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73348A2 -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73348A2
WO2012173348A2 PCT/KR2012/004382 KR2012004382W WO2012173348A2 WO 2012173348 A2 WO2012173348 A2 WO 2012173348A2 KR 2012004382 W KR2012004382 W KR 2012004382W WO 2012173348 A2 WO2012173348 A2 WO 201217334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line switch
supply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3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73348A3 (ko
Inventor
권재욱
최종연
윤영수
조승원
김영윤
허윤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US14/123,854 priority Critical patent/US9537349B2/en
Publication of WO201217334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348A2/ko
Publication of WO201217334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34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Definitions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the external input power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nd supplying the satellite to be ready for launch.
  • the power supply 191 for supplying satellite power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a satellite, and the power supply 193 for charging a battery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a satellite battery.
  • the first line switch 140 transmits external input power supplied through the breaker 120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 the power switch 130 is in the OFF state, the external input power supply is cut off.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외부 입력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 공급 대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부,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 상기 원격 제어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 파워 스위치 온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장치부 및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로 공급하는 제1 라인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부 및 상기 제1 라인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에서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라인 스위치를 거쳐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제2 라인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비상 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STS(Launch Support Test Set, 발사지원장비)는 위성체가 발사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발사체를 통해 위성체의 전력 공급 및 위성체 상태를 전송받아 모니터링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위성체 발사 당일, LSTS는 발사체 건물 밑 벙커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LSTS를 컨트롤하는 업무는 발사체 발사 시, 환경적 영향이 없는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건물에서 원격으로 제어하게 된다.
LSTS에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가 구비되어, 위성체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위성체 내부에 있는 배터리(Battery)를 발사 시점까지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발사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 비상 사태가 발생하면, 위성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배터리 충전 업무를 중단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원격 명령을 통해 LSTS를 제어하지만, LSTS 내부에 있는 PC(원격제어기)가 고장 났을 때는 LSTS에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위성체에 응급 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가 고장 나서 위성체 및 위성체 배터리에 전원이 계속 공급될 경우 심한 타격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상 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은, 외부 입력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 공급 대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부,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 상기 원격 제어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 파워 스위치 온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장치부 및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로 공급하는 제1 라인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부 및 상기 제1 라인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에서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라인 스위치를 거쳐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제2 라인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는, 원격지에서 전원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대상 장치는 위성체이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부는 상기 위성체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파워서플라이, 그리고 상기 위성체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 스위치 및 상기 제2 라인 스위치는 전자석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제2 라인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라인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상 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시에 원격 제어기가 고장이 나더라도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장비의 안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지원장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발사지원장치의 전원 공급 루트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지원장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지원장비(Launch Support Test Set:LSTS, 100)는 발사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위성체(도시하지 않음)의 전력 공급 및 위성체 상태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발사지원장비(100)는 라인 필터(110), 차단기(120), 파워 스위치(130), 전원공급장치부(190),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 원격 제어기(160), 제1 라인 스위치(140), 제2 라인 스위치(180) 및 비상 차단 스위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부(190)는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 및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 필터(110)는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 및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에 잡음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입력 전원은 AC 220V의 단상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차단기(120)는 발사지원장비(100)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워 스위치(130)는 차단기(120)를 거쳐 공급되는 외부 입력 전원을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 및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공급장치부(190)는 외부 입력 전원을 입력받아 발사 대기 중인 위성체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는 위성체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는 위성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는 외부 입력 전원, 즉 상용 전원에서 발생 가능한 전원 장애를 극복하여 양질의 안정된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는 원격 제어기(16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원격지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는 원격지에서 전원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자체적으로 전원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160)는 원격지에서 제어 신호에 따라 발사지원장비(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기(160)는 외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장치부(19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 및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의 동작을 온(ON),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제1 라인 스위치(140)는 파워 스위치(130)가 온(ON) 상태인 경우 차단기(120)를 거쳐 공급되는 외부 입력 전원을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 및 전원공급장치부(190)에 공급하고, 파워 스위치(130)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는 외부 입력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라인 스위치(180)는 정상 시에는 온(ON) 상태가 되어 제1 라인 스위치(14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입력 전원을 전원공급장치부(190)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2 라인 스위치(180)는 비상 시에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운영자의 조작에 의해 비상 차단 스위치(170)가 오프 상태가 되거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에서 전원 출력이 중단되어 제2 라인 스위치(180)의 폴(pole) 상태가 바뀌면서 외부 입력 전원이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 및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 측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제1 라인 스위치(140) 및 제2 라인 스위치(180)는 마그넷스위치(magnet switch)로 구현되어, 멀리서 파워 스위치(130) 또는 비상 차단 스위치(170)를 조작하여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지원장치에서의 전원 공급 차단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발사지원장치의 전원 공급 루트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운영자가 파워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제1 라인 스위치(140)를 온 상태가 되게 하면, 라인 필터(110) 및 차단기(120)를 거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입력 전원은 제2 라인 스위치(180) 및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로 전달된다.
그리고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150)에서 전원이 출력되고 비상 차단 스위치(170)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정상 동작 상태에서는, 제2 라인 스위치(180) 역시 온 상태가 되어, 제1 라인 스위치를 거쳐 공급되는 외부 입력 전원이 전원공급장치부(190)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발사지원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원격 제어기(160)를 통해 전원공급장치부(190)의 위성전원 공급용 파워서플라이(191) 및 배터리 충전용 파워서플라이(193)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런데 만일 원격 제어기(160)가 고장난 경우 원격지에서 전원 출력 차단 신호를 송신하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15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150)에서 전원 출력이 중단되어 비상 차단 스위치(17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2 라인 스위치(180)의 폴(pole) 상태가 바뀌면서 전원공급장치부(190)에 공급되는 외부 입력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위성체 발사지원장비 외에도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 대상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상 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외부 입력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 공급 대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부,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
    상기 원격 제어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
    파워 스위치 온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장치부 및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로 공급하는 제1 라인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부 및 상기 제1 라인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에서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라인 스위치를 거쳐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제2 라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부는,
    원격지에서 전원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 대상 장치는 위성체이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부는,
    상기 위성체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파워서플라이, 그리고
    상기 위성체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4. 제 3 항에서,
    상기 제1 라인 스위치 및 상기 제2 라인 스위치는 전자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5. 제 4 항에서,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제2 라인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라인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입력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장치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상 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PCT/KR2012/004382 2011-06-13 2012-06-04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WO2012173348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23,854 US9537349B2 (en) 2011-06-13 2012-06-04 Power supply system hav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55 2011-06-13
KR20110057055A KR101145754B1 (ko) 2011-06-13 2011-06-13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348A2 true WO2012173348A2 (ko) 2012-12-20
WO2012173348A3 WO2012173348A3 (ko) 2013-03-28

Family

ID=4627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382 WO2012173348A2 (ko) 2011-06-13 2012-06-04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7349B2 (ko)
KR (1) KR101145754B1 (ko)
WO (1) WO201217334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16A1 (ko) * 2014-05-20 2015-11-2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전원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08B1 (ko) * 2014-10-23 2016-02-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원 공급 장치
EP3316670B1 (en) * 2015-06-23 2023-03-29 FUJI Corporation Work unit power supply device
KR102186314B1 (ko) * 2018-12-17 2020-12-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의 전력 시스템
KR102221916B1 (ko) * 2020-09-01 2021-03-04 주식회사 이든 범용 송신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차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031A (ja) * 1999-04-07 2000-12-19 Noboru Masaoka ネットワーク配電システム
KR100521501B1 (ko) * 2004-03-17 2005-10-14 새턴정보통신(주) 통신기능을 갖는 전자식 누전 차단기
KR20080026231A (ko) * 2006-09-20 2008-03-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KR20100131342A (ko) * 2009-06-05 2010-12-15 박세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580A (en) * 1995-10-10 1997-03-18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JP2001184145A (ja) * 1999-12-27 2001-07-06 Id Gate Co Ltd 情報処理装置等のリモート電源管理システム
US20110121781A1 (en) * 2009-11-20 2011-05-26 Space Information Labs LLC. Scalable, modular and intelligent power system
TWM405520U (en) * 2010-10-29 2011-06-11 Digi Triumph Technology Inc Uninterrupted power detection system(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031A (ja) * 1999-04-07 2000-12-19 Noboru Masaoka ネットワーク配電システム
KR100521501B1 (ko) * 2004-03-17 2005-10-14 새턴정보통신(주) 통신기능을 갖는 전자식 누전 차단기
KR20080026231A (ko) * 2006-09-20 2008-03-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KR20100131342A (ko) * 2009-06-05 2010-12-15 박세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16A1 (ko) * 2014-05-20 2015-11-2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전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10269A1 (en) 2014-07-31
WO2012173348A3 (ko) 2013-03-28
US9537349B2 (en) 2017-01-03
KR101145754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73348A2 (ko)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EP2709284B1 (en) Feeder circuit switching apparatus, optical underwater branching apparatus, underwater cable system, and feeder circuit switching method
WO2014129817A1 (ko) 센서용 ct와 발전용ct가 선로 상에 병렬로 분리 설치되는 전류 변성 시스템, 및 이를 무선 통신망으로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
CN207670214U (zh) 一种直流充电桩多枪功率分配系统
JP2014143795A (ja) 蓄電池装置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
US7148585B2 (en) Power grid backfeed protection apparatus
CN201488662U (zh) 全备弹测试安全控制电路
CN110890774B (zh) 一种保护卫星蓄电池放电开关的装置及其运行方法
US20200274350A1 (en) Emergency shutdown of an energy supply unit
WO2016108577A1 (ko) 이중화 제어 시스템
US20020117899A1 (en)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systems,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circuits and methods of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CN110843564A (zh) 一种电动车智能充换电系统
WO2015064927A9 (ko)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및 방법
US7256977B2 (en) Device for protection from thunder
JP2020036527A (ja) Dc過電圧監視及び保護デバイス及び直流dc電気システム相互接続
US20130154392A1 (en) System for bypassing and isolating electrical power cells
US20150096171A1 (en) Method of installing generator with automatic transfer switch
KR20180023587A (ko) 서지 프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N104037935B (zh) 一种带短路拒动保护的双电源转换控制器
EP3819769A1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er or air-conditioning system
WO2015056882A1 (ko) 분전반 자동 차단 시스템
KR102613905B1 (ko) 계전기
KR101689074B1 (ko) 차량 충전 장치
KR20190104506A (ko)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KR20180092062A (ko)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차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008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2385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008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