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99824A2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99824A2
WO2011099824A2 PCT/KR2011/000958 KR2011000958W WO2011099824A2 WO 2011099824 A2 WO2011099824 A2 WO 2011099824A2 KR 2011000958 W KR2011000958 W KR 2011000958W WO 2011099824 A2 WO2011099824 A2 WO 201109982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source allocation
message
resource
field
allo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09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99824A3 (ko
Inventor
홍성권
권기범
서성진
Original Assignee
(주)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팬택 filed Critical (주)팬택
Priority to US13/578,23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307776A1/en
Publication of WO201109982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9824A2/ko
Publication of WO201109982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982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접속의 기본 원칙들 중 하나는 공유채널 전송, 즉 시간주파수 자원들이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 동적으로 공유되는 것일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자원들의 할당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세밀한 자원할당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자원할당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 자원할당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송된 자원할당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메시지의 형식을 기초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획득하는 메시지 해석부; 및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메시지 해석부를 통해 획득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LTE 시스템에 적용한 예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LTE 시스템에 적용한 예이다.
도 7 및 도 8은 자원할당필드의 여유의 영역에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하향링크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럭도이다.
도 13은 PDCCH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과 기지국(20)은 아래에서 설명한 다양한 전력할당방법을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모든 장치 또는 기능 또는 특정 영역을 의미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200)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특정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S210)와 자원할당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이때 자원할당방식은, 비트맵 형태의 자원할당방식 또는 주기적인 형태의 자원할당방식,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표현하는 자원할당방식, 독립적으로 자원할당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에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을 표현하거나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에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지 않거나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때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할 때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 또는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중 하나인 LTE시스템에서 단말(10)로부터 기지국(20)으로의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기지국(20)에서 결정한 자원할당에 의해 지정된 자원블록의 집합 또는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의 집합에 실려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DCI포맷으로 단말(10)에 알려줄 수 있다. 이것을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또는 간단히 PUSCH 그랜트(PUSCH grant)라고 한다.
DCI포맷의 일정 필드는 단말(10)이 데이터를 실어 보낼 상향링크 프레임형식내의 일정한 영역을 단말(10)에게 알려주는데, 이 영역을 자원할당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라고 한다. 자원할당필드에서 표현하는 자원할당은 자원블록 또는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이라는 자원블록 집합 단위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자원할당필드에서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자원할당의 내용을 일정범위 내의 이진값으로 표현하여 단말(10)에게 알려준다.
수신측인 단말(10)은 검출된 PDCCH DCI 포맷상 자원할당필드를 해석할 수 있다. 단말(10)은 자원할당필드를 해석하여 데이터채널, 즉 PUSCH의 자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기지국(2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무선통신시스템 중 하나인 LTE시스템을 예를 들어 자원할당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체적인 자원할당 방식이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LTE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상향링크에 대해 기술되었으나 하향링크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전반에 설명하는 자원할당 방식이나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자원할당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기재하였고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300)에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 즉 자원구분필드(310)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고, 그 자원할당방식에 따라 자원할당필드(320, 340)의 전체(330, 350)에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자원구분필드(310)에 특정값을 추가하여 그 특정값(예를 들어 A 또는 B)으로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값이 “A”인 경우 자원할당방식은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주기적인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길이와 오프셋으로 자원할당방식 중 하나이고, 특정값이 “B”인 경우 다른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일 수 있다.
이때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주기적인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길이와 오프셋으로 자원할당방식은 각각 무선통신 시스템 중 하나인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원할당방식 중 타입 0, 타입 1, 타입 2일 수 있다. 이들을 설명하기 위해 LTE 시스템을 설명한다.
LTE에서는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물리하향제어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상하향 통신을 위한 제어정보와 주파수와 시간자원에서 각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자원할당정보를 전달한다. 자원영역은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의 시간 주파수 단위로 구성된다. 자원블록은 광대역인 경우 자원블록의 개수가 커져 자원할당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요구량이 커지므로 인해 몇 개의 자원블록을 합쳐 자원블록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블록 또는 자원블록그룹으로 표현되는 자원할당정보는 PDCCH 내의 자원할당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LTE에서 고려되는 대역폭은 1.4/3/5/10/15/20 MHz이고 이를 자원블록의 개수로 표현하면 6/15/25/50/75/100이다. 각 대역에 해당하는 자원블록으로 표현되는 자원블록그룹의 크기(P)는 1/2/2/3/4/4이다. 따라서, 각 대역에 해당하는 자원블록그룹의 개수는 6/8/13/17/19/25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원할당방식은 타입 0(resource allocation type 0), 타입 1(resource allocation type 1), 타입 2(resource allocation type 2)을 사용한다.
타입 0는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영역을 나타낸다. 즉, 각 자원블록그룹에 대하여 자원할당을 1, 비자원할당을 0으로 표현하여 전체 대역에 대한 자원할당을 나타낸다. 타입 0에 의해 자원할당이 표현될 때 필요한 비트양은 자원블록의 개수가 n일 때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1
가 된다. 이때 P는 자원블록그룹을 구성하는 자원블록의 개수를 의미한다.
타입 1은 주기적인 형태로 자원할당영역을 나타낸다. 즉, P의 주기를 가지며 전체 할당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형태의 자원할당을 나타낸다.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2
비트가 이런 주기를 갖는 서브셋의 크기, 1비트가 오프셋,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3
가 특정 자원할당을 나타내도록 하여 타입 0와 같은 비트양을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보통은 타입 0와 타입 1은 같이 사용되면 타입 0와 타입 1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비트(differentiation bit)가 추가된다.
타입 2는 연속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자원영역을 할당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전체 자원할당영역에서 시작점에서의 오프셋, 자원할당영역의 길이로 표현된다. 타입 2는 타입 0와 타입 1이 비연속적인 자원할당을 나타내는데 대하여 연속적인 자원영역만을 나타내고 요구하여 사용대역이 큰 시스템에서 자원블록의 개수가 많은 경우 비트요구량이 타입 0 또는 타입 1에 비해 작다. 요구되는 비트요구량은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4
이다. 따라서, 다른 자원할당방식이 자원블록그룹의 형태로 표현하는데 대하여 자원블록의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다.
LTE에서 PDCCH의 형식(format)은 여러가지 형식이 존재하며 각 형식은 MIMO전송방식, 채널추정방식등에 따라 달라지며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포맷이 달라진다. 이러한 포맷은 하향 제어 정보(DCI :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이라 하며 DCI 포맷 0/1/1A/1B/1C/1D/2/2A/3/3A의 종류를 가진다. 각 DCI포맷마다 각기 다른 타입의 자원할당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DCI 포맷 1은 단일코드워드를 갖는 물리하향공유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제어정보를 나타내며 DCI 포맷 1A는 압축된 PDSCH 제어정보를 나타낸다. DCI 포맷 1과 DCI 포맷 1A는 자원할당정보 이외에는 같은 정보를 전송하는데 DCI 포맷 1은 타입 0의 방식을 사용하고 DCI 포맷 1A는 타입 2의 방식을 사용한다. DCI 포맷 2는 폐루프 MIMO 동작을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타입 0의 자원할당방식을 갖는다. DCI 포맷 1이 같은 정보를 전송하며 자원할당방식만 타입 2인 DCI포맷 1A가 존재하는데 대하여 DCI 포맷 2는 이에 해당하는 포맷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3의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LTE 시스템에 적용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으로 LTE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도 3의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310)에 해당하는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구분비트(410)가 “0”인 경우 자원할당방식으로 타입 0를 사용하고 구분비트(410)가 “1”인 경우 자원할당방식으로 타입 1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400)의 자원할당필드(420, 440)의 전체(430, 450)에 그 자원할당방식에 따라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분비트(410)가 “0”인 경우 자원할당필드(440)에 자원할당방식으로 각 자원블록그룹에 대하여 자원할당을 1, 비자원할당을 0으로 표현하여 전체 대역에 대한 자원할당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역폭이 20 MHz이고 자원블록의 개수가 100이고, 대역폭에 해당하는 자원블록으로 표현되는 자원블록그룹의 크기(P)는 4일 때 각 대역에 해당하는 자원블록그룹의 개수는 25가 된다.
따라서, 구분비트(410)가 “0”인 경우 25개의 자원블록그룹을 25비트의 자원할당필드(440)에 각 자원블록그룹에 대하여 자원할당을 1, 비자원할당을 0으로 표현하여 전체 대역에 대한 자원할당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에 구분비트(410)가 “1”인 경우 자원할당필드(420)에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타입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분비트(410)이 “1”인 경우 자원할당필드(420)에 다른 독립적인 자원할당 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의 예로써 자원블록그룹의 크기가 더 작은(P’<P) 타입 2 자원할당방식(클러스터 1개를 갖는 자원할당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같은 상황하에서 P’=1로 두면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5
비트의 할당하면 클러스터가 1개인 연속 자원할당방식에 대해서 세밀한 스케쥴링상의 분해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분비트의 다른 자원할당방식인 타입 0에서는 P=4인 세밀하지 못한 스케쥴링을 제공하는 반면에 더 높은 분해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써 자원할당방식으로 타입 2를 사용할 경우 기지국(20)이 단말(10)에게 알려주는 자원할당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어필드, 예를 들어 자원할당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는 일정한 범위내의 정수값으로 자원할당의 가능한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일정한 범위내의 정수값으로 자원할당의 가능한 경우를 표현한 경우를 자원지시값(RIV: Resouce Indication Value)이라고 할 수 있다.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타입 2를 사용할 경우로 자원할당필드에 자원지시값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수학식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였고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500)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지 않고 자원할당을 표현한 경우 도 5의 상단과 같이 자원할당필드(510)의 전체(520)에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반면에 동일한 메시지(500)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한 경우, 도 5의 하단과 같이 전체 자원할당필드(530)의 일부(540)는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고 다른 일부(550)는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LTE 시스템에 적용한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은 별도의 구분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자원할당필드 내에 특정 구분헤더 또는 구분패턴을 통하여 자원할당방식을 구분한다.
메시지(600)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지 않고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한 경우 도 6의 상단과 같이 자원할당필드(610)의 전체(620)에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의 개수가 J(J는 2 이상의 자연수) 내지 K(K는 J보다 큰 2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 도 6의 상단과 같이 자원할당필드(610)의 전체에 J개 내지 K개의 클러스터들을 타입 0와 같은 방식으로 자원블럭그룹 단위로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타입 0 자원할당방식은 나타내는 최대의 클러스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자원할당에 의해 얻어지는 성능향상이 포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의 개수가 K+1 이상인 경우 자원할당에 의해 얻어지는 성능 향상은 포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최대 클러스터를 한정해도 포기되는 성능값이 미미한 클러스터 개수가 존재한다. 타입 0 자원할당방식에서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를 한정하고 결합되는 다른 자원할당방식의 인코딩 형태를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보다 크도록 인코딩하여 이를 구분할 수 있다.
반면에 동일한 메시지(600)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고 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한 경우 도 6의 하단과 같이 전체 자원할당필드(630)의 일부(640)는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고 다른 일부(550)는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하단에서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가 K, 예를 들어 6으로 한정하면 구분헤더 또는 구분패턴을 10101010101의 11비트로 나타내면 나머지 영역인 14비트에 대해서 다른 형태의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러스터의 개수가 K+1 이상인 경우 자원할당에 의한 성능향상은 미미하므로, 구분헤더에 10101010101의 11비트로 나타나고 나머지 영역인 14비트에 다른 값들로 표현하므로 다음과 같이 타입 0 내지 2와 다른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1) 구분헤더 또는 구분패턴(640)은 1로 시작하며 01이 반복되어 1의 개수가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가 되도록 구성한다. 타입 0로 표현되는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가 K일 때 2×K-1비트가 필요하다. 위에서 구분비트 또는 구분헤더는 구분을 나타내는 패턴이나 비트로 전체 자원할당영역의 어디든 분포가능하고 비트단위로 퍼져서 분포할 수도 있으며 일부 또는 전체비트가 자원할당영역이 아닌 PDCCH 내의 잉여 예약비트일 수 있다.
2)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나머지 영역(650)에서의 인덱싱은 1로부터 시작하도록 한다. 즉, 0에서 시작하는 자원할당정보에 대해 1를 더해 인덱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P’값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독립적인 자원할당 방식은 K+1개 이상의 클러스터로 표현된다.
3)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의 예로써 클러스터의 개수의 범위를 가지는 자원할당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현재 LTE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방식을 고려했을 때 타입 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의 예로써 자원블록그룹의 크기가 더 작은(P’<P) 클러스터의 개수가 1개에서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 K’ (K’<K)를 갖는 자원할당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클러스터에서 최대 K’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자원할당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K’+1~K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자원할당방식은 타입 0를 사용하고 1개의 클러스터에서 최대 K’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자원할당방식은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즉, 전송모드 4에서는 DCI 포맷 2는 타입 2의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며 세밀한 스케쥴링을 제공하는 포맷을 블라인드 복호과정에서 갖지 못하기 때문에 1개의 클러스터 혹은 연속적인 블록에 대한 자원할당을 가짐으로써 성능향상을 꾀할 수 있다.
자원블록그룹의 크기가 더 작은(P’<P) 클러스터의 개수가 2개에서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 K’를 갖는 자원할당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클러스터에서 최대 K’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자원할당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K’+1에서 K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자원할당방식은 타입 0를 사용하고 2개의 클러스터에서 최대 K’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자원할당방식은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1개의 클러스터, 즉 연속된 자원할당 방식에 대해서는 다른 DCI 포맷에서 세밀한 자원할당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전송모드 1, 2 또는 7에서는 DCI 포맷 1은 DCI 포맷 0/1A와 같이 블라인드 복호과정으로 구분되고 1개의 클러스터에 대한 자원할당이 필요한 경우 DCI 1A를 쓰는 것이 더 효율적이므로 이에 자원할당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2 ~ K’개의 클러스터를 보다 세밀한 스케쥴링을 제공하므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한편,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써 자원할당방식으로 타입 2를 사용할 경우 기지국(20)이 단말(10)에게 알려주는 자원할당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어필드, 예를 들어 자원할당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는 일정한 범위내의 정수값으로 자원할당의 가능한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일정한 범위내의 정수값으로 자원할당의 가능한 경우를 표현한 경우를 자원지시값(RIV: Resouce Indication Value)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기지국(20)이 단말(10)에게 자원할당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필드를 자원할당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로 지칭하고, 일정한 범위내의 정수값을 자원지시값으로 지칭하나 본 명세서는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20)은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시 n개의 자원블록들 또는 자원블록그룹들로 전체 자원이 구성된 경우 연속된 자원블록그룹들을 단말(10)에게 할당할 수도 있고, 불연속된 자원블록그룹들을 단말(10)에게 할당할 수도 있다. 불연속 자원할당시 연속적인 자원할당영역들 각각을 클러스터(cluster)라 한다.
연속 자원할당의 자원할당필드는 자원블럭그룹의 시작점(Starting Resource Block, RBstart)와 연속적인 가상자원블럭들의 길이(length in terms of virtually contiguously allocated resource blocks, LCRBs)에 대응하는 자원지시값(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6
)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7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8
여기서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09
는 내림 연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0
내의 숫자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1
는 가상의 연결된 자원블록그룹의 최대길이를 나타낸다.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2
는 전체자원블록그룹의 개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n에 해당한다. “DL”의 의미는 하향링크를 의미하지만 하향링크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연속 자원할당시 자원할당필드는 첫번째 클러스터의 자원블럭그룹의 시작점(Starting Resource Block of the first cluster)과 끝점(Ending Resource Block of the first cluster), 두번째 클러스터의 자원블럭그룹의 시작점(Starting Resource Block of the second cluster)과 끝점(Ending Resource Block of the second cluster)에 대응하는 자원지시자(RIV)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불연속 자원할당시 자원할당필드는 두 개의 불연속 클러스터들의 네 개의 오프셋값(four offset values for two noncontiguous clusters)에 대응하는 자원지시자(RIV)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불연속 자원할당시 자원할당필드는 두개의 클러스터들과 두개의 클러스터들 사이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자원블럭그룹들의 영역의 전체의 자원블럭그룹들의 오프셋과 그 전체의 길이, 두개의 클러스터들 사이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자원블럭그룹들의 영역의 다른 하나의 오프셋과 그 길이에 대응하는 자원지시자(RIV)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불연속 자원할당시 자원할당필드는 두개의 클러스터들과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자원블럭그룹들의 영역의 전체의 자원블럭그룹의 오프셋(y)과 이 전체의 길이(x), 두개의 클러스터들 사이의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영역의 시작점(w)과 끝점(z)에 대응하는 자원지시자(RIV)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클러스터들 사이의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영역의 시작점(w)과 끝점(z)은 전체 자원블럭그룹들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불연속 자원할당시 자원할당필드는 두개의 클러스터들과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자원블럭그룹들의 영역의 전체의 자원블럭그룹의 오프셋(y)과 이 전체의 길이(x), 두개의 클러스터들 사이의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영역의 시작점(w)과 끝점(z)에 대응하는 자원지시자(RIV)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클러스터들 사이의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영역의 시작점(w)과 끝점(z)은 첫번째 클러스터의 자원블럭그룹들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상 2개의 불연속 클러스터들의 자원할당방법의 자원지시자들에 대해 기재하였고 이들을 일반화한 k개의 불연속 클러스터들의 자원할당방법의 자원지시자에 대해 기재할 수 있다.
k개의 불연속적인 클러스터를 표현하는 RIV값의 구성은 전체영역을 나타내는 2개의 계수(오프셋, 길이)와 전체 영역에서 자원할당을 받지 않는 k2개의 불연속적인 영역으로 표현할 수 있다. k2개의 자원할당을 받지 않는 불연속 적인 영역은 k2개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RIV값으로 표현할 수 있고 k개의 클러스터에 대한 RIV값이 재귀적으로 값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귀적인 구성에 있어서 내부의 k2개의 자원할당을 받지 않은 영역은 전체영역을 나타내는 길이보다 2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RIV값이 지정되고 이에 따라 각 오프셋의 시작점과 길이의 범위가 결정된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불연속 자원구성과 이외에도 여러가지 다양한 불연속자원의 RIV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에서 기술된 방식과 다른 일반적인 방식으로 자원구성이 표현되고 즉, 계수들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3
(k개의 계수로 표현됨)로부터 자원할당이 표현될 때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일반적인 자원할당필드의 자원지시자(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4
)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5
위 식에서 x1과 x2,…,xk 는 각각 오프셋, 자원블럭그룹들의 길이, 특정 클러스터의 시작점 또는 끝점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며, n는 전체 자원블럭그룹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6
는 x1과 n의 함수로 x1=x1 fixed 로 값이 고정될 때 x2,…,xk 의 계수들이 각 계수들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 모든 조합의 수( x1=x1 fixed 이라는 조건하에서)이며, RIV2(x1,x2,n)는 x1과 x2, n의 함수로 x1=x1 fixed, x2=x2 fixed 로 값이 고정될 때 x3,…,xk 의 계수들이 각 계수들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 모든 조합의 수( x1=x1 fixed, x2=x2 fixed 이라는 조건하에서)이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표현하면 RIVi(x1,x2,...,xi,n)는 x1과 x2,…,xk, n의 함수로 x1=x1 fixed, x2=x2 fixed,…, xi=xi fixed 로 값이 고정될 때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7
의 계수들이 각 계수들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 모든 조합의 수(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8
,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19
,…,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20
이라는 조건하에서)를 의미한다. 여기서,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21
의 값이 0부터 시작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22
의 형태가 아닌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23
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상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에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였고 다음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자원할당필드의 여유의 영역에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도 7 및 도 8은 자원할당필드의 여유의 영역에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구분비트의 경우에서와 같이 나머지 영역(755)이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비트길이(750) 이외에 여유의 영역 또는 비트(760)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비트들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머지 영역(755)이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비트길이(750) 이외에 여유의 비트(746)로 주파수 호핑(FH: Frequency Hopping)을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 호핑 비트는 할당된 자원에 대해서 주파수 호핑을 할 것인지 말것인지를 결정하는 비트이다.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가 K, 예를 들어 6으로 한정하면 구분헤더 또는 구분패턴(740)을 10101010101의 11비트로 나타내면 14비트가 남는다. 나머지 영역(755)에 자원할당방식으로 타입 2로 표현할 때 자원할당을 100개의 자원블럭에 대해 표현하더라도
Figure PCTKR2011000958-appb-I000024
비트가 필요하므로 나머지 1비트(760)를 주파수 호핑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 나머지 1비트(760)는 주파수 호핑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용도, 예를 들어 오프셋 비트로 사용될 수 있다.
오프셋 비트는 자원할당된 자원블럭들 또는 자원블럭그룹들이 일정한 오프셋으로 시프트되어 자원할당되는 것을 표현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하단과 같이 10101010101의 11비트로 표시하여 자원할당방식이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 예를 들어 타입 2인 것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13비트로 도 8의 상단과 같이 3 내지 6의 자원블럭그룹들과 10 내지 13의 자원블럭그룹들로 구성된 두개의 클러스터들에 자원을 할당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주파수 호핑에 사용하는 비트(도 7의 760)를 오프셋 비트로 사용할 경우 도 8의 하단과 같이 위에서 설명한 두개의 클러스터들 모두 또는 둘중 하나가 일정한 범위, 예를 들어 1/2자원블럭그룹만큼 시프트하여 자원할당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오프셋값, 즉 시프트하는 범위는 하나의 자원블럭그룹 내인 것일 수 있으나 2개의 자원블럭그룹들과 같이 하나의 자원블럭그룹보다 클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주파수 호핑 비트가 자원할당필드의 일부를 차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주파수 호핑 비트는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위치에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자원할당과 독립적으로 주파수 호핑비트가 구성된 경우에도 앞의 경우와 같이 클러스터의 개수가 2개(또는 특정 K”개) 이상인 경우에 자원할당의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특정 개수 이상의 클러스터 자원할당 상황에서는 주파수 호핑비트를 할당하지 않고 불연속 클러스터 할당의 자원블록그룹크기(P) 내 또는 외의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주파수 호핑은 연속된 자원할당영역에 의한 자원할당에 대해서만 상대적인 이득을 가지고 불연속적인 자원할당영역에 대해서는 큰 성능 이득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연속된 자원할당영역에 의한 자원할당시에는 주파수 호핑 비트를 주파수 호핑에 사용하고 불연속적인 자원할당영역에 의한 자원할당시에는 오프셋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자원할당필드의 여유의 영역에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였고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자원할당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도 9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클러스터 개수를 결정한다(S910). 이때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를 K개, 예를 들어 6개로 제한할 수 있다. 클러스트의 개수가 K+1개 이상으로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클러스터의 개수가 K+1개 이상인 경우 K개로 자원을 할당한다.
다음으로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지시할지를 판단한다(S920). 독립적인 자원할당 방식이 전술할 바와 같이 클러스터의 범위를 가지는 자원할당 방식인 경우 S920 단계는 클러스터의 범위가 될 수 있고 타입 2인 경우 1의 값에 따라 S920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S920 단계의 판단결과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경우에 LTE 시스템에서 타입 0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한다(S930).
S920 단계의 판단결과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할 경우 일차적으로 P’값을 결정한다(S935). 위에서 가능한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영역은 LTE 규격에서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충분한 비트길이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P’값을 조절하고 표현가능한 클러스터의 개수를 한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한다(S940).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이 LTE 시스템에서 타입 2 자원할당방식인 경우 타입 2 자원할당방식, 즉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오프셋과 길이로 자원을 할당한다.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기 위해 구분헤더 또는 구분패턴을 추가한다(S950). 구분헤더는 도 6의 상단 또는 도 7의 상단과 같이 최대 클러스터의 개수가 K, 예를 들어 6으로 한정하면 구분헤더 또는 구분패턴을 10101010101의 11비트로 자원할당필드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헤더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시 자원할당필드에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비트길이 이외에 여유의 비트가 존재하는 경우 이 여유의 비트를 주파수 호핑에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960). 이 여유의 비트를 주파수 호핑에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클러스터의 개수가 1개인 경우, 즉 연속적인 자원할당일 수 있다. 이 여유의 비트를 주파수 호핑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예를 들어 클러스터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즉 불연속적인 자원할당일 수 있다.
S960 단계에서 판단결과 이 여유의 비트를 주파수 호핑에 사용하는 경우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비트길이 이외에 여유의 비트에 주파수 호핑 여부를 표현한다(S970).
한편, S960 단계에서 판단결과 이 여유의 비트를 주파수 호핑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독립적인 자원할당방식을 나타내는 비트길이 이외에 여유의 비트에 다른 용도를 표현한다(S980). 다른 용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셋일 수 있다. 이 경우 여유의 비트를 자원할당된 자원블럭들 또는 자원블럭그룹들이 일정한 오프셋으로 시프트되어 자원할당되는 것을 표현하는 오프셋 비트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S960단계 및 S950단계, S970단계, S980단계는 여유의 영역 또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행되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자원할당방법에 대해 기재하였고 다음은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 기재한다.
도 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자원할당장치(1000)과 자원할당수신장치(1040)을 포함한다.
자원할당장치(1000)는 스케줄러(1010)과 메시지 생성부(1020), 메시지 전송부(1030)를 포함한다.
스케줄러(1010)는 특정 단말에 자원을 할당한다. 메시지 생성부(1020)는 자원할당시 특정 단말에 다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원할당방식은, LTE 시스템의 타입 0와 같은 비트맵 형태의 자원할당방식 또는 LTE 시스템의 타입 1과 같은 주기적인 형태의 자원할당방식, LTE 시스템의 타입 2와 같은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표현하는 자원할당방식, 독립적으로 자원할당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자원할당방식은, 자원블럭 단위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자원블럭의 집합인 자원블럭그룹 단위로 자원할당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타입 0는 자원블럭그룹 단위로 자원할당하는 자원할당방식이고 LTE 시스템의 타입 2은 자원블럭 또는 자원블럭그룹 단윈로 자원할당하는 자원할당방식이다.
메시지 생성부(1020)가 자원할당시 특정 단말에 다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이나 자원할당필드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메시지 생성부(1020)는 메시지의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 또는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에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20)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영역을 포함하거나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은 자원할당필드의 특정한 일부 영역 또는 특정 패턴의 비트로 표현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헤더이며, 자원할당필드의 다른 영역에 자원할당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자원할당필드 중 다른 일부는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1030)는 메시지 생성부(1020)에 의해 생성된 다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자원할당수신장치(1040)에 무선으로(on air)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는 특정 DCI 포맷으로 특정한 자원할당방식의 타입의 자원할당정보를 제어정보에 포함하여 PDCCH로 자원할당수신장치(104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원할당수신장치(1040)는 메시지 수신부(1050)와 메시지 해석부(1060), 데이터 전송부(107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1050)는 무선으로 전송된 다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서 메시지 수신부(1050)는 메시지를 제어정보에 포함하여 제어채널, 예를 들어 물리하향제어채널(PDCCH)로 자원할당수신장치(104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해석부(1060)는 전술한 메시지의 형식을 기초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획득한다. 이 메시지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부(1070)는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메시지 해석부(1060)를 통해 획득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로 예를 들어 데이터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자원할당장치(1040)는 하향링크로 데이터를 수신할 때 메시지 해석부(1060)를 통해 획득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도면 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위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수신방법은 무선으로 전송된 다른 자원할당방식으로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와 메시지의 형식을 기초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획득하는 메시지 해석단계,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메시지 해석단계를 통해 획득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수신단계에서 제어채널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며, 데이터 전송단계에서 데이터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수신방법은 하향링크로 데이터를 수신할 때 메시지 해석단계를 통해 획득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 기재하였고 다음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물리계층에서 전술한 제어채널, 예를 들어 PDCCH의 구성에 대해 기재한다.
도 11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에게 보내려는 정보 페이로드 포맷(Information paylaod format)에 따라 PDCCH 페이로드를 구성한다. 정보 페이로드 포맷에 따라 PDCCH 페이로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정보 페이로드 포맷은 DCI 포맷일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각각의 PDCCH 페이로드에 에러 검출(error detection)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첨가 또는 부가한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가 마스킹된다.
단계 S1120에서, CRC가 부가된 제어정보를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생성한다.
단계 S1130에서, PDCCH 포맷에 할당된 CCE 집단 레벨에 따른 전송률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한다.
단계 S114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단계 S1150에서, 변조심벌들을 물리적인 자원요소에 맵핑(CCE to RE mapping)한다.
도 12는 하향링크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신호 부호화부(1290)내에 코드워드 생성부(1205), 스크램블링부(scrambling)(1210,..., 1219), 모듈레이션 맵퍼(modulation mapper)(1220,..., 1229), 레이어 맵퍼(layer mapper, 1230), 프리코딩부(precoding, 1240), RE맵퍼(resource element mapper)(1250,..., 1259), OFDM신호 생성부(1260, ..., 1269) 가 개별 모듈로 존재할 수 있고, 둘 이상이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동작할 수 있다.
CRC가 부가된 제어정보는 코드워드 생성부(1205), 스크램블링부(scrambling)(1210,..., 1219), 모듈레이션 맵퍼(modulation mapper)(1220,..., 1229), 레이어 맵퍼(layer mapper, 1230), 프리코딩부(precoding, 1240), RE맵퍼(resource element mapper)(1250,..., 1259), OFDM신호 생성부(1260, ..., 1269)에 의해 OFDM 신호로 생성되어 안테나를 통해 단말에 전송된다.
도 12의 OFDM 신호 생성 과정에서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인 PDCCH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프리코딩이 생략되어 프리코딩의 입출력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코드워드 생성 이후 다중의 경로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PDCCH 제어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TCC(Tailbiting convolutional coding)을 사용할 수 있으며 RM(rate matching) 관련된 동작이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물리계층에서 PDCCH의 구성에 대해 기재하였고 다음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물리계층에서 PDCCH 처리에 대해 기재한다.
도 13은 PDCCH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10에서, 단말(10)은 물리적인 자원요소를 CCE로 디맵핑(CCE to RE demapping)한다.
단계 S1320에서, 단말(10)은 자신이 어떤 CCE 집단 레벨로 PDCCH를 수신해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자신의 전송 모드에 따른 참조 DCI 포맷에 해당하는 페이로드가 가질 수 있는 CCE 집단 레벨에 대해서 복조(Demodulation)한다.
단계 S1330에서, 단말(10)은 복조된 데이터를 해당 페이로드와 CCE 집단 레벨에 따라 디레이트매칭(deratematching)을 수행한다.
단계 S134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코드 레이트에 따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고, CRC를 체크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10)은 자신의 PDCCH를 검출한 것이다. 만일, 에러가 발생하면, 단말(10)은 다른 CCE 집단 레벨이나, 다른 DCI 포맷에 대해서 계속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계 S1350에서, 자신의 PDCCH를 검출한 단말(10)은 디코딩된 데이터에 CRC를 제거하여, 단말(10)에 필요한 제어정보를 획득한다.
특히, DCI 포맷 0를 검출하여 이 DCI 포맷 0에 포함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해석한다.
이외의 DCI 포맷들을 검출하여 이 제어정보에 포함된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s)과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s) 정보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 지시지가 식별한 해당 요소 반송파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과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전력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디모듈레이션부(1420)는 수신한 신호를 디모듈레이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지국이 OFDM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OFDM 방식에 의해 디모듈레이션을 진행하며, 이외에도 기지국이 생성한 신호가 FDD 방식이냐, 혹은 TDD 방식이냐에 따라 해당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할 수 있다.
디모듈레이션된 신호는 디스크램블링부(1430)에서 디스크램블되어 소정 길이의 코드워드를 생성하며, 코드워드 디코딩부(1440)는 코드워드를 다시 소정의 제어정보로 복원한다. 이 기능은 신호 복호화부(1490)에서 한번에 진행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모듈에서 독립적으로 혹은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본 특허출원은 2010년 2월 11일 한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 10-2010-0013070 호에 대해 미국 특허법 119(a)조(35 U.S.C § 119(a))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아울러, 본 특허출원은 미국 이외에 국가에 대해서도 위와 동일한 동일한 이유로 우선권을 주장하면 그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Claims (22)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자원할당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영역을 포함하거나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방식은,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주기적인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표현하는 자원할당방식, 독립적으로 자원할당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방식은,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방식인 LTE의 자원할당 타입 0 또는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자원할당방식인 LTE의 자원할당 타입 2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방식은, 자원블럭 단위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자원블럭의 집합인 자원블럭그룹 단위로 자원할당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특정한 일부 영역 또는 특정 패턴의 비트로 표현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헤더이며,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다른 영역에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 중 다른 일부는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이외의 영역에 별도로 존재하는 주파수 호핑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호핑 영역은 주파수 호핑 여부를 표현하거나 주파수 호핑 여부를 표현하지 않을 때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10. 하나 이상의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
    자원할당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영역을 포함하거나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방식은,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주기적인 형태로 자원할당방식,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표현하는 자원할당방식, 독립적으로 자원할당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방식은, 비트맵 형태로 자원할당방식인 LTE의 자원할당 타입 0 또는 자원할당영역에 대한 길이와 오프셋으로 자원할당방식인 LTE의 자원할당 타입 2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방식은, 자원블럭 단위로 자원할당방식 또는 자원블럭의 집합인 자원블럭그룹 단위로 자원할당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특정한 일부 영역 또는 특정 패턴의 비트로 표현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헤더이며,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다른 영역에 자원할당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 중 다른 일부는 주파수 호핑 또는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이외의 영역에 별도로 존재하는 주파수 호핑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호핑 영역은 주파수 호핑 여부를 표현하거나 주파수 호핑 여부를 표현하지 않을 때 다른 용도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장치.
  19. 무선으로 전송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메시지의 형식을 기초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획득하는 메시지 해석부; 및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메시지 해석부를 통해 획득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수신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제어채널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데이터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 수신장치.
  21. 무선으로 전송된 하나의 자원할당필드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자원할당방식들 중 하나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을 표현하고 상기 자원할당필드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자원할당필드 이외의 영역에 표현된 상기 자원할당방식을 표현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메시지의 형식을 기초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획득하는 메시지 해석단계; 및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메시지 해석단계를 통해 획득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수신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단계에서 제어채널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에서 데이터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할당 수신방법.
PCT/KR2011/000958 2010-02-11 2011-0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WO2011099824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78,233 US20120307776A1 (en) 2010-02-11 2011-02-11 Base st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0 2010-02-11
KR1020100013070A KR20110093185A (ko) 2010-02-11 2010-0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824A2 true WO2011099824A2 (ko) 2011-08-18
WO2011099824A3 WO2011099824A3 (ko) 2012-01-05

Family

ID=4436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0958 WO2011099824A2 (ko) 2010-02-11 2011-0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307776A1 (ko)
KR (1) KR20110093185A (ko)
WO (1) WO201109982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4959A (zh) * 2015-05-07 2018-01-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为多个无线电链路分配资源的方法和网络节点
CN109039565A (zh) * 2012-03-16 2018-12-18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672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CN102893652B (zh) * 2010-06-21 2016-08-1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线通信装置、分配资源通知方法以及数据分配方法
US8705556B2 (en) * 2011-08-15 2014-04-22 Blackberry Limited Notifying a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US8923274B2 (en) 2011-08-15 2014-12-30 Blackberry Limited Notifying a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KR20130031604A (ko) * 2011-09-21 2013-03-29 주식회사 팬택 전송단,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자원 할당 정보 수신 방법
EP4011151A4 (en) * 2019-08-09 2023-04-26 Nokia Technologies Oy BIT REDUCTION IN RESOURCE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030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5549A (ko) * 2005-12-20 2007-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80000206A (ko) * 2006-06-2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9261B2 (en) * 2009-10-15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resource assignment for multiple system bandwidths
WO2011084014A2 (en) * 2010-01-11 2011-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low latency transmissions in the uplink of a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030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5549A (ko) * 2005-12-20 2007-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80000206A (ko) * 2006-06-2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9565A (zh) * 2012-03-16 2018-12-18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及装置
CN107534959A (zh) * 2015-05-07 2018-01-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为多个无线电链路分配资源的方法和网络节点
US11013017B2 (en) 2015-05-07 2021-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multiple radio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7776A1 (en) 2012-12-06
WO2011099824A3 (ko) 2012-01-05
KR20110093185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9824A2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WO201822603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81600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전력 측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EP2702819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and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8226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v2x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1136505A2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WO2010087685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13592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18128200A1 (ko) Noma 기반 시스템에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98401A1 (ko) 단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기지국, 및 기지국의 정보 전송 방법
WO201901767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복호 방법 및 장치
WO2017026700A1 (ko) 비직교 다중 접속 방식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053085A2 (ko) 복수의 dm-rs 시퀀스 생성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와 기지국 장치
WO201615973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21592A1 (ko) 다중 사용자 중첩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26871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12096488A2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제어정보의 처리방법 및 그 단말
WO2011013971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157968A2 (ko) 연계된 다중전송단 방식을 지원하는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0123299A2 (ko) 광대역 무선 접속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3022267A2 (ko) 다수의 데이터 채널들에 대응하는 제어채널의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908327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20362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WO2011087237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확장 영역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62648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경쟁 기반 비직교 다중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42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7823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42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