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62207A1 -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62207A1
WO2013062207A1 PCT/KR2012/004751 KR2012004751W WO2013062207A1 WO 2013062207 A1 WO2013062207 A1 WO 2013062207A1 KR 2012004751 W KR2012004751 W KR 2012004751W WO 2013062207 A1 WO2013062207 A1 WO 20130622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ing film
rubber
heat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7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난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난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난방
Publication of WO20130622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622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합성수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카본 잉크층, 상기 카본 잉크층의 양측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전도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필름과; 상기 난방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제1러버층과;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잡착층이 형성되는 제2러버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이 일체를 이루되, 상기 난방필름의 제2전도층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의 양 측단부 접착층에는 이형지가 각각 부착됨으로써 제2전도층에의 전극 연결이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난방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기나 습기에 의한 누전이나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난방필름의 전도층의 단자 연결이 편리하고 시공성이 양호하도록 개발된 난방매트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난방의 방식에는 온돌방식, 히트 파이프 방식, 전기매트 방식 및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니켈 크롬선으로 된 전기 발열선을 이용한 선상 발열체 방식과 카본 미세 분말 등을 잉크로 하여 도포한 면상 발열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로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의 라미네이트 필름상에 카본 잉크를 프린트하고 상기 카본 잉크에 실버나 동박을 이용하여 단자층을 형성하여 합지한 난방필름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난방필름을 이용한 난방방식은 무소음, 높은 전기효율, 제어의 용이성 및 시공의 간편성으로 인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으며, 아파트, 일반주택, 작업장, 사무용 건물, 창고, 막사나 축사 등에 널리 적용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난방필름을 이용한 면상 발열체의 경우 바닥이나 벽면에 시공하는 경우 전면 전열 방식을 채택하므로 통전 면적이 넓어 습기에 취약하므로 기존에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난방필름에 방수기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차폐판 등을 별도로 적층 시공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최대한 차단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방필름을 이용한 종래의 난방매트들은 그 적층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이종 재질로 된 다단의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 단가가 높을 뿐 아니라 실제로 바닥 등에 시공시 난방필름이 눌리거나 손상되는 등 단점이 존재하였다.
도7 및 도8은 종래의 난방용 발열체의 적층 구조도인데, 상기 도7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1767호 "면상 발열체용 기능성 방수 시트"에 개시된 것으로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바닥 난방에 있어서, 정전유도현상에 의한 대전현상을 방지하고, 누설 전류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기능성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정전방지용 차폐시트와 방수를 위한 시트를 일체화한 면상 발열체용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넓은 면적에 걸쳐 면상 발열체의 설치가 가능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8은 등록특허공보 제10-0618162호 "필름보일러 및 그 제작방법"에 개시된 것으로서 카본 열선의 저면에 발생 빈도가 높은 누전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닥열판비닐과 단열재 사이에 방수비닐을 게재하여 양면접착테이프인 제1,2방수접착제를 140℃의 고열로 융착하여 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누전의 우려를 해소하며, 기존 동선을 2줄과 2줄을 이용하여 4줄로 제작하던 것을 3줄로 구성한 3상 동선으로 형성하여 재료의 절감과 전선 연결의 공수 절감 등 경제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필름보일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10-2009-0021767호의 경우에는 방수 기능으로 인한 누전의 차단은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으나 바닥면이나 벽체에 시공할 때 난방필름의 전도층에 전극 단자를 연결 시공하는 것이 까다롭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618162호 역시 그 제1,2 방수접착제 및 방수비닐의 적층 구조로 인하여 습기에는 강하나 그 외 적층 단수가 너무 많고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실제의 시공시 난방필름의 카본 잉크층에 연결되는 전도층에 전극 단자를 연결하기가 까다로운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충분한 방수 성능을 갖추어 습기 등에 의한 누전의 우려가 없으며, 대리석 시공, 타일 시공 및 카페트 시공시에 시공이 편리하며, 방수층 사이에 내설되는 난방필름에의 전극 단자 연결 시공이 편리한 난방매트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난방필름의 방수 기능을 위한 적층구조를 단순화 간편화하고, 대리석이나 타일 및 카페트의 하방에 시공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열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자극에 의한 난방필름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난방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난방필름의 상·하에 부착되는 방수 러버층의 양 측단부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되는 난방필름에의 전극단자 연결을 편리하게 하는 것을 그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난방매트와 바닥면과의 접지 구조를 통하여 난방매트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난방매트의 방수층의 상부에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섬유소재층을 적층하고 상기 섬유소재층의 상부에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바닥면에의 설치 및 시공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합성수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카본 잉크층, 상기 카본 잉크층의 양측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전도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필름과; 상기 난방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제1러버층과;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잡착층이 형성되는 제2러버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이 일체를 이루되, 상기 난방필름의 제2전도층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의 양 측단부 접착층에는 이형지가 각각 부착됨으로써 제2전도층에의 전극 연결이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가 제안된다.
여기서, 상기 제2러버층의 상면에는 섬유소재층이 부착되고, 상기 섬유소재층의 상면에는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러버층의 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에는 이형지 또는 접지시트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가) 한 쌍의 합성수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카본 잉크층, 상기 카본 잉크층의 양측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적층되는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에 접촉하도록 적층되는 제2전도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나)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에는 양측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 한 쌍의 프리 커팅선이 형성된 이형지가 부착되는 제1러버층과 제2러버층을 상기 난방필름의 상·하에 각각 위치시키는 단계; 다) 상기 한 쌍의 프리 커팅선 바깥측의 이형지는 남겨두고, 한 쌍의 프리 커팅선 사이의 이형지만을 박리하여 제1 및 제2러버층을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제조방법이 아울러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1러버층의 상면에는 섬유소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소재층의 상면에는 수지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러버층의 하면에는 접지시트 또는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난방필름의 방수 기능을 위한 적층구조가 단순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할 뿐 아니라 대리석이나 타일 및 카페트의 하방에 시공하기가 용이하며,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외부의 자극에 의한 난방필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난방필름의 상·하에 부착되는 방수 러버층의 양 측단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난방필름에 전극단자를 연결한 후 이형지를 박리하여 상하의 러버층을 난방필름에 압착하여 부착함으로써 마감되므로 전극 연결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난방매트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접지시트에 의하여 누설전류나 대전된 전하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난방매트의 방수층의 상부에 섬유소재층을 적층함으로써 매트의 강도가 보강되어 잘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개방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난방필름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러버층 및 이형지 적층구조체의 외관 사시도.
도7 및 도8은 종래의 난방용 발열체의 적층 구조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매트(100)는 다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하는데, 최하층에는 접지시트 또는 이형지로 된 기초층(140)이 위치하고, 상기 기초층(140)의 상부에 제1러버층(130)이 위치하며, 상기 제1러버층(130)의 상부에 난방필름(110)이 위치하고, 상기 난방필름(110)의 상부에 제2러버층(130)이 위치하고, 상기 제2러버층(130)의 상부에 섬유소재층(150)이 위치하며, 최상층에 수지코팅층(160)이 위치한다.
상기 기초층(140)으로는 접지시트 또는 이형지가 부착되는데 접지시트는 카본 또는 은박 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접지시트는 미도시한 누전차단기의 N극에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차단하고 난방매트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초층(140)의 이형지는 난방매트(100)를 바닥 기초 위에 부착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난방매트(100)를 바닥 기초 위에 시공하는 경우 이형지를 박리시켜 제1러버층(120)을 바닥면에 부착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러버층(120)의 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러버층(120)의 저면에는 별도의 합성수지 단열재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접지시트나 이형지가 단열재의 저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1러버층(120)과 제2러버층(130)은 난방필름(110)을 상하에서 감싸는 것으로서 습기를 차단하는 방수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으로는 연질의 부틸고무 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부틸 고무 테이프의 일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접착층에는 이형지가 결합하는데, 이에 관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난방필름(110)은 폴레에틸렌(PE)와 같은 합성수지로 된 라미네이트 필름 위에 발열체 역할을 하는 카본 잉크층을 인쇄한 후 카본 잉크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층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에 관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러버층(130)의 상부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소재로 된 섬유소재층(150)이 열융착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섬유소재층(150)은 난방매트(100)의 강도를 개선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하중에 의해서도 난방매트(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섬유소재층(150)의 상면에는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EVA와 같은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수지코팅층(160)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지코팅층(160)의 형성으로 인하여 타일에의 시공시 접착력이 개선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러버층(120), 난방필름(110) 및 제2러버층(130)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체에서 각 층간에는 이형지(120a,130a)가 위치하는데 결합체의 중간부위(C)에는 이형지가 존재하지 않으며, 양 측단부에만 일정한 길이로 이형지(120a,130a)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개방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난방필름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러버층 및 이형지 적층구조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매트(100)의 양 측단부는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이 난방필름(110)에 부착하여 결합한 상태가 아니라 떨어져 분리된다.
즉, 양 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의 지점까지는 제1러버층(120) 및 제2러버층(130)의 내면에 부착되는 이형지(120a,130a,120b,130b)에 의하여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이 난방필름(110)과 분리되어 있으며,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중앙부는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이 난방필름(110)의 저면과 상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필름(11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동박부스바와 같은 제2전도층(114)에 접속 단자(200)를 연결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러버층(120)과 제2러버층(130)의 내면(난방필름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면)에는 각각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지(120a,120b,120c)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러버층(120)과 제2러버층(130)의 이형지(120a,120b,120c)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프리 커팅선(CL1,CL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리 커팅선(CL1,CL2)은 이형지의 양 측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한 위치에 상하 직선으로 커팅된 한 쌍의 선을 의미하는데 이에 의하여 이형지가 양 측단부와 중앙부의 세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러버층(120)을 난방필름(110)의 저면에 부착할 때 우선 중앙부의 이형지(120c) 만을 박리하면서 제1러버층(120)을 난방필름(110)에 견고하게 압착하여 결합하고 양 측단부의 이형지(120a,120b)는 그대로 남겨둔다. 이와 같은 원리는 제2러버층(130)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이 난방필름(110)에 부착된 구조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때 상기 제1러버층(120)과 제2러버층(130)을 상기 난방필름(110)의 상·하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하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제1러버층(120), 난방필름(110) 및 제2러버층(130)을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위치시킨 후 중앙부의 이형지(120c)를 떼어내면서 롤러로 가압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3과 도4에서는 상기 제1러버층(120)과 제2러버층(130)의 양 측단부의 내면에 이형지(120a,120b,130a,130b)가 그대로 잔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잔존하는 이형지에 의하여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이 난방필름(110)의 양 측단부 상·하면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난방필름(110)은 라미네이트 필름(111)의 일면에 카본 잉크층(112)을 인쇄하고, 상기 인쇄층(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은입자 등을 이용하여 적층한 실버층인 제1전도층(113)을 인쇄한 것이다. 상기 제1전도층(1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띠 모양의 동박 등으로 된 제2전도층(11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카본 잉크층(112)은 좌우로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하 다열로 배치되며, 각 카본 잉크층(112)의 양측단에는 실버로 된 제1전도층(113)이 적층되며, 양 측단의 제1전도층(113)에는 각각 상하로 긴 띠 모양의 제2전도층(114)이 적층되거나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난방필름(110)은 좌우가 대칭되는 모양을 이룬다.
상기 난방필름(110)은 한 쌍의 대응하는 라미네이트 필름(111) 중의 어느 일면에 카본 잉크층(112), 제1 및 제2전도층(113,114)을 순서대로 인쇄 또는 적층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제2전도층(114) 만을 대향하는 라미네이트 필름(111) 위에 형성한 후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1)을 서로 마주하여 열융착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층(113)과 제2전도층(114)은 각각 은박과 동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전도층(114)에는 외부의 전원이나 누전차단기 등에 연결되는 전선을 결합하기 위한 접속단자(200)가 연결된다. 도시한 접속단자(200)는 일단에 전선(210)이 연결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납작한 금속편의 가운데에 개방공(201)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단자(200)를 제2전도층(114)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대향하는 라미네이트 필름(111a,111b)의 사이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려서 접속단자(200)의 원형 금속편을 삽입해야 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200)를 난방필름(110)의 제2전도층(114)에 접촉하도록 삽입하여 장착한 후에는 압착구(202)와 같은 것을 접속단자(200)의 개방공(201)에 펀칭 및 가압하여 압착시켜 고정한다.
이후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의 양 측단부 내면에 형성된 이형지(120a,120b,130a,130b)를 각각 떼어내고 제1 및 제2러버층(120,130)을 난방필름(110)의 저면 및 상면에 눌러 붙이면 난방매트(100)의 형성 및 전극 단자의 연결공정이 완료한다.
상기 제1러버층(120)의 저면에는 별도의 합성수지 등으로 된 단열재층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러버층(120) 또는 상기 단열재층의 저면에는 바닥면에의 부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접착층 및 이형지층을 형성하거나 카본이나 은박 테이프로 된 접지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러버층(130)의 상면에는 부직포로 된 섬유소재층(150)을 형성함으로써 연질의 부틸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제2러버층(130)의 부족한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소재층(150)이 형성된 난방매트(100)를 대리석이나 타일과 같은 바닥재의 하부에 설치하는 경우 시공성이나 부착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소재층(150)의 상면에 PE,PC 및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수지코팅층(1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난방필름이 발열체로서 내장되는 난방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축사나 욕실과 같이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방수 기능이 탁월하여 누전의 우려가 없으며, 대리석이나 타일 바닥에의 시공이나 부착력이 우수하며 특히 방수시트층인 러버층 내에 매몰 설치되는 난방필름에의 전극 연결 작업이 편리하게 구성된 난방매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주거용 건물, 산업용 및 상가용 건물은 물론 각종 창고,축사 등에 널리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한 쌍의 합성수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카본 잉크층, 상기 카본 잉크층의 양측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전도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필름과;
    상기 난방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제1러버층과;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잡착층이 형성되는 제2러버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이 일체를 이루되, 상기 난방필름의 제2전도층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및 제2러버층의 양 측단부 접착층에는 이형지가 각각 부착됨으로써 제2전도층에의 전극 연결이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러버층의 상면에는 섬유소재층이 부착되고, 상기 섬유소재층의 상면에는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층의 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에는 이형지 또는 접지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4. 가) 한 쌍의 합성수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카본 잉크층, 상기 카본 잉크층의 양측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전도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나)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에는 양측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 한 쌍의 프리 커팅선이 형성된 이형지가 부착되는 제1러버층과 제2러버층을 상기 난방필름의 상·하에 각각 위치시키는 단계;
    다) 상기 한 쌍의 프리 커팅선 바깥측의 이형지는 남겨두고, 한 쌍의 프리 커팅선 사이의 이형지만을 박리하여 제1 및 제2러버층을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층의 상면에는 섬유소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소재층의 상면에는 수지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러버층의 하면에는 접지시트 또는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매트 제조방법.
PCT/KR2012/004751 2011-10-24 2012-06-15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WO201306220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18A KR101084041B1 (ko) 2011-10-24 2011-10-24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KR10-2011-0108518 2011-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2207A1 true WO2013062207A1 (ko) 2013-05-02

Family

ID=4539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751 WO2013062207A1 (ko) 2011-10-24 2012-06-15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4041B1 (ko)
WO (1) WO201306220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483A (zh) * 2016-05-26 2016-08-17 黑龙江中惠地热股份有限公司 电热椅垫
WO2017122875A1 (ko) * 2016-01-14 2017-07-20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행복한온열이야기 난연성 전자파 차폐 전열시트
CN109714839A (zh) * 2019-02-27 2019-05-03 广东暖丰电热科技有限公司 地面发热膜扣板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9340B (zh) * 2014-08-18 2016-04-13 上海热丽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面状发热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92756B1 (ko) * 2022-09-13 2023-10-24 그린하이테크 주식회사 Tpu가 코팅된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모듈식 온열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956A (ja) * 1992-04-13 1993-11-05 Otani Kaihatsu Kk 電熱ボードとこの電熱ボードの製造方法
JP2002117960A (ja) * 2000-10-06 2002-04-19 Shinwa Sokutei Kk 面状発熱体の金属薄箔への電線接続方法
KR20070067518A (ko) * 2005-12-23 2007-06-28 정종석 방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박막히터의 제조장치
KR20100005758U (ko) * 2008-11-27 2010-06-07 김원준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53B1 (ko) 2002-01-21 2005-03-08 제오에너지 주식회사 온돌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956A (ja) * 1992-04-13 1993-11-05 Otani Kaihatsu Kk 電熱ボードとこの電熱ボードの製造方法
JP2002117960A (ja) * 2000-10-06 2002-04-19 Shinwa Sokutei Kk 面状発熱体の金属薄箔への電線接続方法
KR20070067518A (ko) * 2005-12-23 2007-06-28 정종석 방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박막히터의 제조장치
KR20100005758U (ko) * 2008-11-27 2010-06-07 김원준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875A1 (ko) * 2016-01-14 2017-07-20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행복한온열이야기 난연성 전자파 차폐 전열시트
CN105852483A (zh) * 2016-05-26 2016-08-17 黑龙江中惠地热股份有限公司 电热椅垫
CN109714839A (zh) * 2019-02-27 2019-05-03 广东暖丰电热科技有限公司 地面发热膜扣板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041B1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2207A1 (ko)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CN101220700B (zh) 用于沥青屋面集成光电模块的方法和系统
WO2015046893A1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WO2017097241A1 (zh) 一种静电吸尘空气净化夹置电热膜地暖玻璃地板
CN103414130A (zh) 一种线槽及其布设结构
WO2017097238A1 (zh) 一种静电吸尘空气净化夹置电热膜地暖复合地板
CN218569029U (zh) 电芯、电池模组及电池包
CN202633341U (zh) 可折叠的柔性太阳能电源
CN115842503B (zh) Bipv光伏瓦片
CN214544826U (zh) 发热板的接线结构及应用其的发热板结构、发热板系统
WO2006071841B1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unit for electrical isolation of a fuel cell stack from a manifol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CN211548454U (zh) 一种光伏保温建筑发电系统
CN202467085U (zh) Pvc自发热地板
CN208918193U (zh) 一种石墨烯发热组合地板
CN207397741U (zh) 带有三芯线的导电排
CA2741508A1 (en)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of solar panels for a kind of solar shingles
CN207603154U (zh) 一种绝缘耐火防水母线槽
CN202214948U (zh) 远红外低温发热模块
CN111785883A (zh) 电池模组及其装配方法
CN215167586U (zh) 一种环保自控加热复合地板
CN215647432U (zh) 一种运用于空气能的助温器
CN217439407U (zh) 一种新型电热复合装饰板结构
CN211548406U (zh) 一种光伏保温建材以及建筑屋顶和建筑墙体
CN219124379U (zh) 石墨烯发热结构及其构成的发热系统
JP200423518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436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436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