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41493A1 -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 Google Patents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41493A1
WO2013141493A1 PCT/KR2013/001542 KR2013001542W WO2013141493A1 WO 2013141493 A1 WO2013141493 A1 WO 2013141493A1 KR 2013001542 W KR2013001542 W KR 2013001542W WO 2013141493 A1 WO2013141493 A1 WO 20131414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tor
weight
ground
moving space
watch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5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세익
최이삭
김지은
주헌수
박종현
이장춘
Original Assignee
Son Se I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on Se Ik filed Critical Son Se Ik
Publication of WO20131414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414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5/00Automatic winding up
    • G04B5/02Automatic winding up by self-winding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watch
    • G04B5/16Construction of the weights
    • G04B5/165Weights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한 무게 중심력을 통해서 지면을 향하여 움직임으로써 시계의 태엽이 감기도록 작동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터 회동의 반대방향인 지면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터가 지면을 향하여 빠르게 움직이도록 조장하는 회동유도부재를 구비하며, 이는 로터에 별도의 회동유도부재를 장착하여 자중에 의한 지면으로 향하는 무게 중심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로터의 작동력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기어로의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되게 유지함으로써, 태엽의 감김 반발력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 할지라도 와인더에 충분히 태엽을 감길 수 있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본 발명은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중에 의한 무게 중심력을 통해서 지면을 향하여 자동으로 움직이게 하는 일에 따라 발생하는 작용력을 받아서 시계의 태엽이 감기도록 작동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의 무브먼트란 시계가 작동하도록 하는 내부장치를 말하며, 전지를 동력으로 사용하여 시계의 바늘을 움직이는 방식의 쿼츠와 오직 기계적 부품으로만 시계를 움직이는 방식의 기계식 시계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시계는 태엽을 감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용두를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태엽을 감는 형태의 수동식과, 다른 하나는 손으로 직접 감을 수도 있지만 추가적으로 로터라는 부품을 착용함으로써 그의 움직이는 힘으로 태엽을 감는 형태의 오토매틱이 있다.
즉, 상기 오토매틱은, 시계를 작동하는 무브먼트에 장착되어서 작동할 때 발생되는 기울기에 따라 회동하는 로터로부터 동력을 얻어와 스스로 태엽을 감을 수 있는 힘을 얻어 가는 원리로서, 로터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태엽을 돌려주어 감는 방식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토매틱 방식인 로터(1)를 이용하여 시계의 태엽을 감는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로터(1)가 좌측 또는 우측의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후 그의 자중에 의한 무게 중심력이 작용하여 지면으로 하향 회동하게 함으로써 제1 기어(2)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기어(2)가 회전되면 그와 치합되어 있는 제2 기어(3)가 회전하게 되고, 그 다음 제2 기어(3)와 치합되어 있는 제3 기어(4)가 회전하여, 시계의 태엽을 감는 와인더(미도시)로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태엽을 감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로터(1)를 작동시킴으로써 시계의 태엽을 감을 때는,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 태엽의 감김 반발력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로터(1)의 작동이 느슨해져서 제1 기어(2)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서로 연동된 다른 기어들(3, 4)과 와인더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적어 태엽이 잘 감기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의 자중에 의한 지면으로 향하는 무게 중심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태엽의 감김 반발력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기어부로 충분히 회전력이 전달되어 태엽의 감김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있게 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중에 의한 무게 중심력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하여 움직임으로써 시계의 태엽이 감기도록 작동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는, 상기 로터 회동의 반대방향인 지면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터가 지면을 향하여 빠르게 움직이도록 조장하는 회동유도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상기 회동유도부재에 대한 일 실시예는, 상기 로터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1 고정핀과, 상기 제1 고정핀에 의해 상기 로터에 장착되되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무게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상기 회동유도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로터의 중앙부에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이동공간부와, 상기 제1 이동공간부의 범위 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2 무게추와, 상기 제2 무게추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상기 회동유도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로터의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제2 이동공간부와, 상기 제2 이동공간부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로터의 회동시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되, 상기 제2 이동공간부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반원형상의 제3 무게추와, 상기 제2 이동공간부의 전방부를 덮어씌워서 상기 제3 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막으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로터에 별도의 회동유도부재를 장착하여 자중에 의한 지면으로 향하는 무게 중심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로터의 작동력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기어들로의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되게 유지함으로써, 태엽의 감김 반발력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 할지라도 와인더에 충분히 태엽을 감길 수 있게 하는 힘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6은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정면도.
도7은 도 6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제1 기어 3: 제2 기어
4: 제3 기어 10: 로터
20: 회동유도부재 21: 제1 고정핀
22: 제1 이동공간부 23: 제1 무게추
24: 제2 무게추 25: 제2 이동공간부
26: 제2 고정핀 27: 제3 무게추
29: 이탈방지막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10)에는, 그의 자중에 의한 무게 중심력을 통해서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향하여 움직임으로써 시계의 태엽이 감기도록 작동하되, 로터(10)의 회동방향과 상관없이 항상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서 로터(10)가 지면을 향하여 빠르게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회동유도부재(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회동유도부재(20)는 로터(10) 회동의 반대방향인 지면을 향하여 항상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로터(10)가 지면을 향하여 빠르게 움직이도록 조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로터(10)에 회동유도부재(20)를 설치함으로써 자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향하는 무게 중심력이 증가되어 로터(10)의 작동력이 증가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터(10)의 작동력이 증가하게 되면, 그에 연결된 제1 기어(2)의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제2 기어(3) 및 제3 기어(4)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어 와인더(미도시)의 회전력을 증가시켜서 태엽(미도시)의 감김 반발력의 간섭에 상관없이 감김 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로터(10)에 설치되는 회동유도부재(20)에 대한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상기와 같이 로터(10)에 장착되는 회동유도부재(2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핀(21) 및 제1 무게추(2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핀(21)은 로터(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서 제1 무게추(23)를 지지하되, 제1 무게추(2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해준다.
상기 제1 무게추(23)는 제1 고정핀(21)에 의해 로터(10)에 장착되되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360°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핀(21)에 의해 로터(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무게추(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0)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방향으로 상향하여 회동한다 하더라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항상 지면을 향하여 있기 때문에 로터(10)가 더 빨리 하향 회동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로터(10)의 하향 회동력이 증가함으로써 제1 기어(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2 기어(3), 제3 기어(4) 및 와인더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하여 태엽의 간섭에 상관없이 와인더에 태엽이 더 빨리 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상기 로터(10)에 장착되는 회동유도부재(2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공간부(22), 제2 무게추(24) 및 제2 고정핀(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동공간부(22)는 로터(10)의 중앙부에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회동유도부재(2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유도부재(20)는 제한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이동공간부(22)를 통해서 회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지만, 그의 자중에 따른 무게 중심력은 항상 지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로터(10)가 지면을 향하여 회동하고자 하는 회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무게추(24)는 제1 이동공간부(22)의 범위 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제2 고정핀(26)을 통해서 로터(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고정핀(26)은 제1 이동공간부(22)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2 무게추(24)를 지지하되, 제2 무게추(24)가 제1 이동공간부(22)의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해준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핀(26)에 의해 로터(10), 즉 제1 이동공간부(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무게추(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0)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방향으로 상향하여 회동한다 하더라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항상 지면을 향하고자 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로터(10)가 더 빨리 하향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로터(10)의 하향 회동력이 증가함으로써 제1 기어(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2 기어(3), 제3 기어(4) 및 와인더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하여 태엽의 간섭에 상관없이 와인더에 태엽이 더 빨리 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3
상기 로터(10)에 장착되는 회동유도부재(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공간부(25), 제3 무게추(27) 및 이탈방지막(29)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는 로터(10)의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어서, 홈에 수용된 제3 무게추(27)의 이동을 한정된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회동되게 한다.
상기 제3 무게추(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이동공간부(25) 내에 수용되어서 로터(10)의 회동시 항상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되, 제2 이동공간부(25)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반원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3 무게추(27)는 제2 이동공간부(25)의 원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이 원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로터(10)가 좌측 또는 우측의 상향으로 회동한다 할지라도 항상 지면을 향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막(29)은 제2 이동공간부(25)의 전방부를 덮어씌우고 있으며, 그에 의해 로터(10)가 회동할 때 제3 무게추(27)가 제2 이동공간부(25)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무게추(2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0)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방향으로 상향하여 회동한다 하더라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항상 지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10)가 더 빨리 하향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로터(10)의 하향 회동력이 증가함으로써 제1 기어(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2 기어(3), 제3 기어(4) 및 와인더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하여 태엽의 간섭에 상관없이 와인더에 태엽이 더 빨리 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 내의 제3 무게추(27)는 액체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제3 무게추(27)가 액체 물질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와 이탈방지막(29)은 액체 물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자중에 의한 무게 중심력을 통해서 지면을 향하여 움직임으로써 시계의 태엽이 감기도록 작동하는 로터(10)는, 상기 로터(10) 회동의 반대방향인 지면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터(10)가 지면을 향하여 빠르게 움직이도록 조장하는 회동유도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도부재(20)는,
    상기 로터(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1 고정핀(21)과,
    상기 제1 고정핀(21)에 의해 상기 로터(10)에 장착되되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무게추(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도부재(20)는,
    상기 로터(10)의 중앙부에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이동공간부(22)와,
    상기 제1 이동공간부(22)의 범위 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2 무게추(24)와,
    상기 제2 무게추(24)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핀(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도부재(20)는,
    상기 로터(10)의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제2 이동공간부(25)와,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로터(10)의 이동시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되,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반원형상의 제3 무게추(27)와,
    상기 제2 이동공간부(25)의 전방부를 덮어씌워서 상기 제3 무게추(27)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막(2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PCT/KR2013/001542 2012-03-20 2013-02-26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WO20131414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86 2012-03-20
KR20120028186 2012-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493A1 true WO2013141493A1 (ko) 2013-09-26

Family

ID=4922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542 WO2013141493A1 (ko) 2012-03-20 2013-02-26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1414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5953A1 (fr) * 2020-02-17 2021-08-1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asse de remontage oscillante munie d'un element decoratif rotatif pour mouvement automatique d'une piece d'horlogeri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546A (ja) * 1997-11-05 1999-05-28 Seiko Epson Corp 電子時計
JP2000131461A (ja) * 1998-10-22 2000-05-12 Seiko Epson Corp 回転錘の製造方法、回転錘および時計
KR101016252B1 (ko) * 2003-02-04 2011-02-25 보쉐 마뉘빡뛰르 플뤠리에 에스.에이. 회전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546A (ja) * 1997-11-05 1999-05-28 Seiko Epson Corp 電子時計
JP2000131461A (ja) * 1998-10-22 2000-05-12 Seiko Epson Corp 回転錘の製造方法、回転錘および時計
KR101016252B1 (ko) * 2003-02-04 2011-02-25 보쉐 마뉘빡뛰르 플뤠리에 에스.에이. 회전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5953A1 (fr) * 2020-02-17 2021-08-1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asse de remontage oscillante munie d'un element decoratif rotatif pour mouvement automatique d'une piece d'horlogerie
WO2021164965A1 (fr) * 2020-02-17 2021-08-26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asse de remontage oscillante munie d'un element decoratif rotatif pour mouvement automatique d'une piece d'horlogerie
CN115087933A (zh) * 2020-02-17 2022-09-20 斯沃奇集团研究和开发有限公司 用于钟表的自动机芯的设有旋转装饰元件的上条摆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349A1 (ko)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WO2017030326A1 (ko) 내구성이 향상된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WO2015030300A1 (ko) 받침틀
WO2015126070A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WO2013141493A1 (ko) 시계 무브먼트의 로터
WO2013018943A1 (ko) 토크 구동 장치
WO2015160211A1 (ko) 완강기
WO2010147330A2 (ko) 줄 길이 조절장치
CN202068479U (zh) 底部可滚动的目标跟踪摄像头
CN102829299A (zh) 一种自适应正立装置
CN211434820U (zh) 逃生背包缓降装置的刹车机构
CN110743109A (zh) 逃生背包缓降装置的刹车机构
CN202409877U (zh) 高层建筑安全逃生器
CN212189143U (zh) 一种温湿度试验箱用防护结构
WO2015190683A1 (ko) 크랭크로 직접 구동되는 변속허브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CN113626887B (zh) 一种安全型计算机外接保护设备
CN214955224U (zh) 一种物联网网关设备的防火墙报警结构
CN112169197A (zh) 一种高楼火灾安全逃生装置
WO2016028053A1 (ko) 천장의 광고물 회전장치
CN103110326B (zh) 一种可作为逃生软梯的晾衣架
KR101359845B1 (ko) 방화셔터의 수동식 양방향 고정장치
CN217157775U (zh) 一种渔光互补的防水电缆结构
CN216671243U (zh) 一种光纤复合架空绝缘电缆
CN208684275U (zh) 一种塔吊附着式伸缩拉杆的平衡结构
KR102580347B1 (ko) 회전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639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639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