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25130A2 -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25130A2
WO2011025130A2 PCT/KR2010/003788 KR2010003788W WO2011025130A2 WO 2011025130 A2 WO2011025130 A2 WO 2011025130A2 KR 2010003788 W KR2010003788 W KR 2010003788W WO 2011025130 A2 WO2011025130 A2 WO 201102513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imary
dust
water
centrifuge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7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25130A3 (ko
Inventor
김민하
박정수
박흥준
주성태
양동헌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812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71430B1/en
Publication of WO201102513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30A2/ko
Publication of WO201102513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30A3/ko
Priority to US13/401,954 priority patent/US87282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2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over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scrubber of a vacuum cleaner for collecting dust using water.
  • Examples of the prior art for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a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101061 (Prior Ar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7-116096 (Prior Art 2), Korean Patent No. 704336 (Prior Art 3), And a dust collector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07 / 0067945 (Prior Art 4).
  • the prior art 1 forms a primary cyclone chamber and separates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and includes a dust collecting tank having a filter therein, and a cone-shaped secondary cyclone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primary cyclone to separate air and fine dust.
  • a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 the prior art 2 discloses a dust collecting device composed of a cone-shaped cyclone separator and a secondary separator composed of a wet filter.
  • the prior art 3 discloses a dust collector consisting of a primary cyclone, a secondary aqua filter and a tertiary cyclone.
  • the prior art 4 discloses a dust collector composed of a primary dust collector as a wet filter filled with water, and a dry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 cone-shaped cyclon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which improves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which increases the dust collecting region while minimizing the overflow of water due to the flow of water or the overflow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when the dust collector is inverted or tilted.
  • the primary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e the dust by rot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rimary inlet, an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separator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es separating dust,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es removes dust from the introduced air through water filled therein.
  •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ary centrifuge is configured to rotat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filled therein to separate the dust in the air.
  • the primary separation unit the primary centrifuge tube to form a primary centrifuge zone for separating the dust by rot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rimary inle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and the primary
  • a primary dust container for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centrifugal zone by the filled water, and a primary dust for discharging air separated from the primary centrifugal zone to the outside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and the primary dust container
  • an exhaust pipe unit wherei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centrifugation zone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 the primary exhaust por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the secondary flow path forming the communication flow path of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ary separation unit, the secondary separation of the secondary flow path It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ary inlet pipe unit provided for each of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to communicate the secondary flow path with each of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through the secondary inlet formed on the surface located in the portion. .
  •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peller ribs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ary flow path to rotate around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so that the air is rota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one impeller.
  •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has a length that is submerg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secondary separator.
  •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the secondary exhaust port;
  • a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art having a water overflow prevention rib coupled to and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to form a secondary exhaust flow path between the lower inlet of the secondary exhaust port and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more.
  •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ortion, the water overflow prevention ribs are formed at least two concentric circles, or a vertical cross section may be configured in a trapezoidal shape.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may further include a tubular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or protruding into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on area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Can be configu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ifugal assembly which is integrally formed such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separato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entrifug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forming a primary centrifuge area and a secondary centrifuge area, respectively, and the primary separation part.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centrifuge are integrally formed by forming a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and a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for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entrifugal region and the second centrifugal region by water. Being dust box unit; can be separated into.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to form a primary centrifuge zone for separating the dust by rot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rimary inlet;
  • a primary dust container forming a lower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for collecting dust separated in the primary centrifugation region by filled water;
  • a primary exhaust pipe unit for discharging external inflow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in the primary centrifugation zone to the outside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and the primary dust container.
  •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centrifugal separation zone may be achieved by a wet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 a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dust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centrifugal separato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is rotated to directly hit the water filled therein to remove the du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e the dust by rot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rimary inlet; And a secondary separator having a secondary centrifuge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separator, where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centrifug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entrifug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wet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is removed by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water while being rotated, discharged at about the height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side.
  • It may further include an impeller having a plurality of impeller ribs to be discharged to rotate to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entrifuge to rotate the air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the impeller is water filled inside the secondary separator At least a portion may be installed in the lock.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in contact with water at least two times,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time of the foreign matter with water,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effect of the foreign matter.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centrifugation zone is rotated in direct contact with water, thereby improving fine dust separation efficiency and improving dust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entire dust collector.
  •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centrifugal separ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area inside the dust collector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wet dust collecting area that performs the wet dust coll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lower water, thereby minimizing the overflow of water and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overflow of water even when the dust collector is rotated and the dust collector is inclined by applying the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cut along the line II-II of FIG.
  •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grill 211 ′ of the modified embodiment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B ′ showing a water overflow prevention state by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600 when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of FIG. 1 is turned upside dow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s of FIG. 2.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s of FIG. 2.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primary separation units A ′, A ′′, and A ′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of FIG. 2.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dust coll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dust collector 1 cut along the line II-II of FIG.
  • the wet dust collecting apparatus 1 includes a centrifugal assembly 200 and a dust container unit 300.
  •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refer to FIG. 2) is formed in the handle unit 100, the primary inlet 201, the exhaust chamber 27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unit 300 as the secondary flow path 240. And a partition wall 250, a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a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and a flow path blocking partitioning the lower part into a primary centrifugal separation zone 200c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ion zones 210c.
  • the member 7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chamber 270, a plurality of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and a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600.
  • the handle unit 100 may be formed in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to move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or to mount or fix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to the dust container unit 300 to be fixed or detached. It is configured to be. When the handle unit 10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for fixing the combination of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and the dust container unit 300, the handle unit 101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by the holder 150.
  • the primary inlet 20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a brush assembly (not shown in the drawing) of a vacuum cleaner into the primary centrifugal separation zone 200c. do.
  • the exhaust chamber 270 may include the secondary exhaust ports 252 at one side of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in which the secondary exhaust ports 252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are formed.
  • the secondary exhaust vents 252 are wrapped so that they are all located inside.
  • the separation wall 250 has a primary exhaust port 202 communicating with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inlets 231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at a bottom thereof. Is formed.
  • the dividing wall 25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so that the region of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is disposed in the upper secondary flow path 240 and the lower primary centrifugal separation region 200c. )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ation zones (210c).
  • the secondary flow path 240 formed by the dividing wall 250 receives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ary inlets 231 and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Into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ation zone (210c).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is formed of a tube defining a primary centrifuge area (200c) for separating large and heavy dust from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rimary inlet 201.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a vertical cross section rectangular, trapezoidal or inverted trapezoidal.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of th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250 so that the upper portion and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communicate.
  • the bottom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is formed with a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ortion 202a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ntire bottom.
  •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is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including a guide 203, the grill 211 and the sealing member 220.
  • the guide 203 is formed to protrude spirally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o induce rotation of the introduced air.
  • the grill 211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211a are formed to filter foreign matters included in the exhaust discharged through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do.
  • the sealing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of th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ary flow path 240 through the primary exhaust port 202 in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It is coupled to the centrifuge assembly 200 by being coupled to the bottom.
  • the sealing member 220 is a water distribution hole 501 of the water distribution channel 500. ) As a result,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part 500 and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area 300c are separated by the sealing member 220.
  • the flow path blocking member 700 is installed inside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to prevent water (W)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cleaner (not shown) through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do.
  •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are each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econdary exhaust ports 252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chamber 270 are formed at one upper side of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are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so as to separate fine dust not separated from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do.
  •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of the structur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250 to include the secondary inlets 231.
  •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coupled in this way defines the secondary centrifuge region 210c.
  •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and are integrally formed.
  •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is formed in an upper cylindrical bottom open tube.
  • An impeller 235 having an impeller rib 235a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in the lower end region of the secondary inflow pipe unit 230.
  •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25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ary flow path 240 through the secondary inlets 231 within the respective secondary centrifugation zones 210c. Combined, it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 the impeller 235 is at least partially lock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W filled in the secondary centrifugation region 210c.
  • Impeller 235 and the height of the wat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hat is, the impeller 235 may be disposed to be completely immersed in the water (W), may be arranged to be partially submerged in the water, or may be arranged so that the bottom of the impeller 235 is in contact with or slight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W). have. However, whil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impeller is rotated in direct contact with water, the contact area with water can be increased to effectively separate fine dust, while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suction motor (not shown) is transmitted through the impeller 235. At least a portion of the impeller is preferably submerged o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o as to be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primary centrifugation zone 200c.
  • the impeller 235 is to be discharged whil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is mov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and rotated near the center, thereby the secondary centrifugal As the air of the separation region 210c and the water W of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on region 310c contact each other, dust is separated and air and water are rotated.
  •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art 600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overflow prevention ribs 601a and 601a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while forming a concentric circle.
  •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600 of the configura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and the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
  •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art 600 of th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 230 to form a secondary exhaust flow path 602 and is located below the secondary exhaust port 252. I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 the dust container unit 300 (refer to FIG. 2) is a water for communic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the plurality of secondary dust container 310a,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10a with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cover 400 to form a distribution channel portion (500).
  •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forms a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00c that collects dust by rotating water (W).
  •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vertical cross section, a rectangle, a trapezoid, or an inverted trapezoid.
  • the secondary dust bins 310a form a plurality of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s 310c that collect fine dust by rotating water (W).
  • the secondary dust bins 310a forming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10c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primary dust bin 300a at positions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respectively. Is formed.
  •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00c and the plurality of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s 310c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500 so as to simultaneously fill the water (W). Since the structure of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500 is no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unit 300 to form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is inserted into the primary dust bin 300a.
  • the sealing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water distribution hole 501 to isolate the water distribution passage 500 and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00c).
  • the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202a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and rotates inside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00c formed by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 the water W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the grill 211.
  • the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202a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area 300c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 the secondary inlet pipe units 230 are also inserted into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s 210a facing each other.
  •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and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form a primary separation unit A.
  •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and the secondary dust bins 310a each form a secondary centrifuge B '.
  • Each of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s B 'of the structure separates fine dust not separated from the primary separator A.
  • the handle unit 100 maintains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and the dust container unit 300 in a coupled state.
  • the fixing portion 104 and the locking portion 105 is coupled to each other to fix the centrifugal assembly 200 and the dust container unit 300 is not separated.
  • the exhaust chamber 270 is connected to a flow path in which the exhaust chamber 270 communicates with a fan motor unit (not shown) of the vacuum cleaner (not shown).
  • the primary inlet 201 is coupled to the inlet passage (not shown) connected to the brush assembly (not shown).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imary centrifuge area 200c rotates around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 the water W filled in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00c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also rotate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ir. Accordingly,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in the first centrifugal separation area 200c, and foreign matters separated by rotating water W are collected in the primary wet dust collecting area 300c.
  • the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202a blocks the water W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from entering the grill 211.
  • Water overflow in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is minimized by the stepped portion 2 and the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ortion 202a.
  • the air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air in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and the rotating water (W) is passed through the grill 211 and the primary exhaust pipe unit 210. It flows into the secondary flow path 24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flow path 240 is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ary inlets 231 formed in the separation wall 250 and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ary inlets 231. It flows into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10c. At this time,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10c is discharg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by the impeller 235. Accordingly, the water W filled in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10c rotates. The water W rotating in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10c collects dust by its viscosity or polarity and at the same time, exerts centrifugal force on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into the water (W). Improve dust separation and collection efficiency.
  • Air fine dust is separated by the water (W) filled in the secondary wet dust collecting region (310c) is moved upward to form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and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ortion 600
  •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chamber 270 through the secondary exhaust passage 602 and the secondary exhaust port 252.
  •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600 is rotated from the water (W) to ride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ary centrifuge tube (210a) by the rotation or the water (W) to rotate in the secondary centrifugation zone (210c)
  • the generated droplets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ary exhaust passage 60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wo-dimensional core separation unit B ′ illustrating a water overflow prevention state by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600 when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of FIG. 1 is turned upside down.
  •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B ') in a steady state
  •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or (B') in an inverted state.
  • the water W is prevented by the water overflow prevention ribs 601a and 601a 'of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600. It can be seen that outflow is prevented.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s 600 of FIG. 2.
  • the second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arts 600 have double water overflow prevention ribs 601a and 601a ', as shown in FIG. 5 (a), and a single water overflow prevention rib as shown in FIG. 5 (b). 601b),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c) of FIG. 5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or the like.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primary separation units A ′, A ′′, and A ′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of FIG. 2.
  •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of Figure 2 is a primary centrifuge (A ') formed of a trapezoidal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of the narrow vertical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ure 6 (a), As shown in (b) of FIG. 6, the primary centrifugal separator A ′′ formed with a trapezoidal primary dust container 300a ′ having a narrow vertical cross section, and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It may be composed of a primary trapping unit (A '") formed of a narrow trapezoidal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and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
  •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 of Figure 6 (a) is to increas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dust.
  • the degree of mixing of water and dust is increased in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 of FIG. 6B.
  •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dust increases in the primary separation unit A ′ ′′ of FIG. 6C.
  • the mixing of water and dust is also high.
  •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disposed above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for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the rotating water W. It is comprised small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300a.
  •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is a wet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ior art configured to separate foreign matter by centrifugal force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 the amount of (W) also improves the disadvantage that is increased.
  • the wet dust collecting device 1 improves the dust separation efficiency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by impro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ir (large centrifugal force) by reducing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the primary dust container ( By increasing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300a)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water, the probability that dus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wet dust collector 1.
  •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and the secondary dust container (310a).
  • Water (W) is prevented from flowing from the first wet dust collecting region (300c) to the first centrifugal separation region (200c) by the stepped portion 2 of a predetermined width.
  • a primary water overflow prevention part 202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imary centrifuge tube 200a so that the water W rotating inside the primary dust container 300a is formed in the primary centrifuge area 200c. It further prevents the inflow.
  • the wet dust collector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perates as a dry dust collector when the water W is not fill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leaning devices, such as household cleaners, businesses, industrial cleaner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습식집진장치는,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분리부 및, 상기 1차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복수 개의 2차 원심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2차 원심분리부는 내부에 채워진 물을 통해 상기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먼지를 포집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지통 내부에 물을 채워 물에 의해 먼지를 포집함으로써 먼지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집진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습식집진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1061호(종래기술 1), 일본공개특허 평07-116096호(종래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4336호(종래기술 3), 미국 공개특허 US2007/0067945호(종래기술 4)에 개시된 집진장치를 들 수 있다.
종래기술 1은, 1차 사이클론 챔버를 형성하며 물과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내부에 필터가 구비된 집진탱크와, 1차 사이클론 상부 측면에 구비되어 공기와 미세먼지를 분리하는 콘 형상의 2차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종래기술 2는, 1차 분리부는 콘 형상의 사이클론 분리장치이며, 2차 분리부는 습식 필터(aqua filter)로 구성된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 3은 1차 사이클론과 2차 습식필터(aqua filter) 및 3차 사이클론으로 구성된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 4는 물이 채워진 습식 필터로서의 1차 집진부와, 콘 형상의 사이클론이 구비된 건식 집진부로 구성된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물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으나, 1차와 2차 중 어느 하나는 건식 집진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며, 2차 집진부는 하나의 사이클론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이물질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습식집진장치의 경우 원심분리관의 내경이 작아지면 물의 회전 속도가 빨라져 이물질의 분리 효율은 증가하나 넘치는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이물질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먼지수집영역(습식집진영역)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질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 집진영역을 크게 하면서 물의 유동에 의한 물의 넘침이나 집진장치의 뒤집힘 또는 기울어짐 시의 물의 넘침은 최소화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는,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분리부 및, 상기 1차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복수 개의 2차 원심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2차 원심분리부는 내부에 채워진 물을 통해 상기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원심 분리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내부에 채워진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어 상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분리부는, 상기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는 1차 원심분리영역을 형성하는 1차 원심분리관,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분리된 먼지를 채워진 물에 의해 포집하는 1차 먼지통 및,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1차 먼지통의 외부로 배출하는 1차 배기관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1차 먼지 통의 수평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차 배기관유닛과 연통하는 1차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1차 분리부와 상기 2차 분리부의 연통 유로를 형성하는 2차 유로, 상기 2차 유로의 상기 2차 분리부에 위치되는 면에 형성된 2차 유입구를 통해 상기 2차 유로를 상기 2차 원심분리부 각각과 연통시키도록 상기 2차 원심분리부마다 설치되는 2차 유입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 유입관유닛은, 상기 2차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2차 유입관유닛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출하여 상기 공기가 상기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다수의 임펠러리브를 구비한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유입관유닛은 하단부는 상기 2차 분리부의 내부에 채워진 물에 잠기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원심분리부는, 2차 배기구; 상기 2차 배기구의 하부에서 상기 2차 유입관유닛과의 사이에 2차 배기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2차 원심분리관의 외주연에 결합 고정되는 물넘침방지리브를 구비한 2차 물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는, 상기 물넘침방지리브가 동심원을 이루며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거나,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은, 저면에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1차 먼지통의 상면에서 1차 습식집진영역 내부로 돌출된 관 형의 1차 물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2차 원심분리부들의 상부가 각각 1차 원심분리영역과 2차 원심분리영역들을 이루며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원심분리어셈블리;와, 상기 1차 분리부와 상기 2차 원심분리부의 하부가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과 상기 2차 원심분리영역들에서 분리된 먼지를 물에 의해 포집하는 1차습식집진영역과 2차 습식집진영역들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먼지통유닛;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는 1차 원심분리영역을 형성하는 1차 원심분리관;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분리된 먼지를 채워진 물에 의해 포집하는 하부의 1차 습식집진영역을 형성하는 1차 먼지통; 및,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먼지가 분리된 외부 유입 공기를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1차 먼지통의 외부로 배출하는 1차 배기관유닛;을 구비한 1차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1차 먼지 통의 수평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원심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2차 원심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원심분리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부에 채워진 물에 직접 부딪히며 회전되어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분리부; 및, 상기 1차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2차 원심분리부를 구비한 2차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원심분리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2차 원심분리부 중앙 하부로 유입되어, 내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 정도에서 배출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물과 직접 접촉됨으로써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원심분리부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출하여 상기 공기가 상기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다수의 임펠러리브를 구비한 임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2차 분리부의 내부에 채워진 물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습식집진장치는, 습식집진장치를 통과하는 공기가 적어도 2번 이상 물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의 물에 대한 접촉 면적 및 시간을 증가시켜 이물질의 분리 및 포집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2차 원심분리영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물과 직접 접촉되며 회전됨으로써, 미세먼지 분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집진장치의 먼지분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집진장치 내부의 이물질 분리 영역 중 상부의 원심분리 영역의 수평 단면적을 하부의 물의 회전에 의해 습식 집진을 수행하는 습식 집진 영역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게 하여 물의 넘침은 최소화하면서, 이물질의 분리 효율은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물넘침방지부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집진장치 내부에서의 물의 회전 및 집진장치의 기울어짐 시에도 물의 넘침을 최소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습식집진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습식집진장치(1)의 단면도,
도 3은 변형된 실시 예의 그릴(21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습식집진장치(1)가 뒤집힌 경우 2차 물넘침 방지부(600)에 의한 물넘침 방지 상태를 나타내는 2차 원심 분리부(B')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2차 물넘침 방지부들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1차 분리부(A)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1차 분리부(A', A", A'")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습식집진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습식집진장치(1)의 단면도이다.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원심분리어셈블리(200)와 먼지통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도 2 참조)는 핸들유닛(100), 1차 유입구(201), 배기챔버(270), 상기 먼지통유닛(300) 내부의 상부를 2차 유로(240)로 형성하고 하부를 1차 원심분리영역(200c)과 다수의 2차 원심분리영역(210c)으로 구획하는 분리벽(250), 1차 원심분리관(200a), 1차 배기관유닛(210), 유로차단부재(700), 배기챔버(270)와 연통하는 다수의 2차 원심분리관(210a), 다수의 2차 유입관유닛(230) 및 2차 물넘침방지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유닛(100)은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에 형성되어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를 이동하거나,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를 상기 먼지통유닛(300)에 장착하여 고정하거나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들유닛(100)은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와 상기 먼지통유닛(300)의 결합을 고정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손잡이부(101)가 홀더(15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1차 유입구(201)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도면에 미 도시) 등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200c)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의 일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배기챔버(270)는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들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상기 2차 배기구(252)들이 형성된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의 일 측면에서 상기 2차 배기구(252)들이 모두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2차 배기구(252)들을 감싼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배기챔버(270)는 상기 2차 배기구(252)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를 한데 모아 진공청소기(미 도시)의 팬모터 유닛(미 도시)으로 배출한다.
상기 분리벽(250)은 저면에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과 연통하는 1차 배기구(202)와 상기 다수의 2차 유입관유닛(230)과 연통하는 다수의 2차 유입구(231)들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벽(250)은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의 상부 내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의 영역을 상부의 2차 유로(240)와 하부의 1차 원심분리영역(200c) 및 다수의 2차 원심분리영역(210c)으로 분리한다. 상기 분리벽(25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2차 유로(240)는 상기 1차 배기구(20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2차 유입구(231) 및 2차 유입관유닛(230)을 통해 상기 다수의 2차 원심분리영역(210c)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은 상기 1차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로부터 크고 무거운 먼지를 분리하는 1차 원심분리영역(200c)을 한정하는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은 수직 단면이 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역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은 상기 1차 배기구(202)와 상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분리벽(250)의 저부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저면에는 저면 전체에서 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1차 물넘침방지부(202a)가 형성된다.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은 가이드(203), 그릴(211) 및 밀봉부재(220)를 포함하는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03)는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의 상부 외주 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회전을 유도한다.
상기 그릴(211)은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다수의 배기홀(211a)이 형성된 구조로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밀봉부재(220)는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구성의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은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내부에서 상기 1차 배기구(202)를 통해 상기 2차 유로(240)와 연통하도록 상기 분리벽(250)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에 결합된다.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이 결합된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가 상기 먼지통유닛(30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220)가 상기 물분배유로부(500)의 물분배공(501)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상기 물분배유로부(500)와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300c)이 상기 밀봉부재(220)에 의해 격리된다.
상기 유로차단부재(700)는 물(W)이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을 통해 진공청소기(미 도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2차 원심분리관(210a)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의 상부 일 측면에는 상기 배기챔버(270)와 연통하는 2차 배기구(25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2차 원심분리관(210a)들은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들은 각각 상기 2차 유입구(231)를 포함하도록 상기 분리벽(250)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은 상기 2차 원심분리영역(210c)을 한정한다.
상기 다수의 2차 원심분리관(210a)들은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은 상 하부는 개방된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의 하단부 영역에는 다수의 통공과 일정 각도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임펠러리브(235a)를 가지는 임펠러(235)가 형성된다.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은 상기 각각의 2차 원심분리영역(210c) 내부에서 상기 2차 유입구(231)을 통해 2차 유로(240)와 연통하도록 상기 분리벽(250)에 저면에 결합되며, 원통형 2차 원심분리관(210a)의 중앙 부위에 배치된다. 중앙 부위에 2차 유입관 유닛(230)이 배치되면 임폘러(235)는 상기 2차 원심분리영역(210c)의 내부에 채워진 물(W)의 중앙 부위에 적어도 일부가 잠겨진다. 임펠러(235)와 물의 높이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임펠러(235)가 물(W)에 완전히 잠기도록 배치할 수도 있고, 물에 일부가 잠기도록 배치하거나 임펠러(235)의 하단이 물(W)의 표면과 접촉되거나 약간 떨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임펠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물과의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으면서, 흡입모터(미도시)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임펠러(235)를 통해 1차 원심분리영역(200c)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임펠러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거나 물의 표면 정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235)는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의 중앙 하부로 이동되어 중심 부근에서 회전하면서 배출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2차 원심분리영역(210c)의 공기와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의 물(W)이 접촉되면서 먼지를 분리하고 공기와 물은 회전된다.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는 동심원을 형성하면서 하 방향으로 원관을 이루며 연장되는 다수의 물넘침방지리브(601a, 601a')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는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과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2차 물넘침방지부(600)는 2차 배기유로(602)을 형성하도록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의 외주연에 삽입된 후 상기 2차 배기구(252)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의 내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먼지통유닛(300)(도 2 참조)은 1차 먼지통(300a), 다수의 2차 먼지통(310a), 상기 1차 먼지통(300a)과 상기 2차 먼지통(310a)들의 저면을 서로 연통시키는 물분배유로부(500)를 형성하는 하부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먼지통(300a)은 회전하는 물(W)에 의해 먼지를 포집하는 1차 습식집진영역(300c)을 형성한다. 상기 1차 먼지통(300a)은 수직 단면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먼지통(310a)들은 회전하는 물(W)에 의해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다수의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들을 형성한다.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을 형성하는 상기 2차 먼지통(310a)들은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의 저면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먼지통(300a)의 측면을 따라 병렬로 형성된다.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300c)과 상기 다수의 2차 습식집진영역(310c)들은 물(W)을 동시에 채울 수 있도록 저면이 물분배유로부(500)를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분배유로부(500)의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는 상기 먼지통유닛(3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습식집진장치(1)를 형성한다.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가 상기 먼지통유닛(300) 상부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은 상기 1차 먼지통(300a)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220)가 상기 물분배공(501)과 결합하여 물분배유로부(500)와 1차 습식집진영역(300c)을 격리시킨다.
상기 1차 물넘침방지부(202a)는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저면으로부터 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1차 먼지통(300a)이 형성하는 1차 습식집진영역(300c)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W)이 그릴(211)로 넘쳐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1차 습식집진영역(300c)에 채워진 물(W)이 2차 유로(240) 또는 2차 원심분리부(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1차 물넘침방지부(202a)는 1차 먼지통(300a) 상면으로부터 1차 습식집진영역(300c)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가 상기 먼지통유닛(300)에 결합되는 때에 상기 2차 유입관유닛(230)들 또한 각각에 대향하는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들에 삽입된다.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가 상기 먼지통유닛(300)에 결합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상기 1 차 원심분리관(200a)과 상기 1차 먼지통(300a)은 1차 분리부(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과 상기 2차 먼지통(310a)들 각각은 2차 원심분리부(B')를 형성한다. 상기 구조의 상기 2차 원심분리부(B') 각각은 상기 1차 분리부(A)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를 분리한다. 이러한 상기 2차 원심분리부(B')들 전체가 1차 분리부(A)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분리부(B)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가 상기 먼지통유닛(300)에 결합된 후 상기 핸들유닛(100)을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와 상기 먼지통유닛(300)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104)와 걸림부(105)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원심분리어셈블리(200)와 상기 먼지통유닛(30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진공청소기(미 도시)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배기챔버(270)가 진공청소기(미 도시)의 팬모터유닛(미 도시)과 연통하는 유로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1차 유입구(201)는 브러시조립체(미 도시) 등과 연결되는 유입유로(미 도시)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진공청소기(미 도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청소기가 구동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1차 유입구(201)를 통해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200c)으로 유입된다.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200c)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공기가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공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1차 먼지통(300a)의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300c)에 채워진 물(W) 또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200c)에서는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들이 분리되며,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300c)에서는 회전하는 물(W)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들이 포집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300c)에서 채워진 물(W)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1차 먼지통(300a)의 내벽을 타고 오르는 물(W)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단턱부(2)와 상기 1차 물넘침방지부(202a)가 1차 먼지통(300a)의 물(W)이 그릴(211)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단턱부(2)와 상기 1차 물넘침방지부(202a)에 의해 상기 습식집진장치(1)에서의 물넘침이 최소가 된다.
상기 1차 분리부(A)에서 공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과 회전하는 물(W)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그릴(211) 및 상기 1차 배기관유닛(210)을 경유하여 상기 2차 유로(240)로 유입된다.
상기 2차 유로(24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벽(250)에 형성된 다수의 2차 유입구(231) 및 상기 2차 유입구(231)와 연통된 2차 원심분리관(210a)을 통해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임펠러(235)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배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에 채워진 물(W)이 회전한다.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에서 회전하는 물(W)은 자체의 점성 또는 극성에 의해 먼지를 포집함과 동시에 물(W)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 원심력을 가하여 미세 먼지의 분리 및 포집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2차 습식집진영역(310c)에 채워진 물(W)에 의해 미세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2차 원심분리관(210a)과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가 형성하는 2차 배기유로(602)와 상기 2차 배기구(252)를 통해 상기 배기챔버(27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는 회전에 의해 2차 원심분리관(210a)의 내벽을 타고 오르는 물(W) 또는 상기 2차 원심분리영역(210c)에서 회전하는 물(W)로부터 발생하는 액적이 2차 배기유로(60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는 습식집진장치(1)가 뒤집어지는 경우에도 내부의 물(W)이 상기 2차 배기유로(602) 및 2차 배기구(25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1의 습식집진장치(1)가 뒤집힌 경우 2차 물넘침방지부(600)에 의한 물넘침 방지 상태를 나타내는 2차원심분리부(B')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a)는 정상 상태의 2차 원심분리부(B')의 단면도이고, (b)는 뒤집힌 상태의 2차 원심분리부(B')의 단면도이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집진장치(1)가 뒤집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의 물넘침방지리브(601a. 601a')에 의해 물(W)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2차 물넘침방지부(600)들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600)들은 도 5의 (a)와 같이, 2중의 물넘침방지리브(601a, 601a')를 가지는 것, 도 5의 (b)와 같이 단일 물넘침방지리브(601b)를 가지는 것, 도 5의 (c)와 같이 수직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 등으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1차 분리부(A)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1차 분리부(A', A", A'")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면이다
도 2의 1차 분리부(A)는 도 6의 (a)와 같이 수직 단면이 하부가 좁은 사다리꼴 형의 1차 원심분리관(200a')으로 형성되는 1차 원심분리부(A'), 도 6의 (b)와 같이 수직 단면이 하부가 좁은 사다리꼴 형의 1차 먼지통(300a')으로 형성되는 1차 원심분리부(A"), 도 6의 (c)와 같이 수직 단면이 하부가 좁은 사다리꼴 형의 1차 원심분리관(200a') 및 1차 먼지통(300a')으로 형성되는 1차 분리부(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의 (a)의 1차 분리부(A')는 먼지의 분리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b)의 1차 분리부(A")는 물과 먼지의 혼합도가 높아진다. 도 6의 (c)의 1차 분리부(A'")는 먼지의 분리효율이 상승하고, 물과 먼지의 혼합도 또한 높아진다.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회전하는 물(W)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1차 먼지통(300a)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1차 먼지통(300a)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상술한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종래기술의 습식집진장치가 원심분리관의 내경이 커지면 이물질의 분리 효율은 증가하나 넘치는 물(W)의 양 또한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개선한다.
즉,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수평 단면적은 작게 하여 공기의 회전력을 향상(원심력을 크게)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한 먼지분리효율을 향상시키고, 1차 먼지통(300a)의 수평 단면적은 크게 하여, 물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먼지가 물과 접촉할 수 있는 확률은 높여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습식집진장치(1)의 전체적인 분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1차 먼지통(300a)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게 하여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과 2차 먼지통(310a)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일정 폭의 단턱부(2)에 의해 1차 습식집진영역(300c)으로부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200c)으로 물(W)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1차 원심분리관(200a)의 저면에서 1차 물넘침방지부(202a)가 형성되어 1차 먼지통(300a)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W)이 1차 원심분리영역(200c)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상기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상기 습식집진장치(1)는 물(W)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건식집진장치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가정용, 업소용, 산업용 청소기 등의 청소용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분리부; 및,
상기 1차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복수 개의 2차 원심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2차 원심분리부는 내부에 채워진 물을 통해 상기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원심분리부들에 유입되는 공기는, 내부에 채워진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어 상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 집진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리부는,
상기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는 1차 원심분리영역을 형성하는 1차 원심분리관;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분리된 먼지를 채워진 물에 의해 포집하는 1차 먼지통; 및,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1차 먼지통의 외부로 배출하는 1차 배기관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1차 먼지 통의 수평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배기관유닛과 연통하는 1차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1차 분리부와 상기 2차 원심분리부들의 연통 유로를 형성하는 2차 유로;
상기 2차 유로를 상기 2차 원심분리부들 각각과 연통시키도록 상기 2차 원심분리부마다 설치된 2차 유입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입관유닛은,
상기 2차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다수의 임펠러리브를 구비한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입관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2차 원심분리부 내부에 채워진 물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원심분리부는,
2차 배기구 및, 상기 2차 원심분리관의 외주연에 결합 고정되는 물넘침방지리브를 구비한 2차 물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물넘침방지부는,
상기 물넘침방지리브가 동심원을 이루며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방지리브는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은,
저면에 상기 1차 습식집진영역으로 돌출되는 관 형의 1차 물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통의 상면에서 1차 습식집진영역 내부로 돌출된 1차 물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2차 원심분리부들의 상부가 각각 1차 원심분리영역과 2차 원심분리영역들을 이루며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원심분리어셈블리; 및,
상기 1차 분리부와 상기 2차 원심분리부의 하부가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과 상기 2차 원심분리영역들에서 분리된 먼지를 물에 의해 포집하는 1차습식집진영역과 2차 습식집진영역들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먼지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는 1차 원심분리영역을 형성하는 1차 원심분리관;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분리된 먼지를 채워진 물에 의해 포집하는 하부의 1차 습식집진영역을 형성하는 1차 먼지통; 및,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에서 먼지가 분리된 외부 유입 공기를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1차 먼지통의 외부로 배출하는 1차 배기관유닛;을 구비한 1차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원심분리영역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1차 먼지 통의 수평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원심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2차 원심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원심분리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부에 채워진 물에 직접 부딪히며 회전되어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먼지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1차 분리부; 및,
상기 1차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2차 원심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원심분리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2차 원심분리부 중앙 하부로 유입되어, 내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 정도에서 배출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물과 직접 접촉됨으로써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원심분리부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출하여 상기 공기가 상기 물에 직접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다수의 임펠러리브를 구비한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2차 원심 분리부의 내부에 채워진 물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리부는, 상기 1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되는 상부 영역의 지름 보다 하부 영역의 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습식 집진장치.
PCT/KR2010/003788 2009-08-26 2010-06-11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1025130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812145.0A EP2471430B1 (en) 2009-08-26 2010-06-11 Wet-type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US13/401,954 US8728222B2 (en) 2009-08-26 2012-02-22 Wet typ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415A KR20110021552A (ko) 2009-08-26 2009-08-26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KR10-2009-0079415 2009-08-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401,954 Continuation US8728222B2 (en) 2009-08-26 2012-02-22 Wet typ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130A2 true WO2011025130A2 (ko) 2011-03-03
WO2011025130A3 WO2011025130A3 (ko) 2011-04-21

Family

ID=4362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788 WO2011025130A2 (ko) 2009-08-26 2010-06-11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28222B2 (ko)
EP (1) EP2471430B1 (ko)
KR (1) KR20110021552A (ko)
WO (1) WO20110251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7374B (zh) * 2012-08-02 2017-03-29 达利通香港有限公司 真空吸尘器和湿式滤尘器
US9604343B2 (en) 2014-09-19 2017-03-28 Daniel P Oksanen Hydro-filtration unit with sanding heads
US9883782B2 (en) 2014-10-16 2018-02-06 Intelliclean Solutions, Llc Liquid filtration vacuum
US9782049B2 (en) 2014-10-16 2017-10-10 Intelliclean Solutions, Llc Liquid filtration vacuum
US20180140149A1 (en) * 2015-04-13 2018-05-24 Koninklijke Philips N.V. Bagless vacuum cleaner
DE102017208969A1 (de) * 2017-05-29 2018-11-29 BSH Hausgeräte GmbH Anordnung zum Verriegeln einer Staubabscheideeinheit
KR102212071B1 (ko) * 2018-08-20 2021-02-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수술중 자가 골가루 채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96A (ja) 1993-10-21 1995-05-09 Akai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20060101061A (ko) 2005-03-19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US20070067945A1 (en) 2005-09-23 2007-03-2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two stage filtration
KR100704336B1 (ko) 2005-07-19 2007-04-10 전치문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768058E (pt) * 1995-10-13 2000-10-31 T P A Impex Spa Maquina melhorada para a limpeza dom+estica
US7370389B2 (en) * 2004-11-24 2008-05-13 Samson Tsen Water filter vacuum cleaner
JP2007111397A (ja) * 2005-10-24 2007-05-10 Izumi Products Co 湿式電気掃除機
KR100800655B1 (ko) * 2006-07-04 2008-02-01 김종기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US7779505B2 (en) * 2007-03-09 2010-08-24 Bissell Homecare, Inc. Wet/dry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96A (ja) 1993-10-21 1995-05-09 Akai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20060101061A (ko) 2005-03-19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704336B1 (ko) 2005-07-19 2007-04-10 전치문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20070067945A1 (en) 2005-09-23 2007-03-2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two stage filt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47143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52A (ko) 2011-03-04
EP2471430A4 (en) 2013-05-22
US8728222B2 (en) 2014-05-20
US20120145009A1 (en) 2012-06-14
WO2011025130A3 (ko) 2011-04-21
EP2471430B1 (en) 2015-04-01
EP2471430A2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25130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609904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6117892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0147320A2 (ko)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630952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WO2020138929A1 (en) Dust container and cleaner including
KR100694624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12015086A1 (ko) 원심 필터
WO2011065638A1 (ko) 제진유닛을 구비한 집진장치
WO201611789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7150856A1 (ko) 공기청정기
WO2011010786A1 (ko) 제진 기능을 가진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WO2010126222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WO201611458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50108623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WO2011055862A1 (ko) 진공청소기
WO2019107677A1 (ko) 정전분무 싸이클론 공기청정기
WO2019013378A1 (ko) 진공 청소기
WO2011025137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집진장치
WO2019231158A1 (ko) 청소기
WO2010085050A2 (en)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0242074A1 (ko) 습식 집진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습식 집진 장치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20045809A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121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1214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