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28461A2 -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 Google Patents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28461A2
WO2012128461A2 PCT/KR2012/000471 KR2012000471W WO2012128461A2 WO 2012128461 A2 WO2012128461 A2 WO 2012128461A2 KR 2012000471 W KR2012000471 W KR 2012000471W WO 2012128461 A2 WO2012128461 A2 WO 201212846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black garlic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0471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Other versions
WO2012128461A3 (en
Inventor
정남호
정영미
유명진
이동섭
이선하
Original Assignee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Publication of WO201212846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28461A2/en
Publication of WO201212846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28461A3/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black garlic extracts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The mix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obesity effect by suppressing fat synthesis and fat cell differenti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AMPK and the inhibition of ACC, which is a target of AMPK, and also shows improved effects compared to using only one species, whereby the composi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Description

【명세서】  【Specification】
【발명의명칭】  [Name of invention]
혹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 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ophylaxis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pulverized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기술분야】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 분야이며, 구체적으로 흑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흔합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ield of natural extracts, and specifically relates to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combination extract.
【배경기술】  Background Art
비만에 대한 늘어나는 경각심과 비만의 원인을 이해하고 이에 대웅하고자 하 는 전 지구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만은 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Mitchell et al. , Implications for female fertility and obesity. Reproduction. 2005;130:583-97).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최근 5 년 동안 국내 비만인구 비율이 해마다 3%씩 증가하여, 현재 비만자 비율이 전체 인 구 중 32.7% (남 33.1%, 여 32.2%)이며, 연령별로는 중장년층이 평균 44%로 청년층 (22%)의 두 배나 되고, 비만으로 인한 질환이 늘어나면서 2007년 기준으로 사회경 제적 비용은 1조 8239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Despite the increasing awareness of obesity and global efforts to understand and address the causes of obesity, obesity continues to increase rapidly. (Mitchell et al., Implications for female fertility and obesity. Reproduction. 2005; 130: 583-97).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proportion of obese people in Korea has increased by 3% every year for the last five years. Currently, the proportion of obese people is 32.7% (33.1% for males and 32.2% for females). This average is 44%, twice that of the youth (22%), and as the disease caused by obesity increases, the social economic cost is estimated at 1,823.3 billion won in 2007.
비만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비만 자체가 곧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비만 진행 여부의 판단은 대표적으로 과체중 여부로 판단할 수 있으며, 구체 적으로 특정 부위에서의 체지방의 증가 (예를 들어, 복부 비만 등)로 판단할 수 있 다. 비만으로 분류된 경우 즉, 비만자는 다른 질병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 고 정상체증을 가진 사람과 비교하여 당뇨병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4배, 간병경 증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2배, 뇌혈관질환으로 인한사망률은 1.6배 및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1.8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한, 복부 비만 은 동맥경화성 죽종형성 (atheroma format ion)의 원인으로 보고되었으며 (Kunitomi M et al. , Relationship between reduced serum IGF- I levels and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in Japanese 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26:361-9) , 기타 고혈압, 고지혈증, 면역체계의 이상 및 고인슐린증 등의 여러 질환의 원인으 로 보고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심혈관질환의 이환률 (morbidity)과 사망률 (mortality)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Hida K, et al. , Visceral adipose tissue-derived serine protease inhibitor; a unique insulin- sensitizing adipocytokine in obesity.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102:10610-5). 현재 알려진 과학적인 치료법들은 이러한 유발 인자들을 저해 하거나 항진시켜 비만을 일으키는 요소들을 저해하여 비만의 정도를 완화 혹은 개 선하고자 한다. As the problem of obesity is getting worse,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that obesity is a disease. Obesity can be judged as being overweight, and specifically, it can be judged as an increase in body fat (eg, abdominal obesity) at a specific site. Obesity has a higher prevalence and mortality than other diseases, and a four-fold mortality from diabetes, twice the mortality from hepatic cirrhosis, and cerebrovascular disease. The mortality rate is 1.6 times higher and the mortality rate from coronary artery disease is 1.8 times higher. In addition, abdominal obesity has been reported as a cause of atherosclerotic atherosclerosis (Kunitomi M et al., Relationship between reduced serum IGF- I levels and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in Japanese men.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26: 361-9), and other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immune system dysfunction, and hyperinsulinemia, which have been reported to increase morbidity and mortal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Hida K, et al., Visceral adipose tissue-derived serine protease inhibitors; a unique insulin-sensitizing adipocytokine in obesity. Proc Natl Acad Sci US A. 2005; 102: 10610-5). Currently known scientific therapies inhibit these triggers To reduce or improve the degree of obesity by inhibiting the factors causing obesity.
<4>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 증의 치료법은 식이요법, 운동요법, 식욕 억제제, 이뇨제, 설사제 혹은 포만감을 주기 위한 섬유질 등을 사용하는 약물요법, 잘못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교정해 주 는 행동수정요법, 외과에서 장이나 위의 용적을 줄이는 수술요법, 성형외과 등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방세포를 분해, 제거하는 방법 등의 지방제거수술 등이 있다. 또한 대표적 비만 치료제로서 지방흡수 억제제인 제니칼 (Roche 사)과 식욕억제제인 리덕틸 (Abbott사)이 세계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각각 마 이너스 성장에 머물고 있으며 (2007년 각각 -10% 정도),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 된 제품의 경우 우울증, 불면증이나 소화장애 등을 포함하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장 기 복용을 금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제약사들의 제네릭 및 개량신약 제 품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실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비만치료를 받는 환 자들은 단지 5%, 실제 비만 환자인 경우도 10¾에 불과하며 , 2008년 비만치료제 시 장규모는 약 800억원정도로 전체 비만 시장의 10%미만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Currently, various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have been provided. In general, treatment for obesity includes diet, exercise therapy, appetite suppressants, diuretics, drug therapy using diarrhea or satiety fiber, behavioral modifications that correct wrong eating habits and lifestyles, and surgical intestines. In addition, there are liposuction surgery such as a method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stomach, a method of decomposing and removing fat cells using ultrasound in plastic surgery and the like. In addition, fat absorbing agents such as jenga (Roche) and appetite suppressant Reductil (Abbott) occupy 80% of the world market, respectively, but in the domestic market each has a negative growth (-10 each in 2007) %), In the case of products classified as psychotropic drugs, there is a problem that prohibits taking of organs due to serious side effects including depression, insomnia or digestive disorders. Generic and improved new drug products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leading the market growth, but only 5% of patients who visit obese medical centers are treated with obesity, and only 10¾ of them are obese patients. Is about 80 billion won, less than 10% of the total obesity market.
<5> 반면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다이어트 식품 시장이 가장 큰 성장세를 기록하 며, 현재 약 2천억원의 규모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국건강기능식품협회 2008년 도 자료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의 소비자 요구에 가장 적합한 기능성의 우선순위 조사 결과, 비만 38%, 면역력 증진 22%, 아토피 14%, 관절건강 (류마티스) 11% 순으 로 나타났으며 2009년 기능성 유망소재의 결과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보다 천연물 질을 유래의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만억제 또는 치료용 물질 개 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며, 다양한 약용 식물과 농업생명자원으로부터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우수한소재의 개발에 대한 시장의 요구도가 매우 높다. <5> On the other hand, the diet food market recorded the largest growth in the dietary supplement food market, and the industry estimates the current amount to about 200 billion won.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Food Association's 2008 data, the priority survey of functional foods best suited to consumers' needs, obesity 38%, immunity enhancement 22%, atopy 14%, joint health (rheumatic) 11% In 2009, the results of functional promising materials were similar.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obesity-inhibiting or therapeutic substances that exhibit safer and better effects derived from more natural materials, and the market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materials with new mechanisms of action from various medicinal plants and agricultural bioresources. Very high.
【발명의 내용】  [Content of invention]
【기술적 과제】  [Technical problem]
<6> 본원은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사용될 수 있는 추출물,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一 【기술적 해결방법】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ract, a composition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anti-obesity using natural substances.一 【Technical Solution】
<7> 본원은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조합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a combin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8> 본원은 또한 상기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조합은 흑마늘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16 중량부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 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in an amount of 8 to 16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black garlic extract All.
<9> 본원은 또한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원적외선 조사 가온숙성방식에 의해 제조 된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wherein the black garlic extract is prepared by the far-infrared irradiation warm aging method.
<10> 본원은 또한 상기 비만은 대사증후군을 유발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wherein the obesity causes metabolic syndrome.
<11> 본원은 또한 상기 대사 증후군은 내당장애, 고혈압, 고지혈증, 간병증 및 신 병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상을 갖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wherein the metabolic syndrome has symptoms including at least one of glucose tolerance, hypertension, hyperlipidemia, liver disease and nephropathy.
<12> 본원은 또한 상기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로 제공 되는 비만또는 고지혈증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provided by the composition as a dietary supplement, a functional food, a food additive.
【유리한 효과】  Advantageous Effects
<13>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조합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은 조합으로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비만치 료, 비만예방과 혈당강하, 신병증, 간병증, 고지혈증 증상의 예방, 치료 및 완화에 있어 상승된 효과를 가진다.  <13>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 health food comprising the same as compared to the case of obesity treatment, prevention of obesity and hypoglycemia, nephropathy, liver disease, hyperlipidemia Has an elevated effect on prevention, treatment and alleviation.
【도면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14> 도 1은 가공형태 및 추출방식에 따른 의성 한지 마늘 추출물 분말 및 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추출물 흔합 분말사진이다.  FIG. 1 is a photograph of a combination powder of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Uji Hanji garlic extract powder and garlic extract according to processing form and extraction method.
<15> 도 2는 도 1의 마늘 추출물과 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흔합 추출 물의 세포에서의 AMPK 활성 변화를 웨스턴블랏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A): 마 늘 열수 추출물 (도 1의 a); (B): 원적외선조사 가은숙성방식으로 제조된 흑마늘 열수추출물 (도 1의 b); (C):흑마늘 열수추출물 (도 1의 b)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흔합물 (도 1의 c)이며, 사진 내부의 C는 대조군을 나타내며 Met는 비교 군 메트포르민 (Metformin) 2mM을 표시한다. ρΑΜΡΚα는 pACC에서 p는 인산화된 형 태를 나타내고, tAMPKa 및 tACC에서 t는 인산화 및 비인산화 형태 전체 (total)를 나타낸다. FIG. 2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AMPK activity in the cells of the garlic extract,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combination extract of FIG. (A): garlic hydrothermal extract (FIG. 1 a); (B):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prepared by far-infrared irradiation aging (FIG. 1 b); (C):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FIG. 1 b)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FIG. 1 c). C in the picture represents the control group and Met represents the comparative group metformin (Metformin) 2 mM. ρΑΜΡΚα represents p phosphorylated form in pACC, and t represents phosphorylated and non-phosphorylated form total in tAMPKa and tACC.
<16> 도 3은 도 1의 마늘 열수 추출물 (A)이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A) 및 세포내 축적된 지방의 양 (B)을 측장한 결과이다.  FIG. 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effect of garlic hot water extract (A) of FIG. 1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 and the amount of fat accumulated in cells (B).
<17> 도 4는 도 1의 원적외선조사 가온숙성방식으로 제조된 흑마늘 열수추출물 이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A) 및 세포내 축적된 지방의 양 (C)을 측정한 결과이 고 (왼편 패널), 동일 흑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흔합조성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B) 및 세포내 축전된 지방의 양 (D)을 측정한 결과 ( 오른편 패널)이다. 4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effect of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prepared by the far-infrared irradiation warming method of FIG. 1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 and the amount of fat accumulated in the cell (C) (left panel) , The effect of the sam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compositio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B) and the amount of intracellular stored fat (D) Right panel).
<18> 도 5는 원적외선조사 가온숙성 방식으로 제조된 혹마늘 열수 추출물과 동일 혹마늘 추출물과 가르시 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 흔합조성물이 지방세포 분화 조절 유 전자의 발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 PCR로 관찰한 결과이다.  FIG. 5 is a real-time PCR method for the effects of the same composition of the umami garlic extract and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which are the same as the sorghum hot water extract prepared by the far-infrared irradiation warming aging method, o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control gene. Observed.
<19> 도 6은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의 조합과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을 단독 처리 한 경우 세포내 축적된 지방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6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fat accumulated in cells when the combin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were treated alone.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 태】  [Form for implementation of invention]
<20> 본원은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 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조합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비만 및 /또는 고지 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and /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a combin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2i> 최근 항비만 물질 개발을 위 한 신규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AMPK (AMP act ivated protein kinase)이다. AMPK는 세포내 AMP(Adenosine Mono-Phosphate )¾ 감지하여 활성화되는 단백질로서 ATP를 소모하는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는 반면 ATP를 합성하는 신호전달경로는 활성화하여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AMPK의 활성을 증가시 키는 물질은 ATP (Adenosine Tri -Phosphate) 합 성촉진 , 글루코스 흡수의 증가, 지방의 β -산화 (oxidat ion) 촉진,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 염증 반웅 완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비만을 포함한 당 뇨, 인슐린 저항성 , 고지 혈증, 염증 등 대사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물 표적 으로 활용되고 있다. <2i> Recently, AMPK (AMP act ivated protein kinas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anti-obesity substances. AMPK is signaling pathway for synthesis of ATP, whereas a protein that is activated by detecting intracellular AMP (Adenosine Mono-Phosphate) ¾ ■ to inhibit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hat consume ATP activates and serves to protect cells from external stress . Substances that increase the activity of AMPK have the effects of promoting ATP (Adenosine Tri-Phosphate) synthesis, increasing glucose uptake, promoting β-oxidation of fat,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and alleviating inflammation. It has been reported to be used as a drug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drugs for metabolic diseases such as diabetes, insulin resistance, hyperlipidemia and inflammation, including obesity.
<22> AMPK는 세포 내 ATP 농도 감지 역할을 하는 인산화 효소로서 세포내의 에너 지 균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효소로서, 대부분 세포내 생합성 (ATP 소비 과 정 )에 의해 증가되거나, 운동 등으로 인한 급격한 ATP 소비에 의하여 증가된 AMP:ATP 비율에 의해 활성화 되어 ATP 생성 과정을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AMPK는 몇몇 하위 단계에 있는 기 질을 인산화하여 지방 합성 이나 콜레스 테를 합성과 같은 ATP-소비 경로를 차단하고 지방산 산화나 당분해와 같은 ATP-생 성 경로를 활성화시 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G. Hardie et al . , FEBS Lett . , 546, ppll3-120, 2003; D. Car l ing, Trends Biochem. Sci . , 29, ppl8-24, 2004) 지 질질대사와 관련되어 AMPK의 중요한 조절기작은 단백질 인산화를 통해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제 (Acetyl -CoA carboxylase , ACC)란 효소의 활성을 억 제하는 것이 다. ACC는 간과 근육 등 여 러 조직에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로 아세틸 -CoA를 말로닐 -CoA로 탄산화시 키는 작용을 하며 (B.E. Kemp, Biochem. Soc . Trans . , 31, pp 162- 168, 2003) , 말로닐 -CoA는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존재하는 CPT1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의 저해제로 작용하고, 이 CPT1의 활성 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지방의 β-산화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Leh inger , Principles of Biochemistry, Worth Publishers, NY, 3rd Ed. , pp599- 605, 2000; Cohen P. , Miyazaki , M., Socci , N. D. , Hagge-Greenberg, A., Liedtke, W., Soukas, A. A. , Sharma, R. , Hudgins, L. C. , Ntambi , J. M. & Friedman, J. M. , Science 297, 240-243, 2002) . AMPK is a phosphatase that detects intracellular ATP concentrations and is a very important enzyme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energy in cells. Mostly, AMPK is increased by intracellular biosynthesis (ATP consumption) or rapid ATP due to exercise. It is known to be activated by the increased AMP: ATP ratio by consumption, leading to the ATP production process. Activated AMPK is known to phosphorylate substrates in several substeps, blocking ATP-consuming pathways such as fat synthesis or cholesterol synthesis and activating ATP-producing pathways such as fatty acid oxidation or glycolysis. (DG Hardie et al., FEBS Lett., 546, ppll3-120, 2003; D. Carling, Trends Biochem. Sci., 29, ppl8-24, 2004) Important Regulators of AMPK in Relation to Lipid Metabolism Acetyl-CoA carboxylase (ACC) inhibits enzyme activity through small protein phosphorylation. ACC is an important enzyme that regulates lipid metabolism in various tissues such as liver and muscle. It acts to carbonate acetyl-CoA to malonyl-CoA (BE Kemp, Biochem. Soc. Trans., 31, pp 162-168). , 2003), malonyl-CoA is present in the outer membrane of the mitochondria It acts as an inhibitor of CPT1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 and its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β-oxidation of fat in mitochondria (Leh 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orth Publishers, NY, 3rd Ed., Pp 599 -605, 2000; Cohen P., Miyazaki, M., Socci, ND, Hagge-Greenberg, A., Liedtke, W., Soukas, AA, Sharma, R., Hudgins, LC, Ntambi, JM & Friedman, JM , Science 297, 240-243, 2002).
<23> AMPK의 활성화에 의해 ACC의 인산화가 증진되어 효소 활성이 억제되면 말로 닐 -CoA의 생성량이 감소하게 되어 AMPK의 활성화가 유도되며 (Va as D et al., J. Biol. Chem. , 272, pp 13255- 13261, 1997) 지방산을 태우는 산화작용에 의해 ATP 생 성량이 증가된다. 즉 AMPK 활성화에 따른 AC의 인산화는 지방산 산화 증가 기전 의한 체지방 감소에 중요하다. 따라서 지방산 합성초기에 ACC 효소 활성을 AMPK에 의해서 조절하면, 필요 이상의 체내 지방 축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체중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AMPK의 중요한 조절기작 중에 HMG-CoA 리덕타 제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의 타겟분자)의 활성이 또한 억제되는데, 이것은 AMPK 활성화에 의해서 콜레스테를의 합성도 간조직에서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를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또한 얻을 수 있 다. 따라서 AMPK가 활성화되면, 지방의 합성이 감소하는 동시에 β-산화가 증가되 어 내지방의 산화가 증가하여 체지방 감소로 인한 체중감소는 물론 혈중 중성지 방과 콜레스테를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ctivation of AMPK enhances the phosphorylation of ACC and the inhibition of enzyme activity leads to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malonyl-CoA, leading to the activation of AMPK (Va as D et al., J. Biol. Chem., 272, pp 13255-13261, 1997) ATP production is increased by the oxidation of fatty acids. In other words, phosphorylation of AC by AMPK activation is important for the reduction of body fat due to fatty acid oxidation mechanism. Therefore, if ACC enzyme activity is controlled by AMPK at the beginning of fatty acid synthesis, it is possible to suppress fat accumulation in the body more than necessary, and consequently, weight gain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during the important regulatory mechanism of AMPK, the activity of HMG-CoA reductase (a target molecule of statin, a hyperlipidemia drug) is also inhibited, which means that the synthesis of cholesterone can also be regulated in liver tissue by AMPK activa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 in the blood can be obtained. Therefore, when AMPK is activated, the synthesis of fat decreases and β-oxidation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oxidation of ovaries,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body due to the decrease of body fat and reducing the concentrations of neutral fat and cholesterol in the blood.
<24> 본원의 조성물은 흑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흔합으로 포함하 며, AMPK를 활성화여 체지방을 감소시켜 항비만 효과 및 고질혈증의 완화 및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ombination of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and activates AMPK to reduce body fat, thereby exhibiting anti-obesity effect and alleviation and / or therapeutic effect of hyperlipidemia.
<25>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만"은 에너지 불균형에 의하여 체내에 축적된 지방이 정상수치보다 높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 (condition) 또는 질환 (disease)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비 만의 진단에 이용되는 것은 키 (meter단위)의 제곱으로 자신의 체중을 나눈 값이 되 며, 이 값이 25.0 이상인 경우는 비만이라고 정의하고, 23이상 25미만은 과체중 (위 험체중)으로 정의하고 있다. 비만은 분류에 따라 내분비성 비만 (내분비 이상 또 는 뇌질환으로부터 기인), 단순성 비만 (과다한 영양 섭취로부터 기인); 증식성 비 만 (지방세포수의 증가로 인한 비만), 비대'형비만 (지방세포의 크기 증대로 인한 비만); 상반신 비만, 하반신비만; 및 내장형 비만, 피하지방형 비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6>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비만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비만이다. 본 명 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사증후군은 제 2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신병증, 간병 증과 같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Pershadsingh HA, Dual Peroxisome Prolifer at orᅳ Activated Recept or-a 1 pha/ gamma Agonists :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e Metabolic Syndrome . Treat ' Endocrinol. 2006 ;5(2) :89— 99) . As used herein, the term "obesity" refers to a condition or disease in which fat accumulated in the body due to energy imbalance has excessive body fat higher than normal.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Asia-Pacific region used to diagnose obesity is the weight of its own weight divided by the square of its height (meters), and if it is 25.0 or more, it is defined as obesity. Less than 25 is defined as overweight (dangerous). Obesity is classifi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into endocrine obesity (due to endocrine abnormalities or from brain diseases), simple obesity (due to excessive nutrition); Proliferative obesity (obesity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t cells), hypertrophy ' type obesity (obesity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fat cells); Upper body obesity, lower body obesity; And visceral obesity, subcutaneous fat, and the like,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aid obesity is obesit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The term metabolic syndrome used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at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type 2, hyperlipidemia, obesity, nephropathy and hepatic disease occur simultaneously (Pershadsingh HA, Dual Peroxisome Prolifer at or ᅳ Activated Recept or-a 1 pha / gamma Agonist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e Metabolic Syndrome.Treat 'Endocrinol. 2006; 5 (2): 89—99).
<27>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성분 특히 콜레스테를 과 중성지방 (triglyceride)의 농도가 높은 경우로 일반적으로 240mg/dC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de 이상일 때를 고지혈증 이라고 한다. 고지혈증은 유전적 소인, 비만, 식이습관, 당뇨병, 신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hyperlipidemia refers to hyperlipidemia when the concentration of fat components, especially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s high in the blood and generally exceeds 240 mg / dC or when triglyceride is 200 mg / de or more. do. Hyperlipidemia can be caused by genetic predisposition, obesity, dietary habits, diabetes, nephrotic syndrome, hypothyroidism.
<28> 본원의 추출물이 효과를 나타내는 고지혈증은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 식이 습관,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증후군으로 인한 고지혈증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본원의 고지혈증은 비만으로 인한 것이다. 다른 구현 예에서 본원의 고지혈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의 고지 혈증은 대사증후군으로 인한 것이다. Hyperlipidemia to which the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effectiv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hyperlipidemia due to obesity, metabolic syndrome, diabetes, dietary habits, hypothyroidism, nephrotic syndrome. In one embodiment, the hyperlipidemia herein is due to obesity. In another embodiment the hyperlipidemia herein is due to diabetes. In another embodiment the hyperlipidemia herein is due to metabolic syndrome.
<29>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고지혈증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와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 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비만또는 고지혈증 또 는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 된 정도를 판단할수 있을 것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ameliorates or beneficially alters obesity or hyperlipidemia or other diseases and conditions resulting from administration of an extract or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know the exact criteria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or the disease for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and can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improvement and treatment, with reference to data presented by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30>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 "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고지혈증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 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비만 또는 고지혈증에 치료효과가 있는 본원의 추출물 은 비만 고지혈증의 초기 증상, 또는 나타나기 전에 복용할 경우 이러한 질환을 예 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development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or other diseases resulting from administration of an extract or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ract herein, which has a therapeutic effect on obesity or hyperlipidemia, can prevent these diseases if taken before the initial symptoms of, or before appearing, obesity hyperlipidemia.
<3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 (extract)"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흔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이의 건 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 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As used herein, the term "extract" refers to an active ingredient isolated from natural products, ie, a substance that exhibits the desired activit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an extraction process using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the extract may include a dry powder thereof or any form formulated using the same. In addition, the extract also includes a fraction obtained by the extraction process.
<32> 본원에 사용되는 추출물의 원재료인 마늘 (Allium sativum L.)은 식품으로 사용되며, 파, 양파, 부추 및 달래 등과 함께 백합과의 알리움에 속하는 다년생 구 근 식물이다. 본원의 한구현예서 마늘은 의성 한지 마늘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 에서 마늘은 가공마늘, 특히 흑마늘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흑마늘은 의성 한지마늘로 제조된 흑마늘이다. 혹마늘은 생마늘을 일정기간 동안 알맞은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숙성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흑마늘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장은경, 서지현, 이삼빈, 숙성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 추출물의 생리학 적 활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석품과학회지, 40(4), 443-448, 2008)에 기재된 방법 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의성농산, 한국). 본원의 조 성물에는 흑마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혹마늘 추출물은 원 적외선 조사 가온 숙성방식에 의한 흑마늘 추출물이 사용된다. 본원에서 흑마늘 추 출물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 하며, 통상적으로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제 조되며,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흔합용매의 추출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 을 거친 추출물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32> Garlic (Allium sativum L.), the raw material of the extract used herein is a food Used in perennial bulbous plants belonging to the allium of the family Liliaceae, along with leeks, onions, leeks and sooth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arlic is Uiji Hanji Garlic.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arlic is processed garlic, in particular black garlic.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lack garlic is black garlic prepared from pseudo-Korean garlic. Lumps of garlic are prepared by ripening fresh garli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The production method of such black garlic is known, for example,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prepared by aging, Kyung-Hyeon, Lee Sam-Bin, aging, Journal of the Korean Stone Science, 40 (4), 443-448, 2008 ) Can be used or can be purchased commercially (Uiseong agricultural, Korea). Black garlic extract may be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other embodiment, black garlic extract by far infrared irradiation warm aging method is used as a lump garlic extract. As used herein, black garlic extract refers to an active ingredient separated from natural products, that is, a material showing a desired activity, and is typically prepared by an extraction process using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Extracts of mixed solvents, dry powders thereof or any form formulated using them. In addition, the extract also includes a fraction obtained by the extraction process.
<33> 본원의 혹마늘 추출물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과 조합으로 사용된다.  The garlic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garcinia cambogia extract.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Garcinia cambogia)는 주로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자 생하는 Gutti ferae 과의 열대성 과일나무로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가르 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특히 과피를 추출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 증에는 HCA(hydroxy citric acid) 성분이 약 10~30 조중량기준) 함 유되어 있으며, 오렌지나 레몬과 같은 감글류에 함유되어 있는 시트르산과 매우 유 사하나 히드록실기가 붙어 있는 자연계에서 흔하지 않은 물질이다. HCA는 생체 내 에서 시트레이트가 아세틸 -CoA로 전환되는 과정을 저해하여 지방산의 합성을 억제 하고 산화를 촉진하며 글루코겐 합성으로 전환시켜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키는 등의 생리활성이 있으며,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과 조합으로 사용시 항비만에 효과에 있 어 상승작용이 있다. 본원의 조성물은 천연식품에서 유래로 독성이나 내성이 없고 다른 식욕 억제제에서 나타나는 불면증, 신경불안, 우을증과 같은 부작용이 없다. <34> 본원의 혹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혹마늘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약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한 다. 다른 구현예에서 흑마늘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약 7 내지 17 중량부로 포함한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흑마늘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 여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약 8중량부 또는 약 16중량부로 포함한다. <35> 이러한 흑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공지의 방법대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사용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혹마늘 추출물 또는 이의 분말은 열수 추출 또는 적절한 유기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 을 추출용매로 하여 공지의 방법대로 제조될 수 있다 (Nomura T. Phenolic compounds of the mulberry tree and related plants. In: Progress in the Chemistry of Organic Natural Products (Herz W, Gr i sebach H, Kirby GW, Tamm Ch, eds.), vol. 53. Springe-' Vienna, 1988; 87-201. ) Garcinia cambogia is a tropical fruit tree of the family Gutti ferae, which originates mainly in Southeast Asia including India. Garcinia cambogia extract is powdered by extracting Garcinia cambogia fruit, especially skin. Garcinia cambogia extract contains HCA (hydroxy citric acid) based on about 10 ~ 30 trillion weight) and is very similar to citric acid in citrus fruits such as orange and lemon, but has hydroxyl group. It is a rare substance in nature. HCA inhibits the conversion of citrate to acetyl-CoA in vivo, inhibits the synthesis of fatty acids, promotes oxidation, and converts into glucogen synthesis, which increases energy production.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it has a synergistic effect on anti-obesit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natural foods and is not toxic or resistant and does not have side effects such as insomnia, neuroanxiety, and depression that are present in other appetite suppressants.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gum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tains about 5 to 20 parts by weight of garcinia cambogia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gum garlic extract. In another embodiment, about 7 to 17 parts by weight of garcinia cambogia per 1 part by weight of black garlic extract. In another embodiment, about 8 parts by weight or about 16 parts by weight of garcinia cambogia against 1 part by weight of black garlic extract. These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known methods. For example,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and lump garlic extract or powder thereof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using hot water extraction or a suita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or the like as an extraction solvent (Nomura T. Phenolic compounds of the mulberry tree and related plants.In: Progress in the Chemistry of Organic Natural Products (Herz W, Gr i sebach H, Kirby GW, Tamm Ch, eds.), vol. 53. Springe- ' Vienna, 1988; 87 -201.)
<36>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흔합용매일 수 있다 .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을,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 올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가 알코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 와 핵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흔합용매일 수 있고, 특히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더욱 특히는 물,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을 둥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일 수 있다. The solvent may be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Although not limited to this, specifically, water, methane, a low-carbo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including ethanol, butanol, propanol and isopropanol, a polar solvent such as ethyl acetate, and a nonpolar solvent of nucleic acid or dichloromethane. It may be an organic solvent such as or a mixed solvent thereof, in particular may be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water, 50 to 100% methanol, ethane to 1 to 4 may be an alcohol.
<37> 본원의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공지된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음파 추출법, 환류 .넁각 추출법, 열수 추출법 또는 상기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 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Nomura T, 1988등 참조). 또한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물은 이후, 핵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이상 개별적으로 또는 흔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 용매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추 출물 제조은도는 4 내지 120 °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시간 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30일 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 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또는 /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마늘에 용매를 1: 1 내지 1: 20 중량비로 가열 순환식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 또는 식용 알콜을 가하 여 80 내지 100°C에서 6-24시간 정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얻고, 잔여물에 다시 정제수 또는 식용 알콜을 가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여액 을 합하여, 그 자체로 사용하거나, 이를 진공 농축기로 감압하에서 농축한 후, 열 풍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tracts herein can be prepared using known general methods for preparing conventional plant extracts,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ultrasonic extraction, reflux . It may be an extraction method,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or a method prepared by a known method using the solvent as an extraction solvent (see, for example, Nomura T, 1988, etc.). In addition, the extract after the extraction process can be further subjected to the fractionation process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ucleic acid, methylene chloride,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their mixtures. In the fractionation, two or more solvent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nd may be sequentially us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solvent to prepare an extract of each solvent. Extract preparation may be from 4 to 12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raction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 minutes to 30 days, and a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 an ultrasonic grinding extractor, or a fractionator may be used. The prepared extract can then be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or / and lyophilized to remove the solvent. For example, the solvent is added to the black garlic in a heating circulating extraction tank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 20, and purified water or edible alcohol is extracted for 6 to 24 hours at 80 to 100 ° C, followed by filtration to obtain a filtrate. The same process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by adding purified water or edible alcohol to the residue. The filtrates can be combined, used as is, o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with a vacuum concentrator, and then dried by hot air or lyophilization.
<38> 일예로, 본 발명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혹마늘 추출물은, 재료 100 g당 물 0.1 내지 1( 를 가한 후 추출하는 방법으로 실시된다. 추출 온도는 약 80 내지 150°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 추출시간은 한정되진 않으 나 30분 내지 수일 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 기기나 초음파분쇄 추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or lump garlic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The extraction is carried out by adding 0.1 to 1 (per 100 g of water, followed by extraction. The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about 80 to 15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raction time is not limited but may be 30 minutes to several days. It is possible to use a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 or an ultrasonic grinding extractor The prepared extract can be used after fil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ation.
<39> 다른 일예로 가르시니 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흑마늘 추출물은 재로 100 g 당 에탄올 약 0.5 내지 5 를 가해 얻어진 에탄을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약 10 내지 15 g을 물 약 100 내지 1000 에 현탁하고, 핵산 100 내지 1000 mC를 가한 후 추출한 후 핵산 분획추출물을 얻어 낸다. 상기 핵산 분획추출물을 제거 한 후, 나머지 물층에 다시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 내지 1000 를 가한 후, 추출하여As another example,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or black garlic extract may be suspended by adding about 0.5 to 5 ethanol per 100 g of ash to about 10 to 15 g of the concentrate obtained by concentrating the extract in about 100 to 1000 water. , Nucleic acid fractions are extracted after adding 100 to 1000 mC of nucleic acid. After removing the nucleic acid fraction extract, methylene chloride is added to the remaining water layer again 100 to 1000, and then extracted
J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추출물을 제거한 후 , 나머지 물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100 내지 1000 를 가한 후 , 추출 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을 얻는 방법으로 실시된다. 또한, 상기 에틸아세 테이트 분획추출물을 제거 한 후 , 나머지 물층에 다시 부탄올 100 내지 1000 를 가 한 후 , 추출하여 흑마늘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제외 한 물 층을 물 추출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핵산, 메틸렌 클로 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추출할 경우 추출 온도는 20 내지 40°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추출시간도 한정되진 않으나 30분 내지 20 시간 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 기기나 초음파분쇄 추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 한다. Obtain the J methylene chloride fraction extract. After removing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extract, ethyl acetate 100 to 1000 is added again to the remaining water layer, followed by extraction to obtain an ethyl acetate fraction extract. In addition, after remov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extract, butanol 100 to 1000 again added to the remaining water layer, it can be extracted to obtain a black garlic butanol fraction extract, wherein the water layer excluding the butanol fraction extract water Obtained as an extract. When extracted with the nucleic acid,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20 to 40 ° C,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traction time is not limited, but may be 30 minutes to 20 hours, conventional An extraction device or an ultrasonic grinding extractor can be used. The prepared extract is then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remove the solvent.
<40> 또 다른 일예로, 상기 흑마늘 또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재료 100 g당 메탄올 0.1 내지 5 를 가하여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메 탄올 추출물은 추후 핵산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가하여 각 용매별 분획물을 수 득함으로써 핵산 추출물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조한다. 이후 잔류물에 에틸 아세테 이트,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며, 상기 용매에서 추출되지 않은 물 분획은 물 추출 물로 제조된다. 상기 용매를 이용한 분획시, 추출대상물에 대하여 용매를 1: 0.1 내지 10 부피비로 가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 에서 여과는 추출물로부터 부유하는 고 체 입자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면 ,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 여과, 넁동여과법 , 원심분리 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한 ,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수성 등에 따른 크로마토그 래피 )에 의한 분리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조공정은 동결건 조 , 진공건조 , 열풍건조 ,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또는 적외선 건조 등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s another example, the black garlic or garcinia cambogia extract is extracted by adding 0.1 to 5 methanol per 100 g of material to prepare a methanol extract. The methanol extract is added to the nucleic acid or methylene chloride later to obtain a fraction for each solvent to prepare a nucleic acid extract or methylene chloride. Thereafter, ethyl acetate and butanol are sequentially added to the residue to fractionate to prepare ethyl acetate extract and butanol extract, respectively. The water fraction not extracted from the solvent is prepared as a water extract. When fractionation using the solvent, the solvent is added to the extraction object in a ratio of 1: 0.1 to 10 by volu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is a proces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the extract, it may be used to filter the particles using cotton, nylon or the like, or ultrafiltration, filtration, centrifugal separ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ocess by a variety of chromatography (chromatography according to the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hydrophilicit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process is freeze drying, vacuum drying, hot air drying, spray drying, reduced pressure drying, foam drying, high frequency drying or infrared It may be carried out by a method including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41> 과량의 지방산 섭취는 몸의 여러 조직, 특히 지방조직에 트리글리세리드의 축적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 지방조직에서 지질분해가 증가된다. 이로 인한 혈류의 지방산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하고 근육, 췌장 및 간과 같은 비지방조직까지 지방산의 증가를 가져온다.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의 경우, 지방 및 비지방조 직에서의 지방산결합수송단백질 (FABP 및 CD36)의 농도가 증가하여 지방산의 이용 (uptake)를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과량의 자유 지방산 및 근육에의 지방산의 축적 은 인슐린 신호전달 및 당의 사용에 있어 악순환을 초래한다. 췌장이 자유 지방산 에 오래 노출되게 되면 지방독성 기전을 통하여 인슐린 분비에 장애를 가져오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Lebovitz HE. Insulin resistance: definition and consequences . Exp Clin Endocrinol Diabetes. 2001; 109: S135-48) . 간에서도 당의 방출을 향상시켜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Goldstein BJ. Insulin resistance as the core defect in type 2 diabetes mel 1 itus. Am J Cardiol. 2002;90:3G-10G) . 간에 트리글라세리드가 쌓이게 되면 비알콜성 지방간을 초래하며, 이는 지방증, 지방간염, 간세포괴사, 섬유증과 같은 간의 손상을 가져 와, 간의 주요기능인, 당대사를 막는다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221-31). 이러한 증상은 대사증후군의 중요 증 상이기도 하다 (Kadowaki T, Yamauchi T. Adi onectin and adiponectin receptors. Endocr Rev. 2005;26:439-51). Excess fatty acid intake leads to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n various tissues of the body, especially adipose tissue, thereby increasing lipolysis in adipose tissue. This increase in fatty acids in the bloodstream leads to insulin resistance and increases in fatty acids to non-fat tissues such as muscle, pancreas and liver. In people with insulin resistance, the concentration of fatty acid-binding transport proteins (FABP and CD36) in fat and non-fat tissues is increased to promote uptake of fatty acids. Accumulation of such excess free fatty acids and fatty acids in muscle leads to a vicious cycle in insulin signaling and sugar use. Prolonged exposure of the pancreas to free fatty acids is known to impair insulin secretion through lipotoxic mechanisms (Lebovitz HE. Insulin resistance: definition and consequences.Exp Clin Endocrinol Diabetes. 2001; 109: S135-48). The liver is also known to enhance glucose release and interfere with insulin's action (Goldstein BJ. Insulin resistance as the core defect in type 2 diabetes mel 1 itus. Am J Cardiol. 2002; 90: 3G-10G).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liver leads to non-alcoholic fatty liver, which leads to liver damage such as fattyosis, hepatitis, hepatocellular necrosis and fibrosis and prevents glucose metabolism, a major function of the liver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 346: 1221-31). These symptoms are also important for metabolic syndrome (Kadowaki T, Yamauchi T. Adionectin and adiponectin receptors. Endocr Rev. 2005; 26: 439-51).
<42> 마늘의 향균, 항암 효과에 대하여 보고된 바가 있으나, 흑마늘, 특히 원적 외선 조사 가은숙성방식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조합한 경 우 항비만상승 효과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 없다.  Although the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effects of garlic have been reported, anti-obesity synergistic effects have not been disclosed in the case of the combination of black garlic, especially black garlic prepared by far-infrared irradiation aging method and garcinia cambogia.
<43> 본원의 흑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조합으로 사용 시 개별적으 로 사용한 경우보다 탁월한 항비만 효과 및 비만으로 인한 대사증후군 및 고지혈증 증상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The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an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and an improvement in the symptoms of metabolic syndrome and hyperlipidemia due to obesity than when used individually.
<44> 본원의 혹마늘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가능하며, 이들 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비만 및 / 또는 대사증후군의 증상 예를 들면 고지혈증의 치료를 위한 다른 약학적 활성성분 과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garlic garlic extract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nd the combination may be used alone or in other pharmaceuticals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of obesity and / or metabolic syndrome such as hyperlipidemia. It may be administered in parallel with the active ingredient.
<45>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 제ᅳ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 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틀, 만니를 자일리를, 에리스리를, 말티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를로즈, 메틸셀를로즈, 미정질 셀를로즈, 폴 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Compositions comprising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ny suitable carriers, diluents, preservatives, stabilizers, wetting agents, emulsifiers, solubilizers, sweeteners, colorants, osmotic agents, antioxida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epartment of the back May contain more brothers. Specifically,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et, manny, xili, erysri, malty,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rose, methylcellr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46> 본원의 혹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 택될 수 있으며,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 를 들면,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 에멀 견, 현탄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둥의 형태로 제형화되 어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  <46> A method of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including the garlic seed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as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osage form, and may be used in various routes in mammals such as livestock and humans. May be administered. For example,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tablets, pills, granules, dragees, hard or soft capsules, liquids, emulsions, suspensions, syrups, elixir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systemically or topically.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with oral administration being preferred.
<47>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  Solid dosage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에 적어 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 전분, 탄산칼슴, 슈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 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회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uch solid formulations are prepared by mixing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with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yrate talc are also used. Liquid dosage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Water, liquid paraffin, which is a commonly used simple diluent,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Can be.
<48>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ᅳ 유제, 동 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 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둥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ᅳ emulsions, copper lyophilizers, suppositories. As the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can be used. Group zero of suppositories above tepsol (witepsol), Macrogol, Tween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l, gel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49> 더 나아가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Furthermo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epared using the appropriate methods known in the art,
¾ (Remington ' 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And preferably formulated using the method disclosed in ¾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50>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 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 설를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성인 (60kg)의 경우, 약 1 내지 100 g/일, 특히 약 10 내지 50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g/일이다. 투여 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 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 time of administration, method of administration, excretion and severity of the patient. May vary, but black garlic extract and The effective dose of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is typically about 1 to 100 g / day, in particular about 10 to 50 g / day, more preferably about 30 g / day for adults (60 kg). Since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osage may be added or subtracted, and thus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aspect.
<51>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within a desired range, and the administration peri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dded to any food and drink, in addition to oral administration as it is, ingested daily.
<52>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 물은 비만과 이로인한 대사증후군 및 고지혈증 둥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 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추출물이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52>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not only provides excellent therapeutic effects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hyperlipidemia, but also does not have toxicity and side effects caused by drugs, even when taken for a long time. Can be used with confidence. Accordingly,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sed as the main, subsidiary and food additive of food.
<53>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가 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삭품, 예를 들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is re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black garlic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Lecinia cambogia extract may be provided as a cut, for example, dietary supplements, functional foods, food additives and the like. .
<54>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 "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 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that i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processing process. , In a general sense,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foods, food additives, functional foods and beverages.
<55>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식품 "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 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라듬조절, 질병방지와 회 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 품을 의미하며,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group or food composition that has added value to the food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or biotechnological techniques to act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for a specific purpose. Means foods that have been designed and processed to fully express the function of the gymnastic nodes on the control of biological defense, disease prevention and recovery, and especially includes "health functional foods".
<56>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 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서,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 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둥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흔합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health supplement" is a food prepa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s for the human body, and controls nutrients or physiological effect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It refers to foods that are manufactured and processed by extracting, concentrating, refining, and mixing certain ingredients as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contained in food raw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 to obtain useful effects for health use.
<57> 특히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은 상기 식품을 섭취하기 전 과 비교하여 비만, 고지혈증 및 이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이 의 경감 또는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식품을 의미하며,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 료를 참조하여 이러한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the functional food or health supplement food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ingesting the food Means foods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reducing or eliminating the symptoms of obesity, hyperlipidemia and diseases caused by the sam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f s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will be able to know the exact criteria of the disease and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58> 상기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 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The functional foods and health supplements may further include food acceptable food additives, and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foods.
<59>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 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둥 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 (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 식품, 조미식품 (예, 간장, 된장, 고추장, 흔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 (예, 스넥류 Foods to which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and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includes special nutritional products (e.g., prepared oils, infants, infant foods, etc.), processed meat products, fish products, tofu, jelly, noodles (e.g. ramen, noodles, etc.), health supplements, seasoned foods ( Soy sauce, miso, red pepper paste, mixed soy sauce), sauces, confectionery (eg snacks)
), 유가공품 (예, 발효유, 치즈 둥),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 (각종 김치류, 장아찌 둥), 음료 (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 ( 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 ), Dairy products (e.g. fermented milk, cheese dung), other processed foods, kimchi, pickles (various kimchi, pickles), beverages (e.g. fruits, vegetable drinks, soy milk, fermented beverages, etc.), natural seasonings (e.g., Ramen soup,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od, beverage or food additives may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60> 본원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 분으로서 상기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 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둥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 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 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틀, 소르비틀, 에리트리를 등의 당알 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 탐 둥)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 물 lOOm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X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Beverage herein refers to a generic term for drinking to quench thirst or to enjoy a taste and is intended to include functional drinks. The beverage is not essential in addition to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s as an active ingredient, and does not have any particular limitations, such as ordinary drinks,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contained as an additional component. 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other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itry. As flavoring agents other than those mentioned above, natural flavoring agents (tauuma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dong) can be advantageously used.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X 20g, preferably 5 to 12g per 100m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vegetable drinks It may further contain pulp.
<61> 본원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 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 능을 생체에 대하여 층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하며, 바람직 하게는 대사증후군 증상, 예를 들면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음료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a functional beverage is used in the beverage as physical, biochemical, or biotechnological methods. Beverages that are designed to express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to the specific purpose and to express the gymnastics functions related to the biological defense rhythm control, disease prevention and recovery, etc. It means, preferably means a beverage f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symptoms, for example hyperlipidemia.
<62>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 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 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를, 소 르비를, 에리트리를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 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 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 는 5 내지 12 g이다. The functional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other ingredients except th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essential ingredients in the indicated ratios, and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used as additional ingredients as in general beverages. It may contain. 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other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xyl Sugar alcohols such as sorbitol and erythritol. As flavoring agents other than those mentioned above, natural flavoring agents (tau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The proportion of said natural carbohydrates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5 to 12 g p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3> 상기 외에 본원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 정화제ᅳ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20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nd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and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001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64> 비만, 고지혈증 및 대사증후군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원의 흑마늘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조합은 전체 식품 중량의 약 0.01 내지 90 중량 약 0.1 내지 80 중량 %, 약 1% 내지 70%, 약 1% 내지 50%, 약 1% 내지 40%, 약 1% 내지 30%, 약 내지 20%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벋어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lg의 비을로 포함할수 있다. <65>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 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o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besity, hyperlipid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e combination of the black garlic extract Garcinia cambogia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bout 0.01 to 90% by weight of about 0.1 to 80% by weight, about 1% to 70%, about 1% to 50%, about 1% to 40%, about 1% to 30%, may include a range of about 20%, but does not exclude the above range. For example, the beverage composition may comprise a ratio of 0.02 to 10 g, preferably 0.3 to lg, based on 100. Hereinafter, examples will be provid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66>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67> 실시예 1 -1 마늘 열수 추출물의 제조 Example 1 Preparation of Extract Example 1-1 Preparation of Garlic Hot Water Extract
<68> 의성 한지 마늘은 의성농산 영농조합법 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건조된 통마늘 lOOg을 1 £ 증류수에 넣고 환류 하에서 2시간 동안 80°C에서 층분히 달인 후 , 이를 흡입여과 하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여과 후 남은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한 추출과정을 추가로 1회 반복하였다. 추출물을 모두 모아, 회 전식 진공증발기 (N-N type; LAB Camp, Da j eon, Korea)로 감압 /농축하여 점조성의 추출물을 얻은 다음 동 결건조기 (PVTFD10A; i lShin Lab, Seoul , Korea)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수율 약 1¾로 연갈색의 동결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사용시까지 빛으로부터 차단되어 4°C에서 보관하였다. 분말 0.5g을 증류수 1ml로 용해하여 최종 농도에 맞 추어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Uiseong Hanji Garlic was purchased from Uiseong Agricultural Cooperative Corporation (Korea). Dried whole garlic lOOg was put in 1 £ distilled water and thoroughly decocted at 80 ° C. for 2 hours under reflux, and the resultant was filtered by suction filtration to prepare an extract. The same extraction procedure was repeated once more for the residue remaining after filtration. Collect all the extracts, decompress / concentrate with a rotary vacuum evaporator (NN type; LAB Camp, Da j eon, Korea) to obtain a viscous extract, then use a copper freeze dryer (PVTFD10A; iShin Lab, Seoul, Korea) Freeze-drying was carried out to give a light brown freeze-dried product with a yield of about 1¾. The extract was blocked from light until use and stored at 4 ° C. 0.5 g of the powder was dissolved in 1 ml of distilled water, and diluted to match the final concentration.
<69> 실시예 1-2 원적외선 조사 가온숙성 혹마늘 추출물의 제조  Example 1-2 Preparation of Warmed Aged Garlic Extract
<70> 의성한지 마늘은 의성농산 영농조합법 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구입한 생마늘을 1회 세척후 24시간 동안 45°C에서 원적외선이 장치되어 있는 항온항습기 에서 습도 8OT이상을 유지하면서 1차 숙성시 켰다. 1차 숙성 후 수득된 연갈색의 마 늘을 60°C , 습도 85%를 유지한 항온항습기에서 15일간 2차 숙성을 거 쳐 진갈색의 흑마늘 (Black garl ic , BG)을 제조하였다. 100°C에서 24시간 건조된 통흑마늘 lOOg 을 1 증류수에 넣고 환류 하에서 2시간 동안 80°C에서 층분히 달인 후 , 이를 흡입 여과 하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여과 후 남은 잔류물에 대하여 동일한 추출과정을 추가로 1회 반복하였다. 추출물을 모두 모아, 회 전식 진공증발기 (N-N type; LAB Camp, Da j eon, Korea)로 감압 /농축하여 점조성의 추출물을 얻은 다음 동결건조기 (PVTFD10A; i lShin Lab, Seoul , Korea)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수율 약 12%로 진갈색의 동결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빛으로부터 차단되 어 4°C에서 보관하였다. 분말 0.5g을 증류수 1ml로 용해하여 최종 농도에 맞추어 회석하여 사용하였다. Uiseong Hanji Garlic was purchased from Uiseong Agricultural Cooperative (Korea). Purified fresh garlic was first aged at 24 ° C for 24 hours after maintaining the humidity above 8OT in a thermo-hygrostat equipped with far infrared rays. Dark brown garlic (Black garl ic, BG) was prepared by subjecting the light brown garlic obtained after the first aging to secondary aging for 15 days in a thermo-hygrostat maintained at 60 ° C. and a humidity of 85%. The whole black garlic lOOg dried at 100 ° C for 24 hours was put in 1 distilled water, thoroughly decocted at 80 ° C for 2 hours under reflux, and then filtered by suction filtration to prepare an extract. The same extraction procedure was repeated once more for the residue remaining after filtration. Collect all the extracts, decompress / concentrate with a rotary vacuum evaporator (NN type; LAB Camp, Da j eon, Korea) to obtain a viscous extract, then use a freeze dryer (PVTFD10A; iShin Lab, Seoul, Korea) Lyophilization yielded a dark brown lyophilisate in about 12% yield. The extract was stored at 4 ° C blocked from light until use. 0.5 g of the powder was dissolved in 1 ml of distilled water, and used as a dilution according to the final concentration.
<71> 본원에 사용된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은 (주)렉스진바이오텍에서 구입 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Garcinia cambogia extract used herein was used powder purchased from Rexgene Biotech Co., Ltd.
<72> 위에서 제조한 추출물은 의성 한지마늘 열수추출물 (a) , 원적외선조사 가온숙 성방식으로 제조된 흑마늘 열수추출물 (b) , 흑마늘열수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흔합추출물 (c)로 명 명하고 이하 실험 에 사용하였다.  <72> The extract prepared above is named as Uiji Hanji garlic hot water extract (a),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b) prepared by far-infrared irradiation warming ripening method,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mixed extract (c). It was used for the following experiment.
<73> 실시예 2 혹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AMPK 활성화 효과Example 2 AMPK Activation Effects of Gum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74> 앞서 살펴 본 봐와 같이 AMPK가 활성화되면, ACC (Acetyl -CoA carboxylase) 효소 활성 이 억제되어 지 방의 합성 이 감소하여 필요 이상의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체중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동시에 β-산화가 증가되 어 체내지방의 산화가 증가한다. 또한 ΑΜΡΚ의 또다른 중요한 타겟 분자인 HMG-CoA 리덕타제 효소의 활성이 조절되어, 간조직에서의 콜레스테를의 합성이 억제되어 고 지혈증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MPK is activated, the activity of ACC (Acetyl-CoA carboxylase) enzyme is inhibited, thereby reducing the synthesis of fat and inhibiting the accumulation of fat more than necessary. As a result, weight gain can be suppressed, and at the same time, β-oxidation is increased to increase oxidation of body fat. In addition, the activity of HMG-CoA reductase enzyme, another important target molecule of ΑΜΡΚ, is regulated, thus inhibiting the synthesis of cholesterol in hepatic tissues, which is effective in hyperlipidemia.
<75> 실시예 2-1 L6근육세포배양 Example 2-1 L6 Muscle Cell Culture
<76> L6 근육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 VA,  <76> L6 myocytes ar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VA,
USA)에서 구입하였다. 10% (vol. /vol.) FBS, 1% (vol. /vol.) 페니실린 및 스트랩토 마이신 (100 U/mlpenicillin, 100 ug/ml streptomycin), 및 1% (vol. /vol.) 펀자 이존을 포함하는 αΜΕΜ 배지를 사용하여 가습된 37° C의 5% C0295% 02 조건에서 배 양하였다. L6 세포는 2% FBS를 포함하는 αΜΕΜ 배지에서 6일 동안 배양하여 마이오 튜브로 분화시켰다. 마이오튜브는 이어 실험 3시간 전에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하였 다. USA). 10% (vol. / Vol.) FBS, 1% (vol. / Vol.) Penicillin and straptomycin (100 U / mlpenicillin, 100 ug / ml streptomycin), and 1% (vol. / Vol.) Punzazone It was cultured in a humidified 37 ° C 5% C0 2 95% 0 2 conditions using αΜΕΜ medium containing. L6 cells were cultured for 6 days in αΜΕΜ medium containing 2% FBS to differentiate into myotubes. Myotubes were then incubated in serum-free medium 3 hours before the experiment.
<77> 실시예 2-2마늘의 가공형태에 따른 ΑΜΡΚ활성화효과  <77> Example 2-2 ΑΜΡΚ activ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form of garlic
<78> 이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a, b, c 추출물 각각을 최종농도 2mg/ml, 5mg/ml ,  Then, each of the extracts a, b, and c prepared in Example 1 was final concentration of 2 mg / ml, 5 mg / ml,
10mg/ml 농도 그리고 참조군으로서 고지방에 의해 유도되는 비만을 저해하는 메트 포르민을 2mM 농도로 L6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어서 24시간 후에 세포를 수확하여 총 단백질을 추출하고, AMPK 및 ACC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여 AMPK 및 ACC 활성을 조사하였다.  L6 cells were treated with 2 mM concentration of metformin, which inhibits obesity induced by high fat, at a concentration of 10 mg / ml and as a reference group. Subsequently, after 24 hours, cells were harvested to extract total protein, and the degree of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C was measured to investigate AMPK and ACC activity.
<79> 배양한 L6세포를 세포융해완충액 (lysis buffer )(20mM Tris, ImM Na3V04, ImM phenyl methyl sulfonyl fluoride, 50mM NaF)에서 30분간 용해시킨 후, 단백질 정량 을 시행 한 후 10mg을 단백질을 전기영동을 한 후, 막에 전달하고, Biorad 웨스턴 블랏키트를 제조자의 지시대로 사용하여, phosphoAMPK(Thr-172, Cell Signaling, Beverly, MA USA)와 total AMPK에 대한 일차 항체 (Cell Signaling, Beverly, MA USA)와 4°C에서 밤동안 반웅시키고, PBS (Phospho buffered saline, pH7.4)로 수차 례 세척 후 Goat anti-rabbit IgG (GIBC0BRL, Gaithersburg, MD, USA)에 차례로 반 웅시켜 발색하였다. <79> After culturing L6 cells in lysis buffer (20mM Tris, ImM Na 3 V0 4 , ImM phenyl methyl sulfonyl fluoride, 50mM NaF) for 30 minutes, the protein was quantified and 10mg of protein Were electrophoresed and delivered to the membrane, and the Biorad Western Blotkit was used as directed by the manufacturer, using primary antibodies against phosphoAMPK (Thr-172, Cell Signaling, Beverly, MA USA) and total AMPK (Cell Signaling, Beverly). , MA USA) and reaction at night at 4 ° C., washed several times with PBS (Phospho buffered saline, pH7.4), followed by reaction with Goat anti-rabbit IgG (GIBC0BRL, Gaithersburg, MD, USA). .
<80> 결과는 도 2에 기재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한지마늘 열수추출물 (A)의 경우 지방세포 산화와 관련된 AMPK 활성변화 및 A:C 활성 억제에 거의 없었으나, 원적외선조사 가온숙성방식으로 제조된 흑마늘 열수추출물 (B)의 경우 농도의존적으 로 지방세포 산화와 관련된 AMPK 활성이 증가되고, ACC 활성이 억제되는 양상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와 같은 비율로 의성한지 혹마늘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를 포함하는 분말 (C)의 경우 혹마늘 열수추출물 (B)과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경우 지방세포 산화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 으로 나타나, 혹마늘 추출물이 지방세포 산화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ults are described in FIG.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Hanji garlic hot water extract (A), there was little change in AMPK activity and A: C activity associated with adipocyte oxidation, but the concentration of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B) prepared by the far-infrared irradiation warming ripening method Independently, AMPK activity associated with adipocyte oxidation was increased and ACC activity was inhibited. In the case of powder (C) containing gum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in the same ratio as in Preparation Example 2, it showed a similar tendency as that of ginkgo hot water extract (B). From this, Garcinia cambogia does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ipocyte oxidation, and the garlic extract is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ipocyte oxidation.
<81> 의성 한지 혹마늘 열수추출물과 흑마늘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포함하는 분말의 경우 AMPK 활성의 증가와 더불어 인산화된 ACC의 농도도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어, ACC의 활성이 억제됨을 알수 있었다.  In case of the powder containing Urijin Hanji, Korean garlic extract and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ylated ACC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MPK activity, indicating that the activity of ACC was inhibited.
<82> 실시예 3흑마늘 추출물과가르시니아 캄보지아추출물 흔합에 의한지방세 포분화 억제효과 Example 3 Effect of Inhibiting Fat Cell Saturation by Mixing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83> 실시예 3-1세포 배양및 지방세포로의 분화측정  Example 3-1 Measurement of Cell Culture and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84> 3T3-L1 프리아디포사이트 (preadipocyte)는 American Type Culture ―- Collection (ATCC; Manassas, VA,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Dulbecco' s modified Eagle' s medium (DMEM; high glucose 4.5g/L) , FBS( fetal bovine serum) , FCS (Fetal Calf Serum)는 Invitrogen (Grand Island, YK,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사 용된 real-time PCR용 primer들은 Macrogen (Deajeon, Korea)에서 합성하였다. 사 용된 일반 시약들은 Sigma (St. Louis, MO, USA)에서 bioreagent급을 구매하였다. 3T3-L1 세포는 25 mM glucose (high glucose), 10% FCS,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100% 습도의 37°C , 5% C02 환경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약 60% 정도의 포화도에서 세 포를 회수하여 계대배양 하였다. 계대배양을 위해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8.0)로 1회 세척한 후, trypsin-EDTA(Sigma)를 제조자의 지시대로 처리 하여 세포를 바닥에서 분리하였다. 3T3-L1 preadipocyte was purchased from American Type Culture-Collection (ATCC; Manassas, VA, USA), and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high glucose 4.5 g / L). , FBS (fetal bovine serum) and FCS (Fetal Calf Serum) were purchased from Invitrogen (Grand Island, YK, USA), and the real-time PCR primers were synthesized from Macrogen (Deajeon, Korea). General reagents used were purchased from bioreagent from Sigma (St. Louis, MO, USA). 3T3-L1 cells were incubated in DMEM medium containing 25 mM glucose (high glucose), 10% FCS, 1% penicillin / streptomycin under 37 ° C., 5% C02 at 100% humidity. To maintain cell function, cells were recovered and passaged at about 60% saturation. Cells were washed once with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8.0) for subculture and then treated with trypsin-EDTA (Sigm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o separate cells from the bottom.
<85> 3T3-L1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 Elmendorf, J. S. , Chen, D.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into adipocytes (Elmendorf, J. S., Chen, D. and
Pessin, J. E. (1998) Guanos ine 5'-0-(3-thiotriphosphate) (GTPgammaS) stimulation of GLUT4 translocation is tyrosine kinaseᅳ dependent . J Biol Chem , 273, 13289-13296.)에 기재된 Elmendorf법을 사용하였다. 요약하면 분화용 배지는 25 mM glucose, 10% FBS, 1 mg/ml 인슐린, 1 mM dexamethasone (Dex) , 0.5 mM isobutyl-1- methyl xanthine (IBMX) 가 포함된 DMEM배지를 사용하였다. 지방세포로 의 분화는 3T3-L1 세포가 배양접시에 100% 포화되었을 때, 분화용 배지로 치환하여 4일간 배양하고, 계속해서 25 mM glucose, 10% FBS, 1 mg/ml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고 4일간 더 배양하였다. 인술린 처리가 끝나면 25 mM glucose,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사용할 때까지 배양하였으며, 배양하는 동안 배지는 매 2일 마다 같은 필요한 배지로 교환해 주었다. <86> 실험에 사용된 각 추출물을 도 3 내지 4에 기재된 최종 농도로 처리하였으 며, 10일간의 분화기간 배지 교환 시 추출물도 역시 추가하였다. 분화 종료 시 배 양용 배지를 제거하고, 고정액 (10% formalin)을 5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하였 다. 이어 고정액을 버리고, 다시 새로운 고정액을 추가하여 1시간 이상 처리하여 세포를 완전히 고정하였다. 고정 후 고정액을 버리고 60% isopropan 로 세포를 세 척하고, 완전히 건조 후, 세포 내 지방은 Oil-Red O(Sigma)를 이용하여 염색하였 다. 세포 내 지방 측정은 염색에 사용한 Oil— Red 0를 iso-propan 로 추출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87> 실시예 3-2마늘추출물 단독처리 결과 Pessin, JE (1998) Guanos ine 5'-0- (3-thiotriphosphate) (GTPgammaS) stimulation of GLUT4 translocation is tyrosine kinase ᅳ dependent. Elmendorf method described in J Biol Chem, 273, 13289-13296.). In summary, DMEM medium containing 25 mM glucose, 10% FBS, 1 mg / ml insulin, 1 mM dexamethasone (Dex) and 0.5 mM isobutyl-1- methyl xanthine (IBMX) was used.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was carried out for 4 days when the 3T3-L1 cells were 100% saturated in the culture dish and replaced with a differentiation medium, followed by DMEM containing 25 mM glucose, 10% FBS and 1 mg / ml insulin. Exchange with medium and incubate for 4 more days. After the insulin treatment, the cells were replaced with DMEM medium containing 25 mM glucose and 10% FBS until use, and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the same medium every 2 days. Each extract used in the experiment was treated to the final concentrations described in Figures 3 to 4, and the extracts were also added during the medium exchange period of 10 days. At the end of differentiation,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and the cells were fixed by treatment with a fixed solution (10% formalin) for 5 minutes. Subsequently, the fixed solution was discarded, and a new fixed solution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treatment for at least 1 hour to completely fix the cells. After fixation, the fixed solution was discarded and the cells were washed with 60% isopropan. After complete drying, the intracellular fat was stained using Oil-Red O (Sigma). Intracellular fat measurement was measured by absorbance at 500 nm by extracting the oil—Red 0 used for staining with iso-propan. Example 3-2 Result of Garlic Extract Single Treatment
<88>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성 한지 마늘 추출물에 의해 지방 분화가 농도의 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도 3A), 지방세포내 지방 축적이 농도 의존적으로 다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B).  As shown in FIG. 4, the differentiation of fat was increased by concentration of medicinal Hanji garlic extract (FIG. 3A), and the fat accumulation in adipocytes was sligh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FIG. 3B).
<89> 실시예 3-3혹마늘추출물단독및 혹마늘추출물과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 출물흔합처리 결과  Example 3-3 Combined Treatment of Gum-Garlic Extract Alone and Gum-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90> 의성한지 흑마늘 추출물 (도 4 A,C)은 지방 분화가농도 와존적으로 증가하 였으며 (도 4A), 지방세포내 지방 축적이 농도 의존적으로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C). 반면 제조예 2의 비율로 흑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흔합을 실시예 3-1과 같이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측정한 결과 지방세포 의 분화가 저해되었으며 (도 4B), 세포 내 지방 축적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D). 즉 혹마늘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조합으로 사용한 경우 지방세포의 분화 정도가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고, 세포내 지방 축적 또한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비교 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Extracts of Ujihanji black garlic extract (FIG. 4A, C) increased fat differentiation consistently (FIG. 4A), and fat accumulation in adipocytes was slightly increased (FIG. 4C). On the other hand, admixture of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at the ratio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treated as in Example 3-1 to measure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 result,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hibited (FIG. 4B).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Fig. 4D). In other words, when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were used in combination,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use of each extract alone, and the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fat wa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use of each extract alone. there was.
<9i> 실시예 3-4지방합성 유전자발현에 미치는효과  <9i> Example 3-4 Effect on the expression of fatty synthetic genes
<92> 위 결과가 지방 합성 유전자의 발현 증가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1에서와 같이 세포에 흑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흔합 (150 mg/ml)을 처리하면서 각 분화 단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를 실시간 정량 PCR 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도 5). 유전자 발현 분석을 위해 실시간 PCR에 사용한 총 RNA 분리 및 cDNA 합성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Trizol (Invitrogen) 용액을 제 조회사의 사용법에 따라 세포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고, 분리한 총 RNA의 농도는 nanodrop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 5 mg의 총 RNA를 cDNA 합성 에 사용하였다. cDNA의 합성은 역전사효소 (Takara, Japan) 키트를 제조사의 방법 에 따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유전자 발현 정도는 Syber Green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대로사용하여 Real-time PCR (ABI 7500, ABI, USA)에서 판독하였다. 각 유전자의 검출을 위해 사용하나 프라이머 서열을 다음과 같다: aP2 유전자 검출 을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는 Forward Primer CCA TCC GGT CAG AGA GTA CTT TTA A 와 Reverse Primer CGA ATT CCA CGC CCA GTT T이다. C/gBPa유전자 검출을 위한 프 라이머는 Forward Primer TGC GAG CAC GAG ACG TCT ATA G 와 Reverse Primer GCC AGG AAC TCG TCG TTG A이다. PPARY 유전자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는 Forward Primer CAC AAG AGC TGA CCC AAT GGT와 Reverse Primer GAT CGC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above result is due to increased expression of adipose synthesis gene, the cells were treated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mixture (150 mg / ml) as in Example 3-1, Gene expression level was confirmed by real-time quantitative PCR (Fig. 5). Total RNA isolation and cDNA synthesis used for real time PCR for gene exp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follows. Trizol (Invitrogen) solution was used to isolate total RNA from cell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mpany. The total RNA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using a nanodrop spectrophotometer, and 5 mg of total RNA was used for cDNA synthesis. Synthesis of cDNA was performed by manufacturer of reverse transcriptase (Takara, Japan) kit. The gene expression level was read by real-time PCR (ABI 7500, ABI, USA) using Syber Green kit us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primer sequences used for the detection of each gene are as follows: The primers used for the aP2 gene detection are Forward Primer CCA TCC GGT CAG AGA GTA CTT TTA A and Reverse Primer CGA ATT CCA CGC CCA GTT T. Primers for C / gBPa gene detection are Forward Primer TGC GAG CAC GAG ACG TCT ATA G and Reverse Primer GCC AGG AAC TCG TCG TTG A. Primers for PPARY gene detection include Forward Primer CAC AAG AGC TGA CCC AAT GGT and Reverse Primer GAT CGC
ACT TTG GTA TTC TTG 이다. Adiponectin 유전자 검출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Forward Primer AAC CCC TGG CAG GAA AGG 와 Reverse Primer CAC TGA ACG CTG AGC GAT ACA 이다. SREBPlc (ADD1) 유전자 검출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Forward Primer AGA GGG TGA GCC TGA CM와 Reverse Primer CCT CTG C TTT CCA GAT 이다. 36B4 (GLUT4)유전자 검출을 위해서는 Forward Primer ACC TCC TTC TTC CGG CTT 와 Reverse Primer CTC CAG TCT TTA TCA GCT를사용하였다. ACT TTG GTA TTC TTG. Primers used to detect adiponectin gene are Forward Primer AAC CCC TGG CAG GAA AGG and Reverse Primer CAC TGA ACG CTG AGC GAT ACA. Primers used to detect the SREBPlc (ADD1) gene are Forward Primer AGA GGG TGA GCC TGA CM and Reverse Primer CCT CTG C TTT CCA GAT. Forward Primer ACC TCC TTC TTC CGG CTT and Reverse Primer CTC CAG TCT TTA TCA GCT were used for 36B4 (GLUT4) gene detection.
<93> 흑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복합조성물 처리시 흑마늘 추 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는 달리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마스터 전사조절 인자들인 C/EBPa 과 PPARg의 발현 및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합성의 흡수를 조절하는 glucose transporter 4 (GLUT4) 유전자와 지방합성 유전자 (fatty acid synthease, FAS)들 또한 혹마늘 가르시니아 추출물과의 조합 처리에 의해 그 발현량이 감소함 으로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adiponectin의 발현은 대조 군에 비하여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contrast to the black garlic extract alon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were treated with the expression of C / EBPa and PPARg, the master transcriptional regulators that regulate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nd absorption of glucose synthesis in adipocytes. The glucose transporter 4 (GLUT4) gene and fatty acid synthease (FAS), which regulates the expression of GAS,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 by the combination treatment with Garlic extract.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showed little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94> 또한 가르시아 캄보지아 추출물 단독과 흑마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의 조합 (각 성분 제조예 2의 비율로 포함)을 도 6에 기재된 양으로 사용 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실시예 3-1과 같이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6에 있으며, 보는 바와 같이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단독 처리했을 때 보다 의성 흑마늘 분 말을 복합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15%~20% 더 우수한 효과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 세포 분화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았었다. 나아가 복합 조성물의 경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35% 더 적은 양이 포함되어 있 으며, 흑마늘 추출물과의 복합사용에 의해 더 적은 양의 사용으로도 상승효과가 유 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combination of Garcia cambogia extract alone,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included in each component of Preparation Example 2) in the amounts shown in FIG. 6 as in Example 3-1.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and as shown, when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was treated with the extract of black garlic powder in combination, the concentration-dependent fat cell differentiation was suppressed with 15-20% better effect. I could. In addition, the composite composition contained 35% less than the Garcinia cambogia extract alone, and it can be seen that synergistic effects were induced even with the use of a smaller amount by the combined use with black garlic extract. .
<95> 제제예 1정제의 제조  <95> Formul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Tablet
<96> 【표 1】
Figure imgf000022_0001
<96> [Table 1]
Figure imgf000022_0001
<97> 위의 분말을 직접 실험에 사용하거나,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The tablets were prepared by directly using the above powders for experiments or by mixing and tableting the above components according to conventional tablet production methods.
<98>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Tablet
<99> 【표 2】  <99> [Table 2]
Figure imgf000022_0002
Figure imgf000022_0002
l00> 위의 분말을 직 접 실험에 사용하거나,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The above powder was used for direct experiments, or the tablets were prepared by mixing and tableting the above component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ablet production method.
=ιοι>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 ιοι> Formul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Liquid
d02>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 아 캄보지아 추출물 lOOOmg d02>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lOOOmg
=103> 설탕 20mg  103 mg of sugar
ci04> 이성화당 20mgci04> isomerized sugar 20mg
l05> 레몬향 적 량  l05> Lemon flavor
:106>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갈색병 에 층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Purified water was added to adjust the total volume to 1000 ml.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a liquid solution,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nd then layered and sterilized in a brown bottle to prepare a liquid solution.
:107> Λ : 107> Λ
21  21
<108> 제제예 4. 건강 음료의 제조 Formul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Health Drink
<109> 혹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lOOOmg  <109>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lOOOmg
<ιιο> 구연산 lOOOmg  <ιιο> citric acid lOOOmg
<ιιι> 올리고당 100g  <ιιι> 100 g oligosaccharides
<Π2> 메실농축액  <Π2> Mesyl Concentrate
<113> 타우린 lg  <113> taurine lg
<ι ΐ4>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ι ΐ4> Add 900 ml of purified water
<115>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약 1시간동 안 85°C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넁장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115>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healthy beverages, the solution prepared by stirring and heating at 85 ° C. for about 1 hour, filtered and obtained in a sterilized 2L container and sealed sterilization after storage It was then used to prepare the healthy beverage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6> <116>
<117>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Formul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Health Food
<118>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 아 추출물 lOOOmg  <118>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lOOOmg
<119> 비타민 흔합물적량  <119> vitamin complex volume
<120>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 g <120> vitamin A acetate 7 (g
ί121> 비타민 El.Omg ί121> Vitamin El.Omg
<122> 비타민 B10.13mg  <122> Vitamin B10.13 mg
<123> 비타민 B20.15mg  <123> Vitamin B20.15 mg
ί124> 비타민 B60.5mg ί124> Vitamin B60.5mg
비타민 B120.2mg  Vitamin B120.2mg
<126> 비타민 ClOmg  <126> Vitamin ClOmg
;127> 비오틴 10mg  ; 127> biotin 10 mg
;128> 니코틴산아미드 1.7mg  ; 128> nicotinic acid amide 1.7 mg
;129> 엽산 50mg  ; 129> folic acid 50 mg
d30> 판토텐산칼슘 0.5mg d30> calcium pantothenate 0.5 mg
:131> 비타민 El.Omg  : 131> Vitamin El.Omg
;132> 무기 질 혼합물 적량  132> Inorganic Mixtures
:133> 황산 제 1철 1.75mg  Ferrous Sulfate 1.75mg
:134> 산화아연 0.82mg  Zinc Oxide 0.82mg
:135> 탄산 마그네슘 25.3mg  Magnesium Carbonate 25.3mg
:136> 제 1인산칼륨 15mg  Potassium monophosphate 15mg
:137> 제 2인산칼슘 55mg ci38> 구연산칼륨 90mg 55 mg of dibasic calcium phosphate ci38> potassium citrate 90mg
ci39> 탄산칼슘 lOOmg ci39> calcium carbonate lOOmg
ci40> 염화마그네슘 24.8mgci40> magnesium chloride 24.8mg
l41> 상기의 비타민 및 미 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 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흔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무 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 에 따라 상기 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 과립 제형의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 is a common composition of relatively suitable ingredients for health foods as a preferred manufacturing example, but the formula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ealth food manufacturing method, The ingredients were combined and then health foods were prepared in granule formulations.
cl42> cl42>

Claims

【청구의 범위】 [Range of request]
【청구항 1】  [Claim 1]
흑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 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청구항 2】  [Claim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혹마늘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추출물은 흑 마늘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8내지 16중량부로 포함하는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is 8 to 16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black garlic extract.
【청구항 3】  [Claim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원적외선 조사 가온숙성방식에 의 해 제조된 흑마늘인,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black garlic extract is black garlic prepared by a far-infrared irradiation warm aging method.
【청구항 4]  [Claim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대사증후군을 유발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esity causes metabolic syndrome.
【청구항 5】  [Claim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 증후군은 내당장애, 고혈압, 고지혈증, 간병증 및 신병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상을 갖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tabolic syndrome is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or hyperlipidemia having symptoms including at least one of glucose tolerance, hypertension, hyperlipidemia, hepatic disease and nephropathy.
【청구항 6】  [Claim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보조식 품,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로 제공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개선용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omposition is provided as a dietary supplement, a functional food, or a food additive.
PCT/KR2012/000471 2011-03-22 2012-01-19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WO2012128461A2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59 2011-03-22
KR1020110025159A KR101350217B1 (en) 2011-03-22 2011-03-2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8461A2 true WO2012128461A2 (en) 2012-09-27
WO2012128461A3 WO2012128461A3 (en) 2012-11-22

Family

ID=4687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0471 WO2012128461A2 (en) 2011-03-22 2012-01-19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garlic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0217B1 (en)
WO (1) WO2012128461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32B1 (en) * 2016-11-29 2018-04-18 무안군 Functional health beverage with masked bitter taste comprising onoin and garcinia cambog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666A (en) * 2003-11-12 2005-05-17 (주)새롬바이오 Composition for inhibiting of obesity
KR100840991B1 (en) * 2007-02-27 2008-06-24 류병호 Method for producing the black garlic
JP2010202634A (en) * 2008-06-05 2010-09-16 Green Kanpo Seiyaku Kk Crude drug-contain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0990260B1 (en) * 2010-05-03 2010-10-26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666A (en) * 2003-11-12 2005-05-17 (주)새롬바이오 Composition for inhibiting of obesity
KR100840991B1 (en) * 2007-02-27 2008-06-24 류병호 Method for producing the black garlic
JP2010202634A (en) * 2008-06-05 2010-09-16 Green Kanpo Seiyaku Kk Crude drug-contain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0990260B1 (en) * 2010-05-03 2010-10-26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8461A3 (en) 2012-11-22
KR20120107578A (en) 2012-10-04
KR101350217B1 (en)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61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bioavailability of saponin
KR101328668B1 (en) Compositon with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activity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adlay, and use thereof
KR100813222B1 (en) Medicinal herbal extract having anti-obesity effect
KR20120002131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curcuma longa extract
KR20120123860A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improving liver function
KR20200125155A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fractions or extract of radish leave
JP2018070570A (en) Lindera plant extract
KR10086352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extract of 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
KR20160141027A (en) Pha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y food comprising water extracts from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 for treating or preventing metabolic disorder
KR101074914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fermented bitter melon fortified with mineral and amino aci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446528B1 (en) Vinegar Composition Fermented with Black Garl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60062692A (en)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having high content saponin and use thereof
KR100875247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extract of 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
KR101851639B1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Chaenomelis Fructus extract or its fraction as effective component
KR10135021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Garcinia cambogia extract
KR101257329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stichpus japonicus extract
KR101501381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Dracontomelon Macrocarpum extract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KR101344189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or non-fermented Lonicerae Flos and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KR101154031B1 (en) Composition for Antifati gue containin g herbal mixture extract as in gredient compounds
KR10065657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ation and treat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KR100760386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P mixed crude drug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s
KR20080079374A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rude drug mixtur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of
KR20110078237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eriobotrya japonica extract
KR20130082249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e metabolic syndrome containing parthenocissus tricuspidata extract
KR20130127088A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lisma canaliculatu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or artheroscle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02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602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