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69697A1 -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69697A1
WO2012169697A1 PCT/KR2011/006800 KR2011006800W WO2012169697A1 WO 2012169697 A1 WO2012169697 A1 WO 2012169697A1 KR 2011006800 W KR2011006800 W KR 2011006800W WO 2012169697 A1 WO2012169697 A1 WO 20121696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dule
input
light emitting
illumin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68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동호
Original Assignee
Lim Dong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im Dong Ho filed Critical Lim Dong Ho
Publication of WO20121696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96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5/00Tent, canopy, umbrella, or cane
    • Y10S135/91Illuminated cane or umbrell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can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the lighting function in a climbing cane used for hiking, etc.,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climbers at night or at daw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cane having a lighting function that allows a user (a climber) to use the climbing cane to simultaneously illuminate the ground (climbing path) of different distances by a simple operation.
  • the walking stick is a recreational tool that allows the user to climb up and down a steep hill more easily and safely during climbing or outdoor activities. It is used to prevent the excessive generation of joints of the knees and ankles by hiking and to reduce fatigue.
  • the wand with the lighting func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limitation of the battery usage time, and the wand constantly illuminates the ground from far and near alternately during the walk. Load distribu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mbing cane having a lighting function that allows a user (a climber) to use a walking cane to simultaneously illuminate the ground (climbing path) of different distances. ha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mbing cane having a lighting function by controlling the blinking method of the LED (Light Emitting Diode) used as lighting, greatly improving the use time of the lighting function.
  • LED Light Emitting Diode
  • the climbing cane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to illuminate different distances;
  • An input modul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ar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 a control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limbing stick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input module, and receiving and analyzing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modu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ccording to the result. It includes.
  •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by the switch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 the input module may have a fitting groove formed at one lower side thereof, and the handle part may have a fit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at one upper side thereof.
  • a first direction indic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 a second direction indic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module, and in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groove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groove.
  • Fixing pins may be coupled.
  • the light emitting module the short-range illumination unit for emitting radial light; And a far-field lighting unit for emitting straight light; It may include.
  • an inclined emission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near-illumination part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in front of the far-illumination part, the refractive glass conver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to straight light. It may be provided.
  • the control module may repeatedly blink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unit for the turned on time.
  • the control module whe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module, the control module checks the current stat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f the current state is off, the control module turns on the near-field lighting unit. When the near-illumination state is turned on, the far-illuminator may be turned on, and if the current state is the far-illuminated state, the far-illuminator may be turned off.
  • control module checks the input time of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module and compares it with the set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and if the input time is shor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Turn on the lighting unit, turn on the remote lighting unit if the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shor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and turn off the light emitting module if the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Turn Off).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illumination function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even in a long time by greatly improving the use time of the illumination function.
  •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to light the ground (mountain trails) of different distances at the same time while using a walking stick with a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imbing stick with the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ovide convenience in use but also improve product competitiveness.
  • FIG. 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alking stick with a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up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input module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configured in the climbing stick of FIG.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ignal transmission flow of the module for performing the illumination function of the climbing cane shown in FIG.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ighting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the control module of FIG.
  •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method of FIG. 5.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the control module of FIG. 4.
  • 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method of FIG. 7.
  • FIG. 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imbing stick having a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up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input module of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configured in the climbing stick of Figure 1
  • Figure 4 is a signal transmission flow of the module for performing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climbing stick shown in Figure 1 It is a block diagram explaining an Example.
  • the climbing stick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110, an input module 120, and a control module 130.
  •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is installed under the handle 140 to illuminat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limbing stick 100.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climber) grabs the handle part 140 and stands on the g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may be continuously projected.
  •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may include a near-field lighting unit 111 and a far-field lighting unit 112.
  •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may emit radial light
  • the far-field lighting unit 112 may emit straight light.
  • the inclination emitting portion 111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near illumination unit 111 to indu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be diffused 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 the inclined discharge portion 111a is preferably formed in an oval shape to form a long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ront of the remote illumination unit 112 may be a refracted glass (unsigned) for refra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convert the straight light.
  • the refractive glass may include a convex lens.
  • the input module 120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 the input module 1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40.
  • the input module 120 may include a button 121 that may be operated by a user.
  • the button 121 may be config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module 120.
  •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user (climber) grabs the handle 140 and stands on the ground,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only by pressing the button 121 using the thumb.
  • the convenience of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control module 130 is installed inside the climbing stick 10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 the control module 130 may receive and analyze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module 12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ccording to the result.
  • the control method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by the control module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the climbing cane 100 is to make each component separately, it is completed by combining them. Therefore, when the direction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and the handle 140 do not exactly match, it may cause inconvenience in use.
  • the climbing cane 100 may form a fitting groove 122 on the lower side of the input module 120, the fit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22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140. 142 may be formed.
  • Matching of the coupling directions may also be required in the coupling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up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input module of FIG. 1.
  •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may be fabricated as separate modules and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groove 113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groove 123 may be formed below the input module 120
  • the fixing pin 1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groove 113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groove 123.
  • the fixing pin 150 may be directed in a firs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are coupled so that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groove 113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groove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113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groove 123.
  • the fixing pin 150 may be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opposite to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and the far-field lighting unit 112.
  • the fixing pin 150 may be formed with a hole 151 for coupling and separat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side of the hole 151
  • a bolt for coupling and fixing the input module 120 may be configured.
  •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and the input module 120 may match.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ighting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of FIG. 4, and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method of FIG. 5.
  • control module 13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120 (step S101) and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step S102).
  • the current stat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may include an on state and an off state of the near illumination unit 111 and the far illumination unit 112.
  •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may be turned on (step S104).
  • control module 130 turns on the remote lighting unit 112 when the input signal IS_12 is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is turned on (LED1_T_On) (step S105). This can be done (step S106).
  • the remote lighting unit 123 it can be turned off (step S107).
  • the control module 130 repeats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turn on, the far-field lighting unit 112 turning on, and the light-emitting module 110 turning off. Can be controlled.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the control module of FIG. 4, and FIG. 8 is a graph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method of FIG. 7. .
  • the control module 130 receives an input time and an input time of the input signal.
  •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may be controlled by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 the input time of the input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1.
  •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be set to determine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by the input signal, and may be changed to various valu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control module 130 may turn on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step S204).
  • the remote illumination unit 112. can be turned on (step S206).
  • control module 130 when the remote illumination unit 112 is on when the input time (T3) of the input signal (IS_23) is shor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step S203), the remote illumination unit 112 ) And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can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step S204).
  • control module 130 may turn of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when the input time T4 of the input signal IS_24 is lon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step S206). S207).
  • control module 130 measures the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1 of the input module 120, and turns on the near illumination unit 111 and the far illumination unit 112 in response to the input time of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And turn off the light emitting module 110.
  • the climbing cane 100 is limited in external size and shap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not shown) configured in the interior of the climbing cane 100 to supply power to each module is limited, lighting function It was difficult to use it for a long time.
  • the control module 130 may turn on the near-field lighting unit 111 or the far-field lighting unit 112 during the turned-on time. Can blink repeatedly. For example, the time that is repeatedly blinking may be set to a maximum time within a time range that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by a person.
  • the use time of the lighting function can be impro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등산객)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서로 다른 거리의 지면(등산로)을 비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이나 새벽의 산행시 등산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조명기능을 선택함에 있어, 사용자에 대한 조작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명기능의 선택 및 제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으로 사용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의 점멸방식을 제어하여, 조명기능의 사용시간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의 산행에서도 지속적으로 조명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행 등에 사용되는 등산용 지팡이에 조명기능을 구성함으로써, 야간이나 새벽의 산행에서 등산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등산객)가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간편한 조작에 의해 서로 다른 거리의 지면(등산로)을 비출 수 있도록 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용 지팡이는 등산이나 야외활동시 가파른 언덕을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레저용 도구로서, 등산객이 산행을 할 때, 등산용 지팡이로 지면을 짚어 체중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장시간의 산행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의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정신적 및 육체적 건강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등산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번잡한 시간을 피하고 여유를 즐기기 위하여 주로 저녁이나 새벽에 등산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밤이나 새벽에 등산을 하거나 산책을 하게 되는 경우, 지면(등산로)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돌이나 나무뿌리 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기구를 휴대해야 하지만 휴대용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지면을 비추게 되면, 머리에 착용하는 조명기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산행시에 타인과 대화시 눈부심이 발생되고, 시야 확보를 위해 정면만 보아야 하는 시야 고정에 따라 피곤함을 쉽게 느껴 야간 산행을 기피하였다.
결과적으로 밤이나 새벽에 별도의 휴대용 조명기구를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서로 간의 대화시 눈부심이 발생되고 땀으로 인하여 조명기구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조명기능을 가진 지팡이가 개발되고 있으나, 배터리 사용 시간에 따른 제한 등의 문제가 존재할 뿐 아니라 산행시 지속적으로 멀고 가까운 이곳저곳의 지면을 번갈아 비추게 되어 지팡이의 주 목적(하중 분산)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등산용 지팡이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조작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등산객)가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간편한 조작으로 서로 다른 거리의 지면(등산로)을 비출 수 있도록 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으로 사용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의 점멸방식을 제어하여, 조명기능의 사용시간을 크게 향상시킨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는, 손잡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거리를 조명하는 발광모듈;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발광모듈 및 입력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등산용 지팡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를 전송받아 분석처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모듈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제어 하에 스위칭 동작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모듈은 하부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 일측에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모듈의 상부에는 제1 방향지시홈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모듈의 하부에는 제2 방향지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지시홈 및 제2 방향지시홈에는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모듈은, 방사형 광을 방출하는 근거리 조명부; 및 직진형 광을 방출하는 원거리 조명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거리 조명부의 가장자리에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이 정해진 범위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방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거리 조명부의 앞에는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굴절시켜 직진형 광으로 변환하는 굴절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근거리 조명부 및 원거리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Turn On)하면, 턴온된 시간동안 해당 조명부를 반복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의 현재상태를 확인하며, 현재상태가 오프상태이면 상기 근거리 조명부를 턴온(Turn On)하고, 현재상태가 근거리 조명상태이면 상기 원거리 조명부를 턴온하며, 현재상태가 원거리 조명상태이면 상기 원거리 조명부를 턴오프(Turn Off)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의 입력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및 제2 기준시간과 비교하며, 입력시간이 제1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조명부를 턴온(Turn On)하고, 입력시간이 제1 기준시간보다 길고 제2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원거리 조명부를 턴온하며, 입력시간이 제2 기준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발광모듈을 턴오프(Turn Off)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조명기능의 사용시간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의 산행에서도 지속적으로 조명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등산객)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거리의 지면(등산로)을 비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조명기능을 선택함에 있어, 사용자에 대한 조작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명기능의 선택 및 제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모듈과 입력모듈의 결합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등산용 지팡이에 구성된 발광모듈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등산용 지팡이의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의 신호전송흐름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모듈에서 수행되는 조명기능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4의 제어모듈에서 수행되는 조명기능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어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모듈과 입력모듈의 결합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등산용 지팡이에 구성된 발광모듈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등산용 지팡이의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의 신호전송흐름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100)는 발광모듈(110), 입력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발광모듈(110)은 손잡이부(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등산용 지팡이(100)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조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등산객)가 손잡이부(140)를 잡고 지면을 내딛는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전방의 지면을 비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모듈(110)은 근거리 조명부(111) 및 원거리 조명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근거리 조명부(111)는 방사형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원거리 조명부(112)는 직진형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조명부(111)의 가장자리에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이 정해진 범위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방출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전력소모가 적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양손으로 두 개의 등산용 지팡이(100)를 사용하면서 산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방출부(111a)는 상하부 방향으로 장축을 형성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원거리 조명부(112)의 앞에는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굴절시켜 직진형 광으로 변환하는 굴절유리(미부호)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유리는 볼록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120)은 사용자의 제어 하에 발광모듈(1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모듈(120)은 손잡이부(14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21)은 입력모듈(120)의 상부면에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등산객)가 손잡이부(140)를 잡고 지면을 내딛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버튼(121)을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발광모듈(110)의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10) 및 입력모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등산용 지팡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입력모듈(12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를 전송받아 분석처리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광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제어 방법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등산용 지팡이(100)는 각각의 구성들을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 및 손잡이부(140)의 방향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면 사용상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 구성들의 결합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산용 지팡이(100)는 입력모듈(120)의 하부 일측에 끼움홈(122)을 형성할 수 있고, 손잡이부(140)의 상부 일측에 끼움홈(122)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40)를 입력모듈(120)의 하부에 결합함에 있어, 끼움돌기(142)가 끼움홈(122)에 끼워지도록 결합함으로써, 입력모듈(120)과 손잡이부(140)의 결합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향의 일치는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의 결합에서도 요구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발광모듈과 입력모듈의 결합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은 각각 별도의 모듈로 제작되어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모듈(110)의 상부에는 제1 방향지시홈(113)이 형성될 수 있고, 입력모듈(120)의 하부에는 제2 방향지시홈(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지시홈(113) 및 제2 방향지시홈(123)에 고정핀(150)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지시홈(113) 및 제2 방향지시홈(123)이 이어지도록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150)이 제1 방향지시홈(113) 및 제2 방향지시홈(12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핀(150)은 발광모듈(110)은 근거리 조명부(111) 및 원거리 조명부(112)와 반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핀(150)에는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홀(151)이 형성될 수 있고, 홀(151)의 내부에는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을 결합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을 결합함에 있어, 고정핀(1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지시홈(113) 및 제2 방향지시홈(123)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발광모듈(110)과 입력모듈(120)의 결합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어모듈에서 수행되는 조명기능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모듈(130)은 입력모듈(12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단계 S101), 발광모듈(110)의 현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102). 예를 들어, 발광모듈(110)의 현재상태는 근거리 조명부(111) 및 원거리 조명부(112)의 온(On)상태 및 오프(Off)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10)의 근거리 조명부(111) 및 원거리 조명부(112)가 모두 오프인 상태(T_Off)에서 입력신호(IS_11)가 입력되면(단계 S103), 근거리 조명부(111)를 턴온(Turn On)할 수 있다(단계 S104).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10)의 근거리 조명부(111)가 온인 상태(LED1_T_On)에서 입력신호(IS_12)가 입력되면(단계 S105), 원거리 조명부(112)를 턴온할 수 있다(단계 S106).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10)의 원거리 조명부(112)가 온인 상태(LED2_T_On)에서 입력신호(IS_13)가 입력되면(단계 S105), 원거리 조명부(123)를 턴오프할 수 있다(단계 S107).
다시 말해, 제어모듈(130)은 사용자가 입력모듈(120)의 버튼(121)을 누를 때 마다, 근거리 조명부(111) 턴온, 원거리 조명부(112) 턴온 및 발광모듈(110) 턴오프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제어모듈에서 수행되는 조명기능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어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모듈(130)은 발광모듈(110)이 턴오프인 상태에서(단계 S201) 입력모듈(12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202), 입력신호의 입력시간과 제1 기준시간 및 제2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발광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의 입력시간은 사용자가 버튼(121)을 누르고 있는 시간에 상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시간 및 제2 기준시간은 입력신호에 의해 발광모듈(110)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입력신호(IS_21)의 입력시간(T1)이 제1 기준시간보다 짧을 경우(단계 S203), 근거리 조명부(111)를 턴온할 수 있다(단계 S204).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입력신호(IS_22)의 입력시간(T2)이 제1 기준시간보다 길고(단계 S203) 제2 기준시간보다 짧을 경우(S205), 원거리 조명부(112)를 턴온할 수 있다(단계 S206).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원거리 조명부(112)가 온인 상태에서 입력신호(IS_23)의 입력시간(T3)이 제1 기준시간보다 짧을 경우(단계 S203), 원거리 조명부(112)를 턴오프함과 동시에 근거리 조명부(111)를 턴온할 수 있다(단계 S204).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입력신호(IS_24)의 입력시간(T4)이 제2 기준시간보다 긴 경우(단계 S206), 발광모듈(110)을 턴오프할 수 있다(단계 S207).
다시 말해, 제어모듈(130)은 사용자가 입력모듈(120)의 버튼(121)을 누른 시간을 측정하고, 해당 입력신호의 입력시간에 대응하여 근거리 조명부(111) 턴온, 원거리 조명부(112) 턴온 및 발광모듈(110)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등산용 지팡이(100)는 외형적 크기 및 형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각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등산용 지팡이(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의 용량이 한정적이므로, 조명기능을 장시간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한정적인 용량을 갖는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모듈(130)은 근거리 조명부(111)가 턴온(LED1_T_On)되거나 원거리 조명부(112)가 턴온(LED2_T_On)되면, 턴온된 시간동안 근거리 조명부(111) 또는 원거리 조명부(112)를 반복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시간은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시간범위 내에서 최대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조명부(111) 또는 원거리 조명부(112)가 턴온된 상태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조명기능의 사용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손잡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거리를 조명하는 발광모듈;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발광모듈 및 입력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등산용 지팡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를 전송받아 분석처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모듈은,
    방사형 광을 방출하는 근거리 조명부; 및
    직진형 광을 방출하는 원거리 조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제어 하에 스위칭 동작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하부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 일측에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의 상부에는 제1 방향지시홈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모듈의 하부에는 제2 방향지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지시홈 및 제2 방향지시홈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조명부의 가장자리에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이 정해진 범위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방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거리 조명부의 앞에는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굴절시켜 직진형 광으로 변환하는 굴절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근거리 조명부 및 원거리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Turn On)하면, 턴온된 시간동안 해당 조명부를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의 현재상태를 확인하며, 현재상태가 오프상태이면 상기 근거리 조명부를 턴온(Turn On)하고, 현재상태가 근거리 조명상태이면 상기 원거리 조명부를 턴온하며, 현재상태가 원거리 조명상태이면 상기 원거리 조명부를 턴오프(Turn 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의 입력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및 제2 기준시간과 비교하며, 입력시간이 제1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조명부를 턴온(Turn On)하고, 입력시간이 제1 기준시간보다 길고 제2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원거리 조명부를 턴온하며, 입력시간이 제2 기준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발광모듈을 턴오프(Turn 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PCT/KR2011/006800 2011-06-07 2011-09-15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WO20121696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00U KR200455258Y1 (ko) 2011-06-07 2011-06-07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KR20-2011-0005000 2011-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9697A1 true WO2012169697A1 (ko) 2012-12-13

Family

ID=4729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6800 WO2012169697A1 (ko) 2011-06-07 2011-09-15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5258Y1 (ko)
WO (1) WO2012169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37B1 (ko) * 2012-03-20 2013-12-02 (주)뷰트론 솔라셀 패널이 장착된 엘이디 조명을 구비한 지팡이
KR20160063705A (ko) 2014-11-27 2016-06-07 김이환 위치 추적기능이 구비된 지팡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851Y1 (ko) * 1994-10-12 1996-07-18 박양길 다목적지팡이
JP2002119315A (ja) * 2000-10-17 2002-04-23 Hisatomi Electric Ind Co Ltd
KR200282306Y1 (ko) * 2002-04-10 2002-07-19 이경숙 지팡이
KR200413382Y1 (ko) * 2006-01-12 2006-04-06 이동훈 다목적 산악용 스틱
KR20100108137A (ko) * 2009-03-27 2010-10-06 김운기 조명 기능 선택이 가능한 등산용 지팡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851Y1 (ko) * 1994-10-12 1996-07-18 박양길 다목적지팡이
JP2002119315A (ja) * 2000-10-17 2002-04-23 Hisatomi Electric Ind Co Ltd
KR200282306Y1 (ko) * 2002-04-10 2002-07-19 이경숙 지팡이
KR200413382Y1 (ko) * 2006-01-12 2006-04-06 이동훈 다목적 산악용 스틱
KR20100108137A (ko) * 2009-03-27 2010-10-06 김운기 조명 기능 선택이 가능한 등산용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258Y1 (ko) 201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2633B (zh) 可佩戴式前照灯
US20060034078A1 (en) Rechargeable LED utility light
US7150540B2 (en) Rechargeable LED utility light
US9989242B1 (en) Umbrella with fiber optic lights and a flashlight handle
WO2012169697A1 (ko)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US11363862B2 (en) Illuminated trekking pole
US9752762B1 (en) Rechargeable wrist-mounted work light
CN206866776U (zh) 多功能助行手杖
KR101335537B1 (ko) 솔라셀 패널이 장착된 엘이디 조명을 구비한 지팡이
CN206079198U (zh) 一种智能鞋
KR101969069B1 (ko)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KR101444830B1 (ko) 휴대용 엘이디 작업등
KR20170054695A (ko) 착탈되는 조명부재를 구비한 모자
CN205402328U (zh) 一种头灯
CN203892903U (zh) 多功能伸缩笔灯
CN211065310U (zh) 一种光纤照明雨伞
CN207785867U (zh) 一种发光轮滑鞋
CN211672741U (zh) 手持设备和用于手持杖的照明系统
CN215124838U (zh) 一种音乐跑鞋
CN203656589U (zh) 多功能照明灯具
WO2014157776A1 (ko)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CN106996518B (zh) 电池罩
KR101419851B1 (ko) 엘이디 조명장치를 가진 신발
JP3206545U (ja) 電気による光る杖
KR101242555B1 (ko) 인식용 광원이 장착된 스키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671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671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