에서는 간략한 도시를 위해 AP1 내지 AP3만을 도시하였지만, AP(50)는 더 많은 AP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P의 정보는 AP 장치정보, 및 접속자수와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에 대한 AP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AP로 구성된 AP 그룹을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각 AP(50)에게 해당 AP가 어느 AP 그룹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예컨대, 소속 그룹의 그룹 ID)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905)에서, 네트워크존(40)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30)는 주위의 접속가능한 AP를 스캔할 수 있고, 단계(S907)에서, 임의의 AP를 통해 관리서버(10)에 접속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909)에서, 접속요청을 수신한 관리서버(10)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30)가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단말기(30)가 AP 그룹을 할당받지 않았다면, 단계(S911)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할당부(120)가 AP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단말기(30)에 할당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909)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접속요청이 있으면, 관리서버(10)는 즉시 단말기에 AP 그룹을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913)에서, 관리서버(10)는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다음으로, 할당받은 그룹의 정보(예컨대 그룹의 AP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30)는, 만일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하나를 선택하고(단계 S915), 이 선택된 AP에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917).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의 그룹을 할당받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1001)에서, 네트워크존(40)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30)는 주위의 접속가능한 AP를 스캔하고, 스캐닝된(scanned) AP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003)에서, 단말기(30)의 접속 관리부(310)는, 관리서버(10)로부터 할당된 그룹의 AP 리스트가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할당된 그룹의 AP 리스트가 있다면, 다음 단계(S1005)로 진행한다. 그러나 AP 리스트가 없다면 단계(S1007)로 진행하여, 관리서버(10)에 접속 요청을 한다.
이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10)가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상기 단말기(30)에 할당하고 이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하면, 단계(S1009)에서, 단말기(30)가 이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다음으로 단계(S1005)에서 접속관리부(310)는 AP 스캐너(320)에 의해 스캐닝된 AP 리스트와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그룹의 AP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있는지 확인한다.
접속관리부(310)는, 만일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하나의 AP를 선택하고(단계 S1011), 이 선택된 AP에 모바일 단말기(30)가 접속한다(단계 S1013).
도11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은 도9와 유사하지만,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외부에 있을 때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AP 그룹을 할당받을 수 있고,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접속 요청을 하면 AP(5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단계(1101)에서, 관리서버(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로부터 AP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P의 정보는 AP 장치정보, 및 접속자수와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3)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에 대한 AP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각 AP(50)에게 해당 AP가 어느 AP 그룹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예컨대, 소속 그룹의 그룹 ID)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1107)에서, 모바일 단말기(30)는 네트워크존(40)의 외부에서 관리서버(10)에 접속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존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AP 그룹을 할당받고자 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네트워크존(40) 내의 AP(50)에 접속하지 않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서버(10)에 바로 액세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109)에서, 접속요청을 수신한 관리서버(10)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30)가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기(30)가 AP 그룹을 할당받지 않았다면, 단계(S1111)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할당부(120)가 AP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단말기(30)에 할당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1109)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접속요청이 있으면, 관리서버(10)는 즉시 단말기에 AP 그룹을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113)에서, 관리서버(10)는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S1113)와 거의 동일한 시간에, 단계(S1114)에서, 관리서버(10)는 상기 할당된 그룹의 AP들에게 상기 사용자가 그룹에 추가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그 후, 할당받은 그룹의 정보(예컨대 그룹의 AP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30)가 이제 네트워크존(40)으로 진입하게 되면, 단말기는 AP 스캐닝을 수행하여 접속가능한 AP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계(S1113)에서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할당된 AP 그룹의 AP 리스트를 상기 접속가능한 AP 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S1115)에서, 만일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하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AP에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117).
그러면 단계(S1119)에서 AP는 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의 사용자 인증은, 예컨대 단말기(30)가 자신이 할당받은 AP 그룹의 AP에 옳게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AP는 도7a 내지 도7c의 관리 정보 중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서버(10)로부터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 후 단계(S1119)에서 사용자 인증이 통과되면 AP는 단말기(30)에게 접속 허용을 함으로써(단계 S1121),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AP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11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접속 요청을 하면 관리서버(1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1의 단계(S1101)부터 단계(S1115)의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단계(S1117)에서 단말기(30)가 AP에 접속 요청을 하면 AP가 이 접속 요청을 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0)에서 사용자 인증 단계를 수행하고, 관리서버(10)가 AP를 거쳐 단말기(30)로 접속 허용을 전송한다는 점에서 도1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관리서버 30: 모바일 단말기
40: 네트워크존 50: 액세스 포인트

Claims (18)

  1.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부는,
    (i)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이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고,
    (ii) 하나의 AP가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할당될 수 있고, 및
    (iii) 하나의 AP 그룹이 최소한 하나의 AP를 포함한다는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 장치 정보가 AP의 위치, 인증방식, 사용 무선채널, 대역폭, 지원가능한 접속방식, 지원가능한 최대 접속자수, 및 지원가능한 최대 서비스 영역의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진입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그룹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할당부는, 상기 다수의 AP로부터 수신한 AP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P의 실시간 정보는 AP의 현재 접속자수 및 트래픽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할당부는, 각 그룹에 순서를 정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씩 순서대로 그룹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8.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스캐닝하는 AP 스캐너; 및
    상기 AP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AP 리스트(이하 "스캐닝된 AP 리스트"라 함)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의 AP 리스트(이하 "그룹의 AP 리스트"라 함)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에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은 다수의 AP를 가지는 네트워크존의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은,
    (i)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이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고,
    (ii) 상기 다수의 AP 중 하나의 AP가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할당될 수 있고, 및
    (iii) 하나의 AP 그룹이 상기 다수의 AP 중 최소한 하나의 AP를 포함한다는 조건에 따라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된 AP 리스트 및 상기 그룹의 AP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의해 상기 AP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가,
    (i)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이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고,
    (ii) 하나의 AP가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할당될 수 있고, 및
    (iii) 하나의 AP 그룹이 최소한 하나의 AP를 포함한다는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P 장치 정보가 AP의 위치, 인증방식, 사용 무선채널, 대역폭, 지원가능한 접속방식, 지원가능한 최대 접속자수, 및 지원가능한 최대 서비스 영역의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AP로부터 수신한 AP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고,
    실시간 정보는 AP의 현재 접속자수 및 트래픽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각 그룹에 순서를 정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씩 순서대로 그룹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 이후에,
    할당된 AP 그룹의 AP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장치가, 상기 모바일 임의의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13/002167 2012-03-23 2013-03-18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WO20131415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76 2012-03-23
KR1020120029876A KR101331376B1 (ko) 2012-03-23 2012-03-23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535A1 true WO2013141535A1 (ko) 2013-09-26

Family

ID=4919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167 WO2013141535A1 (ko) 2012-03-23 2013-03-18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13449B2 (ko)
KR (1) KR101331376B1 (ko)
CN (1) CN103327455B (ko)
WO (1) WO2013141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7027C2 (ru) 2014-06-06 2019-05-06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ов радиомаяка на основе кластеров
CN106454942A (zh) * 2015-08-11 2017-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p组确定方法及装置
WO2017028050A1 (zh) * 2015-08-14 2017-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知接入点信息的方法、装置和基站
CN106412999B (zh) * 2016-11-14 2020-12-22 义乌市智享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负载均衡方法及负载均衡系统
CN108093493A (zh) * 2017-12-29 2018-05-29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无线网络系统及终端
US20220141778A1 (en) * 2019-02-20 2022-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489A (ko) * 1999-03-04 2000-10-0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KR20090100210A (ko) * 2008-03-19 2009-09-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과 운용 관리 보수 방법 및 운용 관리 보수 장치
JP2011114586A (ja) * 2009-11-26 2011-06-09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180A (ja) 1999-08-24 2001-03-06 Denso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装置の負荷の分散方法
CN100417113C (zh) * 2005-05-26 2008-09-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系统中群轮方式下的群组分配方法
US9155118B2 (en) * 2007-01-22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support for network based mobility management systems
US8345599B2 (en) * 2008-09-29 2013-01-01 Telcordia Technologies, Inc. Pre-evaluation of multiple network access points
CN101453738B (zh) * 2008-12-31 2010-08-11 阿德利亚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网状网的覆盖规划和信道分配方法及装置
US8494525B2 (en) 2009-08-24 2013-07-23 Alcatel Lucent Methods for managing co-located macro and femto base station deployments and methods for initiating mobile station handoff
US8924155B2 (en) * 2010-09-13 2014-12-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point based positioning
US8731536B2 (en) * 2010-10-07 2014-05-20 Cisco Technology, Inc. Automated LAC assignments for enterprise Femtos
JP2012209898A (ja) * 2011-03-30 2012-10-25 Sony Corp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489A (ko) * 1999-03-04 2000-10-0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KR20090100210A (ko) * 2008-03-19 2009-09-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과 운용 관리 보수 방법 및 운용 관리 보수 장치
JP2011114586A (ja) * 2009-11-26 2011-06-09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376B1 (ko) 2013-11-20
CN103327455A (zh) 2013-09-25
KR20130107798A (ko) 2013-10-02
CN103327455B (zh) 2016-04-20
US20130250932A1 (en) 2013-09-26
US9113449B2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41535A1 (ko)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WO2014158006A1 (ko) 장치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JP6068630B2 (ja) サービスを登録して発見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100364368B1 (ko)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사설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통신 방법
WO20140513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8066977A1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의 단말의 어태치 및 홈 라우팅된 pdu 세션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030175A2 (en) Method of making a coexistence decision on hybrid topology
WO20110493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ersonal network
WO2012148115A2 (ko)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기간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0126261A2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펨토 기지국과 펨토 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5016455A1 (ko) 단말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
WO20141633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roximity-based servic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80495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인지 qos 차별화된 단말 대 단말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07045147A1 (fr) Procede, systeme et terminal de reseau d’acces du terminal de reseau local sans fil
WO2013122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2047074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service
WO2015072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between devices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WO2013012278A2 (ko) 통신 시스템에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컨텍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007172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상호 배타적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2153892A1 (ko) 상호공존 방식에서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WO2017209462A1 (ko) 무선랜 품질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503055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및 장치
WO201311908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셀 내 마이크로 셀을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2148029A1 (ko)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간 무선 접속 장치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2124872A1 (ko) 복수 위치를 위한 채널 가용성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640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DATED 10.02.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640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