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19207A2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19207A2
WO2011019207A2 PCT/KR2010/005271 KR2010005271W WO2011019207A2 WO 2011019207 A2 WO2011019207 A2 WO 2011019207A2 KR 2010005271 W KR2010005271 W KR 2010005271W WO 2011019207 A2 WO2011019207 A2 WO 201101920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ying
section
temperature
ai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52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19207A3 (ko
Inventor
장동규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77,58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51792A1/en
Priority to EP10808356.9A priority patent/EP2466002B1/en
Priority to AU2010283087A priority patent/AU2010283087B2/en
Priority to CN201080026186.8A priority patent/CN102713047B/zh
Publication of WO201101920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19207A2/ko
Publication of WO201101920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1920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Definitio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ergy-saving dryer by reducing the amount of cooling water used to remove moisture in the air.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yer for drying the laundry by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condensation duct to remove the moisture in the circulating air, the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ondensation duct from the drum It provides a dry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duct.
  • control unit preferably increases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upply a large amount of cooling water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and to supply a small amount of cooling water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low.
  • the amount of coolant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olant valve 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olant supplied per unit time by using a flow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coolant. .
  • drying may be referred to as a drying administration as part of the course.
  • drying may be referred to as one course.
  • the drying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oth such a drying course and a drying stroke.
  • a time point at which the heat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t air') is supplied is referred to as a start point of drying, and a time point at which supply of hot air or unheat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d air') is terminated. It is called the end point of.
  • the supply of air may be stopped before the end of drying. Therefore, the time point at which air supply is finally terminated may be referred to as the end time of drying.
  •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coolant valve for a preset time t1 after the hot air is supplied.
  • the section for turning off the coolant valve is preferably performed at the beginning of drying.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not to remove moisture in the air circulated by turning off the coolant valve for a predetermined time t1 when hot air starts to be supplied in the drying course. This is because, when drying is started, it is more important to raise the temperature by heating the components that perform drying rather than drying. This is because drying is more effective at high temperature than at low temperatur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ving rate to change as the section is chang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that are continuous until the hot air supply is terminated after the preset time t1.
  • the plurality of sections may be divided into a dry initial stage, a dry concentration stage, and a late dry stage.
  •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actual operation rate of the cooling water valve in the section (concentration section) where the moisture content is highest after hot air supply is higher than the actual operation rate in other section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so as to increase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from other sections in the section having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in the air while supplying hot air to dry the laundry.
  • a predetermined time t2 may elapse and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started.
  • a predetermined time t3 may elapse and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end.
  • the predetermined time t3 may be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drum.
  •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indirectly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air heat-exchanged in the drum after supplying the hot air and the temperature of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before heating after the circulat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is the preset temperature ( ⁇ T1). ),
  •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terminated.
  • the preset temperature ⁇ T1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drum.
  • the dryer may include a tub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ub to sense an ambient temperature of a space in which drying is performed, and a duct temperature provided at the condensation duct or a drying duct to sense a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from a drying space. It may include a sensor.
  • the tub may be omitted in the dryer to perform only drying.
  • the front or rear of the drum is supported by a supporter. That is, the drum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er. Therefore, the front and rear of the drum is blocked by the non-rotating supporter.
  • the tub temperat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er of the front or rear of the drum.
  • the tub temperature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 dry space temperature sensor or a wet air temperature sensor
  • the duct temperature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 dry air temperature senso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ense a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s during drying and determine an end point of a section for supplying heated air to the drum using the sensed temperatures.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n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by using the sensed temperatures. In contras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time poin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t3 elapses after the start of drying as an end time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determined using both temperature and time.
  •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is preferably varia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 the above object is a drying start section for driving the drying heater and starting the drying stroke by turning off the cooling water valve;
  • a control method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ying end section for driving the cooling water valve at a first practical rate after the concentrated section.
  • the first running rat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dry grass section and the drying end section, but preferably lower than the second running rate.
  • the drying start section to start the drying by maintaining the OFF state of the cooling water valve and supply the heating air;
  • a drying candle section for driving the cooling water valve at a predetermined actual rate after the drying start section;
  • a drying late section for driving the cooling water valve at a predetermined actual operation rate to proceed with drying and supplying heating air;
  • the cooling water valve is driven at a higher operating rate tha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rates, so that drying is controlled to include a concentrated section for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It can be achieved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dryer.
  • the material of the laundry to be dried or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laundry may vary. Therefore, for effective drying in consideration of these variables, it is possible to simply not determine the drying concentration section on a time basis.
  • the start point of the dry concentration section and the end point of the dry concentration section based o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sensed by the two temperature sensors described abov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start and end time points of the drying concentration section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ed in the dry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sensed in the duc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by supplying a lot of cooling water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irculated air is high and by supplying the cooling water at a relatively low actual operation rate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drying.
  • the drying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and the amount of cooling water used is also significantly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determine the drying concentration section where the drying is concentrated. Thus, efficient drying may be performed in each section in all sections until the drying starts and end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yer with improved energy saving and user convenience.
  •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dryer according to FIG.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bined-use laundry dryer or combined-use washing machine in one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both condensation dryers using cooling water.
  • the blowing fan 51 is further provided for the circulation of the air.
  • the blowing fan 51 may be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M), it may be provided to rotate using a separate motor.
  • the tub 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store washing water. Therefore, the drum 3 is provided in the tub 2 to rotate, and washing or drying of the laundry may be performed through this rotation.
  •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including the temperature sensors (2a, 4a).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emperature sensors to sense a temperature and control a drying operation by using the sensed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sensor 2a is preferably provided to sense the temperature after the air supplied into the drum 3 is heat-exchanged with the laundry.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air before entering the condensation duct (4).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near the inlet 4 'of the condensation duct 4.
  • the temperature sensor 2a may be referred to as a tub temperature sensor or a wet air temperature sensor.
  •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tub. Therefor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air heat exchanged in the drum after hot air supply is indirectly sensed.
  •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during washing and the ambient temperature during drying.
  • the temperature sensor 4a may be provided in the condensation duct 4.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in the drying duct (5).
  • the temperature sensor 4a may be referred to as a duct temperature sensor 4a because it may be provided to sense a temperature of air circulated into the duct.
  • the duct temperature sensor 4a is preferably provided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air after passing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6.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air before passing through the drying heater (53).
  • the condensation duct 4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before passing through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6 and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 51.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4a may be referred to as a dry air temperature sensor.
  • the temperature sensor 2a installed inside the tub 2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cooling water does not contact, such as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tub 2,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cooling water when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drying.
  •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and the duct temperature sensor 4a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sensed wet air and dry air increases as the drying proceeds. This is becau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aundry is removed as the drying proceeds, while the circulation air is heated through the drying heater 53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The degree of temperature rise due to such heated circulating air will vary, but the temperature inside the dryer will rise. However, as the drying proceeds,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temperature rising in certain parts of the dryer and the temperature rising in other parts. Therefore, the drying operation may be controlled using the difference, and for example, the drying operation may be controlled using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and the duct temperature sensor 4a.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ying operation by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s 2a and 4a, and more specifically, may control the actual operation rate of the cooling water valv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ying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to perform effective dry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method of condens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by first supplying the cooling water into the condensation duct through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Therefore, a large amount of water is used not only for washing but also for drying.
  • the initial drying it is generally started to heat the air at room temperature. Of course, with the heating of the air will start to hea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laundry at room temperature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aundry.
  • heating of the condensation duct 4, the drying duct 5, the drum 3, and optionally the tub 2 i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oling water is wasted.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air is reduced by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is very small, and the cooling water is unnecessarily wasted.
  • the drying start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drying heater 53 is continuously driven.
  • the drying heater 53 is turned on to generate heat when drying starts.
  • OFF and ON may be repeatedly controll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laundry or the like due to overheating of the drying heater 53 or overheating of the drying air.
  • the ON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 Such a s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ry start section.
  •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rying heater 53 is turned off for the first time may be preset.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heater 53 or the temperature around it is 100 ° C., the drying heater 53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ff. Therefore, the section until the drying heater 53 is turned off for the first time can be referred to as a drying start section, in which the cooling water valve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in the OFF state.
  • the cooling water generally uses cold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generally lower than room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generally lower than room temperature.
  • the cooling water valve is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same pattern until the drying is completed. That is, it controlled so that cooling water may be supplied with the same actual actuation rate. This increases the drying time and increases the amount of cooling water used.
  • the drying herbaceous zone is a section in which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laundry is evaporated. In this section, it can be said that the section starts to heat up to the inside of the laundry and the water inside the laundry. Therefore,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not evaporated in the drying herb. This is also because laundry is agglomerated in a wet state between the drying apparatus and the area where the laundry and the heating air contact is smal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is area by the driving of the drum, but there will be a limit.
  • the concentrated section proceeds rapidly.
  • the interior of the dryer is evenly heated, and since the surface of the laundry is heated to some extent as well as the inside, moisture is rapidly evaporated.
  • the agglomeration of the laundry is alleviated, and the area where the laundry and the heating air contact each other becomes very large.
  • This s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tion in which the water that has not evaporated inside the laundry evaporates.
  • the actuation rate of the coolant valve is driven at a reference actuation rate (for example, 8 seconds ON / 10 seconds OFF) and discharged through the drum 3 or the tub 2 during the drying stroke.
  • a reference actuation rate for example, 8 seconds ON / 10 seconds OFF
  • the cooling rate of the cooling water valve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initial and the late drying, but is preferably set lower than the maximum rate.
  • the problem is how to determine and determine the moisture content that changes.
  • the problem is how to determine and determine how much the drying has proceeded. Such determination and determination may be made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controller through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and the duct temperature sensor 4a.
  • the rate of increase in temperature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ll vary. That 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duct temperature sensor 4a and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will vary as drying proceeds.
  • This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air circulated, and can also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drying progress.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rt point or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ed section where the water evaporates rapidly, and the end point of the drying may also be determined.
  • drying start s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rying start section, for example, may be performed for 5 minutes (S200).
  • the drying start section may be a section from when the drying heater 53 is turned on for the first time to turned off. This section is omitted in Figure 2 because it is a relatively short section compared to the other sections.
  • the drying start section is performed after the drying start section, in which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condense and remove moisture in the circulating air.
  •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duct temperature sensor 4a at a moment in the drying apparatus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ub temperature sensor 2a.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sensed immediately after cooling with coolant may be low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tub.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may be determined as zero.
  • the drying apparatus may be referred to as a section for heating the whole for drying. Since the evaporation of moisture occurs in such a dry grass section, 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water valve at the first rate of operation (S300).
  • This s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concentrated section, and since moisture evaporates rapidly, the moisture content is very high. Therefore, it is highly desirable to concentrate the cooling water in this section to intensively remove moisture in the circulating air.
  • the start time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preset. That is, by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time t2 has elapsed after the start of drying,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controlled to start.
  • the preset time t2 may be 60 minutes.
  • the t2 may be determined uniformly regardless of the amount of laundry to be dried.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neglected because the heat capacity of duct configurations, drums, tubs, etc. is very large compared to laundry or moisture as described above. However, it may be possible to preset t2 longer when there is more laundry than when the amount of laundry is small.
  •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determined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 evaporation of moisture occurs rapidly. This is because all of the components are heated to some extent. Thus, the deviation in temperature generated due to the cooling water supply can be ignored. Then, due to latent heat due to evaporation of moisture, the amount of heat of the heated air is transferred to the moisture very rapidly. Therefore, heat exchange is very effective throughout the dryer, and a sec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is not changed is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does not change and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vaporation of moisture occurs rapidly, thereby determin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may be controlled to be measured, for example, at 30 second intervals.
  •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may be measured as an average value of temperatures measured a plurality of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tub temperature sensor and the duct temperature sensor.
  • the start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determined.
  • the cooling water valve As described above, moisture is rapidly evaporated in the concentrated section, and the moisture conte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is very high. Therefore, the amount of moisture condensed even by a slight temperature drop becomes very large. Therefore, in the concentrated section, it is highly preferable to drive the cooling water valve at the second actual operation rate (S500).
  • the second running rate means higher running rate than the first running rate. Therefore, by supplying more cooling water to condensate moisture in the air intensively, thereby further promoting the evaporation of moisture.
  • the concentration section proceeds, the moisture of the drum or tub is almost evaporated. The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laundry is also almost evaporated. Thus, the rate at which moisture is evaporated gradually decreases. Therefor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determine and determine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preset. That is, when the preset time t3 elapses after the start of drying, it may be determined (S600) that the concentration section ends. For example, 150 minutes after the start of drying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centration section is finished.
  • the predetermined time t3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That i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satisfies the preset temperature ⁇ T1 may be determined as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S600).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satisfies the preset temperature ⁇ T1 may be determined as the end point of the concentration section (S600).
  • the time required for the dry concentration sec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laundry.
  •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LTA T is more related to the evaporation rate of water than the amount of water to be evaporated. This is because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means that the heated air is not sufficiently heat exchanged for moisture evaporation. That is, since the evaporation rate is low because there is not much moisture to evaporate.
  • the preset temperature ⁇ T1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satisfies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the preset temperature ⁇ T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out of the section in which the water evaporation occurs abruptly.
  • the preset temperature ⁇ T1 may be referred to as 4, which may be prese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laundry.
  • a cooling water valve can be performed at the above-mentioned first rate of operation.
  •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difference ⁇ T may be used as the end point of the drying end section.
  • the drying end sec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end point.
  • the preset temperature ⁇ T2 may be pre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drying course or a user's selection, or may be pre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 the first time when the preset value is detected may be determined as the start time or the end tim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a valu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detected two or more times, it may be determined as a start time or an end time.
  • the hot air supply ends.
  • the cold air may be supplied (S900) for a predetermined time. Drying can be completely ended by the end of the cold wind supply. Of course, the cold wind supply may be omitted.
  • drying is preferably completed by supplying cold air.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burns when the user takes out the heated laundry immediately.
  • Tc may be calculated after only hot air is performed without condensation, and for example, may be calculated after 5 minutes of drying.
  •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can be measured uniformly regardless of the initial temperature deviation.
  • the drying rate is increased by about 1%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drying strok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ooling water valve at the same actual operation rate. It works.
  • the 1% increase in the drying degree can shorten the drying time by 30 minutes than when applying the conventional algorithm, the drying efficiency is remarkably improved.
  • each section of the drying may be determined through a time reference or a temperature difference ⁇ T or each section of the drying may be determined using both the time referenc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 T.
  • the drying start se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ime and the drying concentration section may be determined using a temperature difference ⁇ T.
  •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in each section of the drying is changed.
  • the amount of coolant may be varied by, for example, varying the actual rate of coolant valves.
  • the control of the drying heater 53 may also be controlled differently in each section of the above-described drying.
  • the drying heater 53 may be controlled so that ON is repeated when the drying start section has elapsed, for example, by turning ON at a predetermined lower limit temperature and OFF at a predetermined upper limit tempera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the predetermined lower limit temperature and the upper limit temperature higher in the drying concentration section than in other sections.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controlled so that ON and OFF are repeated between 97 ° C. and 100 ° C. in the drying candle secti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controlled to be repeated between 99 ° C. and 102 ° C. in the drying concentration section. You could do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이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를 응축덕트로 공급하여 순환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에서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함습량에 따라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달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이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laundry machine)는 의류나 신발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 중 하나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및 냄새, 정전기 등을 제거하는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세탁장치 중 건조기는 건조 기능만을 갖는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되며, 배기식 건조기는 외기를 유입시켜 히터로 가열한 다음 가열된 공기를 건조 대상물을 수납한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한다. 그 후 건조에 사용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기되는 구조이다.
반면, 응축식 건조기는 가열 공기를 드럼에 공급하고 수분을 함유하게 된 공기는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응축식 건조기에 있어서, 많은 경우 냉각수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한다. 즉, 냉각수를 공급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춰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건조 공기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 기능을 함께 갖는 건조기의 경우 냉각수 공급이 매우 용이하므로, 이러한 건조기에서는 냉각수를 이용한 응축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물론, 팬을 구동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형태의 건조기도 있다.
종래의 냉각수를 이용한 응축식 건조기는 냉각수를 많이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즉, 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많이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냉각수는 세탁을 위한 물이 아니고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물이기 때문에 매우 깨끗한 물이다. 따라서, 건조 성능을 유지하면서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을 줄이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일반적으로 냉각수는 냉각수 밸브가 ON 된 상태에서 공급되고, OFF 된 후에는 공급이 차단된다. 여기서, 냉각수 밸브의 OFF 시간에 대한 ON 시간의 비율(ON time / OFF time)을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이라 한다.
종래의 응축식 건조기는 이러한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가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여 건조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하여 실동율을 지나치게 낮게 하는 경우 건조 시간이 매우 길어지며, 반대로 실동율을 지나치게 높게 하는 경우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이 매우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건조 시간을 줄이는 한편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을 줄인 건조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건조 성능을 향상시켜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킨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건조 대상물의 양에 따라 건조기의 작동을 달리 제어하여 건조 대상물의 양에 관계없이 건조 성능과 에너지 절감을 이뤄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주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를 응축덕트로 공급하여 순환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에서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함습량에 따라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달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습량이 높은 경우에 상기 냉각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함습량이 높은 경우에는 많은 양의 냉각수를 공급하고 함습량이 낮은 경우에는 적은 양의 냉각수를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냉각수의 공급량은 제어의 용이를 위해서 구간별로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간 함습량에 따라 냉각수의 공급량을 달리하지 않고, 건조 구간에 따라 냉각수의 공급량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건조가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각 구간에서의 함습량이 달라짐에 따라 각 구간에서의 냉각수 공급량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건조되는 수분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의 양은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특정 구간에서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이 커지면 상기 특정 구간 전체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많아지고, 반대로 실동율이 작아지면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달리 제어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달라지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냉각수 밸브의 OFF 시간에 대한 냉각수 밸브의 ON 시간 비율을 달리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실동율 제어와는 달리, 냉각수의 양은 냉각수 밸브의 개도를 조절한다든지 또는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 밸브 등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 당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달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는 하나의 코스 또는 행정일 수 있다. 즉, 시작부터 종료까지 일련의 제어 과정을 거쳐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코스 일 수 있고, 이러한 코스의 일부분으로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과 탈수 그리고 건조가 모두 수행되는 특정 코스에서 건조는 코스의 일부로서 건조행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수에 의한 세탁이 수행되지 않고 건조만 수행되는 코스에서는 건조가 하나의 코스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건조는 이러한 건조 코스와 건조 행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가 공급되는 시점을 건조의 시작 시점이라 하고, 열풍 또는 가열되지 않은 공기(이하 '냉풍'이라 함)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을 건조의 종료 시점이라 한다. 물론, 건조의 종료 시점 이전에 공기의 공급이 중지될 수는 있을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공기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을 건조의 종료 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열풍 공급 후 기설정된 시간(t1) 동안 냉각수 밸브를 OFF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각수 밸브를 OFF하는 구간은 건조의 초기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 코스에서 열풍이 공급되기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t1) 동안 냉각수 밸브를 OFF하여 순환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가 시작되면 건조 보다는 건조를 수행하는 구성들을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건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t1) 이후 열풍 공급이 종료될 때까지 연속되는 복수개의 구간에서 상기 구간이 바뀜에 따라 상기 실동율이 바뀌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구간은 건조 초기, 건조 집중 그리고 건조 후기 구간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연속되는 3개의 구간 중 중간 구간에서의 실동율이 가장 크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 구간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가장 많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속되는 3개의 구간 중 처음과 나중 구간에서의 실동율은 서로 갖게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 구간에서 건조가 집중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 구간을 건조 집중 구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풍 공급 종료 후 소정 시간 동안 냉풍이 공급되어 건조가 종료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열풍 공급 후 상기 함습율이 가장 높은 구간(집중구간)에서의 상기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다른 구간에서의 실동율보다 높게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 건조를 진행하면서 공기 중 함습율이 가장 높은 구간에서 다른 구간보다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많아지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열풍 공급 후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되어 상기 집중구간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열풍 공급 후 기설정된 시간(t3)이 경과되어 상기 집중구간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t3)는 드럼 내의 세탁물의 양(amount of laundry)에 따라 달리 기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열풍 공급 후 드럼 내에서 열교환된 순환 공기의 분위기 온도를 간접적으로 센싱한 온도와 순환 공기가 응축덕트로 유입된 후 가열되기 전의 분위기 온도를 센싱한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온도(△T1) 이상일 때, 상기 집중구간이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온도(△T1)는 드럼 내의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리 기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순환 공기를 응축하도록 구비된 응축덕트; 상기 응축덕트와 연결되어 순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건조덕트; 그리고 건조 시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구간을 세분하여 상기 순환 공기 중의 함습율이 가장 높은 구간(집중구간)을 결정하고, 다른 구간에 비해서 상기 집중구간에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많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건조 시 건조가 수행되는 공간의 분위기 온도를 센싱하는 터브 온도 센서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 또는 건조덕트에 구비되어 건조 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덕트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브는 건조만을 수행하는 건조기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만 수행되는 드럼 타입 건조기에서 드럼의 전방이나 후방은 서포터로 지지된다. 즉, 드럼은 서포터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드럼의 전방과 후방은 회전하지 않는 서포터를 통해 막혀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터브 온도센서는 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의 서포터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 터브 온도센서는 건조 공간 온도센서 또는 습공기 온도센서라 할 수 있고, 상기 덕트 온도 센서는 건조공기 온도센서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건조 시 상기 센서들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들을 이용하여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어부는, 건조 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t3)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온도와 시간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시점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건조 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건조 히터를 구동하고 냉각수 밸브는 OFF하여 건조 행정을 시작하는 건조시작구간; 냉각수 밸브를 제1실동율로 구동하는 건조초기구간; 냉각수 밸브를 제1실동율보다 높은 제2실동율로 구동하는 집중구간; 그리고 상기 집중구간 후 냉각수 밸브를 제1실동율로 구동하는 건조종료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실동율은 건조초기구간과 건조종료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으나, 상기 제2실동율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은, 냉각수 밸브의 OFF 상태를 유지하고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를 시작하는 건조시작구간; 상기 건조시작 구간 후 상기 냉각수 밸브를 소정 실동율로 구동하는 건조초기구간; 상기 냉각수 밸브를 소정 실동율로 구동하여 건조를 진행하고 가열 공기의 공급을 완료하는 건조후기구간; 그리고 상기 건조초기 구간과 상기 건조후기구간 사이에서, 상기 소정 실동율들 보다 높은 실동율로 상기 냉각수 밸브를 구동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집중적으로 응축시키는 집중구간을 포함하여 건조가 진행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건조가 집중적으로 수행되는 건조집중구간을 효과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건조집중구간은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고, 포량에 따라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건조 대상인 세탁물의 재질이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들을 감안한 효과적인 건조를 위해서는 단순히 시간 기준으로 건조집중구간을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두 개의 온도센서에서 센싱된 온도의 차이를 기준으로 건조집중구간의 시작 시점과 건조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 공간에서 센싱된 온도와 덕트에서 센싱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건조집중구간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건조의 각 구간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냉각수의 양은 일례로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달리 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의 양을 제어하는 것과 함께 건조 히터(53)도 전술한 건조의 각 구간에서 달리 제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각 구간에서 건조 히터의 발열량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집중구간에 가장 많은 열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냉각수가 가장 많이 공급되는 구간에서 건조 히터의 발열량이 가장 크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순환되는 공기의 함습율이 높을 때 냉각수를 많이 공급하고 건조 초기와 후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실동율로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조가 집중적으로 수행되는 건조집중구간을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가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전 구간에서 각 구간에서 효율적인 건조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약 및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시간에 따른 온도 센서간 온도차이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탁 겸용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일실시예로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수를 사용하는 응축식 건조기 모두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따른 기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 드럼(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하는 응축덕트(4), 응축덕트(4)에서 응축된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덕트(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응축덕트(4)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의 순환을 위해 송풍팬(51)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51)은 상기 모터(M)의 회전에 연동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으므로, 캐비닛(1)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2) 내에 구비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을 통해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캐비닛(1)은 도어(D)가 구비되는 전면패널(11), 전면패널(11)의 양측에 연결되는 사이드패널(13), 사이드패널(13)의 말단에 결합되는 배면패널(15)로 구성될 수 있다.
응축덕트(4)에는 냉각수공급부(6)가 설치되어 응축덕트(4)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될 수 있도록 냉각수가 공급된다. 즉, 건조 시 드럼(3)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터브(2)를 통해 응축덕트(4)로 이동하고, 응축덕트(4)를 통과하면서 냉각수공급부(6)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와 만나 수분이 응결된다. 한편, 터브(2)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드럼(4)의 후방에서 직접 공기가 응축덕트(4)로 유입될 수 있다.
응결된 수분은 응축덕트(4) 하단으로 낙하하고, 다시 터브(2)로 흘러 들어가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덕트(4)의 일측은 터브(2)의 배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건조덕트(5)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공급부(6)는 냉각수 밸브(미도시)를 ON하여 개방하면 냉각수가 공급되고, 냉각수 밸브를 OFF하여 폐쇄하면 냉각수 공급이 중단된다. 냉각수 밸브의 ON 시간을 OFF 시간으로 나누면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제어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건조덕트(5)는 응축덕트(4)에서 제습을 마친 뒤 건조해진 공기를 건조 히터(53)를 통해 가열하여 터브(2)를 거쳐 드럼(3)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드럼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덕트(5)는 일측이 응축덕트(4)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2) 또는 드럼(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건조덕트(5)의 타측은 상기 드럼(3) 내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조덕트(5)에서 배출되는 건조 공기가 직접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조덕트(5)에는 응축덕트(4) 내부의 공기를 건조덕트(5)로 유입시켜 터브(2) 또는 드럼(3)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51)이 설치되며, 송풍팬(51)의 전방 쪽에 히터가 설치되어 제습된 공기를 가열해 드럼(3)으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히터(53)와 송풍팬(51)을 제어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드럼(3)의 구동과 냉각수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온도 센서(2a, 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온도 센서들이 온도를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센싱된 온도를 이용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2a)는 드럼(3)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세탁물과 열교환 된 후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응축덕트(4)로 유입되기 전의 순환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응축덕트(4)의 유입구(4') 부근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덕트(4)의 유입구(4')가 터브(2)와 연결된 경우에는 터브(2)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온도 센서(2a)를 터브 온도 센서 또는 습공기 온도 센서라 할 수 있다. 상기 터브 온도 센서(2a)는 터브 내의 분위기 온도를 센싱하게 된다. 따라서, 열풍 공급 후 드럼 내에서 열교환 된 순환 공기의 분위기 온도를 간접적으로 센싱하게 된다. 이러한 터브 온도 센서(2a)는 세탁 시 세탁수의 온도를 센싱하고, 건조 시 분위기 온도를 센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온도 센서(4a)는 응축덕트(4)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건조덕트(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센서(4a)는 덕트 내로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덕트 온도 센서(4a)라 할 수 있다.
상기 덕트 온도 센서(4a)는 구체적으로 응축수공급부(6)를 지난 후의 순환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히터(53)를 통과하기 전 순환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덕트(4) 내에서 응축수공급부(6)을 통과하고 송풍팬(51)을 통과하기 전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4a)는 건조공기 온도 센서라 할 수 있다.
터브(2)의 내측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2a)는 건조에서의 온도 측정시 냉각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터브(2)의 내측 후면 등과 같이 냉각수가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온도 센서(2a)와 덕트 온도 센서(4a)에서 센싱되는 온도, 다시말하면 센싱되는 습공기와 건조공기의 온도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왜냐하면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는 한편, 지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순환공기는 건조 히터(53)를 통해 가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열된 순환공기로 인해 상승되는 온도의 정도는 차이가 있겠지만,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상승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건조기 내부 특정 부분에서 상승되는 온도와 다른 부분에서 상승되는 온도 간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터브 온도 센서(2a)와 덕트 온도 센서(4a)를 통해 센싱한 온도를 이용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이러한 온도 센서(2a, 4a)간의 온도 차이(△T)를 이용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달리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온도 차이(△T)를 이용하여 건조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효과적인 건조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는 먼저 냉각수공급부를 통해 응축덕트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드럼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세탁뿐만 아니라 건조시에서도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게 된다.
초기 건조시에는 일반적으로 상온 상태의 공기를 가열하기 시작하게 된다. 물론, 공기의 가열과 함께 상온 상태의 세탁물과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초기 건조시에는 이와 함께 상온 상태의 응축덕트(4), 건조덕트(5), 드럼(3) 그리고 경우에 따라 터브(2)를 가열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매우 적은 양의 물만 증발되게 되며, 이로 인해 순환 공기(여기서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함습율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 냉각수를 공급하게 되면 냉각수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냉각수를 공급하여 순환 공기의 온도를 낮춰도 응축되는 수분의 양이 매우 적게 되어 냉각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된다.
따라서, 건조가 시작된 후 소정 시간 동안(건조시작구간)에는 함습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냉각수 밸브를 OFF 상태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건조시작구간은 건조 히터(53)가 계속해서 구동되는 구간이다. 상기 건조 히터(53)은 건조가 시작되면 ON되어 발열하게 된다. 그러나, 건조 히터(53)의 과열이나 건조 공기의 과열로 인한 세탁물 등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OFF와 ON이 반복되어 제어될 수 있다. 물론, 가정 처음 건조 히터(53)이 ON된 후에는 과열 우려가 없기 때문에 소정시간 동안 ON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간을 건조시작구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건조 히터(53)가 처음으로 OFF되는 온도가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히터(53)의 온도 또는 그 주변의 온도가 100℃인 경우 건조 히터(53)이 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히터(53)이 처음으로 ON된 후 OFF될 때가지의 구간을 건조시작구간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상기 냉각수 밸브가 OFF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냉각수는 일반적으로 냉수를 사용하므로 냉각수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 보다 낮게 된다. 그리고, 건조가 시작되면 가장 먼저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것보다 순환 공기, 드럼(3), 세탁물 그리고 각종 덕트를 효과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건조시작구간에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은 효과적인 가열을 방해하여 오히려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건조 초기에는 냉각수 밸브를 OFF 상태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건조가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 함습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냉각수 밸브를 구동하게 된다.
종래의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이러한 냉각수 밸브를 건조가 종료될 때까지 동일한 패턴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였다. 즉, 동일한 실동율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였다. 이로 인해 건조 시간이 늘어나며,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이 많아지게 되었다.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함습율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시작구간에서는 상온 상태에서 가열을 시작하여 수분의 증발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건조시작구간에서는 냉각수를 공급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시작구간 후 수분의 증발이 서서히 일어나는 건조초기구간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건조초기구간은 세탁물 표면 부분의 수분이 증발되는 구간이다. 이러한 구간에서는 세탁물 내부와 세탁물 내부의 수분까지 가열되기 시작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초기구간에서는 많은 양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게 된다. 이는 건조초기구간에는 세탁물이 젖은 상태로 뭉쳐있어 세탁물과 가열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드럼의 구동에 의해 이러한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나 그 한계가 있을 것이다.
건조초기구간 후 수분이 급격히 증발되는 집중구간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구간에서는 건조기 내부 구성 골고루 가열된 상태이고, 세탁물의 표면은 물론 내부까지 어느 정도 가열된 이후이므로 수분이 급격히 증발되게 된다. 이 구간에서는 세탁물의 뭉침이 완화되어 세탁물과 가열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매우 넓어지게 된다.
집중구간 후 수분의 증발이 서서히 일어나는 건조종료구간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구간에서 증발이 서서히 일어난다는 것은 증발될 수분이 많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간에서는 세탁물 내부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수분이 증발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건조가 진행되는 구간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함습율이 높을 때 냉각수의 공급을 많이 하고, 함습율이 낮을 때 냉각수의 공급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중적으로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는 구간에서는 냉각수의 공급량을 늘리는 것이다. 따라서, 집중적으로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는 구간에서 더욱 수분의 증발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하여 집중구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으로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분의 증발이 상대적으로 덜 일어나는 구간에서는 냉각수의 공급량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간들에서의 냉각수 공급량을 달리하여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건조 시간을 줄이고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냉각수 공급량의 조절은 예를 들어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달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건조 초기 및 후기에는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기준 실동율(예를 들면 8초 ON/10초 OFF)로 구동하고, 건조 행정 중 드럼(3) 또는 터브(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함습율이 높을 때에는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기준 실동율 보다 높은 실동율(예를 들면 8초 ON/5초 OFF)로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실동율은 건조 초기 및 후기에서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으나, 최대 실동율보다는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함습량은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달라지는데, 달라지는 함습량을 어떻게 판단하고 결정할지가 문제된다. 아울러, 건조가 얼마만큼 진행되었는지 어떻게 판단하고 결정할지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판단과 결정은 제어부가 전술한 터브 온도 센서(2a)와 덕트 온도 센서(4a)를 통해 센싱한 온도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 온도 센서(2a)는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지 않는다. 물론, 건조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급격히 상승될 수는 있겠지만,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 상의 온도 보다는 급격히 상승하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덕트 온도 센서(4a)는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터브 온도 센서(2a)와 덕트 온도 센서(4a)의 온도 상승율은 증발시켜야할 수분, 즉 세탁물 등에 남아있는 수분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만약 증발시켜야 할 수분이 많은 경우 상기 센서들에서 센싱하는 온도의 상승율은 거의 없거나 매우 낮을 것이고, 반대로 증발시켜야 할 수분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매우 높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들의 위치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온도의 상승율이 서로 다를 것이며, 이로 인해 온도 차이가 달라질 것이다. 즉, 덕트 온도 센서(4a)에서 센싱된 온도와 터브 온도 센서(2a)에서 센싱된 온도 간의 온도 차이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순환되는 공기 중의 함습율을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고, 아울러 건조 진행 정도를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분 증발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이나 종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며, 건조의 종료 시점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건조 진행 시간에 대한 온도차이(△T)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이는, 건조 대상 세탁물의 양을 5 Kg으로 하여 실험한 것이며 여기서의 온도차이는 덕트 온도 센서(4a)의 온도에서 터브 온도 센서(2a)의 온도를 뺀 값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히터(53)와 송풍팬(51)이 작동하여 건조가 시작되면 세탁물뿐만 아니라 건조기의 내부가 가열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수분 증발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건조 시작 후 기설정시간(t1) 동안은 응축수 밸브가 OFF 된 상태에서 건조가 진행(S100)된다. 이 구간을 건조시작구간이라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분 동안 수행(S200)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건조시작구간은 처음으로 건조 히터(53)이 ON된 후 OFF될 때까지의 구간일 수도 있다. 이 구간은 다른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구간이므로 도 2에는 생략하였다.
상기 건조시작구간 후 건조초기구간이 수행되며, 이 구간에서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순환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건조 초기에는 건조시켜야 할 수분이 매우 많다. 물론, 세탁물이나 드럼, 경우에 따라서는 터브까지도 가열하여야 한다. 따라서, 건조덕트에서 가열된 공기는 수분, 세탁물, 드럼 그리고 터브 등과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순환 공기는 응축덕트에서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덕트 온도 센서(4a)에서 센싱되는 온도의 상승폭은 매우 낮게 된다. 아울러, 마찬가지 이유로 하여 터브 온도 센서(2a)에서 센싱되는 온도의 상승폭도 매우 낮게 된다. 따라서, 건조초기구간에서의 온도차이(△T)는 매우 작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차이(△T)는 0도 또는 1도 정도 되게 된다. 여기서, 건조초기구간에서 순간적으로 덕트 온도 센서(4a)에서 센싱된 온도가 터브 온도 센서(2a)에서 센싱된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왜냐하면 냉각수를 통해 냉각된 직후 센싱된 온도는 터브의 분위기 온도보다 낮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온도차이(△T)는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초기구간은 건조를 위해서 전체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한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초기구간은 수분의 증발이 작게 일어나기 때문에 제어부는 제1실동율로 냉각수 밸브의 작동을 제어(S300)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초기구간이 경과하면 가열된 세탁물에서 수분이 급격히 증발하게 된다. 이 구간을 집중구간이라 할 수 있으며, 수분이 급격히 증발하여 함습율이 매우 높아지는 구간이므로 이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순환 공기 중의 수분을 집중적으로 제거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을 기설정할 수 있다. 즉, 건조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집중구간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설정된 시간(t2)를 60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t2는 건조하려는 세탁물의 양과는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이나 수분에 비해 덕트 구성들이나 드럼, 그리고 터브 등의 열용량이 매우 크므로 세탁물의 양은 무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 보다 세탁물이 많은 경우 t2를 길게 기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을 상기 온도차이(△T)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집중구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의 증발이 급격히 발생된다. 이는 어느 정도 모든 구성들의 가열이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각수 공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온도의 편차는 무시될 수 있다. 그리고, 수분의 증발로 인한 잠열로 인해 가열된 공기의 열량이 매우 급속히 수분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건조기 내부 전체적으로 열교환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온도차이(△T)가 변동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차이(△T)가 변하지 않고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수분의 증발이 급격히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냉각수 공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온도의 편차를 더욱 해소하기 위해, 냉각수가 공급될 때는 온도를 센싱하지 않거나, 이 때 센싱되는 온도를 무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차이(△T)는 예를 들어 30초 간격으로 측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 온도 센서와 덕트 온도 센서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 복수 회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으로 상기 온도차이(△T)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초기구간 진행 중 상기 온도차이(△T)가 소정 횟수 이상 변하지 않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중구간에서는 수분이 급격히 증발하게 되어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함습량이 매우 높다. 따라서, 약간의 온도 강하에 의해서도 응축되는 수분이 양이 매우 많아진다. 그러므로, 상기 집중구간에서는 냉각수 밸브를 제2실동율로 구동(S500)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실동율은 상기 제1실동율보다는 높은 실동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다 많은 냉각수를 공급하여 집중적으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이를 통해 더욱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게 된다.
한편, 집중구간이 진행됨에 따라 드럼이나 터브의 수분은 거의 증발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물 표면의 수분도 거의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은 기설정될 수 있다. 즉, 건조 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t3)이 경과되면 집중구간이 종료됨을 판단(S600)하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시작 후 150분이 경과되면 집중구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t3)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집중구간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건조기의 구성으로 전달되는 양은 많지 않고, 수분을 증발시키는 데 대부분의 열이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과 증발시켜야 할 수분의 양이 비례한다고 가정하면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 기설정된 시간(t3)를 길게 하고, 반대로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 짧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t3)은 온도차이(△T)를 통해 판단하여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온도차이(△T)가 기설정된 온도(△T1)을 만족하는 시점을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판단(S600)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이유와 같이 세탁물이 많으면 기설정된 온도(△T1) 도달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므로, 건조집중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차이(△T)는 증발시켜야 할 수분의 양보다는 수분의 증발 속도와 더욱 관련된다. 왜냐하면, 온도차이(△T)가 커진다는 것은 가열된 공기가 수분 증발을 위해 충분히 열교환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증발시켜야 할 수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증발 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차이가 소정값, 즉 기설정된 온도(△T1)를 만족하는 경우 수분 증발이 급격히 일어나는 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기설정된 온도(△T1)를 4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세탁물의 양과 관계없이 기설정될 수 있다.
한편, 집중구간을 경과한 후에도 수분의 증발이 일어난다. 이 구간에서는 세탁물 내부 깊숙한 곳에 있는 수분이 증발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되는 수분은 많지 않다. 따라서, 가열된 공기가 수분과 열교환되는 열은 적다. 따라서, 온도차이(△T1)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상기 집중구간 후에는 증발되는 수분이 많지 않다. 따라서, 건조종료구간(S700)에서는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전술한 제1실동율로 냉각수 밸브를 할 수 있다.
한편, 건조를 계속 진행하게 되면 증발되는 수분은 현저히 줄어드는 반면 세탁물이 과열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건조 효과에 비해 소요되는 건조 시간 및 냉각수와 에너지는 매우 커지게 된다. 따라서, 건조종료구간의 종료시점을 판단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건조종료구간의 종료시점은 전술한 온도차이(△T)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차이(△T)가 기설정 온도(△T2)를 만족하는 경우 건조종료구간이 종료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설정 온도(△T2)는 건조 코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리 기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달리 기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온도차이(△T)를 이용하여 시작 시점 내지는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경우, 기설정된 값이 처음 감지될 때를 시작 시점 내지는 종료 시점이라 판단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값 보다 큰 값이 두 번 이상 감지될 때를 시작 시점 내지는 종료 시점이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건조종료구간이 종료하면 열풍 공급은 종료된다. 이후 냉풍이 소정시간 동안 공급(S900)될 수 있다. 냉풍 공급이 종료됨으로써 건조가 완전히 종료될 수 있다. 물론 냉풍 공급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세탁물과 드럼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냉풍 공급으로 건조가 종료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열된 세탁물을 곧바로 사용자가 꺼내는 경우 화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온도차이(△T)는 직접적으로 터브 온도 센서와 덕트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온도 사이의 차이일 수 있으나, 보정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구체적으로 터브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초기 온도는 매우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삶음 세탁 후 건조하는 경우 터브 온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초기 온도와 냉수로 세탁한 후 건조하는 경우 초기 온도와는 매우 편차가 클 것이다. 이에 비해, 덕트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초기 온도의 편차는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다. 따라서, 초기 온도의 편차로 인한 온도차이(△T)가 달라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초기의 온도차이(△T)를 Tc라 하고 이를 더한 값을 터브 온도 센서에서 센싱한 온도 T1에 더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된 터브 온도 T2 = T1 + Tc라 할 수 있다. 따라서, △T = T3(덕트온도) - T2(보정된 터브 온도)라 할 수 있다.
여기서, Tc는 응축이 진행되지 않고 열풍만 진행된 후 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건조 진행 후 5분 경과 후 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터브 온도의 보정을 통해 초기 온도 편차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온도차이(△T)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함습율이 높을 때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높이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동일한 실동율로 냉각수 밸브를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비해 약 1%의 건조도 상승 효과가 있다. 건조도 1%의 상승 효과는 종래의 알고리즘 적용 시보다 건조 시간 30분 정도를 단축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기준이나 온도 차이(△T)를 통해서 건조의 각 구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시간 기준과 온도 차이(△T)를 모두 이용하여 건조의 각 구간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건조시작구간은 시간 기준으로 결정하고 건조집중구간은 온도 차이(△T)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건조의 각 구간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냉각수의 양은 일례로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달리 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실동율 제어와 함께 건조 히터(53)의 제어도 전술한 건조의 각 구간에서 달리 제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건조집중구간에서 건조 히터(53)에서 보다 많은 열을 발생시켜 최대로 건조가 수행되는 구간에서 보다 많은 열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히터(53)는 건조시작구간이 경과되면 ON가 OFF가 반복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기설정된 하한 온도에서 ON 그리고 기설정된 상한 온도에서 OFF되도록 함으로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건조집중구간에서의 기설정된 하한 온도와 상한 온도를 다른 구간에서 보다 더욱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건조초기구간에서 히터의 온도가 97℃에서 100℃ 사이에서 ON과 OFF가 반복되도록 제어될 때 건조집중구간에서 히터의 온도가 99℃에서 102℃ 사이에서 ON과 OFF가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건조 히터(53)의 제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 이다. 한편, 이러한 건조 히터(53)과 전술한 냉각수 밸브의 제어를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건조집중구간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효율적이고 시간 절약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24)

  1. 냉각수를 응축덕트로 공급하여 순환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에서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함습량에 따라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달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습량이 높은 경우에 상기 냉각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달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열풍 공급 후 기설정된 시간(t1) 동안 또는 건조 히터가 OFF될 때까지 냉각수 밸브를 OFF하여 건조시작구간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시작구간 후 열풍 공급이 종료될 때까지 연속되는 3개의 구간에서 상기 구간이 바뀜에 따라 상기 실동율이 바뀌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되는 3개의 구간 중 중간 구간에서의 실동율이 가장 크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되는 3개의 구간 중 중간 구간에서 상기 건조 히터에서 가장 많은 열이 발생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 종료 후 소정 시간 동안 냉풍이 공급되어 건조가 종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열풍 공급 후 상기 함습율이 가장 높은 구간(집중구간)에서의 상기 냉각수 밸브의 실동율을 다른 구간에서의 실동율보다 높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열풍 공급 후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되어 상기 집중구간이 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열풍 공급 후 기설정된 시간(t3)이 경과되어 상기 집중구간이 종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t3)는 드럼 내의 세탁물의 양(amount of laundry)에 따라 달리 기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열풍 공급 후 드럼 내에서 열교환된 순환 공기의 분위기 온도를 간접적으로 센싱한 온도와 순환 공기가 응축덕트로 유입된 후 가열되기 전의 분위기 온도를 센싱한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온도(△T1) 이상일 때 상기 집중구간이 종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온도(△T1)는 드럼 내의 세탁물의 양에 따라 기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순환 공기를 응축하도록 구비된 응축덕트;
    상기 응축덕트와 연결되어 순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건조덕트; 그리고
    건조 시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구간을 세분하여 상기 순환 공기 중의 함습율이 가장 높은 구간(집중구간)을 결정하고, 다른 구간에 비해서 상기 집중구간에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많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건조 시 분위기 온도를 센싱하는 터브 온도 센서;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 또는 건조덕트에 구비되어 순환 공기가 응축덕트로 유입된 후 가열되기 전의 분위기 온도를 센싱하는 덕트 온도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시 상기 센서들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들을 이용하여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t3)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구간의 종료시점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집중구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2. 냉각수 밸브의 OFF 상태를 유지하고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를 시작하는 건조시작구간;
    상기 건조시작 구간 후 상기 냉각수 밸브를 소정 실동율로 구동하는 건조초기구간;
    상기 냉각수 밸브를 소정 실동율로 구동하여 건조를 진행하고 가열 공기의 공급을 완료하는 건조후기구간; 그리고
    상기 건조초기 구간과 상기 건조후기구간 사이에서, 상기 소정 실동율들 보다 높은 실동율로 상기 냉각수 밸브를 구동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집중적으로 응축시키는 집중구간을 포함하여 건조가 진행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구간에서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 히터의 발열량이 가장 크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히터가 ON되는 하한 온도와 OFF되는 상한 온도는 다른 구간에서보다 상기 집중구간에서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PCT/KR2010/005271 2009-08-11 2010-08-11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019207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77,583 US20120151792A1 (en) 2009-08-11 2010-08-11 Dry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0808356.9A EP2466002B1 (en) 2009-08-11 2010-08-11 Dry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U2010283087A AU2010283087B2 (en) 2009-08-11 2010-08-11 Dry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201080026186.8A CN102713047B (zh) 2009-08-11 2010-08-11 干衣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3829 2009-08-11
KR10-2009-0073829 2009-08-11
KR10-2009-0081665 2009-08-31
KR1020090081665A KR101821195B1 (ko) 2009-08-11 2009-08-31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9207A2 true WO2011019207A2 (ko) 2011-02-17
WO2011019207A3 WO2011019207A3 (ko) 2012-05-10

Family

ID=4377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5271 WO2011019207A2 (ko) 2009-08-11 2010-08-11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51792A1 (ko)
EP (1) EP2466002B1 (ko)
KR (1) KR101821195B1 (ko)
CN (1) CN102713047B (ko)
AU (1) AU2010283087B2 (ko)
WO (1) WO20110192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R20120078A1 (it) * 2012-11-19 2014-05-20 Indesit Co Spa Metodo di attivazione di una elettrovalvola.
PL2878250T3 (pl) * 2013-11-29 2020-09-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osób obsługiwania cyrkulującego wodę urządzenia gospodarstwa domowego
CN104711833B (zh) * 2013-12-13 2018-04-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
US9297493B2 (en) 2014-05-13 2016-03-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with fire-resistant shielding
CN105483999A (zh) * 2014-09-18 2016-04-1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及其烘干方法
CN105483995A (zh) * 2014-09-18 2016-04-1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的烘干方法以及采用该烘干方法的干衣机
CN105483994A (zh) * 2014-09-18 2016-04-1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及其烘干方法
CN107541919B (zh) * 2016-06-27 2020-05-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根据干衣机出筒空气温度变化调节冷凝介质量的方法
KR20180023277A (ko)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082819A (zh) * 2017-06-14 2018-12-2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干一体机及其冷凝阀控制方法、装置
CN110359254B (zh) * 2018-04-11 2022-03-15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453468B (zh) * 2018-05-08 2022-01-04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及控制方法
PL3792387T3 (pl) * 2019-09-10 2022-03-21 Johannes Guggenberger Kondensator/wymiennik ciepła, urządzenie piorące i sposób wykorzystania ciepła odlotowego
DE102019134182A1 (de) * 2019-12-12 2021-06-17 Miele & Cie.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Reinigungsgeräts und Reinigung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5262B2 (de) * 1972-03-29 1980-01-1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Wäschetrockners
US4206552A (en) * 1978-04-28 1980-06-10 Mallory Components Group Emhart Industries, Inc.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rying apparatus
KR940006249B1 (ko) * 1991-11-18 1994-07-13 주식회사 금성사 의류건조기의 건조시간 설정방법
US5887456A (en) * 1995-08-30 1999-03-30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washing machine
US6213200B1 (en) * 1999-03-08 2001-04-10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Low profile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water consumption
KR100457434B1 (ko) * 2002-11-26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KR100487345B1 (ko) * 2002-11-26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의 쿨링 시간제어 방법
KR100955484B1 (ko) * 2003-04-30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건조 제어방법
US20060048405A1 (en) * 2003-05-23 2006-03-09 Baek Seung M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method for automatic drying by using the same
KR100539540B1 (ko) * 2003-05-23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 및 그를 이용한 자동 건조 방법
ES2323785T3 (es) * 2004-08-18 2009-07-24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de control automatico de la sequedad.
EP1657341A3 (en) * 2004-11-12 2006-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drying process in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748963B1 (ko) * 2004-11-12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20060057779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366561B1 (ko) * 2007-03-06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건조제어방법
KR100925734B1 (ko) * 2007-08-06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6002A2 (en) 2012-06-20
AU2010283087A1 (en) 2011-12-15
US20120151792A1 (en) 2012-06-21
KR101821195B1 (ko) 2018-01-23
EP2466002B1 (en) 2017-10-04
CN102713047A (zh) 2012-10-03
KR20110016361A (ko) 2011-02-17
EP2466002A4 (en) 2015-07-15
AU2010283087B2 (en) 2013-04-18
WO2011019207A3 (ko) 2012-05-10
CN102713047B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9207A2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136595A2 (ko) 의류 처리장치
KR101253641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3253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wrinkles in clothes
KR100879572B1 (ko)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JP4858321B2 (ja) 衣類乾燥機
KR101253151B1 (ko) 건조기의 화재감지 방법
KR20070023887A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JP2007111396A (ja) 洗濯乾燥機
WO2011074850A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02033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7386B1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5130956A (ja) 衣類乾燥機および衣類洗濯乾燥機
KR20120079378A (ko)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100208171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JP3349327B2 (ja) ドラム式乾燥機
JPH0722233Y2 (ja) 乾燥機
JP7303973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0686045B1 (ko) 세탁기의 탈수운전 제어방법
KR100686044B1 (ko) 세탁기의 탈수운전 제어방법
KR10053955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0577236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JPH03106397A (ja) 衣類乾燥機
KR10152698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26186.8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083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283087

Country of ref document: AU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83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83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283087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00811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77583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