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71302A2 -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71302A2
WO2011071302A2 PCT/KR2010/008723 KR2010008723W WO2011071302A2 WO 2011071302 A2 WO2011071302 A2 WO 2011071302A2 KR 2010008723 W KR2010008723 W KR 2010008723W WO 2011071302 A2 WO2011071302 A2 WO 201107130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ff
knob
coupling
guide groove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87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71302A3 (ko
Inventor
송호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ublication of WO201107130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71302A2/ko
Publication of WO201107130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7130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liquid cosmetics.
  • the pump pressurized cosmetic container was used by pressurizing the pump with one hand and bringing the cosmetic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pump by bringing the hand or puff close to the outlet of the pump.
  • the pump-pressure cosmetic contain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essurized pump with one hand, and the other hand to hold the body or puff of the cosmetic container, or to take it near the outlet of the pump to bury the cosmetic flowing out of the pump.
  • Cosmetic container with a pressurized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 the puff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 Cosmetic container having a pressure knob is a hollow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upp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rotatably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the pressure is moved up and down It includes a knob and a puff seated on the lower part,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pressure knob, and the pressure knob is moved downwa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is pressed to discharge the contents. .
  • the outer wall of the dispers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abuts to press the dispersion por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rsion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uff seated on the puff coupling portion abuts to pressurize the dispersion portion.
  • the pressure knob is formed from the pressing plate, the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pressing plate and coupled to the puff coupling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edge direction of the pressing plate. It is preferred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n edge member having a lower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edge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uide groov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erted and mov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 the guide groove is preferably made of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 the puff coupl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uff support member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uff support member,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the insertion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 the subguide groove to be inserted is formed.
  • the sub-guide groove is a first sub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projection can be inserted
  • the second sub-channel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b guide groove It is preferably made of a sub guide groove.
  • the puff coupling portion is made of a puff support member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and an adapter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puff suppor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dapt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re mutually coupled.
  •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tents in the inner low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ump is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ispersion portion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dispersion portion.
  •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let, and the fixing piece disposed at the outlet, the dispersion piec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 inside the through hol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ec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ispersion piec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nnecting pieces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dispersion member having a slot is formed between the fixed piece and the dispersion piece.
  • the connecting piece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 the connecting piece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Cosmetic container with a pressurized knob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pump by using the pressurized portion on which the puff is seat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tably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without necessarily using both hands. It is intended to pressurize the pump so that the contents do not get on the hand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protrusion on the puff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to separate the puff and the outlet so that the contents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with a press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opera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r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ff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and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0a fixed piece
  • 140b dispersion piece
  • body portion 211 upper insertion hole
  • guide groove 214a first guide groove
  • first coupling portion 222a insertion protrusion
  • protrusion 231a coupling protrus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smetic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knob includes a body part 100 and a pressurizing part 200.
  • Body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ersion portion 110 is formed with an outlet 111 to discharge the contents on one side.
  • Dispersion unit 110 is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1 is dispersed, a flat cross section inside the body portion 100 to block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 the dispersion unit 110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but when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gap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dispersion unit 110 and the body part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body portion 100 may flow out.
  • the edge of the dispersion unit 110 is a dispers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ntent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ersion unit 110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00.
  • FIG. 4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it is preferable to bend the upper direction to form the outer wall 112.
  • the pressing unit 200 has a hollow main body 210 and a main body 210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a puff coupling portion 23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1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1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desirable.
  • An upper insertion hole 211 (see FIG. 3) into which the pressure knob 220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s shown in FIG. 2 and FIG. 3, which is an operation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 a lower insertion hole 213 (see FIG. 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insertion hole 211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230 can be inserted therein.
  • the pressure knob 220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211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10 so as to rotate and move. As shown in FIG. 3, the pressure knob 220 is coupled to the puff coupling part 230 on which the puff 250 is seated.
  • the puff coupling part 230 may include a puff support member 231 and a connection member 232.
  • FIG. 5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ff coupling part 230, the puff support member 231, the connection member 232, and the protrusion 233 may be formed.
  • the puff support member 231 is to which the puff 250 is seated,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into which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is inserted.
  • connection member 232 is coupled to the pressure knob 220 and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uff support member 231.
  • connection member 232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but the connection member 23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pressure knob 220 and the male and fema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232 Coupling protrusions 232a are formed to be coupled.
  • connection member 232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232 is formed when the connection member 232 and the pressure knob 220 is male and female, the cutting groove 232b is formed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32.
  • Protruding portion 233 is to contact the protruding portion 233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to press the dispersion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puff support member 231 shown in FIG. When the pressure knob 220 is moved down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knob 220 is formed to press the outer wall 112 of the dispersion unit 110 shown in FIG.
  • the protrusion 233 of the puff coupling unit 230 includes a puff catching jaw 233a. It may be formed.
  • the puff catching jaw 233a is coupled to the puff 250 and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233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in the inward direction.
  • the coupling protrusion 232a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pressure knob 220 coupling hole 222b to be described later are male and female coupling.
  •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pressure knob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screw fastening method, a fixing material such as an adhesive.
  • the pressure knob 220 coupled with the puff coupling part 23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221 and the pressure plate 221 to form the puff coupling part 230.
  • a first coupling part 222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222 a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221,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222 in the edge direction of the pressing plate 221 to separate the body part 210.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insertion hole 211.
  • the pressure plate 221 is a portion in which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pressure knob 220, in FIG. 2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ressure plate 221 having a substantially disc shape is employ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shape.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hexagonal shape.
  • the first coupling part 222 is coupled to the puff coupling part 230,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pressure plate 221.
  • the first coupling part 22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an be combined with the puff coupling part 230.
  • a coupling hole 222b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32a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body portion 210 to be described later when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0. Insertion protrusion 222a is engaged to the frame member 212 is formed.
  • the pair of coupling holes 222b is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art 22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u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22b at least.
  • Incision groove 222c is formed to be.
  • the first coupling part 222 having the cutout groove 222c is more easily deformed inwardly, so that the pressure knob 220 of the main body 210 is closed. Is inserted therein, the insertion protrusion 222a of the pressure knob 220 is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member (212).
  • the insertion protrusion 222a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member 212 prevents the pressure knob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insertion hole 211 whe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210,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pressing plate 221,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pressing plate 221 Spaced from 222.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3 is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insertion hole 211.
  • the engaging protrusion 223a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upper insertion hole 211 of the main body 210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223.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214 is formed between the lower insertion hole 213 and the locking projection 223a is inserted and moved.
  • the locking protrusion 223a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art 223 and the guide groove 214 formed on the main body 210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essure knob 220.
  • the guide groove 214 is preferably made of a first guide groove 214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groove 214b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214a. .
  •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shown in FIG. 1
  •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a left and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guide groove 214a guid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pressure knob 220
  • the second guide groove 214b guid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pressure knob 220.
  • the second guide grooves 214b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both ends of the first guide grooves 214a.
  • the second guide groove 214b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fined as a second guide groove 214b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14a, and a guid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14a.
  • the groove 214 is defined as the third guide groove 214c,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3a is positioned in the first guide groove 214a, the second guide groove 214b, and the third guide groove 214c.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knob 220 is as follows.
  • the locking protrusion 223a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23a is located in the first guide groove 214a, the locking protrusion 223a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14a, so that the pressing knob 220 can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
  • the locking protrusion 223a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23a is loca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214b and the third guide groove 214c, the locking protrusion 223a is in the second guide groove 214b and the third guide groove 214c. Since only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ressing knob 220 is not able to move up and down, it is possible only to rotate.
  • a pair of guide grooves 21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One or three or more guide grooves 214 may be formed.
  • an elastic member 240 is preferab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222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astic member 240 is to move the pressure knob 220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in the upper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il spring is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il spring, various elastic members such as leaf spring 240 may be used.
  • the lower member insertion hole 213 is formed at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Is preferably formed.
  • the edge member 212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40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3. .
  • the frame member 212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222a)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ressure knob 220 from the body portion 210.
  • the pressure knob 220 and the puff coupling unit 230 we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the pressure knob 220 and the puff coupling unit 230 using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screw coupling May be combined.
  •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is formed, one side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dispersing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pump 130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portion 120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111 of the dispersion 110.
  • Receiving portion 120 is a space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ump 130.
  • the pump 130 discharg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0 to the outlet 111 by us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and the outlet 111.
  • the contents stored inside 120 are discharged to the outlet 111.
  • the pump 130 discharges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ng part 110, and the discharged contents are buried in the puff 250. do.
  • the user When the contents are buried in the puff 250, the user separates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moves the pressing knob 2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rotates the pressing knob 220 to the third
  • the locking protrusion 223a of the pressure knob 220 is positioned in the guide groove 214c.
  • the pressure knob 220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10 is moved downward.
  • the pressing knob 220 may be moved upward and rotated to position the locking projection 223a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214b to fix the pressing knob 220.
  • a dispersion member 140 is disposed at the outlet 111 of the dispersion unit 110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11 and disperse the discharged contents.
  • Dispersion member 14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xed piece (140a), the dispersion piece (140b) and the connecting piece (140c).
  • the fixing piece 140a has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at a central side thereof and is disposed at the outlet 111, and is generally formed in an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 a dispersion piece 140b for dispersing the contents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 140a, and a plurality of pieces ar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iece 140a and the dispersion piece 140b.
  • the connecting pieces 140c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dispersion piece 140b.
  • a slot 140d is formed between the fixed piece 140a and the dispersion piece 140b to disperse the contents.
  • the connecting piece 140c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slot 140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 the slot 140d formed between the stationary piece 140a and the dispersion piece 140b forms a fine outflow path between the stationary piece 140a and the dispersion piece 140b, thereby distributing the contents transferred through the pump 130. It evenly distributes to the upper surface of 110.
  • connection piece 140c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dispersion piece 140b.
  • the dispersion piece 140b shown in FIG. 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outlet port (not shown) of the pump 130 is formed, and thus the outlet port of the pump 130 is shown. To close.
  • the connecting piece 140c connected to the dispersion piece 140b is deformed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and the generated restor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ispersion piece 140b to pressurize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ersion piece 140b to disperse the piece ( It is distributed to the periphery of 140b), and evenly distribu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on unit 110 through the slot (140d).
  • the dispersion member 140 When the dispersion member 140 is mov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discharged pressure, the dispersion member 140 functions to disperse the contents in various directions. When the dispersion member 140 moves downward, the dispersion member 140 opens and closes the outlet.
  • the dispersion piece 140b in a state of not being pressured by the contents contacts the outlet and closes the outlet.
  • the dispersion piece 140b moves finely upward and opens the outlet.
  • the dispersion member 140 perform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pump 130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pump 130, and evenly distributes the discharged contents.
  • an insertion protrusion 232b is formed at a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232 of the puff coupling part 23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is provided.
  • a sub guide groove 222d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232b is inserted may be formed below the 222.
  • the insertion protrusion 232b is inserted into the subguide groove 222d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pressure knob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functions to make it easier to separate.
  • the subguide groove 222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222, but the formation posi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32b, depending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32b.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 the sub guide groove 222d may include a first sub guide groove 222d1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2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232b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sub guide.
  • the second sub guide groove 222d2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222d1 and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pressure knob 220 and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232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ub guide groove 222d1.
  • the pressure knob 220 and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are stably coupled.
  • the puff coupling portion 230 includes a puff support member 231 to which the puff 250 is coupled, and an adapter 234 coupled to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ff support member 231.
  • the adapter 234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a connection member 232 coupled to the adapter 234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uff support member 231, and a protrusion 233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uff support member 231.
  • an adapter coupling member 234b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dapter 234, and a support member coupling protrusion 234e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232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dapter 234.
  • connection member 232 and the support member coupling protrusion 234e may be coupled using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male and female coupling and screw coupling,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232 and the support portion are using a screw coupling method.
  • the recombination protrusion 234e is coupled.
  • a cutting groove 234d is formed to more easily deform the adapter coupling member 234b.
  • the edge of the adapter support member 234a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member 212 of the body portion 210 so that the pressure knob 220 is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 Prevent departure from 210).
  • the puff coupling part 230 having such a structure is screwed to the puff support member 231 and the support member coupling protrusion 234e to which the puff 250 is coupled, so that the puff support member 231 is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coupling protrusion 234e. I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more easily.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공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이 관통되는 중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와, 하부에 퍼프가 안착되며,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를 포함하며, 가압노브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분산부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퍼프가 안착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퍼프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손에 내용물이 묻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퍼프와 유출구를 이격시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종래의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중 펌프가압식 화장품 용기는 한손으로 펌프를 가압하고, 펌프의 유출구에 손 또는 퍼프를 근접시켜 펌프의 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을 묻혀서 사용하였다.
이러한 펌프가압식 화장품 용기는 한손으로 펌프를 가압하고, 다른 한손은 화장품 용기의 몸체 또는 퍼프를 파지하거나, 펌프의 유출구에 근처로 가져가 펌프에서 유출되는 화장품을 묻혀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손을 이용하지 않고 펌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퍼프에 묻은 내용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퍼프를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출구에서 이격시켜 보다 용이하게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공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이 관통되는 중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와, 하부에 퍼프가 안착되며,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를 포함하며, 가압노브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분산부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노브가 하부로 이동되면, 분산부의 외벽과 퍼프결합부의 돌출부가 맞닿아 분산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노브가 하부로 이동되면, 분산부의 바닥면과 퍼프결합부에 안착된 퍼프 하면이 맞닿아 분산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노브는 가압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퍼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와 이격되어,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맞닿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가 형성되어, 테두리부재와 탄성부재는 서로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부에는 본체부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 사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제1가이드홈의 일측과 연통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퍼프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의 하부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가이드홈은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과, 제1서브가이드 홈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퍼프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어댑터와 제1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는 내측 하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와 분산부 사이에는 일측이 수용부에 연통되고 타측이 분산부의 유출구에 연통되는 펌프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구에는 중앙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출구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관통공의 내부에서, 고정편과 이격 배치되는 분산편과, 일측이 고정편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산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편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고정편과 분산편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는 분산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편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편은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퍼프가 안착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퍼프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손에 내용물이 묻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퍼프와 유출구를 이격시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가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분산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퍼프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퍼프결합부와 퍼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분산부
111 : 유출구 112 : 외벽
112 : 외벽 120 : 수용부
130 : 펌프 140 : 분산부재
140a : 고정편 140b : 분산편
140c : 연결편 140d : 슬롯
141 : 돌출부 200 : 가압부
210 : 본체부 211 : 상부삽입공
212 : 테두리부재 213 : 하부삽입공
214 : 가이드홈 214a : 제1가이드홈
214b : 제2가이드홈 214c : 제3가이드홈
220 : 가압노브 221 : 가압플레이트
222 : 제1결합부 222a : 삽입돌기
222b : 결합공 222c : 절개홈
222d : 서브가이드홈 223 : 제2결합부
223a : 걸림돌기 230 : 퍼프결합부
231 : 퍼프지지부재 232 : 연결부재
232a : 결합돌기 232b : 삽입돌기
233 : 돌출부 231a : 결합돌기
240 : 탄성부재 250 : 퍼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이하 '화장품 용기'라 함)는 몸체부(100)와 가압부(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는 일측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출구(111)가 형성된 분산부(110)가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부(110)는 몸체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출구(111)를 통해 토출되어 분산되는 것으로, 몸체부(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0) 내측의 평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산부(110)는 평편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평편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토출된 내용물이 분산부(110)의 가장자리와 몸체부(100) 사이에 형성된 갭(gap)을 통해 몸체부(100)의 하부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산부(110)의 가장자리는 분산부(110)의 상부로 토출된 내용물이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부(110)의 사시도인 도 4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절곡하여 외벽(1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200)의 분해사시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00)는 중공형상의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상부 방향에서 본체부(2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220)와, 본체부(210)의 하부 방향에서 본체부(210)에 삽입되고, 가압노브(220)과 결합되는 퍼프결합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210)의 상부에는 도 2 및 화장품 용기의 작동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노브(220)가 삽입되는 상부삽입공(211)(도 3 참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퍼프결합부(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삽입공(211)과 연통되는 하부삽입공(213)(도 2 참조)이 형성된다.
상부삽입공(211)에 삽입되는 가압노브(220)는 본체부(210)에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가압노브(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250)이 안착되는 퍼프결합부(230)와 상호결합된다.
가압노브(22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결합부(230)에 안착된 퍼프(250) 하면은 분산부(110)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분산부(110)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퍼프결합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지지부재(231)와 연결부재(2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퍼프결합부(230)의 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지지부재(231)와 연결부재(232) 및 돌출부(233)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퍼프지지부재(231)는 퍼프(250)가 안착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230)가 삽입되는 본체부(210)의 평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재(232)는 가압노브(220)와 결합되는 것으로 퍼프지지부재(231)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3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232)는 중공형 원통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32)의 외주면에는 가압노브(220)와 암수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32a)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232)의 외주면에는 연결부재(232)와 가압노브(220)가 암수결합될 때, 연결부재(232)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개홈(232b)이 형성된다.
돌출부(233)는 퍼프결합부(230)의 돌출부(233)가 맞닿게 되어 분산부(1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퍼프지지부재(23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형성되어 가압노브(22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분산부(110)의 외벽(112)을 가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프결합부(230)의 돌출부(23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퍼프결합부(230)와 퍼프(250)의 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걸림턱(233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퍼프걸림턱(233a)은 퍼프(250)과 결합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230)의 돌출부(233)에는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는 퍼프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2a)와 후술할 가압노브(220) 결합공(222b)이 암수결합되는 실시예만 도시되었으나, 퍼프결합부(230)와 가압노브(220)는 나사체결방식, 접착제 등과 같은 고정소재 등을 이용하여 상호결합될 수도 있다.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되는 가압노브(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221)와,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222)와,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2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222)와 이격되어, 본체부(210)의 상부삽입공(211)과 맞닿는 제2결합부(22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플레이트(221)는 사용자가 가압노브(220)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인 도 2에서는 대략 원판 형상의 가압플레이트(221)가 채용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222)는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되는 것으로,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결합부(222)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22)의 외주면에는 퍼프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2a)가 삽입되는 결합공(222b)이 관통형성되며, 본체부(210)에 삽입시 후술할 본체부(210)의 테두리부재(212)에 걸림결합되는 삽입돌기(222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공(222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22)의 일측 중앙에 한쌍이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최소한 결합공에(222b)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2a)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은 형성되어야 한다.
제1결합부(222)의 하단부에는 가압노브(220)가 본체부(210)에 삽입되어 삽입돌기(222a)와 테두리부재(212)가 맞닿는 경우, 제1결합부(222)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개홈(222c)이 형성된다.
삽입돌기(222a)와 테두리부재(212)가 맞닿는 경우, 절개홈(222c)이 형성된 제1결합부(222)는 내측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어 가압노브(220)는 본체부(210)의 내부에 삽입되고, 가압노브(220)의 삽입돌기(222a)는 테두리부재(212)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테두리부재(212)의 저면에 걸리는 삽입돌기(222a)는 가압노브(220)가 본체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결합부(223)는 본체부(210)에 삽입시 상부삽입공(211)에 맞닿는 것으로,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압플레이트(2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222)로부터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플레이트(221)를 가압하는 경우, 제2결합부(223)는 상부삽입공(211)에 맞닿아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르면 제2결합부(22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 방향으로 걸림돌기(223a)가 형성되고, 본체부(210)의 상부삽입공(211)과 하부삽입공(213) 사이에는 걸림돌기(223a)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2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22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3a)와 본체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4)은 가압노브(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홈(214)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14a)과, 제1가이드홈(214a)의 일측과 연통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1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로방향이란 도 1에 도시된 몸체부(100)의 상하 방향을 말하며, 가로방향이란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말한다.
이때, 제1가이드홈(214a)은 가압노브(220)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며, 제2가이드홈(214b)는 가압노브(220)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제2가이드홈(214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홈(214a)의 양단부와 연통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2가이드홈(214b)을 제1가이드홈(214a)의 상단부와 연통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14b)라 정의하고, 제1가이드홈(214a)의 하단부와 연통형성되는 가이드홈(214)을 제3가이드홈(214c)라 정의하여, 제1가이드홈(214a), 제2가이드홈(214b) 및 제3가이드홈(214c)에 걸림돌기(223a)가 위치된 경우, 가압노브(220)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걸림돌기(223a)가 제1가이드홈(214a) 내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돌기(223a)는 제1가이드홈(214a)에 삽입되므로, 가압노브(2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걸림돌기(223a)가 제2가이드홈(214b)과 제3가이드홈(214c) 내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돌기(223a)는 제2가이드홈(214b)와 제3가이드홈(214c)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만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압노브(22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단지 회전운동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홈(2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내측면에 한쌍이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셋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222)와 제2결합부(223)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4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4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가압노브(2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탄성부재(24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222)와 제2결합부(223) 사이에 탄성부재(240)가 삽입되는 경우, 본체부(210)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삽입공(213)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2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두리부재(212)는 본체부(2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부(222)와 제2결합부(223)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2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테두리부재(2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222a)와 걸림결합이 되어 본체부(210)에서 가압노브(2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암수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었으나, 나사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내측 하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수용부(120)와 분산부(110) 사이에는 일측이 수용부(120)에 연통되고 타측이 분산부(110)의 유출구(111)에 연통되는 펌프(1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12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펌프(130)와 연통형성된다.
펌프(130)는 수용부(120)의 압력과 유출구(111) 측의 압력차를 이용해 수용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유출구(111)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용물(12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유출구(111)로 토출시킨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노브(220)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퍼프(250)와 분산부(110)가 맞닿게 되며, 분산부(1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프(130)를 가압시킨다. 이때, 가압노브(220)와 본체부(210)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240)는 가압노브(22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압노브(220)를 가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 펌프(130)는 수용부(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분산부(110)의 상면으로 토출시키며, 토출된 내용물은 퍼프(250)에 묻게 된다.
퍼프(250)에 내용물이 묻게 되면, 사용자는 가압부(200)와 몸체부(100)를 분리시키고, 가압노브(22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가압노브(220)를 회전시켜 제3가이드홈(214c)에 가압노브(220)의 걸림돌기(223a)가 위치시킨다.
제3가이드홈(214c)에 걸림돌기(223a)가 위치하게 되면 가압노브(220)는 본체부(21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 가압노브(2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회전시켜, 걸림돌기(223a)를 제2가이드홈(214b) 내로 위치시켜 가압노브(22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부(110)의 유출구(1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11)를 개폐시키고, 토출되는 내용물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14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부재(140)는 고정편(140a)과, 분산편(140b) 및 연결편(140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140a)은 중앙측에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유출구(111)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환형(環形)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40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내용물을 분산시키는 분산편(140b)이 고정편(140a)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편(140a)와 분산편(140b) 사이에는 복수 개의 연결편(140c)이 상호 이격형성되어 분산편(14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편(140a)와 분산편(140b) 사이에는 슬롯(140d)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분산시킨다.
이러한 연결편(140c)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공에 대응되는 슬롯(140d)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고정편(140a)과 분산편(140b) 사이에 형성된 슬롯(140d)은 고정편(140a)과 분산편(140b) 사이에서 미세한 유출로를 형성하므로 펌프(130)를 통해 이송된 내용물을 분산부(110)의 상부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편(140c)은 분산편(140b)에 탄성력 가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펌프(13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분산편(140b)은 펌프(130)의 유출구(도면 미도시)가 형성된 상부면에 밀착되어 펌프(130)의 유출구를 폐쇄시킨다.
펌프(130)에서 내용물이 상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경우, 분산편(140b)은 토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분산편(140b)와 연결된 연결편(140c)은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복원력은 분산편(140b)에 전달되어, 분산편(140b)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가압시켜 분산편(140b)의 주변으로 분산시키고, 슬롯(140d)을 통해 분산부(110)의 상부면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이러한 분산부재(140)는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소정 정도 상향이동될 때,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며, 압력에 따라 다시 하향이동되면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에 의해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의 분산편(140b)은 유출구와 맞닿아 유출구를 폐쇄시키며, 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면, 상부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며 유출구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분산부재(140)는 펌프(130)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펌프(130)의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기능과, 토출되는 내용물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0)의 분해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면 퍼프결합부(230)의 연결부재(232) 측면에는 삽입돌기(232b)가 형성되고, 제1결합부(222)의 하부에는 삽입돌기(232b)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222d)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돌기(232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22)의 내측에 형성된 서브가이드홈(222d)에 삽입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230)와 가압노브(220)의 결합과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서브가이드홈(222d)은 제1결합부(222)의 내측면에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형성위치는 삽입돌기(23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삽입돌기(232b)의 형성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로 변경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서브가이드홈(222d)은 삽입돌기(23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222)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222d1)과, 제1서브가이드홈(222d1)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222d2)로 이루어진다.
삽입돌기(232b)가 제1서브가이드홈(222d1)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삽입돌기(232b)가 제2서브가이드홈(222d2)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결합부(230)는 퍼프(250)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231)와, 퍼프지지부재(231)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234)로 이루어지고, 어댑터(234)와 제1결합부(22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퍼프지지부재(231)의 상면에는 어댑터(234)와 결합되는 연결부재(232)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돌출부(233)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어댑터(234)의 상면에는 어댑터결합부재(234b)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연결부재(232)와 상호 결합되는 지지부재결합돌기(234e)가 형성된다.
연결부재(232)와 지지부재결합돌기(234e)는 암수결합, 나사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부재(232)와 지지부재결합돌기(234e)가 결합되었다.
어댑터결합부재(234b)에는 전술한 가압노브(220)의 결합공(222b)에 결합되는 어댑터결합돌기(234c)가 형성되며, 결합공(222b)에 어댑터결합돌기(234c)가 삽입되는 경우, 어댑터결합부재(234b)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절개홈(234d)이 형성된다.
지지부재어댑터(234)와 가압노브(220)가 결합되면, 어댑터지지부재(234a)의 가장자리는 본체부(210)의 테두리부재(212)의 저면과 맞닿아 가압노브(220)가 본체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퍼프결합부(230)는 퍼프(250)가 결합된 퍼프지지부재(231)와 지지부재결합돌기(234e)가 나사결합되므로, 퍼프지지부재(231)를 지지부재결합돌기(234e)에서 보다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유출구가 형성된 분산부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토출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압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가압부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공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이 관통되는 중공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
    하부에 퍼프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노브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분산부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노브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분산부의 외벽과 상기 퍼프결합부의 돌출부가 맞닿아 상기 분산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노브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분산부의 바닥면과 상기 퍼프결합부에 안착된 퍼프 하면이 맞닿아 상기 분산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노브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퍼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맞닿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하부삽입공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일측과 연통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상기 퍼프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가이드홈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과, 상기 제1서브가이드홈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상기 퍼프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제1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내측 하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와 분산부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수용부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분산부의 유출구에 연통되는 펌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는
    중앙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에 배치되는 고정편;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편과 이격 배치되는 분산편; 및
    일측이 고정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산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편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고정편과 분산편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는 분산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CT/KR2010/008723 2009-12-08 2010-12-07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107130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47A KR101150776B1 (ko) 2009-12-08 2009-12-08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009-0121447 2009-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302A2 true WO2011071302A2 (ko) 2011-06-16
WO2011071302A3 WO2011071302A3 (ko) 2011-11-10

Family

ID=4414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8723 WO2011071302A2 (ko) 2009-12-08 2010-12-07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0776B1 (ko)
WO (1) WO20110713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568B1 (ko) * 2013-02-25 2014-11-03 (주)연우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101364103B1 (ko) * 2013-04-01 2014-02-21 이넬화장품 주식회사 화장액 용기 어셈블리
KR101390993B1 (ko) * 2013-12-03 2014-05-0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KR101563083B1 (ko) * 2014-02-03 2015-10-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10419846B (zh) * 2014-02-03 2022-05-10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化妆品容器
KR101981125B1 (ko) * 2018-01-08 2019-05-22 펌텍코리아(주) 규제 각도 내에서 누름버튼의 가압이 제한되는 화장품용기
KR200491820Y1 (ko) * 2019-03-26 2020-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버튼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108A (en) * 1988-06-27 1990-05-29 L'oreal Applicator venting arrangement
KR20070019290A (ko) * 2005-08-12 2007-02-15 변영광 화장용브러시
KR100705690B1 (ko) * 2006-06-02 2007-04-09 변영광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용기
KR20070092087A (ko) * 2006-03-07 2007-09-12 변영광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108A (en) * 1988-06-27 1990-05-29 L'oreal Applicator venting arrangement
KR20070019290A (ko) * 2005-08-12 2007-02-15 변영광 화장용브러시
KR20070092087A (ko) * 2006-03-07 2007-09-12 변영광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0705690B1 (ko) * 2006-06-02 2007-04-09 변영광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776B1 (ko) 2012-06-08
KR20110064731A (ko) 2011-06-15
WO2011071302A3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1302A2 (ko)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1071301A2 (ko)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7196024A2 (ko) 청소기 거치대
WO2017086600A1 (en) Headrest folding device
WO2017196005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7191959A1 (ko) 충전장치
WO2017196028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6068352A1 (ko) 에어브러시
WO2020096327A1 (en) Safety outlet
WO2020189881A1 (ko) 평평한 하부면을 갖는 비데 본체
WO2022231343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11149261A2 (ko) 치간 청소구
WO2019054660A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WO2020105932A1 (ko) 줄자용 벨트홀더
WO2019135529A1 (ko) 규제 각도 내에서 누름버튼의 가압이 제한되는 화장품용기
WO2013015616A2 (ko)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WO2018124559A1 (en) Battery case and remot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WO2019107691A1 (ko) 화장품용기
WO2023018048A1 (ko)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16144029A1 (en) Headrest moving device
WO2018160047A1 (ko) 청소기의 지지기구 및 청소기 유닛
WO2019031665A1 (ko) 화장품 용기
WO2020017932A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WO2023090753A1 (ko) 다회 사용으로 인한 교차 생물 오염을 방지하고,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중 오링을 포함하는 의료용 흡인기 플랫 모듈
WO2012064118A2 (ko) 전기 라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361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361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