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022B1 -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022B1
KR101702022B1 KR1020150135580A KR20150135580A KR101702022B1 KR 101702022 B1 KR101702022 B1 KR 101702022B1 KR 1020150135580 A KR1020150135580 A KR 1020150135580A KR 20150135580 A KR20150135580 A KR 20150135580A KR 101702022 B1 KR101702022 B1 KR 10170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locus
area
drag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김인혁
김정한
Original Assignee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Abstract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영역 상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판단부,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는 아이콘 출력부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에 관계 없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등장 이후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하여 고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는 마우스, 키보드 등이 있으며,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펜과 같은 도구가 과거의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대형화 되면서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응용 프로그램, 컨텐츠를 실행하고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영역 상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판단부,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는 아이콘 출력부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입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의 왼쪽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는 드래그 입력이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그리고 상기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되, 실행되는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판단부,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는 아이콘 출력부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입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의 왼쪽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그리고 상기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되, 실행되는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입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의 왼쪽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그리고 상기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되, 실행되는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응용 프로그램, 컨텐츠를 실행하고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핵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표시부(110), 수신부(120), 판단부(130), 아이콘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표시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부(110)는 아이콘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에 아이콘(icon),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contents)를 표시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상기 표시 영역 상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신호는 표시부(110)와 연결된 별도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터치 펜 등이 될 수 있으며, 표시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 장치 또한 특정한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표시 영역에 아이콘,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판단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object)를 검출한다.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는 드래그(drag) 입력일 수 있으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른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궤적과 상기 궤적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궤적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부터 종료 위치까지 연결된 연속적인 선(line)을 의미하며,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궤적이 직선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궤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신호는 마우스에 의해 입력되거나 터치 동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드래그 입력 또한 마우스 또는 터치 동작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는 비전(vision) 기반의 센서 카메라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아이콘 출력부(140)는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그리고, 아이콘 출력부(140)는 판단부(130)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이콘 출력부(140)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콘 출력부(140)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 또는 미리 정해진 종류의 아이콘이 상기 궤적을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에 의한 제어 대상은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아이콘이 상기 궤적을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정렬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해당 컨텐츠를 종료하거나, 정렬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태그를 지정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력되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 중에서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되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 중에서 오브젝트 종료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력되는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동작에 의한 드래그 입력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마우스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되는 동작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다운(touch-down) 지점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업(touch-up) 지점까지 드래그 입력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이 형성된다. 상기 궤적은 도 2에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곡선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궤적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터치-업 지점에서 터치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궤적을 따라 아이콘이 출력된다.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이 출력된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 출력부(140)에 의해 출력되며, 상기 아이콘 출력부(140)는 상기 입력 신호의 입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이콘의 왼쪽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콘의 상하좌우 중에서 좌측이 상기 터치-다운 지점을 향하도록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에 접하도록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와 종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 상에서 스크롤(scroll) 내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롤 내지 이동 동작은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아이콘들이 상기 궤적의 양 끝 부분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서로 겹쳐져(overlap)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상기 궤적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경우에는 상기 궤적의 길이 내에 출력 가능한 개수의 아이콘 만이 출력되고, 나머지 아이콘은 스크롤 동작에 의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설정된 아이콘이 모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동작에 의한 드래그 입력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마우스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되는 동작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b)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다운(touch-down) 지점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업(touch-up) 지점까지 드래그 입력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궤적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터치-업 지점에서 터치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궤적을 따라 아이콘이 출력된다.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이 출력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궤적, 상기 드래그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다운 지점과 상기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업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겹치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로 판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역에는 3개의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상기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이 출력된다.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종료하거나, 회전시키거나, 또는 정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에 접하도록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와 종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 상에서 스크롤(scroll)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상기 궤적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경우에는 상기 궤적의 길이 내에 출력 가능한 개수의 아이콘 만이 출력되고, 나머지 아이콘은 스크롤 동작에 의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설정된 아이콘이 모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컨텐츠인 경우에 출력되는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동작에 의한 드래그 입력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마우스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되는 동작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다운(touch-down) 지점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업(touch-up) 지점까지 드래그 입력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궤적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터치-업 지점에서 터치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궤적을 따라 아이콘이 출력된다.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조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이 출력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궤적, 상기 드래그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다운 지점과 상기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업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겹치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로 판단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역에는 4개의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상기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이 출력된다.
한편, 도 4는 상기 오브젝트가 컨텐츠(contents)인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비디오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종료하거나, 회전시키거나, 정렬시키거나, 또는 태그(tag)를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에 접하도록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가 컨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가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와 달리 상기 오브젝트가 태그를 지정하기 위항 아이콘이 더 출력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컨텐츠에 태그를 지정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출력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컨텐츠에 동일한 형식의 태그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태그가 지정된 컨텐츠들은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컨텐츠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태그를 지정하기 위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거나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태그가 지정된 오브젝트들은 지정된 태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와 종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 상에서 스크롤(scroll)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상기 궤적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경우에는 상기 궤적의 길이 내에 출력 가능한 개수의 아이콘 만이 출력되고, 나머지 아이콘은 스크롤 동작에 의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설정된 아이콘이 모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210), 판단부(220), 아이콘 출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10)은 화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10)은 아이콘 출력부(230) 및/또는 제어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10)은 터치 패널(touch panel)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210)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10)와 수신부(120)의 동작을 하나의 장치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표시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판단부(220)는 드래그(drag) 입력에 따른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은 터치 입력의 시작 지점부터 종료 지점까지 연속된 터치 입력을 의미하고, 상기 드래그 영역은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과,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래그 영역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1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궤적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부터 종료 위치까지 터치 입력을 따라 형성되는 직선 또는 곡선을 의미하며, 아이콘 출력부(230)는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이때, 아이콘 출력부(230)는 판단부(220)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이콘 출력부(230)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콘 출력부(230)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 또는 미리 정해진 종류의 아이콘이 상기 궤적을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에 의한 제어 대상은 상기 드래그 영역에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아이콘이 상기 궤적을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정렬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해당 컨텐츠를 종료하거나, 정렬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태그를 지정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210)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 제어 장치를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아이콘 출력부(230)는 각각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궤적에 따라 복수의 아이콘 그룹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래그 입력의 기준이 되는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이콘 출력부(23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기준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을 따라 아이콘의 상하를 맞춰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아이콘 출력부(230)에 의해 출력된 아이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력되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 중에서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궤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되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 중에서 오브젝트 종료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상기 드래그 영역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이콘 출력부(230)에 의해 출력되는 아이콘과 제어부(24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터치 스크린(210)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판단부(220), 아이콘 출력부(230) 및 제어부(24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판단부(130), 아이콘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ABCD 네 개의 꼭지점을 갖는 사각형의 표시 영역(DA)에 두 개의 드래그(drag) 입력이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사각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드래그 입력은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드래그 입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제1 드래그 입력(DI1)은 a 지점에서 b 지점 방향으로 입력된 드래그 입력을 나타낸다. 이때, 드래그 입력의 기준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이 되므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DI1)은 D 꼭지점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DI1)에 대응하는 궤적 ab를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은 상기 D 꼭지점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상하좌우의 방향이나 기울어진 각도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출력부(140, 230)(도 1 및 도 5 참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이콘 출력부(140, 230)는 상기 아이콘의 왼쪽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드래그 입력(DI1)이 시작되는 지점은 상기 a 지점이므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DI1)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 ab 상에 출력되는 아이콘은, 해당 아이콘의 왼쪽이 상기 a 지점을 향하도록 표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DI1)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출력되는 아이콘이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오브젝트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표시되고,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편한 위치에서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오브젝트를 사용자 기준 최적의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드래그 입력(DI2)은 c 지점에서 d 지점 방향으로 입력된 드래그 입력을 나타낸다. 이때, 드래그 입력의 기준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이 되므로 제2 드래그 입력(DI2)은 B 꼭지점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드래그 입력(DI2)에 대응하는 궤적 cd를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은 상기 B 꼭지점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상하좌우의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드래그 입력(DI1, DI2)에 따른 궤적 상에 출력되는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는 해당 아이콘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는 각각 D 꼭지점 또는 B 꼭지점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상하좌우의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110), 활성 오브젝트 검출 단계(S120), 아이콘 출력 단계(S130) 및 선택된 아이콘에 따른 제어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표시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110)에서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통해 입력되는 드래그(drag)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활성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S120)에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은 터치 입력의 시작 지점부터 종료 지점까지 연속된 터치 입력을 의미하고, 상기 드래그 영역은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과, 상기 드래그 입력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 출력 단계(S130)에서는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scroll)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궤적의 길이가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되는 아이콘의 개수에 비하여 충분히 길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궤적을 따라 출력된 아이콘을 스크롤하여 출력되지 않은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아이콘 출력 단계(S130)에서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출력될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아이콘 출력 단계(S130)에서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이콘이 상기 궤적에 접하도록 아이콘을 출력할 수도 있다.
선택된 아이콘에 따른 제어 단계(S140)에서는 아이콘 출력 단계(S130)에서 출력된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210),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S220),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S230, S240) 및 선택된 아이콘에 따른 제어 단계(S250)를 포함한다.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210),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S220) 및 선택된 아이콘에 따른 제어 단계(S250)에서는, 각각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110), 활성 오브젝트 검출 단계(S120) 및 선택된 아이콘에 따른 제어 단계(S14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며,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S220)에서 활성 오브젝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 출력 단계(S230)에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른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한다.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 또는 미리 정해진 종류의 아이콘이 상기 궤적을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S22)에서 활성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 출력 단계(S240)에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른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한다.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에 의한 제어 대상은 상기 드래그 영역에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아이콘이 상기 궤적을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정렬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해당 컨텐츠를 종료하거나, 정렬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태그를 지정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표시 제어 장치 110: 표시부
120: 수신부 130, 220: 판단부
140, 230: 아이콘 출력부 150, 240: 제어부

Claims (36)

  1.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영역 상에서 드래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드래그 입력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판단부;
    상기 궤적의 입력 방향에 따른 상기 표시부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아이콘의 좌측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아이콘 출력부;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실행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은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궤적, 그리고 상기 궤적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인 표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 가능한 표시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제1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화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판단부;
    상기 궤적의 입력 방향에 따른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아이콘의 좌측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아이콘 출력부;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실행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은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제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영역은 상기 궤적, 그리고 상기 궤적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인 표시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 가능한 표시 제어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표시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은 상기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에 대한 종료, 정렬, 태그 또는 회전 제어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응용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표시 제어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출력부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표시 제어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
  26.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응하는 드래그 영역에서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궤적의 입력 방향에 따른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궤적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아이콘의 좌측이 상기 궤적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을 출력하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실행하며, 실행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은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 실행 아이콘의 표시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제어 방법.
  27. 삭제
  28. 삭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영역은 상기 궤적, 그리고 상기 궤적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인 표시 제어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은 상기 궤적을 따라 스크롤 가능한 표시 제어 방법.
  31. 삭제
  32. 삭제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영역에 활성화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오브젝트 제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표시 제어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아이콘의 중심이 상기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하는 표시 제어 방법.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궤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표시 제어 방법.
  36. 제26항, 제29항, 제30항 또는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35580A 2015-09-24 2015-09-24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0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80A KR101702022B1 (ko) 2015-09-24 2015-09-24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80A KR101702022B1 (ko) 2015-09-24 2015-09-24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22B1 true KR101702022B1 (ko) 2017-02-02

Family

ID=5815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80A KR101702022B1 (ko) 2015-09-24 2015-09-24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174A (ko) * 2009-06-09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20140126949A (ko) * 2013-04-24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174A (ko) * 2009-06-09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20140126949A (ko) * 2013-04-24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651B1 (ko) 타일 정렬 기법
US9400590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 virtual button
US10318146B2 (en) Control area for a touch screen
EP26079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n object on a flexible display in a portable terminal
US844330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ouchless interaction
US20140210797A1 (en) Dynamic stylus palette
US20160283054A1 (en) Map information display device, map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map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5102412B1 (ja)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21076A1 (en) Drawing processing method, drawing program, and drawing device
JPWO2014061097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表示情報操作方法
US9623329B2 (en) Operations for selecting and changing a number of selected objects
US20170285932A1 (en) Ink Input for Browser Navigation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052767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touch panel display method
US104020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gnizing instruction by touch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462583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10802702B2 (en) Touch-activated scaling operation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50015501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11243678B2 (en) Method of panning image
KR101702022B1 (ko)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5998700B2 (ja) 情報機器
US1122175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t the edge of an information element to be displayed
KR101700117B1 (ko)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EP2763020A1 (en) Dynamic stylus palette
WO2013099042A1 (ja)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