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53760A2 -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53760A2
WO2012053760A2 PCT/KR2011/007484 KR2011007484W WO2012053760A2 WO 2012053760 A2 WO2012053760 A2 WO 2012053760A2 KR 2011007484 W KR2011007484 W KR 2011007484W WO 2012053760 A2 WO2012053760 A2 WO 201205376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ade
fixing rod
insertion hole
fire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74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53760A3 (ko
Inventor
노유선
노영곤
Original Assignee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Priority to US13/879,789 priority Critical patent/US8881455B2/en
Publication of WO201205376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3760A2/ko
Publication of WO201205376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376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windows, etc. in the building structure, such as apartments or curtain wall type without a balcony function to control the lighting and at the same time to automatically block the fire to move to the upper floor in the event of fire without using electrical energy automatically For a closed louver devic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ame is moved to an upper layer when a fire occurs in a fire layer in a multi-storey building
  • FIG. 2 is a recent case in which a flame is moved to an upper layer through an external window in a multi-storey building.
  • Window is an essential architectural element for mining and ventilation.
  • the fire (F) in the lower floor acts as a critical passage through the outer wall to the upper floor.
  • the basic method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the flame (F) is to install a balcony (B) or waist wall (W), as shown in Figure 1 (b) and (c) so that the flame does not reach the window of the upper layer. It is.
  • the balcony (B) is not only the function of flame spread prevention described above, but also blocks direct sunlight to make the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e, and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space for escape in case of emergency. Has been applied.
  • the balcony (B) which must be open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dust and noise due to pollution, is closed to windows and used as a space for storing goods, or illegally expanded and used as an indoor space.
  • louvers With respect to such louver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ised and patented a non-powered louver device using an inflating material that enables optimum mining according to seasons by rotating the blades without power in consideration of energy efficiency.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 0003879)
  • louver is open vertically for the purpose of blocking the su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ind, in case of fire mov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the upper floor, it does not have the same blocking ability as the balcony (B). .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device for a louver having a fire prevention function that effectively blocks the flame to move to the upper layer in the event of fire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louver without using electric energy.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 the purpose is as follow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uver devic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or window (WD),
  • the lower part is partially opened in the shape of a pipe in which a front hollow part 313 and a rear hollow part 315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nd a fuse chamber 311 connected to the front hollow part 313 is formed, Control pins 360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10 formed in a row, the fuse chamber 311 is inserted into the fuse 330, the front end hollow portion 313 that is destroy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 (F)
  • the rea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use 330 and the front end is fixed to the front fixing rod 3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hollow portion 313, the spring 340 is inserted into the rear hollow portion 315, and the rear end
  • th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15 and the front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g 340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ve force is maintained, and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rear fixed rod 3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hollow portion 315.
  • Insertion hole 132 is formed in the rear fixing rod insertion hole 132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rear fixing rod 350 is fixed to the back plate 130, the blade rotation shaft 201 is inserted can rotate
  • the blade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in a plurality in a row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both ends are composed of two side plates 110 attached to one end of the front plate 120 and the rear plate 130, respectively
  • the outer frame 100 which is configured to include, but in case of fire (F) when the fire 330 touches the fuse 330, the fuse 330 is broken and the main body 310 is moved forward by the spring 340 Is mounted on the space between the control pin 360 and the control pin 360 or hinged Being laid bottom 220 is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310 provides a fire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louvers as to form a firewall, closed by the blade 200 rotation.
  • the blade upper portion 210 of the blade 200 is bent backwards and the lower blade portion 220 is bent forward so that the overall cross section of the blade 200 forms an S-shape, when the blade 200 is closed It provides a fire-resistant self-closing louv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upper portion 210 is cl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blade portion 220 behin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ame moves to the upper layer when a fire occurs in a fire floor in a multi-storey building.
  •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mally open state of the fire closing automatic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in case of fire of the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for fir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self-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onceptual view compa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lade in the self-closing louver device for fir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ade in the normally open state of the fire protection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ade in the closed state in the event of fire of the fire protection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flame according to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blade in a multi-storey building equipped with a fire prevention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W waist wall
  • Fireproof self-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uver devic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or window (W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llow hollow portion 313 and the rear hollow portion 315 is formed in a pipe shape
  • the lower part is partially opened to form a fuse chamber 311 connected to the front hollow part 313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10 and the fuse chamber 311 in which a plurality of control pins 360 are arranged in a line.
  • the fuse 330 which is destroy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hot air (F), is inserted into the front hollow portion 313, the rea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use 330 and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ear hollow portion 313
  • the front fixing rod 320, the spring 340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hollow portion 315, and th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hollow portion 315 so that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340 to the spring 340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hollow portion 315
  • Control unit 300 is composed of a fixed rod (350);
  • the blade rotating shaft 201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shape of a plate as a whole, and the plurality of blades 200 in which the lower blade 220 is mounted or hinged to the space between the control pin 360 and the control pin 360.
  • Fireproof self-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control unit 300, a blade 200 and the outer frame 100.
  • the control unit 300 is divided into a main body 310, a fuse 330, the front fixing rod 320 and the rear fixing rod 350,
  • the main body 310 has a pipe shape in which a front hollow portion 313 and a rear hollow portion 315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partially opened to connect the fuse chamber 311 to the front hollow portion 313.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trol pins 360 are formed in a line on the top.
  • the fuse 330 is inserted into the fuse chamber 311 and is destroy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heat (F).
  • the fuse 330 is destroy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during a fire, and a glass bulb or a fusible link used in a sprinkler may be used.
  • the front fixing rod 320 is inserted into the front hollow part 313 so that the rea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use 330 and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hollow part 313.
  • the front end of the front fixing rod 320 is composed of the front fixing rod male screw portion 321 and the front fixing rod adjusting portion 322, and the front fixing rod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is the front fixing rod male screw portion 321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fixing rod insertion hole 122.
  • the spring 340 is inserted into the rear hollow portion 315 to provide overall power of the control unit 300 in case of fire as described below.
  • the rear fixing rod 350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hollow portion 315 so that the front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g 340 while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340 is maintained, and the rear end is outside the rear end hollow portion 315. Is exposed.
  • the rear end of the rear fixing rod 350 is composed of a rear fixing rod male screw portion 351, and the rear fixing rod insertion hole 132 has a female screw portion formed so that the rear fixing rod male screw portion 351 is inserted into the rear fixing rod. It may be coupled to the hole 132.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ade 200 can be adjusted to an effective light angle according to latitude and season.
  • the blade 200 is formed by the blade rotating shaft 201 protrudes at both ends in the shape of a plate as a whole and the lower blade 220 is mounted or hinged to the space between the control pin 360 and the control pin 360 Multiple dogs are installed.
  • the blade rotating shaft 201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lade 200 as far as possib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which rai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lade 200, the blade 200 is easily rotated by gravity in case of fire and closed This is to facilitate.
  • the material of the blade 200 is most suitable for the iron material coated or coated with rust-preventive and refractory paints, such as the outer frame 100, and a heat-resistant material such as ceramic on the back of the blade 200 to increas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t is preferable to use it by overlapping.
  • the outer frame 100 is largely composed of a front plate 120, a back plate 130, two side plates (110).
  • the front plate 120 has a front fixing rod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in the center, the front end of the front fixing rod 320 is inserted into the front fixing rod insertion hole 122 is fixed.
  • the rear plate 130 has a rear fixing rod insertion hole 132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fixing rod 35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ar fixing rod insertion hole 132.
  • the side plate 110 has a plurality of blade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s 111 are formed in a row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blade rotation shaft 201 is inserted and rotated, both ends of the front plate 120 and the back plate Attached to one end of the 130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lade fasteners 112 that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one end of the blade 200 when the blade 200 is opened may be formed in a row.
  •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11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window so that the outer frame 100 as a whole cantilevered form.
  • the side plate 110 is in the shape of a plate, the cross-section is possible in a variety of forms, but is preferably an oval or structurally advantageous I 'shape or the like considering the angle of the shape for ease of manufacture or wind.
  • the material of the outer frame 100 is the most suitable steel coated with antirust and fireproof coating in consideration of appearance, durability, structural safety an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hould have a cross sec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in case of fire, Perforations such as ribs on airplane wings are also possible for lighter weight.
  •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trol pin 360 are further formed with a blade pusher 362 and a straight blade fixed portion 361 of the inclined shape, respectively, the front plate 120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blade protruding, respectively.
  • the fixing jaw 121 and the upper blade fixing jaw 131 are further form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blade pusher 362 pushes up the lower blade 220 to fix the blade 200 and closes the front blade 200.
  • the lower blade 220 may be sealed by contacting the lower blade fixing jaw 121 and the upper blade 210 of the rearmost blade 200 may be sealed by touching the upper blade fixing jaw 131.
  • the closed blade 200 is not opened by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and wind. .
  • groove 202 may be dug into the lower blade 220 to allow the blade pusher 362 of the control pin 360 to fit therein.
  • FIG. 6 is a conceptual view compa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lade in the fireproof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lade in the normally open state of the fireproof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ade in a closed state during fire of the fire protection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lade 200 is generally in the shape of a plate,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square or an o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anar shape) shown in FIG. 6 (a), but is illustrated in FIG. 6 (b).
  • the cross section in the form of an 'S' is most preferred.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maintain high light efficiency even if the space between the blades 200 is widened, and it is possible to close at a rotation angle smaller than the plane type when closing for fire protection, and the two blades 20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ecause it can increase. It is also desirable to leave the blade 200 lying slightly back from vertical in order to be effective in mining and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blade 200.
  •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flame according to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blade in a multi-storey building equipped with a fire prevention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lade 200 is normally opened, and as shown in FIG. 9 (b), the fuse 330 is broken in the event of fire, due to the advancement and gravity of the controller 300.
  • the blade 200 is hermetically sealed and the self-closing lou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firewall as a conventional balcony as a whole and prevents the flame F of the lower layer from spreading to the upper layer.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windows, etc. in the building structure, such as apartments or curtain wall type without a balcony function to control the lighting and at the same time to automatically block the fire to move to the upper floor in the event of fire without using electrical energy automatically Provides a closed louv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pecial W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 기능이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형식 등의 건축구조물에서 창호 등에 설치되어 채광을 조절함과 동시에 화재시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것을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본 발명은 발코니 기능이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형식 등의 건축구조물에서 창호 등에 설치되어 채광을 조절함과 동시에 화재시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것을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복층건물에서 화부층에서 화재발생시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가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복층건물에서 외부 창호를 통하여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져 피해를 입은 최근 사례이다.
창호(WD)는 채광과 환기를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건축요소이다. 그러나 복층건물에서는 화재시 하부층의 화염(F)이 외벽을 타고 상부층으로 옮겨가는 결정적인 통로 역할을 한다.
이는 건물 외부로 불길(F)이 치솟을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F)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올라 상부층의 창호(WD)를 뚫고 확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염(F)의 확산을 막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은 도 1(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B)나 허리벽(W)을 설치하여 화염이 상부층의 창호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발코니(B)는 상술한 화염확산방지의 기능뿐만 아니라, 직사일광을 차단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하며 비상시에는 탈출을 위한 피난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공동주택을 포함한 거의 모든 건축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공해에 따른 분진 및 소음으로 인하여 외부로 개방되어 노출되어야만 하는 발코니(B)를 창호로 폐쇄하고 물건을 쌓아두는 창고와 같은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거나 불법적으로 확장하여 실내공간으로 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많은 불법확장으로 인하여 결국 대한민국은 2006년부터 법률적으로 발코니확장을 인정하여, 이후 대다수의 공동주택에서 발코니확장이 일반화되었다.
결과적으로 많은 고층건물에서 커튼윌 형식의 외벽이 주류가 되어 발코니(B)나 허리벽(W)이 없어지고 공간이 넓어진 이점이 있는 반면, 화재 및 채광에 취약한 구조가 되었다.
발코니(B)가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 형식의 건물은 여름에 햇볕이 실내에 여과없이 유입되어 기온이 상승하므로 소비전력이 높은 냉방기기 사용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전력은 피크시의 전력량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가 가장 큰 여름의 냉방기기의 사용은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며 환경적으로도 이산화탄소를 다량으로 발생시킨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 및 이산화탄소발생 저감에 의한 지구온난화 방지가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근래에는 특히 냉방기기 사용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햇볕을 차단하는 방법은 (1) 발코니나 차양을 이용하여 실외에서 원천적으로 햇볕을 차단하는 방법, (2) 커튼이나 블라인등 등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차단하는 방법, (3) 소위 로이유리(low-E)라 불리는 특수 유리나 블라인드가 내부에 설치된 2중 창호를 이용하여 창호로 차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햇볕에 의한 실내 기온상승을 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것은 상기 (1)의 실외에서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2)와 (3)의 경우 햇볕을 차단하는 위해서는 조망을 위한 시야가 가려지나, (1)의 경우에는 조망을 위한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햇볕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코니 기능이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 형식의 건물에서 햇볕을 실외에서 차단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차양의 설치이다. (1) 천막형식의 차양은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저하 및 외관상의 문제와 공동주택의 고층화로 바람 등 수평하중의 영향에 따른 안전성 저하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2) 루버형식의 차양은 외관이 미려하고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고층건물이나 커튼월 형식에도 적합하나, 인지도가 낮아 사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러한 루버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에너지 효율까지 고려하여 무동력으로 블레이드를 회전하여 계절에 따른 최적의 채광을 가능하게 한 팽창재를 이용한 무동력 루버장치를 고안하여 특허출원 중이다.(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0-0003879)
그러나 상기 출원을 비롯한 종래의 모든 루버장치는 스프링클러(sprinkler) 및 방화유리 설치의무가 법제화된 2008년 이후 설계 시공된 건물에의 적용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방화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가 안 되어 기존 건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불편이 지적되었다.
왜냐하면 루버는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햇볕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화재시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경우, 발코니(B)와 같은 차단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도 2와 같이 최근 실제로 발코니(B)가 없어 상부층으로 화염이 옮아 막대한 피해를 본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기존의 살수차로 진화가 불가능한 15층 이상의 고층건물에 대해서는 항상 위험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루버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여 채광에 효과적이면서 화재시에는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화염을 전기에너지의 사용없이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 기능이 있는 루버에 대한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코니가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 형식의 건물에서 화재시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하부층의 화염을 전기에너지의 사용없이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계절에 따라 효과적으로 채광을 조절하여 열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전기에너지 등의 동력이 필요로 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불필요한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기존의 건축물에 그대로 설치하여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면 또는 창호(WD)의 외부에 설치되는 루버장치에서,
전단 및 후단 각각에 중공부인 전단 중공부(313)와 후단 중공부(315)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가 일부 개방되어 상기 전단 중공부(313)와 연결된 퓨즈실(3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 개의 제어핀(360)이 일렬로 형성된 본체(310), 상기 퓨즈실(3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열기(F)에 의해 일정온도에서 파괴되는 퓨즈(330), 상기 전단 중공부(313)에 삽입되어 후단은 상기 퓨즈(330)에 밀착하고 전단은 상기 전단 중공부(313)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고정봉(320),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는 스프링(340) 및,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어 전단은 상기 스프링(340)에 스프링(340)의 압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밀착하고 후단은 상기 후단 중공부(315)의 외부로 노출되는 후면 고정봉(350)으로 구성되는 제어부(300); 전체적으로 판재의 형상으로 양단에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200); 및, 중앙에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판(120), 중앙에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면판(130),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회전축 삽입구멍(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다수 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전면판(120) 및 후면판(130)의 일단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측면판(110)으로 구성되는 외부틀(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화재시 열기(F)가 상기 퓨즈(330)에 닿으면 퓨즈(330)가 깨지고 상기 본체(310)가 상기 스프링(34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된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본체(310)와 같이 이동함으로 블레이드(200)가 회전하여 닫히는 방화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상부(210)는 뒤로 굽혀지고 블레이드 하부(220)는 앞으로 굽혀져 전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200)의 단면은 S자형을 형성하여, 블레이드(200)가 닫힐 때 앞의 블레이드 상부(210)가 뒤의 블레이드 하부(220)와 맞닿아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발코니가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 형식의 건물에서 화재시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하부층의 화염을 전기에너지의 사용없이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계절에 따라 효과적으로 채광을 조절하여 열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셋째, 전기에너지 등의 동력이 필요로 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불필요한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넷째, 기존의 건축물에 그대로 설치하여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복층건물에서 화부층에서 화재발생시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가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복층건물에서 외부 창호를 통하여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져 피해를 입은 최근 사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평상시 개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화재시 밀폐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에서 블레이드의 단면형상에 따른 장단점을 비교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평상시 개방상태에서 제어부가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화재시 밀폐상태에서 제어부가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가 설치된 복층건물에서 블레이드의 개방 및 밀폐상태에 따라 화염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발코니
F: 열기, 불길, 화염
W: 허리벽
WD: 창호
100: 외부틀
110: 측면판
111: 블레이드 회전축 삽입구멍
112: 블레이드 고정구
120: 전면판
121: 블레이드 하부 고정턱
122: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
130: 후면판
131: 블레이드 상부 고정턱
132: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
200: 블레이드
201: 블레이드 회전축
202: 홈
210: 블레이드 상부
220: 블레이드 하부
300: 제어부
310: 본체
311: 퓨즈실
313: 전단 중공부
315: 후단 중공부
320: 전면 고정봉
321: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
322: 전면 고정봉 조율부
330: 퓨즈
340: 스프링
350: 후면 고정봉
351: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
360: 제어핀
361: 블레이드 고정부
362: 블레이드 푸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는 벽면 또는 창호(WD)의 외부에 설치되는 루버장치로써, 전단 및 후단 각각에 중공부인 전단 중공부(313)와 후단 중공부(315)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가 일부 개방되어 상기 전단 중공부(313)와 연결된 퓨즈실(3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 개의 제어핀(360)이 일렬로 형성된 본체(310), 상기 퓨즈실(3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열기(F)에 의해 일정온도에서 파괴되는 퓨즈(330), 상기 전단 중공부(313)에 삽입되어 후단은 상기 퓨즈(330)에 밀착하고 전단은 상기 전단 중공부(313)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고정봉(320),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는 스프링(340) 및,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어 전단은 상기 스프링(340)에 스프링(340)의 압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밀착하고 후단은 상기 후단 중공부(315)의 외부로 노출되는 후면 고정봉(350)으로 구성되는 제어부(300); 전체적으로 판재의 형상으로 양단에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200); 및, 중앙에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판(120), 중앙에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면판(130),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회전축 삽입구멍(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다수 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전면판(120) 및 후면판(130)의 일단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측면판(110)으로 구성되는 외부틀(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화재시 열기(F)가 상기 퓨즈(330)에 닿으면 퓨즈(330)가 깨지고 상기 본체(310)가 상기 스프링(34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된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본체(310)와 같이 이동함으로 블레이드(200)가 회전하여 닫히는 방화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평상시 개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화재시 밀폐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는 구성요소가 크게 제어부(300), 블레이드(200) 및 외부틀(100)로 나뉜다.
상기 제어부(300)는 크게 본체(310), 퓨즈(330), 전면 고정봉(320) 및 후면 고정봉(350)으로 나뉘며,
상기 본체(310)는 전단 및 후단 각각에 중공부인 전단 중공부(313)와 후단 중공부(315)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가 일부 개방되어 상기 전단 중공부(313)와 연결된 퓨즈실(3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 개의 제어핀(360)이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퓨즈(330)는 상기 퓨즈실(3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열기(F)에 의해 일정온도에서 파괴된다. 상기 퓨즈(330)는 화재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파괴되는 것으로 스프링클러에서 사용하는 유리벌브(glass bulb)나 퓨지블링크(fusible lin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고정봉(320)은 상기 전단 중공부(313)에 삽입되어 후단은 상기 퓨즈(330)에 밀착하고 전단은 상기 전단 중공부(313)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은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 및 전면 고정봉 조율부(322)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가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40)은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재시 상기 제어부(300)의 전체적인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후면 고정봉(350)은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어 전단은 상기 스프링(340)에 스프링(340)의 압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밀착하고 후단은 상기 후단 중공부(315)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은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가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 및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를 나사형식으로 돌리게 되면 블레이드(200)의 경사각을 위도 및 계절에 따라 효과적인 채광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00)는 전체적으로 판재의 형상으로 양단에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201)은 블레이드(200) 단면에서 중앙보다 아래 부분의 가능한 한 전면에 설치되는데, 이는 블레이드(200)의 무게 중심을 높여주어 화재시 블레이드(200)가 중력에 의해서 쉽게 회전하여 폐쇄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블레이드(200)의 재질은 상기 외부틀(100)과 같이 방청 및 내화도료가 도포 내지 코팅된 철재가 가장 적합하며, 내화성능을 높이기 위해 블레이드(200)의 후면에 세라믹과 같은 열에 강한 소재를 겹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틀(100)은 크게 전면판(120), 후면판(130), 2개의 측면판(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120)은 중앙에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후면판(130)은 중앙에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측면판(110)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회전축 삽입구멍(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다수 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전면판(120) 및 후면판(130)의 일단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200)의 개방시 상기 블레이드(200)의 일단의 하부가 걸려 고정되는 블레이드 고정구(112)가 일렬로 다수 개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110)의 후단은 창호 외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외부틀(100)이 전체로써 캔틸레버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판(110)은 판재의 형상으로, 단면은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나 제작편의성을 위한 각형이나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타원형 또는 구조적으로 유리한 I'형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틀(100)의 재질은 외관, 내구성, 구조적 안전성과 내화성능 등을 고려하여 방청 및 내화도료가 도포된 철재가 가장 적합하며, 화재시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정도의 단면을 갖추어야 하고, 경량화를 위해 비행기 날개의 리브와 같은 천공가공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핀(360)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경사진 형태의 블레이드 푸셔(362) 및 직절된 블레이드 고정부(36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20) 및 후변판에는 각각 돌출된 블레이드 하부 고정턱(121) 및 블레이드 상부 고정턱(131)이 마주보도록 더 형성되어, 블레이드(200) 밀폐시 상기 블레이드 푸셔(362)가 상기 블레이드 하부(220)를 밀어올리며 고정하고 최전방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하부(220)는 상기 블레이드 하부 고정턱(121)에 맞닿아 밀폐되며 최후방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상부(210)는 상기 블레이드 상부 고정턱(131)에 맞닿아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40)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블레이드 푸셔(362)가 상기 블레이드 하부(220)를 밀어올리며 단단히 고정하므로 일단 닫힌 블레이드(200)는 화풍(火風) 및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다.
그리고 블레이드 하부(220)에 홈(202)을 파서 제어핀(360)의 블레이드 푸셔(362)가 끼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에서 블레이드의 단면형상에 따른 장단점을 비교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평상시 개방상태에서 제어부가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의 화재시 밀폐상태에서 제어부가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상부(210)는 뒤로 굽혀지고 블레이드 하부(220)는 앞으로 굽혀져 전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200)의 단면은 S자형을 형성하여, 블레이드(200)가 닫힐 때 앞의 블레이드 상부(210)가 뒤의 블레이드 하부(220)와 맞닿아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200)는 전체적으로 판재의 형상으로, 단면은 도 6(a)에 도시된 각형이나 타원형(이하, 평면형이라 한다.) 등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나, 도 6(b)에 도시된 'S'자 형태의 단면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블레이드(200)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더라도 높은 채광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방화를 위해 폐쇄시 평면형보다도 적은 회전각으로 폐쇄가능하고, 맞닿는 두 블레이드(200)가 서로 맞물려져 차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채광에도 효과적이고 블레이드(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레이드(200)를 수직에서 약간 뒤로 뉘어져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가 설치된 복층건물에서 블레이드의 개방 및 밀폐상태에 따라 화염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블레이드(200)가 개방되어 있다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퓨즈(330)가 깨지면서 제어부(300)의 전진 및 중력으로 인하여 블레이드(200)가 밀폐되며 본 발명의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는 전체로써 종래의 발코니와 같은 방화벽의 역할하게 되고 하부층의 화염(F)이 상부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코니 기능이 없는 공동주택이나 커튼월형식 등의 건축구조물에서 창호 등에 설치되어 채광을 조절함과 동시에 화재시 화염이 상부층으로 옮겨가려는 것을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

  1. 벽면 또는 창호(WD)의 외부에 설치되는 루버장치에서,
    전단 및 후단 각각에 중공부인 전단 중공부(313)와 후단 중공부(315)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가 일부 개방되어 상기 전단 중공부(313)와 연결된 퓨즈실(3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 개의 제어핀(360)이 일렬로 형성된 본체(310), 상기 퓨즈실(3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열기(F)에 의해 일정온도에서 파괴되는 퓨즈(330), 상기 전단 중공부(313)에 삽입되어 후단은 상기 퓨즈(330)에 밀착하고 전단은 상기 전단 중공부(313)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고정봉(320),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는 스프링(340) 및, 상기 후단 중공부(315)에 삽입되어 전단은 상기 스프링(340)에 스프링(340)의 압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밀착하고 후단은 상기 후단 중공부(315)의 외부로 노출되는 후면 고정봉(350)으로 구성되는 제어부(300);
    전체적으로 판재의 형상으로 양단에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200); 및,
    중앙에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판(120), 중앙에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면판(130),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201)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회전축 삽입구멍(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다수 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전면판(120) 및 후면판(130)의 일단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측면판(110)으로 구성되는 외부틀(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화재시 열기(F)가 상기 퓨즈(330)에 닿으면 퓨즈(330)가 깨지고 상기 본체(310)가 상기 스프링(34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어핀(360)과 제어핀(360) 사이의 공간에 거치되거나 힌지결합된 블레이드 하부(220)가 상기 본체(310)와 같이 이동함으로 블레이드(200)가 회전하여 닫히는 방화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상부(210)는 뒤로 굽혀지고 블레이드 하부(220)는 앞으로 굽혀져 전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200)의 단면은 S자형을 형성하여, 블레이드(200)가 닫힐 때 앞의 블레이드 상부(210)가 뒤의 블레이드 하부(220)와 맞닿아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측면판(110)은 상기 블레이드(200)의 개방시 상기 블레이드(200)의 일단의 하부가 걸려 고정되는 블레이드 고정구(112)가 일렬로 다수 개 더 형성되며,
    상기 제어핀(360)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경사진 형태의 블레이드 푸셔(362) 및 직절된 블레이드 고정부(36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20) 및 후변판에는 각각 돌출된 블레이드 하부 고정턱(121) 및 블레이드 상부 고정턱(131)이 마주보도록 더 형성되어,
    블레이드(200) 밀폐시 상기 블레이드 푸셔(362)가 상기 블레이드 하부(220)를 밀어올리고 최전방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하부(220)는 상기 블레이드 하부 고정턱(121)에 맞닿아 밀폐되며 최후방 블레이드(200)의 블레이드 상부(210)는 상기 블레이드 상부 고정턱(131)에 맞닿아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은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 및 전면 고정봉 조율부(322)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가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체결되고,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은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가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전면 고정봉(320)의 전단은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 및 전면 고정봉 조율부(322)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고정봉 수나사부(321)가 상기 전면 고정봉 삽입구멍(122)에 체결되고,
    상기 후면 고정봉(350)의 후단은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 고정봉 수나사부(351)가 상기 후면 고정봉 삽입구멍(13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PCT/KR2011/007484 2010-10-20 2011-10-10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WO2012053760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79,789 US8881455B2 (en) 2010-10-20 2011-10-10 Automatically closed fire protection louv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385 2010-10-20
KR1020100102385A KR101096681B1 (ko) 2010-10-20 2010-10-20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3760A2 true WO2012053760A2 (ko) 2012-04-26
WO2012053760A3 WO2012053760A3 (ko) 2012-06-21

Family

ID=4550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7484 WO2012053760A2 (ko) 2010-10-20 2011-10-10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81455B2 (ko)
KR (1) KR101096681B1 (ko)
WO (1) WO201205376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7731A1 (zh) * 2021-11-30 2023-06-08 南京洛普股份有限公司 一种满足消防排烟通风要求的可开关式led显示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8403A1 (en) * 2011-09-21 2013-03-21 Srg Global Inc. Grille Shutter Seal
US20140175240A1 (en) * 2012-11-15 2014-06-26 C. Scott Selzer Bracket for louvered roof systems
KR101409318B1 (ko) * 2013-10-29 2014-07-02 노유선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101572488B1 (ko) 2014-03-25 2015-11-30 노유선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US9156334B1 (en) * 2014-06-30 2015-10-1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GB2568057B (en) * 2017-11-02 2021-01-06 Panel Uk Ltd An apparatus comprising a roof panel and control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oof panel
CN108035498A (zh) * 2017-11-17 2018-05-15 成都江河幕墙系统工程有限公司 与幕墙立面分格不对齐的可调角度的遮阳系统及其安装方法
CN207847158U (zh) * 2017-12-20 2018-09-11 浙江永强集团股份有限公司 帐篷的电动百叶窗顶棚结构以及帐篷
US11788281B2 (en) * 2019-06-14 2023-10-17 Protech Theatrical Services, Inc. Suspended acoustic shell assembly with emergency feature
US11603702B2 (en) * 2019-12-10 2023-03-14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Wind-driven environmental element operable louver
US20210222425A1 (en) * 2020-01-17 2021-07-22 Holyoake Industries Limited Fire damper
CN111946228A (zh) * 2020-08-20 2020-11-17 倍莱德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金属百叶窗及其叶片的制造方法
CN114876136B (zh) * 2022-05-05 2023-12-01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平铺式可折叠屋顶除雪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076A (ja) * 1991-08-21 1993-03-02 Sanwa Shutter Corp ルーバ
KR20060076921A (ko) * 2004-12-29 2006-07-0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동개폐식 루버차양
KR100668113B1 (ko) * 2005-08-05 2007-01-11 알루텍 (주) 탈착식 루버
KR100846145B1 (ko) * 2007-08-28 2008-07-14 (주)씨에스아이디산업 갤러리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920A (en) * 1956-01-31 Fusible motion arrestor
US1573930A (en) * 1922-07-13 1926-02-23 Gilmore Millard Louver
US1871161A (en) * 1930-05-01 1932-08-09 Sidney M Dickson Ventilator
US2554822A (en) * 1946-12-27 1951-05-29 Geier Philip Door construction
US2954728A (en) * 1959-05-28 1960-10-04 Eugene L Smith Automatically closed fire proof louvers
US3260018A (en) * 1964-02-26 1966-07-12 Wilmer R Schuh Door closing mechanism
US3350996A (en) * 1966-01-17 1967-11-07 Airolite Company Adjustable fire louvre
US3543439A (en) * 1968-10-07 1970-12-01 Frederick William Pantland Fire dampers
US3543440A (en) * 1969-02-06 1970-12-01 John C Kurz Fire damper
US3591221A (en) * 1969-04-25 1971-07-06 American Warming Ventilation Fire damper latch
US3571973A (en) * 1969-05-05 1971-03-23 Rixson Inc Closure operator
CA1027806A (en) * 1973-03-15 1978-03-14 Joseph R. Anghinetti Fire vent
US3832940A (en) * 1973-06-28 1974-09-03 Pacific Air Prod Co Louver unit having a fire resistant seal
US4080978A (en) * 1974-05-26 1978-03-28 Mccabe Francis J Smoke, fire and air control damper
US3951051A (en) * 1974-07-02 1976-04-20 Wallace-Murray Corporation Dampers
USRE30204E (en) * 1975-09-18 1980-02-05 Ruskin Manufacturing Company Control damper
US3996952A (en) * 1975-09-18 1976-12-14 Ruskin Manufacturing Company Control damper
US4081173A (en) * 1976-05-26 1978-03-28 Mccabe Francis J Rotating blade fire damper
US4301569A (en) * 1978-05-12 1981-11-24 Mccabe Francis J Quadrant operator
GB1597502A (en) * 1977-06-23 1981-09-09 Actionair Equip Smoke and fire shield damper
US4487214A (en) * 1981-09-18 1984-12-11 Tatum James R Damper blade actuating mechanism
US4452010A (en) * 1982-05-20 1984-06-05 Whittington Adron L Window security system
FI69903C (fi) * 1982-11-12 1986-05-26 Halton Oy Saekringsloesning foer brandspaerrar eller andra saekerhetsanordningar i ventilationsanlaeggningar
US4581987A (en) * 1985-05-30 1986-04-15 Ecm Motor Co. Fire damper actuator
US4723481A (en) * 1987-07-08 1988-02-09 Nailor-Hart Industries Inc. Air control damper assembly
US5020423A (en) * 1990-07-20 1991-06-04 Mestek, Inc. Rotating blade damper with blade lock and stop mechanism
US5619821A (en) * 1995-06-26 1997-04-15 Lockinbar, Inc. Easily-installed quick-release locking modular security grill with optionally affixed penetration-resistant rotating fins serving as louvers and as a security shie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076A (ja) * 1991-08-21 1993-03-02 Sanwa Shutter Corp ルーバ
KR20060076921A (ko) * 2004-12-29 2006-07-0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동개폐식 루버차양
KR100668113B1 (ko) * 2005-08-05 2007-01-11 알루텍 (주) 탈착식 루버
KR100846145B1 (ko) * 2007-08-28 2008-07-14 (주)씨에스아이디산업 갤러리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7731A1 (zh) * 2021-11-30 2023-06-08 南京洛普股份有限公司 一种满足消防排烟通风要求的可开关式led显示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99736A1 (en) 2013-08-08
WO2012053760A3 (ko) 2012-06-21
US8881455B2 (en) 2014-11-11
KR101096681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3760A2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200422001Y1 (ko)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WO2013157714A1 (ko) 지하주차장 소방용 방화댐퍼 겸용 팬
US10612292B2 (en) Window system
CN210342355U (zh) 一种装配式防火幕墙系统
WO2010147341A2 (ko) 밀폐되도록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
CN207296801U (zh) 一种耐高温布帘和耐高温金属百叶帘组合隔热防火窗
US20150251027A1 (en) Automatic closing louver device for fire protection
CN110761686B (zh) 一种铝合金防火窗
KR101096683B1 (ko) 팽창제를 이용한 무동력 루버장치
WO2013042820A1 (ko)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CN108019141B (zh) 防火遮阳节能一体化窗
CN101025071A (zh) 自动报警防烟火走廊门墙
KR101572488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CN207377419U (zh) 门窗型材固定件及包含此固定件的窗
KR101409318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US3955323A (en) Means for retarding the spread of fire from a building space
CN210977182U (zh) 一种铝合金耐火门窗
CN221002523U (zh) 一种钢质隔热防火窗
CN214462018U (zh) 一种室内装修用防火隔板
CN213627303U (zh) 一种大型公共建筑用防火门
WO2022149787A1 (ko) 배기덕트용 방화 댐퍼
CN217402823U (zh) 一种带保温自垂百叶的70℃常开防火风口
CN209942557U (zh) 平开节能防火塑料窗
CN218407183U (zh) 一种便于紧急逃生的防火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345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97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345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