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25770A1 - 수상용 레저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상용 레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25770A1
WO2013125770A1 PCT/KR2012/009634 KR2012009634W WO2013125770A1 WO 2013125770 A1 WO2013125770 A1 WO 2013125770A1 KR 2012009634 W KR2012009634 W KR 2012009634W WO 2013125770 A1 WO2013125770 A1 WO 20131257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isure
water
seating
leisu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6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에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박스 filed Critical (주)에어박스
Publication of WO20131257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257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07Trolling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나, 강, 저수지 등 수상에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구조물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낚시, 물놀이, 식사 등을 할 수 있도록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측에 활동공간이 형성된 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용 레저 구조물
본 발명은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나, 강, 저수지 등 수상에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구조물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낚시, 물놀이, 식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를 이용한 수상 레저기구는 고무보트나 에어매트, 고무튜브 등이 있으며, 이러한 수상 레저기구는 모두 공기를 주입시켜 물이나 야외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고무보트는 물에서 타고 즐기는 것으로, 고무보트의 특성상 고무보트 위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고기를 구워먹는 등의 식사를 하지 못하는 등 제한을 받게 되고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에어매트는 통상 야영을 할 때 간이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에어의 누출에 대한 안전의 문제가 확실하지 않아 물에서는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고, 물에서 장시간 사용하는데 제한을 받게 되어 에어매트 위에서 장시간 휴식을 취하거나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무튜브는 비교적 안전한 풀장이나 물이 얕은 곳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 또한 휴식 및 음식 등을 섭취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물놀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상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고기 등을 구워먹는 등의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제품들이 없었다.
한편, 수상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취사를할 수 있도록 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13856호 "수상 가옥"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10-1013856호는 수상에 부상하는 부구의 상부에 다수개의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어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 상판의 상부의 공간에 사람이 들어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가옥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수상가옥은 바다나 호수 및 낚시터에 설치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하는것으로, 휴대 및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물을 에어튜브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분해시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중앙 상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이 공간에 테이블 등을 비치함으로써, 수상에 떠 있는 구조물에서 음식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공간 상부를 가리는 파라솔을 구비함으로써, 수상에서 구조물에 탑승 후 휴식을 취할 때 햇빛을 차단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구조물에 엔진을 탑재할 수 있도록 엔진 거치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상에서 신속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물에서 낚시를 즐기거나 수영을 하는 등 다양한 물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측에 활동공간이 형성된 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제1에어주입구가 형성된 바닥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부의 바닥부재 상부에 형성되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게 활동공간이 형성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는 활동공간과 연통되는 제1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제2에어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활동공간에는 착석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착석부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져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착석면이 형성되어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활동공간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착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재에는 제3에어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는 보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는 본체와 착석부의 착석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본체의 제1통로와 연통되는 제2통로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제4에어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활동공간에는 탁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가려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라솔은 본체부의 본체 외주면에 설치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설치고정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의 본체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여러 쌍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속 고정되되,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되, 상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설치바와, 상기 설치바의 절곡 형성된 상부 끝단부가 결속되는 고정관이 형성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파라솔이 설치되는 거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 상기 본체부에는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거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엔진거치부는 바닥부의 바닥부재로부터 본체부의 본체가 편심되게 설치되어 간격이 바닥부재와 본체의 간격이 좁은 위치에 탈착되게 엔진거치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바닥부재와 본체부의 본체는 서로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바닥부재의 상부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물을 에어튜브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분해시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앙 상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이 공간에 테이블 등을 비치함으로써, 수상에 떠 있는 구조물에서 음식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의 공간 상부를 가리는 파라솔을 구비함으로써, 수상에서 구조물에 탑승 후 휴식을 취할 때 햇빛을 차단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물에 엔진을 탑재할 수 있도록 엔진거치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상에서 신속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에서 낚시를 즐기거나 수영을 하는 등 다양한 물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을 보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은 수면 위로 부상되도록 부력을 가지는 바닥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진 바닥부재(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재(110)는 원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각판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바닥부재(112)의 내측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제1에어주입구(11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부재(112)의 내측에는 제1에어주입구(114)로 주입된 에어의 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에 서로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섬유사(116)가 구비된다.
즉, 상기 섬유사(116)는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에 양끝단부가 각각 고정되도록 하여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열융착 등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 바닥부재(112)는 제1에어주입구(114)로 에어가 공급될 때 바닥부재(112)의 내부 특정부위로 에어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재(112)의 내측으로 에어가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공급되어 바닥부재(112)는 평평한 원판형상을 유지하게 되어 물에 떠 있을 때 안정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내측에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는 내측에 에어가 주입되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고, 바닥부재(11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2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212)는 내측에 사람이 활동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활동공간(214)이 형성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212)의 일측부에는 활동공간(214)과 연통되는 제1통로(216)가 형성되고, 본체(212)의 외측면에는 에어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제2에어주입구(2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12)의 내측에는 제2에어주입구(218)로 주입된 에어의 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외측원단과 내측원단에 서로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섬유사(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12)의 내측부에 섬유사(220)를 구비함으로써, 바닥부재(112)에 구비된 섬유사(116)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의 본체(212) 내측에는 사람이 착석하여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는 착석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착석부(31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져 본체(212)의 내주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바닥부재(1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착석부재(3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착석부재(31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평면의 착석면(314)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에어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3에어주입구(31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착석부재(312)의 내측에는 제3에어주입구(316)로 주입된 에어의 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에 서로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섬유사(3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착석부재(312)의 내측에 섬유사(318)를 구비함으로써, 바닥부재(112)에 구비된 섬유사(116)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착석부재(312)의 설치는 본체(212)에 내측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원통형상의 본체(212)를 형성한 후 착석부재(312)를 에어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12)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착석부재(312)는 에어주입에 의해 링 형상을 형성하면서 본체(212)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착석부재(312)는 바닥면 또는 외측면에 벨크로테이프 등 접착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고, 착석부재(312)에 구비된 접착 고정수단에 대응되게 바닥부재(112)나 본체(212)에 접착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착석부재(312)의 설치시 착석부재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12)의 활동공간(214) 중앙부에 위치시키되, 바닥부재(112)의 상부에 안착되는 탁자(4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착석부재(312)에 사람이 착석한 상태로 레저 및 휴식을 취하면서 음식 등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석부(310)를 설치하지 않고 분체부(20)의 바닥에 앉은 상태로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은 바닥부재(112)와 본체(212) 및 착석부재(312)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말거나 접은 상태에서 바다나 호수 등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닥부재(112)의 제1에어주입구(114)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하고, 본체(212)의 제2에어주입구(218)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바닥부재(112) 및 본체(212)는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는 부력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212)의 내측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착석부재(312)를 위치시키고, 제3에어주입구(316)로 에어를 주입시키게 되면 착석부재(312)의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면서 링 형상을 갖추게 되어 착석할 수 있는 의자 형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착석부재(312)에 에어를 주입시켜 링 형상이 될 때 착석부재(312)의 외측면이 본체(212)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부재(112)와 본체(212) 및 착석부재(312)에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수상에서 휴식 및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이 설치가 완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체(212)의 측부에 형성된 제1통로(216)를 통하여 탑승하여 착석부재(312)에 착석하여 수상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석부재(312)를 설치하지 않고,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에 위치한 바닥부재(112)의 상부에 착석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레저를 즐길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에 탁자(410)를 구비함으로써, 탁자(410)에 음료수 등을 올려놓거나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어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에서 휴식 및 레저를 즐기면서 음식 등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에서 휴식 및 레저를 즐긴 후에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을 철거 및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을 설치할 때와 반대로 착석부재(312)에 주입된 에어를 배출시킨 후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본체(212) 및 바닥부재(112)에 주입된 에어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게 되면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을 말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을 접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 후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에서 휴식 및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은 전체가 에어를 주입하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상에서 떠 있을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수상에서 레저 및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2)의 내주면과 착석부재(312)의 외주면 사이에는 본체(21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강부(5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510)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가 개방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보강부재(5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보강부재(512)는 본체(212)에 형성된 제1통로(216)와 대응되게 일측부에 제2통로(514)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4에어주입구(51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512)의 내측에는 제4에어주입구(516)로 주입된 에어의 압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외측원단과 내측원단에 서로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섬유사(5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512)의 내측부에 섬유사(518)를 구비함으로써, 바닥부재(112)에 구비된 섬유사(116)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12)는 착석부재(312)를 설치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본체(212)의 내측부에 설치되게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본체(212)의 내측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원통형상이 되도록 형성한 후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보강부재(512)를 본체(212)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보강부재(512)의 내측으로 에어가 공급되면서 본체(212)의 내주면과 보강부재(512)의 외측면이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2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부재(512)를 더 구비함으로써, 본체(212)의 내주면을 지지하게 되어 착석부재(312)에 착석한 사람이 본체(212)에 기대게 되더라도 본체(212)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휴식 및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12)에 본체(212)의 제1통로(216)와 동일한 위치에 제2통로(514)가 형성되어 사람이 안전하게 타고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의 상부를 가려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61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라솔(610)은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에 구비된 탁자(410)의 중앙부에 결속공(412)이 형성되고, 이 결속공(412)에 파라솔(610)을 결속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의 상부를 가리는 파라솔(610)을 더 구비함으로써,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에 그늘을 형성하여 편안하게 휴식 및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라솔(610)은 본체(212)의 외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고정구(230)가 형성되고, 이 설치고정구(230)에 파라솔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212)의 외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설치고정구(230)에 파라솔(610)을 설치함으로써, 본체(212)의 활동공간(214)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의 본체(212) 외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게 동축상에 위치되게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본체(212)의 외주면에 여러 쌍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부재(6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620)에는 일측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622a)이 형성된 결속부재(62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결속부재(622)에 형성된 관통공(622a)에 결속되되,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바(6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설치바(624)의 상부 끝단부가 결속 고정되게 하부에 고정관(626a)이 형성된 설치판(6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626)의 하부에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파라솔(610)이 설치되는 거치봉(62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파라솔(610)을 본체부(210)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하되, 다수개의 설치바(624)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안전하게 파라솔(610)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라솔(610)을 펼치거나 접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설치바(624)의 파라솔(61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조작하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되고, 이 핸들과 파라솔(610)은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이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권취되거나 플리는 동작에 의해 파라솔(610)이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에는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거치부(7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거치부(710)는 바닥부재(112)로부터 본체(212)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비되고, 이 본체(212)가 편심되게 설치되어 바닥부재(112)의 외측부와 간격이 좁아진 본체(5212)의 위치에 엔진(720)이 거치되는 엔진거치대(7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에 엔진거치대(712)가 구비되고, 이 엔진거치대(712)에 엔진(720)을 거치함으로써, 수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거치대(712)에 엔진(720)을 거치함으로써,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을 모터보트로 활용하여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10)의 바닥부재(112)와 본체부(210)의 본체(212)는 서로 분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재(112)의 상부에는 본체(212)가 안착되는 위치와 본체(212)의 하단부 각각에는 벨크로테이프(8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조 구조물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212)를 바닥부재(112)의 상부에 벨크로테이프(81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12) 및 착석부재(312), 그리고 보강부재(512)를 모두 분리시킨 후 바닥부재(112)를 바닥부재(112)의 상부로부터 모두 분리시키고 물놀이용 튜브 또는 취침용 매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레저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부력을 가지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측에 활동공간(214)이 형성된 본체부(2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 제1에어주입구(114)가 형성된 바닥부재(1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바닥부(110)의 바닥부재(112) 상부에 형성되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게 활동공간(214)이 형성된 본체(21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12)의 일측부에는 활동공간(214)과 연통되는 제1통로(216)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212)에는 제2에어주입구(2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의 활동공간(214)에는 착석부(3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310)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져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착석면(314)이 형성되어 본체부(210)의 본체(212)에 형성된 활동공간(214)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착석부재(312)가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재(312)에는 제3에어주입구(3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의 내주면에는 보강부(5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져 구조물(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510)는 본체(212)와 착석부(310)의 착석부재(312)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512)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512)는 본체(212)의 제1통로(216)와 연통되는 제2통로(514)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제4에어주입구(5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의 활동공간(214)에는 탁자(4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의 상부를 가려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6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져 구조물(1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610)은 본체부(210)의 본체 외주면에 설치고정구(230)가 형성되고, 이 설치고정구(23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의 본체(212)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여러 쌍이 구비된 고정부재(620)와,
    상기 고정부재(620)에 결속 고정되되,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622a)이 형성된 결속부재(622)와,
    상기 결속부재(622)의 관통공(622a)에 끼워지되, 상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설치바(624)와,
    상기 설치바(624)의 절곡 형성된 상부 끝단부가 결속되는 고정관(626a)이 형성된 설치판(626)과,
    상기 설치판(626)의 하부에 구비되어 파라솔(610)이 설치되는 거치봉(62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에는 엔진(720)이 설치되는 엔진거치부(7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거치부(710)는 바닥부(110)의 바닥부재(112)로부터 본체부(210)의 본체(212)가 편심되게 설치되어 간격이 바닥부재(112)와 본체(212)의 간격이 좁은 위치에 탈착되게 엔진거치대(7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의 바닥부재(112)와 본체부(210)의 본체(212)는 서로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용 레저 구조물(10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2)는 바닥부재(112)의 상부에 벨크로테이프(8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레저 구조물(100).
PCT/KR2012/009634 2012-02-22 2012-11-15 수상용 레저 구조물 WO201312577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047 2012-02-22
KR1020120018047A KR101203603B1 (ko) 2012-02-22 2012-02-22 수상용 레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770A1 true WO2013125770A1 (ko) 2013-08-29

Family

ID=4756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634 WO2013125770A1 (ko) 2012-02-22 2012-11-15 수상용 레저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3603B1 (ko)
WO (1) WO20131257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704B1 (en) 2014-06-20 2015-11-03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water shield for rafts or boats in water rides
CN108308872A (zh) * 2018-04-10 2018-07-24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休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406A (ko) * 2013-08-13 2015-02-26 주식회사 코리아마이보트 테이블과 좌석을 구비한 소형 레저 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1488A (en) * 1959-03-27 1961-07-11 Sr Eugene L Le Cron Boat
US4516943A (en) * 1981-06-17 1985-05-14 Robert Spieldiener Amusement ride raft
KR20060134556A (ko) * 2005-06-23 2006-12-28 방승월 조립식 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270Y1 (ko) * 2005-03-25 2005-08-31 신용일 에어매트리스 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1488A (en) * 1959-03-27 1961-07-11 Sr Eugene L Le Cron Boat
US4516943A (en) * 1981-06-17 1985-05-14 Robert Spieldiener Amusement ride raft
KR20060134556A (ko) * 2005-06-23 2006-12-28 방승월 조립식 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704B1 (en) 2014-06-20 2015-11-03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water shield for rafts or boats in water rides
CN108308872A (zh) * 2018-04-10 2018-07-24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休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603B1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5770A1 (ko) 수상용 레저 구조물
US6209147B1 (en) Underwater attachment system
WO2015046679A1 (ko) 접이식 의자 및 그 제조 방법
US6571403B2 (en) Poolsid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WO2014193119A1 (ko) 바베큐 구이장치
US6752164B1 (en) Room tent
WO2015023118A2 (ko) 테이블과 좌석을 구비한 소형 레저 보트
WO2013062172A1 (ko) 신체 착용식 수영 보조장치
KR100819420B1 (ko)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
KR101606847B1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WO2017026613A1 (ko) 공기주입식 보트
KR101215140B1 (ko) 접철식 야외용 침대
KR101860751B1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WO2015199315A1 (ko)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WO2017188663A1 (ko) 휴대용 변기
KR101951350B1 (ko) 레저 및 구난용 텐트
WO2018016920A1 (ko) 차단막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CN214006736U (zh) 一种帐篷
WO2016052847A1 (ko) 욕조 겸용 야외용 다용도 테이블
JP2008101362A (ja) テント
WO2016080574A1 (ko)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WO2015194894A1 (ko) 휴대용 다용도 침대
WO2019107726A1 (ko)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KR100974027B1 (ko)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텐트용 골조와 이를 이용한 텐트
WO2019132127A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690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7/01/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690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