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43888A2 -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43888A2
WO2010143888A2 PCT/KR2010/003705 KR2010003705W WO2010143888A2 WO 2010143888 A2 WO2010143888 A2 WO 2010143888A2 KR 2010003705 W KR2010003705 W KR 2010003705W WO 2010143888 A2 WO2010143888 A2 WO 201014388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task
list
applic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7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43888A3 (ko
Inventor
곽지영
권장윤
전진영
황상웅
윤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77,36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96390A1/en
Priority to EP10786371.4A priority patent/EP2442219A4/en
Priority to CN2010800262061A priority patent/CN102460366A/zh
Publication of WO201014388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3888A2/ko
Publication of WO201014388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388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li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list desired by each user and a devic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 a portable device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it is common for one user to use one device. However, in the case of a stationary device, a single device is frequently shared and used by multiple users.
  • users perform different tasks using a device.
  • users can collaborate more efficiently using a single device, and also manage individual tasks of each user efficiently. You are asked to find a GUI.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list in which a task or an application recorded for each user may be different.
  • a user lis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first task list in which at least one task selected by a first user is included in a first area of a display; And displaying a second task list on which the at least one task selected by the second user is includ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 the user lis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task execution window in which the moved task is executed when any one of the tasks included in the first task list is moved to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by the first us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 the present user list providing method 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king the moved task disappear from the first task list.
  • the task execution window is preferably display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by the first user.
  • the third area is preferably an area used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 the user list providing method if the task execution window displayed in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is moved to the first task lis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the task executed in the moved task execution window to the first task lis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 the user lis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aking the moved task execution window disappear from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 the user lis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leting the moved task from the first task list when any one of the tasks included in the first task list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acing the side of the display.
  • the user lis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first user around the first task list.
  •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on which the first task list is displayed is an area adjacent to the side closest to the first user among the sides of the display.
  • the first task list may be display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by the first user.
  • At least one task initially included in the first task list may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obtained from a medium possessed by the first us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first application list on whic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selected by the first user is included, on the display.
  • the displaying of the application list may be performed when an icon located near the first task list is selected by the first user.
  • At least one application initially included in the first application list may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obtained from a medium possessed by the first user.
  • the application listing direction in the first application list may be different from the task listing direction in the first task lis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window in which the moved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any on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first application list is moved to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by the first us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 the present user lis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and displaying the first task list to a position commanded by the first user.
  • the first task list movement display step may be displayed by rotating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the first task list on the side of the display adjacent to the movement commanded position.
  • the user lis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third task list on which the task can be recorded when a specific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selected; And when the third task list end command is input, disappearing the third task list and displaying the specific icon.
  • a device includes a display; And displaying a first task list in which the at least one task selected by the first user is memorable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displaying a second task list in which the at least one task selected by the second user is memorable. And a control unit to display the second area.
  •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list comprises: displaying a first application list in which at least one application selected by a first user is included in a first area of a display; And displaying a second application list on whic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selected by the second user is includ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 each user can efficiently manage and utilize individual tasks more conveniently by using a list of tasks or applications desired by each user.
  • 1 to 8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user tray and the task tray,
  • 18 to 21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concept of task / application order switching
  • 34 through 36 provide a description of a user tray implementation for multiple users
  • 4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user tray'.
  • the 'User Tray' includes a 'Task Tray' and an 'Applicaiotn Tray'.
  • the task tray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contains the tasks selected by the user.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task tray is a kind of list that lists tasks selected by the user.
  • 'Task' refers to a job that an application performs by a user command. For example: 1) a word processor allows a user to view and edit a user specified document file, 2) an image viewer loads a user specified image file for the user to view, and 3) an internet browser. 4) allow the user to surf the Internet, and 4) allow the Internet browser to access the web page of the URL specified by the user.
  • the task execution result by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task execution window.
  • the task execution result of "1)" above appears in a window in which a word processor that loads a document file specified by a user is executed.
  • the application tray is a GUI that contains the applications selected by the user.
  • the application tray is a kind of list that lists the applications selected by the user.
  • 1 to 8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user tray and a task tray.
  • 1 shows a table-top device 100 used for digital conferencing. As shown in FIG. 1, a touch-screen 110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able-top device 100, and card readers 120-1 to 120-4 are provided on each side thereof.
  • the task execution window is a window in which a task execution result is display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able-top device 100, and has been described above.
  • Task execution window-1 is a window in which the execution result of task-1 (T1) is displayed
  • task execution window-2 is a window in which the execution result of task-2 (T2) is displayed.
  • the user U having the ID card 10 approaches the south side of the table-top device 100, so that his ID card 10 is provided on the south side of the table-top device 100.
  • the case of contacting the reader-4 120-4 is shown.
  • the user tray 210 includes 1) a task tray, 2) an application call / end icon a, 3) a user tray exit icon, and 4) user information. appear.
  • Tasks T3, T4, and T5 are listed on the north side of the task tray shown in FIG. These tasks T3, T4 and T5 are tasks selected by the user U and contained in the task tray.
  • the table-top device 100 performs the tasks to be initially recorded in the task tray based 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user U's ID card 10 read by the card reader-4 120-4. (T3, T4 and T5) are determined.
  • the application call / end icon (a) shown on the west side of the task tray is an icon used to call the application tray through touch inp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pplication tray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ser tray exit icon (i) displayed on the east side of the task tray is an icon used to input a user tray exit command (ie, a command to make the user tray disappear from the touch-screen 110) through touch input. to be.
  • a user tray exit command ie, a command to make the user tray disappear from the touch-screen 110
  • the user information shown on the south side of the task tray i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user U who holds the ID card 10 in contact with the card reader-4 120-4.
  • user information is assumed to be the user U's photo and name.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the user U easily recognizes his or her user tray.
  • 3 and 4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executing a task contained in a task tray.
  • the task execution command may be input by D & D (Drag & Drop) on the desktop of the task T4 that the user U wants to be executed among the tasks included in the task tray. .
  • Task-4 disappears from the task tray
  • Task Execution Window-4 TW4
  • TW4 Task Execution Window-4
  •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rding a task execution window displayed on the desktop as a task in the task tray.
  • the task recording command includes the task execution window-1 (TW1) D & D of the task execution window-1 (TW1) that the user U wants to record in the task tray among the task execution windows displayed on the desktop. It can be entered in a way.
  • the task tray is a 'private area' for only one user, and the desktop is a 'shared area' for all users of the table-top device 100. Therefore, executing the task contained in the task tray on the desktop can be regarded as an action for all users to share the task that one user had. Also, recording a task executed on the desktop in the task tray can be regarded as an action for releasing the sharing state for a task shared by all users and managing only one user.
  • FIG. 7 and 8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leting a task recorded in the task tray.
  • the task delete command may include a task-5 (T5) that the user U wants to delete among the tasks shown in the task tray, and the touch-screen 110 adjacent to the task tray. It can be input by D & D out.
  • T5 task-5
  • FIG. 8 shows the result of task-5 (T5) being deleted from the task tray by operation of the user U as shown in FIG.
  • FIG. 9 to 13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application tray.
  • the application tray call can be input by the user U touching the icon a for application call / end.
  • an application tray (/) is called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9.
  • applications A1 to A5 are listed in the application tray /.
  • These applications A1 to A5 are the applications selected by the user U and stored in the application tray /.
  • the table-top device 100 may display applications to be initially recorded in the application tray (/) based 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D card 10 of the user U read by the card reader-4 120-4. (A1 to A5) are determined.
  • the applications A1 to A5 are list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tasks T3 to T5.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tray / and the direction of the task tray are distinguished in different directions.
  • 11 and 12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 contained in an application tray (/).
  • an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may be input by D & D on a desktop of an application-3 (A3) task which a user U wants to be executed among applications contained in an application tray (/).
  • A3 application-3
  • FIG. 12 illustrates a result of the application-3 (A3) being executed by the user U as shown in FIG. 11 and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3 (AW3) appearing on the desktop.
  •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3 (AW3) appears in the position where the application-3 (A3) is dropped.
  • the application does not disappear from the application tray even if executed from the desktop. This is because there is room for the application to run repeatedly.
  •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3 (AW3) displayed on the desktop may be executing a specific task. For example, this is the case when the user U loads a specific document file through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3 (AW3).
  •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3 (AW3) corresponds to the task execution window. Therefore,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3 (AW3), which is a task execution window, can be recorded in the task tray, and the recording method is omitted sinc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 Task scrolling is used when you want to search for tasks that are not displayed when all of the tasks contained in the task tray cannot be displayed.
  • the task scroll can be input by the user U panning (or flicking) the task tray as shown in FIG. 14.
  • FIG. 15 illustrates a result of scrolling of tasks included in the task tray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14.
  • the panning of the user U for the task scroll may be inpu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14, and in this case, the task scroll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16 and 17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a concept of scrolling for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ray (/).
  • Application scrolling is used to search for applications that are not displayed when all of the applications contained in the application tray (/) cannot be displayed.
  • FIG. 17 illustrates a result of scrolling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ray (/)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16.
  • the panning of the user U for application scrolling may be inpu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16, in which case the application scrolling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18 and 19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order switching for tasks included in the task tray.
  • the task order change command may be input by D & D of a task-4 (T4) that the user U wants to change order among among the tasks listed in the task tray.
  • FIG. 19 illustrates a result in which the order of Task-4 (T4) contained in the task tray is advanced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18.
  • 20 and 21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a concept of the order change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ray (/).
  • the application order change command may be input by D & D of an application-4 (A4) that the user U wants to change order among applications listed in the application tray (/) to a position of a desired order.
  • FIG. 21 illustrates a result in which the order of the application-4 (A4) contained in the application tray (/) is advanced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20.
  • FIG. 22 is a view provided for illustrating a concept of highlighting of tasks included in the task tray. As illustrated in FIG. 22, the user U may touch a desired task-4 (T4) among tasks included in the task tray to be highlighted. As shown in Fig. 22, a title for the task appears next to the highlighted task.
  • T4 desired task-4
  • FIG. 25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concept of highlighting of an application included in an application tray (/). As illustrated in FIG. 25, the user U may touch a desired application among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ray (/) to highlight it. As shown in Fig. 25, next to the highlighted application, a title (Intertnet Explorer) for the application appears.
  • a title Intertnet Explorer
  • 28 to 31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a concept of a method of moving the user tray 210 to another position of the touch-screen 110.
  • the user tray movement can be input by D & D of the user information shown in the user tray 210 to a desired position, as shown in FIG. 28.
  • 29 to 31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user tray adjacent to the south side of the touch-screen 110 is moved to the west side of the touch-screen 110 by user information D & D by the user U.
  • the entire user tray is not display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uch-screen 110, but only user information is displayed.
  • the user information when the user information being dragged is adjacent to the west side of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information is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the user information on the west side of the touch screen 110. The display direction of is changed.
  • the entire user tray 210 appears.
  • the user tray 210 appears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from the west side of the touch-screen 110.
  • the user tray end command may be input by the user U touching the icon for ending the user tray shown in the user tray 210.
  • FIG. 33 illustrates a result of the user tray being terminated and disappearing from the touch-screen 110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32.
  • the user tray 210 is not used for a certain time, the user tray is automatically terminated. In this case,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automatic termin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ray 210 to guide the automatic termination of the user U.
  • FIG. 34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user trays 210-1 to 210-4 are provided for each user U1 to U4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U can perform a digital conference using the table-top device 100. Shown.
  • the user tray-1 210-1 for the user-1 (U1) having contacted his or her ID card 10-1 with the card reader-1 120-1 is on the west side of the touch-screen 110. In an area adjacent to the side (the side of the touch-screen 110 closest to the user-1 (U1)), the user-1 U1 appears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 the user tray-2 (210-2) for the user-2 (U2) having contacted the card reader-2 (120-2) with its ID card (10-2) is located on the north side of the touch-screen (110). In an area adjacent to the side (the side of the touch-screen 110 closest to user-2 (U2)), user-2 (U2) appears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 the user tray-3 (210-3) for the user-3 (U3) having the ID card 10-3 in contact with the card reader-3 (120-3) is the east side of the touch-screen 110.
  • the user-3 (U3) appears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 the user tray-4 210-4 for the user-4 U4 having the ID card 10-4 in contact with the card reader-4 120-4 is located at the south side of the touch-screen 110.
  • the user trays 210-1 to 210-4 shown in an area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touch-screen 110 are display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by each user U1 to U4.
  • the task execution window that appears on the desktop is also display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the user of the user tray.
  • a task execution window that appears on the desktop when task-7 (T7) is D & Ded to the desktop from the task tray ( ⁇ ) of the user tray-3 (210-3) -7 (TW7) is display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viewing by user-3 (U3), a user of user tray-3 (210-3).
  • 'guest tray' which is a kind of a user tray.
  • 'Guest Tray' is a tray for guests, where a guest is a person who does not have an ID card.
  • the guest tray call can be input by touching any one of the guest tray call icons GT shown in the center of each side of the touch-screen 110 as shown in FIG. 37.
  • FIG. 3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guest tray call icon GT disappears and the guest tray 220 is called by a user input as shown in FIG. 37. As shown in FIG. 38, the guest tray 220 appears near the disappeared guest tray call icon GT.
  • the applications contained in the application tray provided in the user tray called by the ID card are different for each user.
  • the guest tray is the same application contained in the application tray no matter which guest is called.
  • the guest tray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user tray opera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uest tray operation is omitted.
  • the information required to provide the user tray is obtained by obtaining from the user ID card.
  •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a user tray includes 1) information on tasks to be included in the task tray, 2) information about applications to b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ray, and 3) user information.
  •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 PC of a user connected to the table-top device 100, a server for management, as well as a storage medium embedded in the table-top device 100.
  • '3) user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 user ID card, but '1) information on tasks to be stored in the task tray' and '2) information about applications to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tray' is user information.
  • a storage medium built in the user's PC, management server or table-top device 100 connected to the network is a storage medium built in the user's PC, management server or table-top device 100 connected to the network.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device other than the table-top device. That is, as long as the device can be shared and used by multiple user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device.
  • the device includes a function block 1010, a touch-screen 1020, a controller 1030, a storage 1040 and a reader 1050, and a network interface 1060.
  • the function block 1010 performs a device native function. If the device is a table-top device, the function block 1010 performs a function required for the digital conference.
  • the touch-screen 1020 serves as a display on which GUIs such as a user tray, a guest tray, and a task execution window are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function block 1010, and a user for inputting user commands such as touch, drag, and D & D. Function as an interface.
  • the storage unit 1040 is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an application and files loaded by the application.
  • the reader 1050 reads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user ID card, and the network interface 1060 performs network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 the controller 1030 provides the above-described user tray to the GUI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and performs a user command input using the task tray and the application tray included in the user tray.
  • the user command using the task tray includes task execution, task addition, task deletion, task scrolling, task sequence switching, task highlighting, and the like.
  • the user command using the application tray includes application execution, application scrolling, application sequence switching, Application highlights.
  • controller 1030 may perform application tray call / end, user tray move, user tray end / auto termination, etc. according to the input user command.
  • FIG. 4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30. As illustrated in FIG. 42, the controller 1030 provides user trays to users requesting a user tray (S1110).
  • the user tray provided in step S1110 includes a task tray and an application tray.
  • the tasks in the task tray and the applications in the application tray are different for different users.
  • the tasks initially included in the task tray are the same, the tasks contained in the task tray may be changed by a user's operation later.
  • step S112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task execution, task addition, task deletion, task scrolling, task sequence changing, task highlighting, application execution, application scrolling, application sequence changing, application highlighting, application tray call / exit, user tray moving, user Tray exit / automatic shut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1 태스크 리스트와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2 태스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들이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각각이 자신이 원하는 태스크들이 수록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개인별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별로 자신이 원하는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의 경우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한 명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거치형 디바이스의 경우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이 빈번하다.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디바이스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여러 사용자 중 한 사람이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명의 사용자 모두가 함께 디바이스를 함께 조작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각각의 개인별 작업 역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GUI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별로 수록되는 태스크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각기 다를 수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1 태스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2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수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태스크가 실행된 태스크 실행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이동된 태스크를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서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스크 실행 창은 상기 제1 사용자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영역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 표시된 태스크 실행 창이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로 이동되면, 이동된 태스크 실행 창에서 실행된 태스크를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로 수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이동된 태스크 실행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서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수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태스크를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의 주변에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들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가장 인접한 변에 인접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최초로 수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매체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록가능한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표시단계는,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의 주변에 위치한 아이콘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최초로 수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매체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 나열 방향은,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서 태스크 나열 방향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수록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이동 명령된 위치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 이동 표시단계는, 상기 이동 명령된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에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를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3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태스크 리스트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3 태스크 리스트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특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및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1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2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록가능한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록가능한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별로 수록되는 태스크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각기 다를 수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각각이 자신이 원하는 태스크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개인별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사용자 트레이와 태스크 트레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9 내지 도 13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태스크/어플리케이션 스크롤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8 내지 도 21은, 태스크/어플리케이션 순서 교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2 내지 도 27은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에 대한 하이라이트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8 내지 도 31은, 사용자 트레이를 터치-스크린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2 및 도 33은 사용자 트레이를 종료시켜 터치-스크린에서 사라지게 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4 내지 도 36은 다수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트레이 구현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7 내지 도 40은 게스트 트레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 그리고,
도 42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트레이(User Tray)'를 제안한다. '사용자 트레이'에는 '태스크 트레이(Task Tray)'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Applicaiotn Tray)'가 포함되어 있다.
'태스크 트레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태스크'들이 담겨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사용자가 선택한 태스크들이 나열되어 있는 리스트의 일종에 해당한다.
'태스크'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명령에 의해 수행하는 작업(job)을 말한다. 예를 들어, 1) 워드 프로세서가 사용자가 지정한 문서 파일을 사용자가 보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2) 이미지 뷰어가 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 파일을 불러들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작업, 3) 인터넷 브라우저가 사용자가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4) 인터넷 브라우저가 사용자가 지정한 URL의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등을 말한다.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태스크 실행 결과는 태스크 실행 창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위 "1)"의 태스크 실행 결과는, 사용자가 지정한 문서 파일을 불러들인 워드 프로세서가 실행된 창으로 나타난다.
'어플리케이션 트레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담겨 있는 GUI로,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나열되어 있는 리스트의 일종에 해당한다.
1. 사용자 트레이 & 태스크 트레이
도 1 내지 도 8은, 사용자 트레이와 태스크 트레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디지털 회의에 이용되는 테이블-탑 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 기기(100)의 상부에는 터치-스크린(110)이 마련되어 있고, 각 측면에는 카드 리더들(120-1 내지 120-4)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10)에는 태스크 실행 창들(TW1, TW2)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스크 실행 창은 테이블-탑 기기(100)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태스크 실행 결과가 나타난 창으로, 위에서 전술한 바 있다.
태스크 실행 창-1(TW1)은 태스크-1(T1)의 실행 결과가 나타난 창이고, 태스크 실행 창-2(TW2)은 태스크-2(T2)의 실행 결과가 나타난 창이다.
도 2에는 ID 카드(10)를 소지한 사용자(U)가 테이블-탑 기기(100)의 남측 변에 접근하여, 자신의 ID 카드(10)를 테이블-탑 기기(100)의 남측에 마련된 카드 리더-4(120-4)에 접촉시킨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카드 리더-4(120-4)에 사용자(U)의 ID 카드(10)가 접촉되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의 남측에는 사용자 트레이(210)가 나타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트레이(210)에는 1) 태스크 트레이(⌒), 2) 어플리케이션 호출/종료용 아이콘(ⓐ), 3) 사용자 트레이 종료용 아이콘(ⓧ) 및 4) 사용자 정보가 나타난다.
1) 태스크 트레이(⌒)
도 2에 도시된 태스크 트레이(⌒)의 북측에는 태스크들(T3, T4 및 T5)이 나열되어 있다. 이 태스크들(T3, T4 및 T5)은 사용자(U)에 의해 선택되어 태스크 트레이(⌒)에 담겨진 태스크들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태스크 트레이(⌒)에 나열된 것은 태스크들 자체가 아닌 태스크들을 상징하는 아이콘들이며, 이 아이콘들은 각 태스크들을 상징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들로 구현가능하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태스크 트레이(⌒)에는 태스크들이 나열되는 것으로 표기하겠다.
태스크 트레이(⌒)에 어느 태스크들이 담겨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U)의 ID 카드(10)에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탑 기기(100)는 카드 리더-4(120-4)가 읽어들인 사용자(U)의 ID 카드(10)에 수록된 정보를 기초로, 태스크 트레이(⌒)에 최초로 수록할 태스크들(T3, T4 및 T5)을 결정한다.
2) 어플리케이션 호출/종료용 아이콘(ⓐ)
태스크 트레이(⌒)의 서측에 나타난 어플리케이션 호출/종료용 아이콘(ⓐ)은 터치 입력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를 호출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다.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3) 사용자 트레이 종료용 아이콘(ⓧ)
태스크 트레이(⌒)의 동측에 나타난 사용자 트레이 종료용 아이콘(ⓧ)은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 트레이를 종료 명령(즉, 사용자 트레이를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게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다.
4) 사용자 정보
태스크 트레이(⌒)의 남측에 나타난 사용자 정보는 카드 리더-4(120-4)에 접촉된 ID 카드(10)를 소지한 사용자(U)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U)의 사진과 이름으로 상정하였다.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U)는 자신의 사용자 트레이가 어느 것인지 쉽게 인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T3, T4 및 T5)을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를 실행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실행 명령은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 중 사용자(U)가 실행되기 원하는 태스크(T4)를 바탕 화면으로 D&D(Drag & Drop)하는 방법으로 입력 가능하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U)의 조작에 의해, 1) 태스크-4(T4)가 태스크 트레이(⌒)에서 사라지고, 2) 바탕 화면에 태스크 실행 창-4(TW4)가 나타난 결과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태스크 실행 창-4(TW4)는 태스크-4(T4)가 드롭(Drop)된 위치에 나타난다.
도 5 및 도 6에는 바탕 화면에 나타난 태스크 실행 창을 태스크 트레이(⌒)에 태스크로 수록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수록 명령은 바탕 화면에 나타난 태스크 실행 창들 중 사용자(U)가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하기 원하는 태스크 실행 창-1(TW1)을 태스크 트레이(⌒)로 D&D하는 방법으로 입력 가능하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U)의 조작에 의해, 1) 태스크 실행 창-1(TW-1)이 바탕 화면에서 사라지고, 2) 태스크-1(T1)이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태스크 트레이(⌒)는 1인의 사용자만을 위한 '개인 영역'이고, 바탕 화면은 테이블-탑 기기(100)의 모든 사용자들을 위한 '공유 영역'이다. 따라서,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를 바탕 화면에 실행시키는 것은, 1인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었던 태스크를 모든 사용자들이 공유하기 위한 행위로 볼 수 있다. 또한, 바탕 화면에 실행된 태스크를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한다 함은 모든 사용자들이 공유하고 있었던 태스크에 대한 공유 상태를 해제하고 1인의 사용자만이 관리하기 위한 행위로 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를 삭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삭제 명령은 태스크 트레이(⌒)에 나타난 태스크들 중 사용자(U)가 삭제하기 원하는 태스크-5(T5)를 태스크 트레이(⌒)에 인접한 터치-스크린(110) 밖으로 D&D하는 방법으로 입력 가능하다.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U)의 조작에 의해, 태스크-5(T5)가 태스크 트레이(⌒)에서 삭제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2. 어플리케이션 트레이
도 9 내지 도 13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트레이 호출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어플리케이션 호출/종료용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가 호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는 어플리케이션들(A1 내지 A5)이 나열되어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들(A1 내지 A5)은 사용자(U)에 의해 선택되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들이다.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어느 어플리케이션들이 담겨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U)의 ID 카드(10)에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탑 기기(100)는 카드 리더-4(120-4)가 읽어들인 사용자(U)의 ID 카드(10)에 수록된 정보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최초로 수록할 어플리케이션들(A1 내지 A5)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담겨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 마다 각기 다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들(A1 내지 A5)은 태스크들(T3 내지 T5)과 다른 방향으로 나열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의 방향과 태스크 트레이(⌒)의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별된다.
도 11와 도 12는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담겨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담겨진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U)가 실행되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3(A3) 태스크을 바탕 화면으로 D&D하는 방법으로 입력 가능하다.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U)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3(A3)이 실행되어 바탕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3(AW3)이 나타난 결과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3(AW3)은 어플리케이션-3(A3)이 드롭된 위치에 나타난다.
바탕 화면에서 실행되면 태스크 트레이(⌒)에서 사라지는 태스크와 달리, 어플리케이션은 바탕 화면에서 실행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이후에, 그 어플리케이션을 중복하여 실행시킬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바탕 화면에 나타난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3(AW3)이 특정 태스크를 실행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3(AW3)이 나타난 후에 사용자(U)가 이를 통해 특정 문서 파일을 불러들인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3(AW3)은 태스크 실행 창에 해당한다. 따라서, 태스크 실행 창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3(AW3)을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록 방법은 전술한 바 있기에 생략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U)가 어플리케이션 호출/종료용 아이콘(ⓐ)을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가 사라져,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회귀한다.
3. 태스크/어플리케이션 스크롤
도 14 및 도 15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에 대한 스크롤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태스크 스크롤은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 모두를 표시할 수 없을 때, 표시되지 않은 태스크들을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태스크 스크롤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태스크 트레이(⌒)를 패닝(Panning)(또는 플릭(flick))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이 스크롤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한편, 태스크 스크롤을 위한 사용자(U)의 패닝은, 도 14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입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태스크 스크롤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 16 및 도 17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스크롤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스크롤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들 모두를 표시할 수 없을 때, 표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을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어플리케이션 스크롤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를 패닝(Panning)(또는 플릭(flick))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17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들이 스크롤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스크롤을 위한 사용자(U)의 패닝은, 도 16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입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스크롤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4. 태스크/어플리케이션 순서 교체
도 18 및 도 19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에 대한 순서 교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태스크 순서 교체 명령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태스크 트레이(⌒)에 나열된 태스크들 중 순서 교체를 원하는 태스크-4(T4)를 원하는 순서의 위치로 D&D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19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4(T4)의 순서가 앞서게 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20 및 도 21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순서 교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순서 교체 명령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나열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순서 교체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4(A4)을 원하는 순서의 위치로 D&D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21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4(A4)의 순서가 앞서게 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5. 태스크/어플리케이션 하이라이트
도 22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에 대한 하이라이트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된 태스크들 중 원하는 태스크-4(T4)를 터치하여, 하이라이트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태스크의 옆에는 그 태스크에 대한 타이틀(Schedule)이 나타난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태스크 타이틀(Schedule)은 사용자(U)의 터치가 해제되면 서서히 사라진다.
도 25는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이라이트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어플리케이션를 터치하여, 하이라이트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옆에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타이틀(Intertnet Explorer)이 나타난다.
그리고,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어플리케이션 타이틀(Intertnet Explorer)은 사용자(U)의 터치가 해제되면 서서히 사라진다.
6. 사용자 트레이 이동
도 28 내지 도 31은, 사용자 트레이(210)를 터치-스크린(110)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사용자 트레이 이동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트레이(210)에 나타난 사용자 정보를 원하는 위치로 D&D하여 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29 내지 도 31에는 사용자(U)에 의한 사용자 정보 D&D에 의해, 터치-스크린(110)의 남측 변에 인접한 사용자 트레이가 터치-스크린(110)의 서측 변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의 중앙 부분에서는 사용자 트레이 전체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정보만 표시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중인 사용자 정보가 터치-스크린(110)의 서측 변에 인접하게 되면, 터치-스크린(110)의 서측 변에서 사용자 정보를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사용자 정보의 표시방향이 바뀐다.
아울러,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터치-스크린(110) 서측 변의 인접한 영역에 드롭 되면, 사용자 트레이(210) 전체가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 트레이(210)는 터치-스크린(110)의 서측 변에서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나타난다.
7. 사용자 트레이 종료
도 32 및 도 33은 사용자 트레이를 종료시켜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게 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사용자 트레이 종료 명령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사용자 트레이(210)에 나타난 사용자 트레이 종료용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33에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 트레이가 종료되어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진 결과를 도시하였다.
한편, 사용자 트레이(210)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사용자 트레이는 자동으로 종료된다. 이때, 자동 종료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사용자 트레이(210)의 주변에 표시하여, 사용자(U)에게 자동 종료를 안내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테이블-탑 기기(100)에 사용자 트레이가 여러 개가 나타난 경우에 효과적이다. 사용되지 않는 사용자 트레이를 자동 종료시켜, 테이블-탑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10)을 간소화시키기 위함이다.
8. 다수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트레이 구현
도 34에는 다수의 사용자(U)가 테이블-탑 기기(100)를 이용하여 디지털 회의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들(U1 내지 U4)마다 사용자 트레이(210-1 내지 210-4)가 제공된 상황을 도시하였다.
도 3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1) 카드 리더-1(120-1)에 자신의 ID 카드(10-1)를 접촉시킨 사용자-1(U1)을 위한 사용자 트레이-1(210-1)이 터치-스크린(110)의 서측 변(사용자-1(U1)에 가장 가까운 터치-스크린(110)의 변)에 인접한 영역에, 사용자-1(U1)이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나타나고,
2) 카드 리더-2(120-2)에 자신의 ID 카드(10-2)를 접촉시킨 사용자-2(U2)를 위한 사용자 트레이-2(210-2)가 터치-스크린(110)의 북측 변(사용자-2(U2)에 가장 가까운 터치-스크린(110)의 변)에 인접한 영역에, 사용자-2(U2)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나타나며,
3) 카드 리더-3(120-3)에 자신의 ID 카드(10-3)를 접촉시킨 사용자-3(U3)을 위한 사용자 트레이-3(210-3)이 터치-스크린(110)의 동측 변(사용자-3(U3)에 가장 가까운 터치-스크린(110)의 변)에 인접한 영역에, 사용자-3(U3)이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나타나고,
4) 카드 리더-4(120-4)에 자신의 ID 카드(10-4)를 접촉시킨 사용자-4(U4)를 위한 사용자 트레이-4(210-4)가 터치-스크린(110)의 남측 변(사용자-4(U4)에 가장 가까운 터치-스크린(110)의 변)에 인접한 영역에, 사용자-4(U4)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 트레이들(210-1 내지 210-4)의 태스트 트레이에 수록되는 태스크들은 각기 다르게 나타나 있는데, 이는 각 사용자(U1 내지 U4) 마다 태스크 트레이에 담겨 지는 태스크들이 다름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의 각 변에 인접한 영역에 나타난 사용자 트레이들(210-1 내지 210-4)은 각 사용자(U1 내지 U4)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된다.
뿐만 아니라, 태스크 트레이(⌒)로부터 태스크가 바탕 화면으로 D&D된 경우에 바탕 화면에 나타나는 태스크 실행 창 역시 그 사용자 트레이(⌒)의 사용자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된다.
즉, 도 35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트레이-3(210-3)의 태스크 트레이(⌒)에서 태스크-7(T7)이 바탕 화면으로 D&D된 경우에 바탕 화면에 나타나는 태스크 실행 창-7(TW7)은 사용자 트레이-3(210-3)의 사용자인 사용자-3(U3)이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된다.
9. 게스트 트레이
도 37 내지 도 40은, 사용자 트레이의 일종인 '게스트 트레이'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게스트 트레이'란 게스트를 위한 트레이로, 여기서, 게스트란 ID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자를 말한다.
게스트 트레이 호출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G)가 터치-스크린(110) 각 변의 중앙에 나타난 게스트 트레이 호출용 아이콘들(GT)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서 입력가능하다.
도 38에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게스트 트레이 호출용 아이콘(GT)이 사라지고 게스트 트레이(220)가 호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3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게스트 트레이(220)는 사라진 게스트 트레이 호출용 아이콘(GT)의 근방에 나타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 트레이(220)에는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게스트 트레이(220)의 태스크 트레이(⌒)에는 태스크들이 담겨 있지 않다는 점에서, ID 카드에 의해 호출된 사용자 트레이와 차이가 있다.
또한, ID 카드에 의해 호출된 사용자 트레이에 마련된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마다 다르다. 하지만, 게스트 트레이는 어느 게스트에 의해 호출되든지 간에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상이점을 제외하고, 게스트 트레이 조작은 사용자 트레이 조작과 동일하므로, 게스트 트레이 조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G)에 의해 게스트 트레이 종료용 아이콘(ⓧ)이 터치되면,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 트레이(220)가 사라지고 게스트 트레이 호출용 아이콘(GT)이 다시 나타난다.
10. 기타 변형예
위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ID 카드로부터 획득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사용자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에는, 1)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될 태스크들에 대한 정보, 2)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 및 3) 사용자 정보이다.
하지만, 위 정보들을 다른 수단으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테이블-탑 기기(100)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의 PC, 관리용 서버는 물론이고, 테이블-탑 기기(100)에 내장된 저장매체로부터, 위 정보들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위 정보들을 각기 다른 수단으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3)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 카드로부터 획득하되, '1)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될 태스크들에 대한 정보'와 '2)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의 PC, 관리용 서버 또는 테이블-탑 기기(100)에 내장된 저장매체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
위 실시예들에서는,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사용자 트레이가 제공되는 경우를 상정하였는데, 테이블-탑 기기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의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여러 사용자가 함께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라면, 어느 디바이스라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1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기능 블럭(1010), 터치-스크린(1020), 제어부(1030), 저장부(1040) 및 리더(10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60)을 구비한다.
기능 블럭(1010)은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디바이스가 테이블-탑 기기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디지털 회의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스크린(1020)은 기능 블럭(1010)의 수행 결과, 사용자 트레이, 게스트 트레이 및 태스크 실행 창 등의 G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과, 터치, 드래그 및 D&D 등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0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이 어플리케이션이 불러오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리더(1050)는 사용자 ID 카드에 수록된 정보를 읽어들이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30)는 위 실시예들을 통해 전술한 사용자 트레이를 GUI로 제공하고, 사용자 트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태스크 트레이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서, 태스크 트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에는, 태스크 실행, 태스크 추가, 태스크 삭제, 태스크 스크롤, 태스크 순서 교체, 태스크 하이라이트 등이 있고, 어플리케이션 트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어플리케이션 스크롤, 어플리케이션 순서 교체, 어플리케이션 하이라이트 등이 있다.
또한, 제어부(103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트레이 호출/종료, 사용자 트레이 이동, 사용자 트레이 종료/자동 종료 등을 수행한다.
도 42은 제어부(1030)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30)는 사용자 트레이를 요청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트레이들을 제공한다(S1110).
S1110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트레이에는 태스크 트레이와 어플리케이션 트레이가 포함되어 있다.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되는 태스크들과 어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수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들 마다 각기 다르다.
한편, 최초에는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되는 태스크들이 같았지만, 추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태스크 트레이에 수록되는 태스크들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030)에 S1110단계에서 제공된 사용자 트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한다(S1120). S1120단계 수행 내용은 전술한 태스크 실행, 태스크 추가, 태스크 삭제, 태스크 스크롤, 태스크 순서 교체, 태스크 하이라이트, 어플리케이션 실행, 어플리케이션 스크롤, 어플리케이션 순서 교체, 어플리케이션 하이라이트, 어플리케이션 트레이 호출/종료, 사용자 트레이 이동, 사용자 트레이 종료/자동 종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1 태스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2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수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태스크가 실행된 태스크 실행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태스크를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서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실행 창은 상기 제1 사용자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 표시된 태스크 실행 창이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로 이동되면, 이동된 태스크 실행 창에서 실행된 태스크를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로 수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태스크 실행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서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수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태스크를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을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의 주변에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들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가장 인접한 변에 인접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 최초로 수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매체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록가능한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표시단계는,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의 주변에 위치한 아이콘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최초로 수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매체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 나열 방향은,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에서 태스크 나열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수록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이동 명령된 위치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 이동 표시단계는,
    상기 이동 명령된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에서 상기 제1 태스크 리스트를 바라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3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3 태스크 리스트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3 태스크 리스트를 사라지게 하고, 상기 특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22. 디스플레이; 및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1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가 수록가능한 제2 태스크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록가능한 제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록가능한 제2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PCT/KR2010/003705 2009-06-09 2010-06-09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WO2010143888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77,363 US20120096390A1 (en) 2009-06-09 2010-06-09 Method of providing a user list and device adopting same
EP10786371.4A EP2442219A4 (en) 2009-06-09 2010-06-09 METHOD FOR PROVIDING A USER LIST AND DEVICE FOR APPLYING THIS METHOD
CN2010800262061A CN102460366A (zh) 2009-06-09 2010-06-09 用户列表提供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854A KR20100132174A (ko) 2009-06-09 2009-06-09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2009-0050854 200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3888A2 true WO2010143888A2 (ko) 2010-12-16
WO2010143888A3 WO2010143888A3 (ko) 2011-03-31

Family

ID=4330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705 WO2010143888A2 (ko) 2009-06-09 2010-06-09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96390A1 (ko)
EP (1) EP2442219A4 (ko)
KR (1) KR20100132174A (ko)
CN (2) CN102460366A (ko)
WO (1) WO201014388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0037A (zh) * 2012-03-30 2012-10-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输入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8483B (zh) 2012-11-27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140298246A1 (en) * 2013-03-29 2014-10-02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ic display partitioning based on user number and orientation
GB2530460A (en) * 2013-06-06 2016-03-23 Standard & Poor S Financial Services Llc Financi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user interface
USD740849S1 (en) * 2013-06-27 2015-10-1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1355S1 (en) * 2013-06-27 2015-10-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AU2013206685A1 (en) * 2013-07-04 2015-01-22 Canon Kabushiki Kaisha Projected user interface system for multiple users
US9501205B2 (en) * 2013-12-16 2016-11-22 Sap Se Nature inspired interaction paradigm
US9519398B2 (en) 2013-12-16 2016-12-13 Sap Se Search in a nature inspired user interface
KR102241074B1 (ko) 2014-07-22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13712A1 (en) * 2014-07-22 2016-01-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2022B1 (ko) * 2015-09-24 2017-02-02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5607806A (zh) * 2015-12-21 2016-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511733A (zh) * 2016-01-30 2016-04-20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通过压力触控调整多任务排列顺序的方法、系统和电子设备
KR101980977B1 (ko) * 2017-11-23 2019-05-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자 기반 어플리케이션 그룹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장치
CN109656456B (zh) * 2018-12-25 2020-10-20 杭州达现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界面的目录共享方法及装置
CN109976611B (zh) * 2019-03-21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0582A2 (de) * 2002-03-26 2003-10-02 Biofrontera Discovery Gmbh Fredericamycin-derivate
US20050183035A1 (en) * 2003-11-20 2005-08-18 Ringel Meredith J. Conflict resolution for graphic multi-user interface
WO2005109284A2 (en) * 2004-05-03 2005-11-17 Trintuiti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documents in a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
US20060073891A1 (en) * 2004-10-01 2006-04-06 Holt Timothy M Display with multiple user privacy
JP2007128288A (ja) * 2005-11-04 2007-05-24 Fuji Xerox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US20070124370A1 (en) * 2005-11-29 2007-05-31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table based platform to facilitate collaborative activities
US20080192059A1 (en) * 2007-02-09 2008-08-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display
US8009147B2 (en) * 2007-09-27 2011-08-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touch interfaces for user authentication, partitioning, and external device control
US20090094561A1 (en) * 2007-10-05 2009-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Personalized Documents To Users Of A Surface Computer
US20090132274A1 (en) * 2007-11-15 2009-05-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and Report Preview in a Healthcare Worklist
KR101467881B1 (ko) * 2008-08-18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N101561758A (zh) * 2009-05-20 2009-10-21 深圳北控信息发展有限公司 嵌入式终端应用程序分类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442219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0037A (zh) * 2012-03-30 2012-10-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输入显示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6390A1 (en) 2012-04-19
CN102460366A (zh) 2012-05-16
KR20100132174A (ko) 2010-12-17
EP2442219A2 (en) 2012-04-18
EP2442219A4 (en) 2016-04-20
WO2010143888A3 (ko) 2011-03-31
CN106371747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43888A2 (ko)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WO2016093506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03337A1 (ko) 유아이 조절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WO2012018212A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05605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WO2017135563A2 (en) Multi-screen mobile device and operation
WO201210871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WO2015041438A1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source device thereof
WO201209645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touch display
WO2014123270A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WO2013085146A1 (en) System and method of page sharing by a device
WO2014046385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09103A1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1053058A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hereof
WO2012108620A2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WO2015041436A1 (en) Method of managing control right, client device therefor, and master device therefor
WO2010143839A2 (ko) 컨텐츠 탐색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WO2015005674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40882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929422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chedule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WO2014098539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20496A1 (ko) 동영상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장치, 그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
WO201608518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AU20122149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WO2019168387A1 (en)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26206.1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863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77363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8637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