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33623A1 -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 Google Patents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33623A1
WO2013133623A1 PCT/KR2013/001796 KR2013001796W WO2013133623A1 WO 2013133623 A1 WO2013133623 A1 WO 2013133623A1 KR 2013001796 W KR2013001796 W KR 2013001796W WO 2013133623 A1 WO2013133623 A1 WO 20131336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mbrane
absorbent
film
bone
absorb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7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Kim Hyeong W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Hyeong Woo filed Critical Kim Hyeong Woo
Publication of WO20131336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336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membrane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induction of alveolar bon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non-absorbable membrane and an absorptive layer by laminating a shielding membrane used for a procedur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even if the gingival cells and the gingival epithelium are insuffic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which allows the transplanted alveolar bone to be well preserved without being lost or infected, and significantly prevents the penetration of gingival epithelial cells into the regeneration site.
  • FIG. 1 is a tissue chart showing the gums in a healthy state
  • Figure 2 is a tissue chart showing the gums of the alveolar bone damaged by various causes.
  • fractures such as damage or depression of the alveolar bone 10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periodontal disease or long-term neglect after tooth extraction or systemic disease.
  • the alveolar bone damaged by various causes is destroyed or reduced in volume as shown in FIG. 2.
  • the volume of the alveolar bone is destroyed or reduced, the alveolar bone causes many problems when implanting or denting the implant.
  • the alveolar bone lacking region 30 is generally performed alveolar bone regeneration, which is currently performed by the various alveolar bone regeneration is made by filling the damaged area with autologous bone, allogeneic bone or synthetic bone, etc. to induce bone formation.
  • the gingival connective tissue at the site where the regeneration is performed regenerates or grows faster than the bone tissue. If there is no shield,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fails because the regeneration of the alveolar bone does not proce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Accordingly, the shielding membrane is generally used to prevent the gingival connective tissue from penetrating into the implanted bone tissue.
  •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lveolar bone regeneration using a conventional shielding membrane
  • the conventional alveolar bone regeneration performed on the damaged area as shown in Figure 3 is a shielding membrane 50 between the graft bone 10 and the gum 20 ) Was surgically inserted to isolate the implanted bone from surrounding gum tissue.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bone graft implanted by the shielding film 50 from being lost into the oral cavity, regeneration of new alveolar bone can be induced smoothly.
  • the shielding membrane use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two types of membranes are mainly used, such as a resorbable membrane and a non-resorbable membrane.
  • the absorbent membrane is absorbed into the body after surgery and disappears naturally.
  • the shield does not disappear naturally after the tissue is regenerated, so there is a big difference that must be removed separately.
  • the absorbent shield used to induce tissue regeneration is convenient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separate removal procedure after the procedure.
  • the shield membrane dissolves little by little during bone regeneration, the shield is blocked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during bone regene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st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xhibit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necessary for securing the space.
  • the absorbent shield In addition, the most fatal drawback of the absorbent shield is that the periodontal tissue of the surgical site is insufficient to cover the absorbent shield sufficiently, or if the surgical sutures in the oral cavity are rapidly opened after surgery due to various other causes, Since the function as a shielding membrane is lost, the alveolar bone graft cannot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gingival tissue cannot be stably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graft space.
  • non-absorbent shielding membran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maintain the space secured for the minimum time (about 3 to 5 months) required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because of the lower cost and stronger structural strength than the absorbent shielding membrane.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sutures of the surgical site after the procedure, the barrier is exposed, and when the barrier is exposed, bacterial infection occurs between the gaps, which can easily cause inflammation, and inflammation is likely to spread to bone regeneration sites. Inflamma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failing the bone tissue regeneration procedure itself, so 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bsorbing membrane of the gingival epithelial cells as the gingival epithelial cell is a shielding membrane between the gingival valve and the implanted alveolar bone during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by combining the shielding membrane that is inserted during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with the laminated membrane combined It is easily adhered to the site, so that even if the seal is opened and the shielding film is exposed, the bio-friendly absorbent film bound to the non-absorbent film is not easily lost, thereby preventing the bone graft material from being lost into the oral ca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that can also block infections of humans.
  • the shielding film formed by stacking the non-absorbable film and the absorbent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ingival epithelium around the shielding film from penetrating into the implantation site by the non-absorbent film, so that sufficient space is maintained until the bone tissue can be regenerated. It is to provide a shielding membrane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induced to secure.
  • Bone tissu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ing membran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is cross-laminated and bonded to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one tissue regeneration induced membrane used in alveolar bone regeneration, non-absorbent membrane to provide a structural strength; It is laminated to the non-absorbent film and consists of an absorbent film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The non-absorbable membrane and the absorbent membrane are sequentially stacked alternately inserted between the gingiva valve and the graft during alveolar bone regenera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gingival epithelial cells to the graft site, and to maintain the space to induce the smooth production of new b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are mutually grafted by a biodegradable medical adhesive
  • the medical adhesive is cyanoacrylate adhesive, dermalin glue, gelatin glue and polyurethane, marine bioadhesive bone cement, fibrinogen any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 the adhesive may be applied in a grid or in isolated dots.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may be formed in the non-absorbent film, and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non-absorbent film to maintain a combined state of the absorbent film and the non-absorbent film without adhesive.
  • the non-absorbent film is preferably formed of titanium (Ti).
  • the absorbent film is preferably formed of a biodegradable polymer made of at least one natural polymer selected from collagen, fibrinogen, gelatin, cellulose, or hyaluronic acid.
  • the absorbent film is a polylactic acid, a stereo copolymer of polylactic acid, a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caprolactone, poly (autoester), polyphosphazene, absorbent ceramic material, polydexazone, Formed from biodegradable polymers consisting of a single polymer such as polyhydroxybutyric acid, a copolymer of hydroxybutyric acid and hydroxy valeric acid (P (HB-HV)), a polyester of succinic acid or a mixture or copolymers using them It is characterized by.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hielding membrane by cross-laminating the non-absorbable membrane and the absorbent membrane, and the barrier formed in this way is treated between the gingiva valve and the graft bone, there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gingival epithelial cells into the transplanted site and By preventing the infection is effectiv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 the effect of the shielding film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shielding film is exposed, so that the alveolar bone is excessively destroyed and requires a large amount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 a large amount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which was impossible due to lack of gingival tissue in the past, can be easily and stably performed.
  •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cross-laminating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obtaining a large number of alveolar bone and a large amount of attached gingiva.
  • 1 is a tissue diagram showing the alveolar bone in a healthy state.
  • FIG. 2 is a histogram showing the alveolar bone in a damaged state due to various causes.
  • Figure 3 is an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lveolar bone regeneration using a conventional shielding membrane.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film 450, the sealed non-absorbent film 410 and the non-absorbent film 420 formed through the h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one regeneration mask is inserted between the gingiva valve and graft bone during alveolar bone regeneration to prevent the gingival epithelial cell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graft while maintaining the space with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during alveolar bone regeneration period
  • the nonabsorbable films 410 and 420 that provide structural strength intersect the absorbent film 450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nd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nonabsorbable film. It is formed by laminating, and it is comprised by mutually combining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ptive film which were laminated
  • a mechanical bond may be induced between the absorbent film and the non-absorbent film without using an adhesiv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sorbent film, a sealed non-absorbent film, and a non-absorbent film having holes form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bsorbent film 450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absorbent film 420 in which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 the non-absorbent membrane may be completely enclosed or in the form of the through hole 22.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one membrane regeneration induced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ne membran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ing film 50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absorbent film 450 on one surface of the sealed non-absorbent film 410 as shown in FIG. 5.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one membran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bsorbent membrane 45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absorbent membrane 420 having the through hole 22 formed therein. Is done.
  • the shielding membrane use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biocompatible,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growth of tissues, and to block cells and bacteria with the exchange of substances such as nutrients.
  •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ase of trimming by scissors, strength that does not tear when sutured, and the like are required.
  • the hermetic non-absorbent film 410 and the non-absorbent film 420 formed with the through hole provide structural strength to the shielding film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have a natural latex (Latex), synthetic latex (Latex) having biocompatibility. ) Or Gore-Tex, or the like, but most preferably titanium (Ti).
  • the absorbent film 450 since the absorbent film 450 requires both biodegradability and biocompati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bent layer 450 be manufactured using a biodegradable polymer.
  • collagen, fibrinogen, gelatin, cellulose, hyaluronic acid, etc. may be used as the natural polymer among the biodegradable polymers.
  • the synthetic polymer in the biodegradable polymer polylactic acid, a stereo copolymer of polylactic acid, a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caprolactone, poly (autoester), polyphosphazene, absorbent ceramic Materials, polydexazone, polyhydroxybutyric acid, copolymers of hydroxybutyric acid and hydroxyvaleric acid (P (HB-HV)), polyesters of succinic acid, or mixtures or copolymers thereof may be used. .
  • the thickness of the non-absorbent film or the absorbent film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surgical site or the regeneration period.
  •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state by mutually bonding using a biodegradable medical adhesive (not shown).
  • the medical adhesive may be any one of cyanoacrylate adhesive, dermatlinglu, gelatin glue and polyurethane, marine bioadhesive bone cement, fibrinogen.
  • non-absorbent film 410 and 420 and one absorbent film 450 are configured to maintain a mutually bonded state by a medical adhesiv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may be alternately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depending on the regeneration period.
  •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may be bonded by a mechanical bond, not an adhesive.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bone membrane for induction of bone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one regeneration induced shielding membrane 700 is a sealed non-absorbent film 410 that provides a structural strength, as shown in Figure 7, the non-absorbent film is laminated and formed biodegradable
  • the absorbent film 450 includes a first absorbent film 450-1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non-absorbent film, and a second absorbent film stacked on a lower surface of the non-absorbent film. 450-2).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bone membran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ne membran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ing membrane 800 has a non-absorbent membrane 420 having a central through hole as shown in FIG. 8,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non-absorbent membrane 420.
  • the first absorbing film 450-1 and the second absorbing film 450-2 are laminated and bonded.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bone membran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on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ing membrane (900-A, 900-B)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entral absorbent film 450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s shown in Figure 9a and 9b
  • the first and second nonabsorbable films and the second nonabsorbable film are laminated and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bsorbent film to form a shielding film for indu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 the shielding film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bsorbent film 450.
  • the non-absorbent film 410-1 and the second non-absorbent film 410-2 are both shielded films 900-A composed of the hermetic non-absorbent film 410, o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layers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bsorbent film.
  • the non-absorbent film 420-1 and the second non-absorbent film 420-2 are both shielding films 900-B composed of the non-absorbent film 420 having the through holes 22 formed therein.
  • the shielding film 900-B formed of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in which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may be combined with a bio-type adhesive or biodegradable silk.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regeneration induction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ne side of the absorbent membrane 450 is combined with the hermetic non-absorbent membrane 410 having no through hole, as shown in FIG. 10, and the absorbent membran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is formed of a non-absorbent film 420, the through-hole 22 is formed.
  • the structure shown in FIGS. 9 to 10 is the most preferable structure.
  • the non-absorbent layer 410 or 420 is formed with the absorbent layer 450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 is a non-absorbent barrier layer, thereby preventing infection and infection. Even if this i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infection, if made as shown in Figure 10 blood supply from the bone tissue regeneration site is supplied to the absorbent membrane 450 through the through-hole 22 of the non-absorbent membrane 420, the through-hole 22 is formed
  • the absorbent membrane promotes the formation of the gingival tissue, thereby obtaining a large amount of adherent gingival tissue and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bone regeneration. This makes implant surgery easier and more convenient, and it is easy to overcome the lack of bone tissue.
  • FIG. 11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bone regeneration induced shield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non-absorbable and cross-laminated layers are formed.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ck of an absorbent film and a non-absorbent film having holes formed therebetween, and as shown in FIG. 11, a first hole having a through hole 22 formed on the first absorbent film 450-1.
  • the second non-absorbent film 420- is formed with the non-absorbent film 420-1 and the second absorbent film 450-2 and the through hole 22 are formed on the first non-absorbent film 420-1. 2) is stacked again to form one shielding film 1100.
  • the absorbent film 450 and the non-absorbent film 420 forming the shielding film 1100 may be maintained in a stable bonding state by a bonding line such as biodegradable silk connected with a biodegradable adhesive or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bsorbent film and the non-absorbent film are laminated at the intersection, but the non-absorbent film is laminated with the through hole and the non-absorbent film is alternately stacked.
  • the first absorbent film 450-1 is shown.
  • a first non-absorbent film 420-1 having a through hole 22 formed thereon is formed, and a second non-absorbent film 450-2 and a second ratio are formed on the first non-absorbent film 420-1.
  • the absorbent films 410-2 are combined in a stacked structure to form one shielding film 1200.
  • the second non-absorbent film can be coupled to the first absorbent film by a medical adhesive, unlike shown in FIG.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bsorbent film and the non-absorbent film are laminated at the intersection based on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non-absorbent film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other is not stacked.
  • a first absorbent film 450-1 is stacked on the first non-absorbent film 420-1, and a sealed second non-absorbent film ( 410-2 and the second absorbing film 450-2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one shielding film 1300.
  • the first non-absorbent film is coupled by a coupling line which is inter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second non-absorbent film and the second absorbent film is to be maintained in a mutually bonded state by a medical adhesive.
  • a non-absorbent film and an absorbent film are cross-laminated to form one shielding film, and the shielding film thus formed is treated between the gingiva valve and the graft bone, thereby regenerating a large amount of alveolar bone, which has been difficult in the past.
  • a large amount of attached gingiva can be obtained, and the success rate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gingival epithelial cells into the transplantation site and preventing infection by bacteria.
  • the absorbing film and the non-absorbing film can be sequentially stacked in a larger number as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cross-lamination.
  •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may be mutually bonded by a medical adhesive, as well as to form a through hole in the non-absorbent film,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mutual coupling by a coupling line through the through hole.
  • the effect of the shielding film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shielding film is exposed, so that the alveolar bone is excessively destroyed and requires a large amount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 a large amount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which was impossible due to lack of gingival tissue in the past, can be easily and stably performed.
  •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cross-laminating the non-absorbent film and the absorbent film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obtaining a large amount of alveolar bone and a large amount of adhered gingiv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의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 재생을 위한 시술에 이용되는 차폐막을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을 적층 결합하여 형성함으로써, 치은결합세포 및 치은상피가 많이 부족하더라도 이식한 치조골이 유실되거나 감염되지 않고 잘 보존될 수 있게 하며, 치은상피세포가 재생부위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치조골 재생술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게 한 골조직 재생 유도용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본 발명은 치조골의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 재생을 위한 시술에 이용되는 차폐막을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을 적층 결합하여 형성함으로써, 치은결합세포 및 치은상피가 많이 부족하더라도 이식한 치조골이 유실되거나 감염되지 않고 잘 보존될 수 있게 하며, 치은상피세포가 재생부위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치조골 재생술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게 한 골조직 재생 유도용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건강한 상태의 잇몸을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2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치조골이 손상된 상태의 잇몸을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일반적으로 치조골(10)의 손상이나 함몰 같은 파괴양상은 치주질환이나 치아 발치 후 장기간 방치, 또는 전신질환 등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해 손상되는 치조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괴되거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렇게 치조골의 부피가 파괴되거나 줄어든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틀니 제작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에 따라, 치조골이 부족한 부위(30)에 일반적으로 치조골 재생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여러 치조골 재생술은 자가골이나 동종골 또는 합성골 등으로 손상된 부위를 채워서 골 형성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치조골 재생술시 재생술이 시행되는 부위에 있는 치은 결합조직이 골조직보다 빨리 재생되거나 성장하게 되어, 차폐막이 없을 경우에는 이식한 골조직 내로 침투하게 되기 때문에 치조골 재생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여 치조골 재생술을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시술부위에서 치은 결합조직이 이식한 골 조직 내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폐막을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차폐막을 이용한 치조골 재생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된 부위에 이루어지던 종래의 치조골 재생술은 이식골(10) 부위와 잇몸(20) 사이에 차폐막(50)을 외과적으로 삽입시켜 이식한 골을 주위의 잇몸 조직으로부터 격리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 그에 따라, 차폐막(50)에 의해 이식한 골이 구강내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새로운 치조골의 재생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즉, 차폐막(50)을 이용하여 치조골의 이식부위를 다른 주위 환경으로부터 차단시킴으로써 치은섬유아세포가 침입하지 못하게 하여 이식한 재료인 골이 보호될 수 있게 하여 치조골의 골조직으로 재생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치조골 재생술에 이용되는 차폐막으로는 흡수성 차폐막(Resorbable membrane)과 비흡수성 차폐막(Non-resorbable membrane)의 두 종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흡수성 차폐막은 수술 후 인체에 흡수되어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반면, 비흡수성 차폐막은 조직이 재생되고 난 후에도 자연스럽게 없어지지 않으므로 별도로 제거해 주어야 하는 큰 차이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 재생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흡수성 차폐막은 시술 후 별도의 제거수술이 불필요한 편리한 점이 있지만, 골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안 차폐막이 조금씩 녹아서 사라지기 때문에 골 재생이 이루어지는 충분한 기간동안 차폐를 위한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공간확보를 위해 필요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으로는 수술한 부위의 치주 조직이 부족하여 충분히 흡수성 차폐막을 덮지 못하거나, 다른 여러 원인에 의해 수술 후 빠른 시간 안에 구강 내의 수술 봉합 부위가 벌어질 경우 급격히 소실됨으로써 차폐막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치조골 이식재가 구강내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함과 아울러, 치은 조직이 이식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막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비흡수성 차폐막은 흡수성 차폐막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골조직이 재생되는데 필요한 최소의 시간 동안(약 3~5개월) 공간 확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술 후 수술부위의 봉합면 사이에 틈이 생길 경우 차폐막이 노출되게 되고, 이처럼 차폐막이 노출되었을 때 그 틈 사이로 세균 감염이 이루어져 염증이 쉽게 유발될 수 있으며, 염증이 골재생 부위로 확산되기 쉽고 이러한 염증으로 인하여 골조직 재생시술 자체를 실패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비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술 부위의 봉합면이 충분한 긴장도 없이 피개되어야 골조직 재생이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한 번의 시술로 치조골을 재생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조골 재생 시술시 삽입되는 차폐막을 비흡수성과 흡수성막을 적층 결합한 차폐막을 치조골 재생 시술시 치은판막과 이식한 치조골 사이에 차폐막으로 시술함으로서 치은 상피세포가 차폐막의 흡수성막 부위에 쉽게 유착되게 하여 만일 봉합부위가 벌어져 차폐막이 노출될 경우에도 비흡수성막에 결합되어 있는 생체 친화적인 흡수성막이 쉽게 유실되지 않아 골 이식재가 구강 내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실된 부위로의 감염도 차단할 수 있게 한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적층 결합되어 형성된 차폐막에서 비흡수성막에 의해 차폐막 주변의 치은상피가 이식 부위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골조직이 재생될 수 있는 기간까지 충분한 공간의 유지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한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은,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차 적층되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술에 이용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에 있어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비흡수성막; 상기 비흡수성막에 적층 형성되며 생분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성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대로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진 차폐막이 치조골 재생술시 치은 판막과 이식골 사이에 삽입되어 치은 상피세포의 이식골 부위로의 이동을 저지시키고, 공간을 유지시켜 신생골의 원활한 생성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은 생체 분해성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접찹되며, 상기 의료용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접착제, 피부린글루, 젤라틴글루 및 폴리우레탄계, 해양 생체 접착제 골시멘트, 피브리노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흡수성막과 비흡수성막을 결합시킬때 접착제를 비흡수성막 전체면에 도포하는 것보다는 일부면에만 중간 중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격자모양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격리된 점상들로 도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막에는 다수의 통공(22)들이 형성 될 수 있고, 상기 비흡수성막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을 관통하여 접착제 없이 흡수성막과 비흡수성막의 결합상태를 유지 할 수도 있다.
상기 비흡수성막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수성막은 콜라겐, 피브리노겐, 젤라틴, 셀룰로오즈, 또는 히알루론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성막은 폴리락트산, 폴리락트산의 스테레오코폴리머, 락트라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오토에스테르), 폴리포스파젠, 흡수성 세라믹 소재, 폴리덱사존,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과 하이드록시발레르산의 공중합체(P(HB-HV)),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단일 고분자나 이들을 이용한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들의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을 교차 적층하여 하나의 차폐막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차폐막을 치은판막과 이식골 사이에 시술함으로써, 이식부위로의 치은 상피세포의 침투를 예방하고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여 치조골 재생술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차 적층되어 형성된 차폐막을 이용할 경우 차폐막이 노출되더라도 차폐막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치조골이 과도하게 파괴되어 많은 양의 치조골 재생을 요하는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 과거에는 차폐막을 피개할 수 있는 치은 조직의 부족으로 불가능하였던 많은 양의 치조골 재생시술도 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차 적층되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폐막을 이용할 경우 많은 치조골과 많은 양의 부착치은을 동시에 얻는 효과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건강한 상태의 치조골을 나타내는 조직도.
도 2는 여러 원인에 의해 손상된 상태의 치조골을 나타내는 조직도.
도 3은 종래의 차폐막을 이용한 치조골 재생술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막(450), 밀폐형 비흡수성막(410) 및 통공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은 치조골 재생술시 치은 판막과 이식골 사이에 삽입되어 치은 상피세포가 이식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치조골 재생 기간 동안 충분한 기계적 강도로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식한 치조골의 유실을 방지하며 감염방지를 위한 차폐막으로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비흡수성막(410,420)과, 상기 비흡수성막의 일면에 적층 형성되며 생분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성막(450)을 교차 적층하여 형성되며, 교차 적층된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흡수성막과 비흡수성막 사이에 접착제를 사용치 않고 기계적 결합을 유도할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막과, 밀폐형 비흡수성막 및 통공이 형성된 비흡수성막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흡수성막(450)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통공이 없는 밀폐형 비흡수성막(410)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c)는 통공(22)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비흡수성막은 완전 밀폐형이거나 통공(22)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비흡수성막(410)의 일면에 흡수성막(4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600)은 도6의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22)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의 일면에 흡수성막(4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재생술에 이용되는 차폐막은 생체친화성이어야 함은 물론이며, 조직의 성장을 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영양분 등의 물질 교류와 함께 세포 및 세균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며, 막의 외측을 따라 증식하는 상피에 대한 억제기능 등의 구조적 조정과 함께 가위에 의한 마름질(트리밍)의 용이성, 봉합시에 찢어지지 않는 강도 등과 같은 물성 및 소재의 적합성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밀폐형 비흡수성막(410)과 통공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차폐막에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생체 적합성을 갖는 천연 라텍스(Latex), 합성 라텍스(Latex) 또는 고어텍스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티타늄(Ti)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성막(450)은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모두 요구되므로,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중 천연 고분자로는 콜라겐, 피브리노겐, 젤라틴, 셀룰로오즈, 히알루론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중 합성 고분자로는 폴리락트산, 폴리락트산의 스테레오코폴리머, 락트라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오토에스테르), 폴리포스파젠, 흡수성 세라믹 소재, 폴리덱사존,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과 하이드록시발레르산의 공중합체(P(HB-HV)),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단일 고분자나 이들을 이용한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비흡수성막이나 흡수성막의 두께는 수술 부위의 공간 확보나 재생기간에 따라 적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은 생체 분해성 의료용 접착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용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접착제, 피부린글루, 젤라틴글루 및 폴리우레탄계, 해양 생체 접착제 골시멘트, 피브리노겐 중 어느 하나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 도 6에서는 하나의 비흡수성막(410,420)과 하나의 흡수성막(450)이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술 부위의 공간 확보나 재생기간에 따라 상기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을 여러 겹으로 교차하여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은 접착제가 아닌 기계적 결합에 의해 결합시킬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밀폐형 비흡수성막(410)과, 상기 비흡수성막에 적층 형성되며 생분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성막(450)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수성막은 상기 비흡수성막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흡수성막(450-1)과, 상기 비흡수성막의 하면에 적층되는 제2흡수성막(450-2)으로 구성되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800)은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중앙의 통공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과, 상기 비흡수성막(420)의 상면과 하면에 적층 결합되는 제1흡수성막(450-1) 및 제2흡수성막(450-2)으로 구성되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900-A,900-B)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분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중앙의 흡수성막(450)과, 상기 흡수성막의 상면과 하면에 제1비흡수성막과 제2비흡수성막이 적층 결합되어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을 구성하며, 상기 차폐막은 흡수성막(450)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하는 제1비흡수성막(410-1)과 제2비흡수성막(410-2)이 둘 다 밀폐형 비흡수성막(410)으로 구성된 차폐막(900-A)이거나, 흡수성막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하는 제1비흡수성막(420-1)과 제2비흡수성막(420-2)이 둘 다 통공(22)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으로 구성된 차폐막(900-B)이다. 이때 통공(22)이 형성된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으로 이뤄진 차폐막(900-B)은 생체형 접착제나 생체 분해성 실크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1000)은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흡수성막(450)의 한 면은 통공이 없는 밀폐형 비흡수성막(410)과 결합되고, 흡수성막의 다른 한 면은 통공(22)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위와 같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조는 가장 바람직한 구조로써, 비흡수성막(410 or 420)이 흡수성막(45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됨으로써 이중으로 비흡수성 차단막이 있어 감염 예방과 아울러, 감염이 됐다 하더라도 감염 확산을 방지하게 되며, 도 10과 같이 이루어진 경우 골조직 재생부위로부터 혈액공급이 통공(22)이 형성된 비흡수성막(420)의 통공(22)을 통해 흡수성막(450)으로 공급됨으로써, 흡수성막이 치은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촉진하게 되어 많은 양의 부착치은조직을 얻게 되고 골재생술의 성공률을 높이게 된다. 이로 인해 임플란트 수술 또한 쉽고 편하며, 골조직이 부족한 부위를 극복하기 쉽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제7실시예에서는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의 교차 적층된 층이 다수 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탄낸다.
먼저, 도 11은 흡수성막과 통공이 형성된 비흡수성막이 교차로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수성막(450-1)의 상부에 통공(22)이 형성된 제1비흡수성막(42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비흡수성막(420-1)의 상부에 제2흡수성막(450-2)과 통공(22)이 형성된 제2비흡수성막(420-2)이 다시 적층 형성되어 하나의 차폐막(1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차폐막(1100)을 형성하는 흡수성막(450)과 비흡수성막(420) 상호간은 생체분해성 접착제로 결합되거나 통공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생체 분해성 실크와 같은 결합선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흡수성막과 비흡수성막이 교차로 적층되되 비흡수성막은 통공이 형성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다시 교차로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수성막(450-1)의 상부에 통공(22)이 형성된 제1비흡수성막(42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비흡수성막(420-1)의 상부에 제2흡수성막(450-2)과 제2비흡수성막(410-2)이 다시 적층된 구조로 결합되어 하나의 차폐막(12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비흡수성막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흡수성막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은 비흡수성막을 기초로 하여 흡수성막과 비흡수성막이 교차로 적층됨에 있어, 비흡수성막은 통공이 형성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교차로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22)이 형성된 제1비흡수성막(420-1)의 상부에 제1흡수성막(450-1)이 적층되고, 상기 제1흡수성막(450-1)의 상부에는 밀폐형 제2비흡수성막(410-2)과 제2흡수성막(450-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차폐막(13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비흡수성막은 통공을 관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결합선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비흡수성막과 제2흡수성막은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을 교차 적층하여 하나의 차폐막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차폐막을 치은판막과 이식골 사이에 시술함으로써, 과거에는 어려웠던 많은 양의 치조골을 재생 시킬 수 있고, 많은 양의 부착치은을 얻을 수 있으며, 이식부위로의 치은 상피세포의 침투를 예방하고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여 치조골 재생술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교차 적층과 관련하여 필요에 따라 흡수성막과 비흡수성막은 더 많은 수로 순차 적층시킬수 있다.
이때,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은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될 수 있음은 물론, 비흡수성막에 통공을 형성한 후 이러한 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선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 또한 성공률이 높아지고, 쉬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차 적층되어 형성된 차폐막을 이용할 경우 차폐막이 노출되더라도 차폐막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치조골이 과도하게 파괴되어 많은 양의 치조골 재생을 요하는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 과거에는 차폐막을 피개할 수 있는 치은 조직의 부족으로 불가능하였던 많은 양의 치조골 재생시술도 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상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심고자 할 때 치조골이 풍부하고 치은 중에서 부착치은(attached gingiva)이 많이 존재할수록 시술후의 예후가 좋은 것이 일반적이었는바, 임플란트 시슬시 치조골이 과도하게 부족하거나 부착치은이 무치악 상태에서 아주 적은 양만 존재할 경우에는 기존의 차폐막을 이용한 시술로는 극복하기가 아주 어려웠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차 적층되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폐막을 이용할 경우 많은 치조골과 많은 양의 부착치은을 동시에 얻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치조골 재생술에 이용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에 있어서,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이 교차 적층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은 생체 분해성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의료용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접착제, 피부린글루, 젤라틴글루 및 폴리우레탄계, 해양 생체 접착제 골시멘트, 피브리노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막에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 상호간은 생체 분해성 실크로 결합되어 적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막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막은 콜라겐, 피브리노겐, 젤라틴, 셀룰로오즈, 또는 히알루론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막은 폴리락트산, 폴리락트산의 스테레오코폴리머, 락트라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오토에스테르), 폴리포스파젠, 흡수성 세라믹 소재, 폴리덱사존,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과 하이드록시발레르산의 공중합체(P(HB-HV)),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단일 고분자나 이들을 이용한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들의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막의 상하에 위치하는 비흡수성막은 통공이 형성된 것과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이 교차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PCT/KR2013/001796 2012-03-06 2013-03-06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WO20131336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58A KR20130101872A (ko) 2012-03-06 2012-03-06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KR10-2012-0022958 2012-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623A1 true WO2013133623A1 (ko) 2013-09-12

Family

ID=4911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796 WO2013133623A1 (ko) 2012-03-06 2013-03-06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01872A (ko)
WO (1) WO20131336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0647A (zh) * 2019-04-25 2020-10-30 深圳兰度生物材料有限公司 可吸收屏障膜及其制备方法
EP4268854A1 (fr) * 2022-04-28 2023-11-01 Joseph Nammour Dispositif de regeneration osseuse guidee en titane et procede de fabr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049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663625B1 (ko) * 2014-05-21 2016-10-10 강호창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86846A1 (ko) * 2014-06-02 2015-12-10 장재우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KR101667390B1 (ko) * 2014-11-21 2016-10-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 의료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차단막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10837A1 (ko) * 2015-07-16 2017-01-19 김형우 의료용 차폐막
KR101772861B1 (ko) * 2016-03-28 2017-08-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고분자 재생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4907B1 (ko) * 2017-08-08 2019-04-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콜라겐층이 적층된 복합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8263B1 (ko) * 2018-07-31 2019-01-14 강호창 치과용 이중구조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WO2021060597A1 (ko) * 2019-09-26 2021-04-01 정록영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 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148A (ja) * 1993-02-01 1994-10-11 Axel Kirsch カバー膜
WO1999029254A1 (en) * 1997-12-10 1999-06-17 Douglas Alan Schappert Integrated guided-tissue-regeneration barrier for root-form dental implants
KR20010027979A (ko) * 1999-09-17 2001-04-06 오석송 치주조직 재생막
KR20070088477A (ko) * 2005-12-16 2007-08-29 히데사토 하라 히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치과재료 및 복합치과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148A (ja) * 1993-02-01 1994-10-11 Axel Kirsch カバー膜
WO1999029254A1 (en) * 1997-12-10 1999-06-17 Douglas Alan Schappert Integrated guided-tissue-regeneration barrier for root-form dental implants
KR20010027979A (ko) * 1999-09-17 2001-04-06 오석송 치주조직 재생막
KR20070088477A (ko) * 2005-12-16 2007-08-29 히데사토 하라 히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치과재료 및 복합치과재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0647A (zh) * 2019-04-25 2020-10-30 深圳兰度生物材料有限公司 可吸收屏障膜及其制备方法
EP4268854A1 (fr) * 2022-04-28 2023-11-01 Joseph Nammour Dispositif de regeneration osseuse guidee en titane et procede de fabrication
WO2023208968A1 (fr) * 2022-04-28 2023-11-02 Develop Dispositif de régénération osseuse guidée en titan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72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3623A1 (ko)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US20180360585A1 (en) Composite soft tissue repair material stable in repair area
EP0560934B2 (en) Implantable bioabsorbable article
KR100860896B1 (ko) 생흡수성 상처 드레싱
CA1066579A (en) Composite dressing
Gentile et al. Polymeric membranes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Dougherty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alloplastic implants in orbital floor reconstruction: an animal model
US5092884A (en) Surgical composite structure having absorbable and nonabsorbable components
US9364215B2 (en) Medical device package
Bartee Polytetrafluoroethylene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EP2039311A1 (en) Orthopaedic Bone Plate and Spacer
US20130288199A1 (en) Composite regeneration membrane
JP2005537909A5 (ko)
AU2008223582A1 (en) Medical device package
KR100564366B1 (ko) 나노 섬유형 부직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차폐막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384826A (zh) 一种由羊骨膜脱细胞基质制备的口腔引导骨再生膜及其制备方法
DE102007063214B4 (de) Flächiges Implantat, insbesondere zur Hernienversorgung
CN210811770U (zh) 一种用于植入物的可吸收塑性屏障
JP4546772B2 (ja) 剥離シート付き癒着防止材
WO2021060597A1 (ko)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 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KR100341243B1 (ko) 조형기능성 약물함유 차폐막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186846A1 (ko)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WO2017010837A1 (ko) 의료용 차폐막
RU2709723C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костной ткани челюстей
Schulze‐Späte et al. Sinus Augmentation Using Tissue‐Engineered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73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0/03/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573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