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798A -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798A
KR20130107798A KR1020120029876A KR20120029876A KR20130107798A KR 20130107798 A KR20130107798 A KR 20130107798A KR 1020120029876 A KR1020120029876 A KR 1020120029876A KR 20120029876 A KR20120029876 A KR 20120029876A KR 20130107798 A KR20130107798 A KR 2013010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roups
network zone
aps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376B1 (ko
Inventor
전영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376B1/ko
Priority to PCT/KR2013/002167 priority patent/WO2013141535A1/ko
Priority to US13/849,762 priority patent/US9113449B2/en
Priority to CN201310097143.4A priority patent/CN103327455B/zh
Publication of KR2013010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zone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device using the apparatus, and mobile device connected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AP 그룹을 복수개 생성하여 그 중 하나의 그룹에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의 증가와 함께, 무선 랜 연결이 가능한 WiFi 장치를 통해서 인터넷 사용이 용이해졌다. 사용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일정거리 내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무선 AP들은 개인형, 기업형, 소규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이 되며, AP 의 증가로 AP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면, 신호간섭, 운영 및 관리 비용의 증가가 초래되고, AP를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사용이 어려워진다.
특히 도심지역에서는 한정된 지역에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됨으로 인하여 AP 들간의 서로 혼선이 심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AP에 사용자 접속이 집중되면, 이미 주변 다른 AP들을 통하여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이를 알지 못한다. 이로 인하여, 전체 네트워크 사용에 있어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주위에 접속가능한 여러 AP가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불필요한 잦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핸드오버로 인한 데이터 손실과 지연시간은 불필요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AP들의 부하를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불필요한 빈번한 핸드오버를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네트워크존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스캐닝하는 AP 스캐너; 및 상기 AP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AP 리스트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의 AP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에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은 다수의 AP를 가지는 네트워크존의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의해 상기 AP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AP들의 부하를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AP들이 중첩 설치된 네트워크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불필요한 빈번한 핸드오버를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핸드오버로 인한 데이터 손실과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존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액세스 포인트(AP), 및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존의 AP의 그룹화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존의 AP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5 및 도6은 도4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그룹 관리표, AP 관리표, 및 사용자 관리표를 각각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관리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의 그룹을 할당받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존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가 인터넷(2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50)와 연결될 수 있다.
관리서버(10)는 다수의 AP(50)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존(zone)(40)을 관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30)가 다수의 AP(50) 중 어느 AP에 접속해야 하는지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관리서버(10)가 하나의 네트워크존(40)을 관리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관리서버(10)가 복수개의 네트워크존을 관리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존(40)은 관리서버(10)가 관리할 수 있는 관리 단위로서, 다수의 무선 AP(5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AP(50)의 각각은 소정 범위의 기본 서비스 영역(Basic Service Area: BSA)을 가진다. 각각의 AP(50)는 자신의 BSA 내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30)와 접속하여 모바일 단말기(30)에 무선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P(50)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무선랜(WLAN)을 지원하는 기기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액세스 포인트(AP), 및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그룹 관리부(110), 그룹 할당부(120), 품질 관리부(130), 사용자 인증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을 구성하는 다수의 AP(50)를 복수의 그룹(이하 “AP 그룹”이라 칭하기도 함)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의 각각으로부터 AP 장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하나 이상의 AP를 멤버로서 가질 수 있는 AP 그룹을 복수개 생성하여, 각각의 AP를 상기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 이상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때의 각각의 AP 그룹은 네트워크존(40) 전체를 서버스 영역으로 커버해야 한다. 따라서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 AP 그룹을 구성하는 AP들은 네트워크존(40)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해야 한다.
2) 하나의 AP는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멤버로서 할당될 수 있다.
3) 하나의 AP 그룹은 최소한 하나의 AP를 멤버로서 포함해야 한다.
그룹관리부(110)는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복수개의 그룹을 생성하여 각 그룹마다 그룹 ID를 부여하고, 각 그룹에 멤버로서 속하는 AP들의 리스트(이하, "그룹의 AP 리스트"라고도 함)를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AP(50)로부터 획득한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AP 장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간접적으로 획득하여, 이 정보를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모바일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곳곳을 다니며 수신한 AP의 신호세기를 관리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서버(10)는 이 정보로부터 각 AP의 서비스 영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룹할당부(120)는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각 AP의 현재 접속자수 및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AP(5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그룹할당부(120)는 이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품질관리부(13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통신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관리부(130)는 네트워크존(40)을 구성하는 AP(50)의 전체 트래픽량, 지연속도(latency), 접속자수 등의 품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트워크존(40) 전체의 QoS를 관리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존(40) 내의 AP별로 QoS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품질관리부(130)는 관리서버(1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40)는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하여 AP 그룹을 할당받기 전에, 사용자 인증부(140)는 해당 사용자가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증부(140)는 각 AP(50)별 접속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거나 특정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사용자 인증부(140)는 관리서버(1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그룹관리부(110), 그룹할당부(120), 품질관리부(130), 및 사용자 인증부(1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50)는 다수의 AP를 AP 그룹으로 분류하고 AP 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별로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할당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AP)(50)의 각각은 사용자 인증부(510) 및 저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510)는 실시 형태에 따라 AP(5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AP(50)에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AP(50)가 특정 AP 그룹에 속하는 경우, 임의의 사용자가 해당 AP(50)에 접속 시도를 하면, 사용자 인증부(510)는 이 사용자가 상기 특정 AP 그룹을 할당받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AP(50)가 통상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20)는 AP(5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저장부(520)는 사용자 인증부(5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30)는 접속 관리부(310), AP 스캐너(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관리부(310)는 AP 스캐너(320)가 스캐닝한 AP 리스트와 모바일 단말기(30)가 할당받은 AP 그룹의 AP 리스트에 기초하여,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있는지 확인한다.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둘 이상일 때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AP에 모바일 단말기(30)가 접속하도록 한다.
AP 스캐너(320)는 모바일 단말기(30)가 접속가능한 AP를 스캔하여 "스캐닝된(scanned) AP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AP 스캐너(320)는, AP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여 스캐닝된 AP 리스트를 만드는 수동(passive) 스캐닝, 또는 AP 스캐너(320)가 주위 AP들에게 직접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응답하는 AP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스캐닝된 AP 리스트를 만드는 능동(active) 스캐닝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접속관리부(310)와 AP 스캐너(3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330)는 접속관리부(310)가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받은 AP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AP 스캐너(320)가 스캐닝한 AP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바일 단말기(30)는 관리서버(10) 또는 AP(50) 중 어느 하나에 AP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AP(50)는 AP 장치정보, 및 접속자수와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관리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로부터 받은 AP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각 그룹마다 그룹 ID를 부여하고, 각 그룹의 AP 리스트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관리서버(10)는 각 AP(50)에게 해당 AP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10)가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AP 접속 요청을 받으면, 관리서버(10)의 그룹할당부(120)가 상기 AP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해당 단말기(30)에 할당할 수 있다. 관리서버(10)는 이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30)로 전송하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도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존의 AP의 그룹화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3의 실시예는 관리서버(10)가 하나의 네트워크존(40)을 관리하고, 네트워크존(40) 내에 9개의 AP(AP1 내지 AP9)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AP1과 AP2는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고, AP3과 AP4도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고, 마찬가지로 AP6 및 AP8은 AP7 및 AP9와 서비스 영역이 각각 중첩되고, 그러나 AP5는 다른 어느 AP와도 중첩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모든 AP(AP1 내지 AP9)의 AP 장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AP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AP의 위치(물리적 위치 및/또는 상대적 위치), 최대 접속자수, 서비스 영역 크기, 지원가능 접속방식 등의 장치 고유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룹관리부(110)는 이러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AP들을 두 개의 그룹(그룹A 및 그룹B)으로 분류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그룹A는 AP1, AP3, AP5, AP6, 및 AP8을 멤버로서 포함하고, 그룹B는 AP2, AP4, AP5, AP7, 및 AP9를 멤버로서 포함하게 된다. 이 때 AP5는 양쪽 그룹에 모두 멤버로서 포함되는데, 이것은, AP5가 위치하는 영역에 다른 대체가능한 AP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룹A 및 그룹B 각각은 네트워크존(40)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AP5를 필수로 포함해야 한다.
이와 같이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40)의 AP를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면, 이후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존(40)에 진입할 때 그룹할당부(120)가 각 사용자에게 그룹A 및 그룹B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할당한다. 그룹할당부(120)가 그룹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각 그룹에 순서를 정하여 각 사용자에게 하나씩 순서대로 할당할 수 있고,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AP의 접속자수 및/또는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load)(접속자수 또는 트래픽량)가 적은 그룹에 사용자를 할당할 수도 있다.
이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가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예시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존의 AP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5 및 도6은 이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시적 방법은 네트워크존(40)을 다수의 서브영역(Sub Area: SA)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SA)에서 하나 이상의 AP를 선정함으로써, 네트워크존 전체를 커버하는 AP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도5에 도시하였듯이 네트워크존(40)에 총 11개의 AP(AP1 내지 AP11)가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존에 대해, 도4의 단계(S401)에서, 그룹관리부(110)가 네트워크존을 소정 간격의 서브영역(SA1 내지 SA6)으로 분할한다. 서브영역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필요가 없고,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도 어느 하나로 특정될 필요가 없다. 다만 모든 서브영역의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AP를 포함하도록 서브영역을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도5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존(40)을 6개의 서브영역(SA1 내지 SA6)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한다.
그 후 단계(S403)에서, 그룹관리부(110)가 각 서브영역(SA)별로 필수(essential) AP와 선택(optional) AP를 선정한다. 여기서 "필수 AP"는, 그룹 분류에 있어서 각 그룹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AP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서브영역에 단 하나의 AP만 존재하고 다른 대체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AP는 필수 AP가 된다. 반대로, 임의의 서브영역에 둘 이상의 AP가 존재하여 서로 대체가능한 경우, 이 AP들은 "선택 AP"가 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AP들을 예시적으로 필수 AP와 선택 AP로 선정한 것을 도6에 표로서 나타내었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서브영역(SA1 및 SA3)에는 AP(AP1 및 AP4)가 하나씩 있으므로, AP1와 AP4는 필수 AP로 선정된다. 서브영역(SA2, SA4, SA6)에는 각각 2개씩 AP가 있는데, 모두 선택 AP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서브영역(SA5)에는 3개의 AP가 있는데, 하나(AP9)는 필수 AP이고 나머지(AP7, AP8)는 선택 AP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은, 예컨대 AP9는 서브영역(SA5)을 커버할 수 있으나 AP7이나 AP8은 단독으로는 서브영역(SA5)을 커버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05)에서, 각 서브영역(SA)별로 하나 이상의 AP를 선택함으로써, 네트워크존 전체를 커버하는 하나의 AP 그룹을 생성한다. 이 때, 각 서브영역에서, (i) 필수 AP만 있으면 필수 AP를 항상 선택하고, (ii) 선택 AP들만 있으면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iii) 필수 AP와 선택 AP가 모두 있으면 필수 AP는 항상 선택하고 선택 AP 중에서는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나타낸 것처럼, 서브영역(SA1, SA3, SA5)에서 필수 AP인 AP1, AP4, 및 AP9를 선택하고, 서브영역(SA2, SA4, SA6)에서는 임의의 선택 AP를 하나 이상씩 선택함으로써 도6에 나타낸 그룹 A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407)에서, 상기 단계(S405)를 소정 횟수 반복함으로써 복수개의 AP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 AP는 상기 그룹 A와 마찬가지로 모두 선택하고 선택 AP 중에서는 그룹 A에서 배제된 AP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그룹 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 AP들 중에서 또 다른 조합을 만들어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그룹 C를 생성할 수도 있고,
그룹 C: {AP1, AP2, AP4, AP6, AP7, AP9, AP10}
이러한 방법으로 그룹 D, 그룹 E 등 더 많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그룹화 방법은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에 의해 AP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예로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존(40)을 서브영역으로 분할하거나 AP를 필수 AP와 선택 AP로 분류하는 방식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그룹 관리표, AP 관리표, 및 사용자 관리표를 각각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서버(10)는 다수의 AP를 AP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 단말기(30)에 AP 그룹을 할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데이터는 AP 그룹에 관한 정보, AP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7a 내지 도7c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표, AP 관리표, 및 사용자 관리표로서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그룹 관리표는 각 AP 그룹에 대해 그룹의 네트워크존 ID, 그룹 ID, 소속 AP, 그룹 사용자수, 및 그룹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존 ID는 네트워크존(40)이 복수개 있을 때 각 네트워크존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관리서버(10)가 관리할 네트워크존이 하나만 있다면 모든 그룹의 네트워크존 ID는 동일할 값을 가질 것이다.
그룹 ID는 각 AP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소속 AP는 각 AP 그룹에 멤버로서 속하는 AP를 나타낸다. 일 예로서, 도7a에서는 도3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A 및 그룹 B의 소속 AP를 표시하였다.
그룹 사용자수는 현재 해당 그룹을 할당받은 사용자의 전체 수를 나타내고, 그룹 트래픽량은 현재의 그룹의 전체 트래픽량을 나타낸다.
도7b를 참조하면, AP 관리표는 각 AP에 대해 SSID, AP 장치 정보, MAC 어드레스, 접속자수,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SSID(Service Set ID)는 각 AP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며, 실시 형태에 따라 SSID가 아닌 별도의 다른 식별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AP 장치정보는 각 AP 기기에 대한 장치 고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 AP의 위치: 물리적 위치 및/또는 상대적 위치
- 인증방식: WPA, WEB 등
- 사용하는 무선채널
- 대역폭
- 지원가능한 접속방식: IEEE 802.11 a/b/g/n
- 지원가능한 최대 접속자수
- 지원가능한 최대 서비스 영역 크기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는 AP 기기 고유의 식별자이고, 접속자수는 현재 해당 AP에 접속한 사용자, 즉 모바일 단말기(30)의 수이고, 트래픽량은 현재 해당 AP에 접속한 사용자로 인한 총 트래픽량을 나타낸다.
도7c를 참조하면, 사용자 관리표는 각 사용자에 대해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소속 그룹, 접속된 AP, 및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MAC 어드레스는 단말기 고유의 식별자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를 단말기 ID로 사용할 수도 있다.
소속 그룹에는 사용자가 할당받은 그룹의 ID가 표시될 수 있고, 접속된 AP에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하고 있는 AP가 표시될 수 있다. 트래픽량은 현재 해당 사용자가 발생시키고 있는 트래픽량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도7a 내지 도7c의 관리표는 본 발명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관리표의 데이터 항목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새로운 데이터 항목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7a 내지 도7c의 각각의 관리표가 하나의 테이블로 저장될 필요가 없음도 이해할 것이다. 각 관리표가 다수의 관리표로 분할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또한 다양한 자료구조 형식 중 임의의 형식으로 저장되거나 데이터베이스(DB)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관리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네트워크존 내의 각각의 AP(50)는 도8에 도시한 사용자 관리표를 저장부(5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사용자 관리표는 각 사용자에 대해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및 트래픽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ID, MAC 어드레스, 및 트래픽량은 도7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는 예컨대 현재 접속된 AP에 의해 각 사용자의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 IP 어드레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8의 사용자 관리표는 각 사용자의 소속 AP 그룹을 표시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8의 관리표도 본 발명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관리표의 데이터 항목 중 일부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관리표가 도8의 테이블 형식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데이터 저장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음도 이해할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단계(S901)에서, 관리서버(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로부터 AP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도9에서는 간략한 도시를 위해 AP1 내지 AP3만을 도시하였지만, AP(50)는 더 많은 AP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P의 정보는 AP 장치정보, 및 접속자수와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에 대한 AP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AP로 구성된 AP 그룹을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각 AP(50)에게 해당 AP가 어느 AP 그룹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예컨대, 소속 그룹의 그룹 ID)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905)에서, 네트워크존(40)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30)는 주위의 접속가능한 AP를 스캔할 수 있고, 단계(S907)에서, 임의의 AP를 통해 관리서버(10)에 접속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909)에서, 접속요청을 수신한 관리서버(10)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30)가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단말기(30)가 AP 그룹을 할당받지 않았다면, 단계(S911)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할당부(120)가 AP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단말기(30)에 할당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909)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접속요청이 있으면, 관리서버(10)는 즉시 단말기에 AP 그룹을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913)에서, 관리서버(10)는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다음으로, 할당받은 그룹의 정보(예컨대 그룹의 AP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30)는, 만일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하나를 선택하고(단계 S915), 이 선택된 AP에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917).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의 그룹을 할당받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1001)에서, 네트워크존(40)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30)는 주위의 접속가능한 AP를 스캔하고, 스캐닝된(scanned) AP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003)에서, 단말기(30)의 접속 관리부(310)는, 관리서버(10)로부터 할당된 그룹의 AP 리스트가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할당된 그룹의 AP 리스트가 있다면, 다음 단계(S1005)로 진행한다. 그러나 AP 리스트가 없다면 단계(S1007)로 진행하여, 관리서버(10)에 접속 요청을 한다.
이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10)가 복수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상기 단말기(30)에 할당하고 이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하면, 단계(S1009)에서, 단말기(30)가 이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다음으로 단계(S1005)에서 접속관리부(310)는 AP 스캐너(320)에 의해 스캐닝된 AP 리스트와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그룹의 AP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있는지 확인한다.
접속관리부(310)는, 만일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하나의 AP를 선택하고(단계 S1011), 이 선택된 AP에 모바일 단말기(30)가 접속한다(단계 S1013).
도11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AP, 및 관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은 도9와 유사하지만,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외부에 있을 때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AP 그룹을 할당받을 수 있고,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접속 요청을 하면 AP(5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단계(1101)에서, 관리서버(1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로부터 AP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P의 정보는 AP 장치정보, 및 접속자수와 트래픽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3)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관리부(110)는, 네트워크존(40) 내의 모든 AP(50)에 대한 AP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AP(50)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0)는 각 AP(50)에게 해당 AP가 어느 AP 그룹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예컨대, 소속 그룹의 그룹 ID)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1107)에서, 모바일 단말기(30)는 네트워크존(40)의 외부에서 관리서버(10)에 접속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존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AP 그룹을 할당받고자 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네트워크존(40) 내의 AP(50)에 접속하지 않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서버(10)에 바로 액세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109)에서, 접속요청을 수신한 관리서버(10)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30)가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기(30)가 AP 그룹을 할당받지 않았다면, 단계(S1111)에서, 관리서버(10)의 그룹할당부(120)가 AP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단말기(30)에 할당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1109)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접속요청이 있으면, 관리서버(10)는 즉시 단말기에 AP 그룹을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113)에서, 관리서버(10)는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정보는 그룹의 AP 리스트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S1113)와 거의 동일한 시간에, 단계(S1114)에서, 관리서버(10)는 상기 할당된 그룹의 AP들에게 상기 사용자가 그룹에 추가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그 후, 할당받은 그룹의 정보(예컨대 그룹의 AP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30)가 이제 네트워크존(40)으로 진입하게 되면, 단말기는 AP 스캐닝을 수행하여 접속가능한 AP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계(S1113)에서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할당된 AP 그룹의 AP 리스트를 상기 접속가능한 AP 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S1115)에서, 만일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하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AP에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117).
그러면 단계(S1119)에서 AP는 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의 사용자 인증은, 예컨대 단말기(30)가 자신이 할당받은 AP 그룹의 AP에 옳게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AP는 도7a 내지 도7c의 관리 정보 중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서버(10)로부터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 후 단계(S1119)에서 사용자 인증이 통과되면 AP는 단말기(30)에게 접속 허용을 함으로써(단계 S1121),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 내의 AP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11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단말기(30)가 네트워크존(4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접속 요청을 하면 관리서버(1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1의 단계(S1101)부터 단계(S1115)의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단계(S1117)에서 단말기(30)가 AP에 접속 요청을 하면 AP가 이 접속 요청을 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0)에서 사용자 인증 단계를 수행하고, 관리서버(10)가 AP를 거쳐 단말기(30)로 접속 허용을 전송한다는 점에서 도1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관리서버 30: 모바일 단말기
40: 네트워크존 50: 액세스 포인트

Claims (18)

  1.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부는,
    (i)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이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고,
    (ii) 하나의 AP가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할당될 수 있고, 및
    (iii) 하나의 AP 그룹이 최소한 하나의 AP를 포함한다는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 장치 정보가 AP의 위치, 인증방식, 사용 무선채널, 대역폭, 지원가능한 접속방식, 지원가능한 최대 접속자수, 및 지원가능한 최대 서비스 영역의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존에 진입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그룹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할당부는, 상기 다수의 AP로부터 수신한 AP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P의 실시간 정보는 AP의 현재 접속자수 및 트래픽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할당부는, 각 그룹에 순서를 정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씩 순서대로 그룹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존 관리장치.
  8.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스캐닝하는 AP 스캐너; 및
    상기 AP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AP 리스트(이하 "스캐닝된 AP 리스트"라 함)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의 AP 리스트(이하 "그룹의 AP 리스트"라 함)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그룹의 AP 리스트 중 현재 접속가능한 AP에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할당받은 소정 AP 그룹은 다수의 AP를 가지는 네트워크존의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은,
    (i)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이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고,
    (ii) 상기 다수의 AP 중 하나의 AP가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할당될 수 있고, 및
    (iii) 하나의 AP 그룹이 상기 다수의 AP 중 최소한 하나의 AP를 포함한다는 조건에 따라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된 AP 리스트 및 상기 그룹의 AP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에 의해 상기 AP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존에 속하는 AP들의 AP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AP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가,
    (i) 복수개의 AP 그룹의 각각이 상기 네트워크존 전체를 서비스 영역으로 커버하고,
    (ii) 하나의 AP가 하나 이상의 AP 그룹에 할당될 수 있고, 및
    (iii) 하나의 AP 그룹이 최소한 하나의 AP를 포함한다는 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의 AP를 복수개의 AP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P 장치 정보가 AP의 위치, 인증방식, 사용 무선채널, 대역폭, 지원가능한 접속방식, 지원가능한 최대 접속자수, 및 지원가능한 최대 서비스 영역의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AP로부터 수신한 AP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개의 AP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할당하고,
    실시간 정보는 AP의 현재 접속자수 및 트래픽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각 그룹에 순서를 정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씩 순서대로 그룹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 이후에,
    할당된 AP 그룹의 AP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장치가, 상기 모바일 임의의 AP 그룹을 이미 할당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29876A 2012-03-23 2012-03-23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33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76A KR101331376B1 (ko) 2012-03-23 2012-03-23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PCT/KR2013/002167 WO2013141535A1 (ko) 2012-03-23 2013-03-18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US13/849,762 US9113449B2 (en) 2012-03-23 2013-03-25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zone having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method of connecting mobile terminal to wireless access point by the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CN201310097143.4A CN103327455B (zh) 2012-03-23 2013-03-25 管理网络区域的装置、利用该装置的连接方法及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76A KR101331376B1 (ko) 2012-03-23 2012-03-23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798A true KR20130107798A (ko) 2013-10-02
KR101331376B1 KR101331376B1 (ko) 2013-11-20

Family

ID=4919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876A KR101331376B1 (ko) 2012-03-23 2012-03-23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13449B2 (ko)
KR (1) KR101331376B1 (ko)
CN (1) CN103327455B (ko)
WO (1) WO20131415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5621B2 (en) 2014-06-06 2019-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uster-based beacon signal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4942A (zh) * 2015-08-11 2017-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p组确定方法及装置
WO2017028050A1 (zh) * 2015-08-14 2017-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知接入点信息的方法、装置和基站
CN106412999B (zh) * 2016-11-14 2020-12-22 义乌市智享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负载均衡方法及负载均衡系统
CN108093493A (zh) * 2017-12-29 2018-05-29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无线网络系统及终端
US20220141778A1 (en) * 2019-02-20 2022-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489A (ko) * 1999-03-04 2000-10-0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JP2001061180A (ja) 1999-08-24 2001-03-06 Denso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装置の負荷の分散方法
CN100417113C (zh) * 2005-05-26 2008-09-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系统中群轮方式下的群组分配方法
US9155118B2 (en) * 2007-01-22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support for network based mobility management systems
JP5211779B2 (ja) * 2008-03-19 2013-06-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運用管理保守方法及び運用管理保守装置
US8345599B2 (en) * 2008-09-29 2013-01-01 Telcordia Technologies, Inc. Pre-evaluation of multiple network access points
CN101453738B (zh) * 2008-12-31 2010-08-11 阿德利亚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网状网的覆盖规划和信道分配方法及装置
US8494525B2 (en) 2009-08-24 2013-07-23 Alcatel Lucent Methods for managing co-located macro and femto base station deployments and methods for initiating mobile station handoff
JP2011114586A (ja) * 2009-11-26 2011-06-09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8924155B2 (en) * 2010-09-13 2014-12-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point based positioning
US8731536B2 (en) * 2010-10-07 2014-05-20 Cisco Technology, Inc. Automated LAC assignments for enterprise Femtos
JP2012209898A (ja) * 2011-03-30 2012-10-25 Sony Corp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5621B2 (en) 2014-06-06 2019-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uster-based beacon signal transmission
US10602425B2 (en) 2014-06-06 2020-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uster-based beacon signa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376B1 (ko) 2013-11-20
CN103327455A (zh) 2013-09-25
WO2013141535A1 (ko) 2013-09-26
CN103327455B (zh) 2016-04-20
US20130250932A1 (en) 2013-09-26
US9113449B2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376B1 (ko)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장치, 이 장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 접속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
US9794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gnitive radio coexistence
US11202206B2 (en) Managing resources in CBRS networks
KR101465639B1 (ko) 무선 통신들을 위해 스펙트럼을 결정하고 할당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2013437B1 (ko) 셀룰러 기반 단말간 직접통신의 스케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357269A1 (en) Server-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RU2756686C2 (ru) Способ сообщ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N104703234B (zh) 一种无线局域网中的接入切换方法及装置
KR20170014022A (ko) 서비스를 등록 및 발견하는 방법, 기기, 및 시스템
TW201233219A (en) Service-based approach to channel selection and network configuration for television white space networks
KR20110126359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WO2018034321A1 (ja) スライ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スライス管理方法
KR2015006233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인지 QoS 차별화된 단말 대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JP2015043537A (ja) 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WO2017181678A1 (zh) 授权频谱的终端化小小区配置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9386411B2 (en) Radio access system, controll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JP6071947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無線信号検知装置及びサーバー
KR101378243B1 (ko)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네트워크존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22382B1 (ko)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간 무선 접속 장치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522882A (ja) 共存的基地局の共存的タイムスロットの割当方法および共存的基地局
JP2018170713A (ja) 通信端末
KR20170127798A (ko) Ip 주소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2204737B1 (ko) 다운링크 정보 송신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KR102374032B1 (ko) 무선 인터넷 이동성 지원 방법 및 무선 인터넷 기반 이동성 지원 서버
WO2018131414A1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