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73866A1 -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73866A1
WO2013073866A1 PCT/KR2012/009672 KR2012009672W WO2013073866A1 WO 2013073866 A1 WO2013073866 A1 WO 2013073866A1 KR 2012009672 W KR2012009672 W KR 2012009672W WO 2013073866 A1 WO2013073866 A1 WO 20130738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che memory
views
priority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6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철기
문상준
박용석
임정환
쉬지앙웨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S12850166T priority Critical patent/ES2773773T3/es
Priority to US14/358,531 priority patent/US9767033B2/en
Priority to EP12850166.5A priority patent/EP2782014B1/en
Publication of WO20130738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738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91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using clearing, invalidating or 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06F12/0868Data transfer between cache memory and other subsystems, e.g. storage devices or hos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88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using selective caching, e.g. by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Definitions

  • each content has a life cycle.
  • the life cycle of each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ife cycle of 90 days of YouTube video content.
  • the number of view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reases rapidly during the first 1 to 5 days, and thereafter, the number of views decreases while drawing a specific curve.
  • each content generally has a life cycle as shown in FIG. 1,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dict future popularity of content through recent trends.
  • there is no cache replacement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cycle of the conten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timized cache replacement cannot be performed.
  • the mobile terminal 200 requests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206 via the Internet network 204,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2, and sends a contents delivery network (CDN).
  •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 content services are generally perform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2, such that only mobile terminals geographically close to the content server 206 can receive the contents more quickly.
  • the base station receives a content request from a mobile terminal.
  •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ed content exists in the cache memory. If the requested content does not exist in the cache memory,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404 to delete the lowest priority content from the cache memory.
  •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ed content is included in the popular content list in step 410. In step 412, if the requested content is included in the popular content list,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414 to increase the prio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based on the expected popularity.
  • the base station stores the requested content in a location where the lowest priority content in the cache memory is deleted, and sets the prio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in step 508. For example, when the requested content is "F movie” content, as shown in Table 9, the "F movie” content is stored at a location where the "B movie” content is deleted.
  • the number of views of the "F movie” content is stored as 0 in the mobile terminal. Then, the priority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ache memory is reset as shown in Table 9 below, and the "F movie" contents having the number of views set to 0 have the lowest priority.
  • step 510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ed content is included in the popular content lis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2 that the requested content is included in the popular content list, in step 514, the base station increases the prio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based on the expected popula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increases the prio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on the basis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ews by the expected popularity as shown in Table 10 below.
  • step 508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508 to set the prio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For example, when the requested content is "D movie" content, the base station checks the number of views of the "D movie” content and updates the priority based on the confirmed number of views.
  • the base station When the "D movie” content is included in the popular content list, the base station confirms an expected popularity corresponding to the "D movie” content in the popular content list. Then, the base station increases the priority of the requested content based on the increase number of view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expected popularity, as shown in Table 10.
  • the base station includes a controller 600, a transmitter 610, a receiver 620, a main memory 630, and a cache memory 640.
  • the controller 600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by controlling the transmitter 610, the receiver 620, the main memory 630, and the cache memory 640.
  • the controller 600 manages the cache memory 640 using the method propo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more efficiently.
  • the expected popularity may be generated by a content server providing content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have.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che memory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content and popularity predi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and stores and manages the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its cache mem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er layer cache') 702. Can 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제1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예상 인기도는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6.01.2013]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쉬 교체(Replacement) 방식은 캐쉬(Cache) 메모리에 원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메인 메모리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가져와 저장하기 위해,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일부 정보를 삭제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상기 캐쉬 교체 방식으로서 LRU(Least Recently Used) 방식과 LFU(Least Frequently Used)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LRU 방식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중 가장 오래된 정보를 삭제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LRU 방식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중 사용된 시각이 가장 오래된 정보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LFU 방식은 캐쉬 메모리에서 가장 적게 사용된 정보를 삭제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LFU 방식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중 사용된 횟수가 가장 적은 정보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한편, 최근 조사에 따르면 각 콘텐츠는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갖는다. 상기 각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는 90일 간의 유튜브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일 예로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처음 1~5일 간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가 급증하며, 그 이후에는 특정 커브를 그리면서 조회수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각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가지며, 이를 근거로 향후의 콘텐츠 인기도를 최근 추이를 통해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한 캐쉬 교체 방식이 존재하지 않아, 최적화된 캐쉬 교체가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에 대한 적중률(Hit Ratio)을 증가시킬 수 있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캐쉬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제1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예상 인기도는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제1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캐쉬 메모리와,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상 인기도는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캐쉬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쉬 메모리에 대한 적중률(Hit Ratio)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캐쉬 메모리가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빠르게 해당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량(Through)이 증가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좀 더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의 캐쉬 메모리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캐쉬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를 좀 더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캐쉬 메모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명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200)은 이동 통신 망(202)과는 별개로, 인터넷 망(204)을 통해 콘텐츠 서버(206)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버(208) 등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206)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이처럼, 콘텐츠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망(202)에 대한 고려없이 수행되어, 상기 콘텐츠 서버(206)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동 단말만이 해당 콘텐츠를 더 빨리 제공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통신 망을 고려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300)은 인터넷 망(304)이 아닌, 이동 통신 망(302)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상기 이동 단말(300)은 기지국(310)으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기지국(310)으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기지국은 다수의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캐쉬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300)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단말(300)은 가장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아 원하는 콘텐츠를 보다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기지국(310)은 상기 이동 단말(300)에게 원하는 콘텐츠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캐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근거로 해당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계산하고, 다수의 콘텐츠들 중 예상 인기도가 높은 콘텐츠들이 캐쉬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예상 인기도는 예상 조회수, 최근 조회수 상승 모멘텀(Momentum) 및 최근 조회수 등을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예상 조회수, 최근 조회수 상승 모멘텀 및 최근 조회수를 각각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1. 예상 조회수
(1) 콘텐츠 카테고리 분류
기지국은 먼저 URL을 근거로 카테고리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Youtube/movie/xxx/yyy/zzz.flv' 형태의 URL을 갖는 콘텐츠들을 모두 영화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2) 카테고리 별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 관리
상기 기지국은 카테고리 별로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정보를 각각 관리한다. 상기 기지국은 다수의 콘텐츠들 중 일부 콘텐츠에 대하여 날짜 경과에 따른 조회수 변화를 체크함으로써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정보는 일 예로,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난다.
표 1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1
상기 표 1은 30일 동안의 평균 조회수를 근거로 생성된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을 보이고 있다.
(3) 콘텐츠 조회수 비율 산출
특정 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다음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평균 콘텐츠 조회수 별 해당 콘텐츠 조회수의 비율(Ratio_A)을 산출한다.
수학식 1
(4) 예상 조회수 산출
상기 예상 조회수는 일 예로 특정 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3일째 저장된 경우, 5일째의 예상 조회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에서 4일째 및 5일째의 상기 특정 콘텐츠의 조회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각 조회수를 해당일의 콘텐츠 조회수 비율(ratio_A)과 곱한 후 그 결과를 모두 더하여 예상 조회수를 산출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2009672-appb-M0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Ni는 i일째의 조회수를 나타낸다.
2. 최근 조회수 상승 모멘텀
상기 최근 조회수 상승 모멘텀(이하 '상승 모멘텀'이라 칭함)은 다음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3
Figure PCTKR2012009672-appb-M000003
일 예로, A 영화 콘텐츠의 상승 모멘텀은 2011년 10월 10일 ~ 2011년 10월 14일 동안의 A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일 예로, 150)와, 2011년 10월 3일 ~ 2011년 10월 7일 동안의 A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일 예로, 300) 간의 차이 값(150)으로 산출될 수 있다.
3. 최근 조회수
상기 최근 조회수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해당 콘텐츠의 조회수에 대한 절대값을 나타낸다. 일 예로, 상기 최근 조회수는 해당 일(2011년 10월 14일)로부터 과거 일주일 전(2011년 10월 7일)까지의 해당 콘텐츠의 조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상 조회수, 상승 모멘텀 및 최근 조회수가 산출되면, 상기 기지국은 다음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예상 인기도를 산출한다.
수학식 4
Figure PCTKR2012009672-appb-M000004
상기 수학식 4에서 W1, W2 및 W3는 가중치를 나타낸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상 인기도를 산출할 때 상기 예상 조회수에 가장 큰 비중을 둘 경우 W1이 W2 및 W3에 비해 큰 값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상 인기도를 산출할 때 상기 상승 모멘텀에 가장 큰 비중을 둘 경우 W2가 W1 및 W3에 비해 큰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상 인기도를 산출할 때 상기 최근 조회수에 가장 큰 비중을 둘 경우 W3이 W1 및 W2에 비해 큰 값을 가진다.
상기 예상 인기도가 산출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예상 인기도를 사용하여 인기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예상 인기도의 크기에 따라, 각 카테고리 별로 다수의 콘텐츠들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콘텐츠들이 포함된 인기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는 일 예로 다음 표 2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영화 카테고리의 인기 콘텐츠 리스트를 일 예로 보이고 있다.
표 2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2
이하 요청된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와 인기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하여 기지국이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콘텐츠 요청 시간을 기준으로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0 단계에서 기지국은 이동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402 단계에서 요청된 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4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낮은 콘텐츠를 삭제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들의 우선 순위가 이동 단말이 콘텐츠를 요청한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되므로,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들 중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시각이 가장 오래된 콘텐츠가 삭제된다. 일 예로, 상기 캐쉬 메모리에 다음 표 3과 같은 콘텐츠 별 요청 시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요청 시각이 가장 오래된"C 영화"콘텐츠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
표 3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3
이어, 상기 기지국은 406 단계에서 상기 캐쉬 메모리 내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콘텐츠가 삭제된 위치에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408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요청 수신 시간을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일 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E 영화" 콘텐츠인 경우,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 영화" 콘텐츠가 삭제된 위치에 상기 "E 영화" 콘텐츠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캐쉬 메모리 내에서 콘텐츠 별 우선 순위를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E 영화" 콘텐츠를 요청한 시각(일 예로, 2011.10.15 (P.M 02:00))이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들에 대한 우선 순위는 다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설정되며, 가장 최근 요청된 상기 "E 영화" 콘텐츠는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게 된다.
표 4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4
한편, 상기 기지국은 410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는 앞서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상 인기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의미한다.
상기 기지국은 412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414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킨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요청된 콘텐츠 즉, "E 영화"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가 "0.5"인 경우, 상기 "E 영화"콘텐츠의 요청 시각에 상기 예상 인기도에 대응되는 시간인 30분을 더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E 영화" 콘텐츠는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예 시간으로서 추가 시간 10분을 상기 "E 영화" 콘텐츠의 요청 시각에 더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 3의 "E 영화" 콘텐츠의 요청 시각은 결과적으로"P.M 02:40"으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기지국은 상기 402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408 단계로 진행하여 콘텐츠 요청 수신 시간을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A 영화" 콘텐츠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A 영화" 콘텐츠의 요청 시각을 확인하고, 상기 "A 영화"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요청 시각을 상기 확인된 요청 시각으로 업데이트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캐쉬 메모리에 상기 표 3과 같은 콘텐츠 별 요청 시각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확인된 요청 시각이 "2011.10.20 (P.M 6:00)"인 경우, 다음 표 5와 같이 "A 영화"콘텐츠의 요청 시각이 업데이트되고, 그에 따라 전체 영화 콘텐츠의 우선 순위 역시 업데이트 된다.
표 5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5
이어, 상기 기지국은 410 단계에서 요청된 콘텐츠가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412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414 단계로 진행하여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킨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A 영화" 콘텐츠가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상기 "A 영화" 콘텐츠에 대응되는 예상 인기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확인된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A 영화"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다음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예상 인기도 별 증가 시간을 근거로, 상기 "A 영화"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 한다.
표 6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6
상기 "A 영화"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는 1이므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표 6의 예상 인기도 1에 대응되는 증가 시간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판단된 증가 시간 즉, 72시간만큼 상기 "A 영화" 콘텐츠의 요청 시각을 업데이트 한다. 이에 따라, 상기 "A 영화" 콘텐츠의 요청 시각은 다음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2011.10.20 (P.M 6:00)"에서 "2011.10.23 (P.M 6:00)"으로 업데이트된다.
표 7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7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 요청 시간을 기준으로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콘텐츠 요청 시간이 아닌, 콘텐츠 조회수를 기반으로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캐쉬 메모리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0 단계에서 기지국은 이동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502 단계에서 요청된 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5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낮은 콘텐츠를 삭제한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들의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조회수를 기준으로 설정되므로,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들 중 조회수가 가장 적은 콘텐츠가 삭제된다. 일 예로, 상기 캐쉬 메모리에 다음 표 8과 같은 콘텐츠 별 조회수가 저장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조회수가 가장 적은 "B 영화"콘텐츠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
표 8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8
이어, 상기 기지국은 506 단계에서 상기 캐쉬 메모리 내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콘텐츠가 삭제된 위치에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508 단계에서 조회수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일 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F 영화" 콘텐츠인 경우, 다음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B 영화" 콘텐츠가 삭제된 위치에 상기 "F 영화" 콘텐츠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캐쉬 메모리 내에서 콘텐츠 별 우선 순위를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F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는 0으로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들에 대한 우선 순위는 다음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설정되며, 조회수가 0으로 설정된 상기 "F 영화" 콘텐츠는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게 된다.
표 9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09
한편, 상기 기지국은 510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512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514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다음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예상 인기도 별 증가 조회수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킨다.
표 10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10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요청된 콘텐츠 즉, 상기"F 영화"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가 "0.5"인 경우, 상기 "F 영화"콘텐츠의 조회수에 상기 예상 인기도에 대응되는 증가 조회수인 50을 추가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F 영화" 콘텐츠가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을 근거로, 추가 조회수 10을 상기 "F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에 더한다. 이에 따라, 상기"F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는 결과적으로 "60"으로 설정된다. 그러면, 다음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F"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가 "60"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표 11에서와 비교하여, 우선 순위 역시 변경된다.
표 11
Figure PCTKR2012009672-appb-T000011
한편, 상기 기지국은 상기 502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508 단계로 진행하여 조회수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D 영화" 콘텐츠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D 영화" 콘텐츠의 조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회수를 근거로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510 단계에서 요청된 콘텐츠가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512 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514 단계로 진행하여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킨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D 영화" 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 내의 상기 "D 영화" 콘텐츠에 대응되는 예상 인기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상기 확인된 예상 인기도에 대응되는 증가 조회수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콘텐츠 요청 시간 또는 콘텐츠 조회수를 근거로, 각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캐쉬 메모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자신이 요청한 콘텐츠를 좀 더 빠르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제어부(600), 송신부(610), 수신부(620), 메인 메모리(630) 및 캐쉬 메모리(6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송신부(610), 수신부(620), 메인 메모리(630) 및 캐쉬 메모리(6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이동 단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캐쉬 메모리(640)를 관리한다.
상기 송신부(610)는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에게 송신하며, 상기 수신부(620)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메모리(630)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 등을 저장하며, 상기 캐쉬 메모리(640)는 상기 제어부(600)의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자주 사용되는 정보 또는 콘텐츠 등을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에서 예상 인기도를 산출하여 사용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예상 인기도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되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의 캐쉬 메모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이동 단말(700)이 콘텐츠를 요청하면, 콘텐츠 서버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는 자신의 캐쉬 메모리(이하 '상위 계층 캐쉬'라 칭함)(704)에 저장된 상기 요청된 콘텐츠와 함께, 상기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인기 예상도 정보를 상기 콘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및 인기 예상도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캐쉬 메모리(이하 '하위 계층 캐쉬'라 칭함)(702)에 해당 콘텐츠 및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기지국보다 더 많은 콘텐츠를 상위 계층 캐쉬(704)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좀 더 정확하게 예상 인기도가 산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콘텐츠의 선별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10개의 콘텐츠를 포함시키고자 할 때, 상기 하위 계층 캐쉬(702)의 용량은 상기 상위 계층 캐쉬(704)의 용량보다 작아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의 수가 적기 때문에, 전체 콘텐츠 중 10개의 인기 높은 콘텐츠를 선별하는 과정은 상기 하위 계층 캐쉬(702)에서 보다 상기 상위 계층 캐쉬(704)에서 비교적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제1콘텐츠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예상 인기도는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를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제2콘텐츠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삭제된 제2콘텐츠가 저장되었던 위치에 상기 제1콘텐츠를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인기도는 제1기간 동안의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 상기 제1기간 동안의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와 상기 제1기간 보다 앞선 제2기간 동안의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 간의 차이값 및 상기 제1콘텐츠가 요청된 시점 이후의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조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예상 조회수는 상기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제1콘텐츠가 카테고리 별 각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에 대응되는 값만큼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제1콘텐츠가 요청된 시각 및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 중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는 상기 제1콘텐츠에 대응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콘텐츠 요청 시각 및 조회수 중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8.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제1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캐쉬 메모리와,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상 인기도는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제2콘텐츠를 삭제하고, 상기 삭제된 제2콘텐츠가 저장되었던 위치에 상기 제1콘텐츠를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인기도는 제1기간 동안의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 상기 제1기간 동안의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와 상기 제1기간 보다 앞선 제2기간 동안의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 간의 차이값 및 상기 제1콘텐츠가 요청된 시점 이후의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조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예상 조회수는 상기 콘텐츠 조회수 변화량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콘텐츠가 카테고리 별 각 콘텐츠의 예상 인기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인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상기 제1콘텐츠의 예상 인기도에 대응되는 값만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제1콘텐츠가 요청된 시각 및 상기 제1콘텐츠의 조회수 중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의 카테고리는 상기 제1콘텐츠에 대응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콘텐츠 요청 시각 및 조회수 중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CT/KR2012/009672 2011-11-15 2012-11-15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30738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2850166T ES2773773T3 (es) 2011-11-15 2012-11-15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gestionar memoria caché en sistema de comunicación
US14/358,531 US9767033B2 (en) 2011-11-15 2012-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ache memory in communication system
EP12850166.5A EP2782014B1 (en) 2011-11-15 2012-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ache memory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927 2011-11-15
KR1020110118927A KR20130053249A (ko) 2011-11-15 2011-11-15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3866A1 true WO2013073866A1 (ko) 2013-05-23

Family

ID=4842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672 WO2013073866A1 (ko) 2011-11-15 2012-11-15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7033B2 (ko)
EP (1) EP2782014B1 (ko)
KR (1) KR20130053249A (ko)
ES (1) ES2773773T3 (ko)
WO (1) WO20130738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026B2 (en) 2013-10-31 2016-04-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0274B2 (en) 2006-09-13 2018-01-02 Sophos Limited Policy management
KR20130053249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830488B (zh) * 2014-03-19 2019-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协同的内容缓存方法、装置及系统
US10270876B2 (en) * 2014-06-02 2019-04-23 Verizon Digital Media Services Inc. Probability based caching and eviction
WO2016075135A1 (en) * 2014-11-10 2016-05-19 Nec Europe Ltd. Method for storing objects in a storage and corresponding system
KR102083524B1 (ko) * 2016-10-20 2020-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캐싱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1093624B2 (en) 2017-09-12 2021-08-17 Sophos Limited Providing process data to a data recorder
CN108632390B (zh) * 2018-05-21 2020-07-14 南京大学 一种基于多播的无线异构网络文件缓存更新方法
US11743513B2 (en) * 2020-10-27 2023-08-29 Akamai Technologies, Inc. Measuring and improving origin offload and resource utilization in caching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794A (ko) * 1999-09-01 2002-05-30 넥스트웨이브 텔레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분산 캐쉬
KR100872227B1 (ko) * 2007-07-31 2008-12-05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주문형 비디오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5444A (ko) * 2007-12-11 2010-08-30 톰슨 라이센싱 사용자들에 의한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10050432A (ko) * 2008-06-20 2011-05-13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 내의 노드에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아이템을 캐싱하는 방법, 장치 및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0496A1 (en) 2003-09-11 2005-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caching cache-miss content
US8296253B2 (en) 2009-06-15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Managing online content based on its predicted popularity
KR20130053249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446909A (zh) * 2014-08-29 2016-03-30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缓存管理的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794A (ko) * 1999-09-01 2002-05-30 넥스트웨이브 텔레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분산 캐쉬
KR100872227B1 (ko) * 2007-07-31 2008-12-05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주문형 비디오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5444A (ko) * 2007-12-11 2010-08-30 톰슨 라이센싱 사용자들에 의한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10050432A (ko) * 2008-06-20 2011-05-13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 내의 노드에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아이템을 캐싱하는 방법, 장치 및 제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782014A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026B2 (en) 2013-10-31 2016-04-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US10270828B2 (en) 2013-10-31 2019-04-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US10951678B2 (en) 2013-10-31 2021-03-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US11336708B2 (en) 2013-10-31 2022-05-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67033B2 (en) 2017-09-19
US20140344525A1 (en) 2014-11-20
EP2782014A1 (en) 2014-09-24
ES2773773T3 (es) 2020-07-14
KR20130053249A (ko) 2013-05-23
EP2782014A4 (en) 2015-07-29
EP2782014B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73866A1 (ko)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7835756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2014200242A1 (ko)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모바일 장치
JPWO2007125942A1 (ja) 負荷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08075733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system for processing image data,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data
US2015031979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3024966A1 (ko) 콘텐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68540B1 (ko) 배신 네트워크와 서버 및 배신 방법
CN112202681B (zh) 数据拥塞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5399276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43532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WO2013122359A1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WO2010050739A2 (ko) 효율적 연결을 위한 추천 시스템, 추천 방법, 서비스 서버, 종단 단말기, 연결 방법 및 저장 매체
JP4392330B2 (ja) アクセス管理機構
KR20150124105A (ko) 캐시 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WO2018066823A1 (ko) 단말기 무선자원의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160343A (ja) コンテンツキャッシュ制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WO2017105056A1 (ko)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라우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WO2024025252A1 (ko) 오프-디맨드 기반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238943A1 (en) Communication channel switch
WO2018084360A1 (ko) 미디어 버퍼 제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스트리밍 중계 엔진 시스템
WO2022025327A1 (ko) 제한된 캐시 메모리를 가진 캐싱 시스템에서 재전송 횟수를 고려한 저장 방법 및 장치
CN113115366B (zh) 不同服务业务置入移动边缘节点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4069772A1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92022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캐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01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501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58531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