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117B1 -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17B1
KR101700117B1 KR1020150104381A KR20150104381A KR101700117B1 KR 101700117 B1 KR101700117 B1 KR 101700117B1 KR 1020150104381 A KR1020150104381 A KR 1020150104381A KR 20150104381 A KR20150104381 A KR 20150104381A KR 101700117 B1 KR101700117 B1 KR 10170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creen
delete delete
authoring tool
pal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돌
김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0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저작도구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면상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내용을 반영하는 인터렉티브 저작기능을 GUI 형태로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저작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하나의 원형 팔렛트로 구성함으로써, 저작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INTERACTIVE ELECTRONIC AUTHORING TOOL,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저작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상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내용을 반영하는 인터렉티브(Interactive)방식의 저작도구(Authoring tool) GUI(Graphic User Interface)형태로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학교 또는 기업에서 강의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진행하는 데 널리 이용되는 화이트 보드는 강의자가 판서만을 수행할 수 있어 정보 전달에 제약이 있으며,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의 경우에는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판서의 어려움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대안으로서, 판서 및 정보전달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전자칠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칠판 방식의 하나로서,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화면상에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판서를 수행하는 동시에 화상을 통해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패널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장치의 설치 및 이동이 어려움에 따라 가정, 소규모 사무실 및 학원 등에 널리 보급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화상을 표시 및 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적외선 발생장치 및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방식이 제안되었다.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방식에서는 빔 프로젝터 및 적외선 인식 센서(sensor)를 준비하고, 데스크탑 또는 랩탑 컴퓨터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빔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화면상에 적외선 펜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일 영역을 가리키면, 적외선 센서가 해당영역의 좌표를 추적하여 이를 포인팅 입력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화면에 반영함으로써, 판서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종래의 컴퓨터 및 빔 프로젝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저가의 적외선 센서 및 포인트만을 구비하고 컴퓨터에 포인트 추적 알고리즘(Tracking Algorithm)이 적용된 적외선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는 것만으로도 전자칠판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적외선 센서를 일반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 연결하여 인터렉티브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도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전자칠판을 이용한 강의 또는 프리젠테이션에서 강의자는 단순히 선, 글자 등과 같은 일반적인 판서수준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전자칠판의 입력수단인 적외선 펜으로 구현할 수 있는 표현이 점 및 선 정도 제한적이며, 선 굵기 조절 및 선 삭제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메뉴창이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기능간 식별이 어려워 강의자의 필기 능률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고 전자칠판에 제공되는 전자저작도구의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한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는, 저작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가 일정영역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화면 상에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형 및,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측단 영역에 위치하는 제2 형을 갖는 팔렛트를 포함하고, 상기 팔렛트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형 및 제2 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의 팔렛트는, 외곽선이 곡선인 원(circle)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형의 팔렛트는, 외곽선이 직선 및 상기 수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바(bar)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의 양측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곽선은, 상기 화면상에서의 상기 팔렛트의 위치 변경시 재드로잉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는, 상기 팔렛트의 중앙에 배치되며, 환경설정기능을 갖는 제1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는, 상기 화면 상의 필기와 관련된 기능을 갖는 제2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는, 상기 화면의 색상 및 크기와 관련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컴포넌트는, 상기 화면의 크기가 확장된 경우, 상기 화면의 일측에 전체 화면에서 현재 포커싱된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는,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과 관련된 기능을 갖는 제4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는, 파일처리와 관련된 기능을 갖는 제5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는, 화면을 외부에 투영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화면상에 이벤트를 감지하는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I/O장치; 상기 화면상에 복수의 컴포넌트가 일정영역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상기 화면 상에서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제1 형 및,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측단영역에 위치하는 제2 형을 갖는 팔렛트를 표시하는 전자저작도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전자저작도구를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팔렛트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형 및 제2 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저작도구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핸들러;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타 모듈들을 제어하는 메인모듈; 상기 메인모듈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팔렛트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팔렛트 드로잉 모듈;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렛트 드로잉 모듈은, 상기 팔렛트에 대한 드래그가 발생하면, 상기 팔렛트의 외곽선을 재 드로잉하는 외곽선 드로잉부; 및 상기 변경된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팔렛트를 제1 형 또는 제2 형으로 전환하는 타입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입 설정부는, 상기 제1 형이면, 외곽선이 곡선인 원(circle)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들이 중앙의 컴포넌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팔렛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입 설정부는, 상기 제2 형이면, 외곽선이 직선 및 수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바(bar)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들이 중앙의 컴포넌트의 양측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팔렛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는, 환경설정기능; 상기 화면 상의 필기와 관련된 제1 및 제2 펜 속성 설정기능; 상기 화면의 배경과 관련된 배경색상 설정기능; 상기 화면의 크기와 관련된 확대축소 기능;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과 기능과 관련된 연동기능; 및 데이터 파일처리와 관련된 저장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확대축소 기능의 실행시, 상기 화면의 일측에 전체 화면에서 현재 포커싱된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방법은, 화상에 대응하는 화면을 외부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화면 내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메모리상에 기록된 전자저작도구를 실행하여, 상기 화면상에 복수의 컴포넌트가 일정영역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화면 상에서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제1 형 및,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측단영역에 위치하는 제2 형을 갖는 팔렛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상기 팔렛트의 위치 변경이면,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팔렛트를 상기 제1 형 또는 제2 형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렛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표시되는 화상을 캡쳐하는 단계; 캡쳐된 화상내 중앙영역에 제1 형의 팔렛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를 상기 캡쳐된 화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렛트를 제1 형 또는 제2 형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팔렛트의 일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드래그에 의해 상기 팔렛트의 위치가 이동되는 단계; 이동된 팔렛트의 위치가 상기 화면의 중앙영역인 경우, 외곽선이 곡선인 원(circle)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팔렛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이동된 팔렛트의 위치가 상기 화면의 측단영역인 경우, 외곽선이 직선 및 수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바(bar)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의 양측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팔렛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렛트의 위치가 이동되는 단계는,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서 상기 외곽선을 재 드로잉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선을 재 드로잉 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전체를 비트맵으로 추출하는 단계; 이동전 팔렛트를 드로잉 하는 제1 사각영역 메소드의 좌표값을 이동후 팔레트에 따라 변경하여 제2 사각영역 메소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각영역 메소드를 호출하여 상기 이동후 팔렛트를 드로잉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는, 환경설정기능; 상기 화면 상의 필기와 관련된 제1 및 제2 펜 속성 설정기능; 상기 화면의 배경과 관련된 배경색상 설정기능; 상기 화면의 크기와 관련된 확대축소 기능;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과 기능과 관련된 연동기능; 및 데이터 파일처리와 관련된 저장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저작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하나의 원형 팔렛트로 구성함으로써, 전자칠판을 이용한 저작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상에서 원형 팔렛트의 이동시 팔렛트의 외곽을 이루는 외곽선에 대해 재 드로잉(drawing)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뭉개짐을 최소화하여 배경화면과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하는 동시에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의 제공방법의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팔렛트의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고정된 이미지의 이동시 외곽선이 거칠어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의 팔렛트의 이동시 드로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의 팔렛트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바형 팔렛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한 인터렉티브 시스템(1)은, 컴퓨터 장치(2), 빔 프로젝터(3), 카메라 모듈(4) 및 적외선 포인터(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저작도구(미도시)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장치(2)의 메모리에 기록 및 실행되어 빔 프로젝터(3)에 의한 화면(scr)상에 플래시 이미지(flash image, Adobe® 社)의 형태의 팔렛트(100)를 화면에 제공하게 된다.
컴퓨터 장치(2)는 특정의 태스크(task)를 수행하거나, 루틴(routine), 프로그램(program), 객체(object), 컴포넌트(component),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program module)을 실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서, 범용적인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멀티프로세서 시스템(multi process system),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 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제품, 네트워크 컴퓨터 및 메인프레임 등을 비롯한, 기타 컴퓨터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2)로는 I/O 장치(Input/Output device), 메모리(Memory), 중앙처리장치(CPU) 및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를 비롯한 다양한 장치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System bus)를 포함하는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전자저작도구를 실행하고 화상을 재생하며, 이를 빔 프로젝터(3)를 통해 화면(src)에 표시한다. 또한 인터렉티브(Interactive) 기능으로서, 화면(src)상의 사용자(usr)에 의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화상에 반영한다.
빔 프로젝터(3)는 컴퓨터 장치(2)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img)을 광 신호 형태로 화이트 보드(White Board)등에 투영함으로써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빔 프로젝터(3)로는 연결된 컴퓨터 장치(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광 신호로 형태로 벽 등에 투영하여 표시하는 범용적인 빔 프로젝터(3)가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은 빔 프로젝터(3)에 의해 구현된 화면(src)의 전면(全面)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컴퓨터 장치(2)에 전송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4)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그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은 화면(src)상에서 사용자(usr)에 의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벤트는 적외선 펜(5)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광의 추적을 추적함으로써 감지된다. 일 예로서, 사용자(usr)가 적외선 펜(5)을 이용하여 화면(src)과 중첩되도록 판서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카메라 모듈(4)은 적외선 광의 깜박임 또는 이동경로를 이벤트로서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4)은 화상(img)내 이벤트에 대하여 감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실제 이벤트 인식은 컴퓨터 장치(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적외선 펜(5)는 사용자(usr)의 동작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적외선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usr)는 화면(src)내에서 적외선 펜(5)을 이용하여 필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 적외선 펜(5)으로부터 적외선 광이 방출되고 카메라 모듈(4)이 그 광을 이벤트로서 감지하여 컴퓨터 장치(2)에 전달함으로써 인터렉티브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시스템(1)은 사용자(usr)의 필기(txt)와 같은 이벤트 인식기능 뿐만 아니라, 필기(txt)에 보다 다양한 시각적 효과 및 부가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화면(src)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인 팔렛트(10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렛트(100)는 화면(src)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며, 사용자(usr)의 이벤트에 대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컴포넌트(Component)로 이루어져 있다. 각 컴포넌트는 환경설정기능, 필기시의 선 효과, 굵기 및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 화면의 색상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 외부장치와의 연동기능 및 파일처리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팔렛트(100)는 시각적 효과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화면(src)의 중앙으로 배치시에는 원(circle)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usr)는 화면(src)상에서 드래그(drag)를 통해 그 위치를 변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src)의 중앙이 아닌 상하좌우로 각 측단에 배치할 경우, 그 형태를 측단에 적절하도록 바(bar)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usr)는 팔렛트(100)의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동작 즉, 전자 펜(5)을 이용하여 컴포넌트 중 어느 하나를 포인팅하여 상기 나열된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2)는 전자저작도구가 프로그램 형태로 기록된 범용적인 컴퓨터 장치(2)로서, 화면을 외부에 투영하는 빔 프로젝터(3) 및 상기 화면상에 이벤트를 감지하는 카메라 모듈(4)과 연결되는 I/O장치(23)와,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모니터(6)와 연결되는 비디오 어뎁터(25)와, 화면상에 복수의 컴포넌트가 일정영역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상기 화면 상에서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제1 형 및,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측단영역에 위치하는 제2 형을 갖는 팔렛트를 표시하는 전자저작도구(22c)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22)와, 상기 전자저작도구(22c)를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21)와, 하드 디스크 등을 구동하는 디스크 드라이브(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22c)의 팔렛트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형 및 제2 형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O 장치(23)는 컴퓨터 장치(2)와 외부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3) 및 카메라 모듈(4)을 컴퓨터 장치(2)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usr)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컴퓨터 장치(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I/O 장치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며, 직렬포트, 병렬포트, 게임포트,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는 I/O 장치(23)를 통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들과 더 연결될 수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24)는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하드디스크 및 자기디스크 등(미도시)과 연결되며, 그 하드디스크로부터 판독을 하고 그에 기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24)는 CD-ROM, DVD-ROM, BL-ROM 및 기타 광 매체의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24)는 시스템 버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 장치(2)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인 기록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등의 프로그램은 디스크 드라이브(24)를 통해 하드디스크, 자기디스크 및 광 디스크 등으로부터 판독되어 메모리(22)에 상주될 수 있다.
메모리(22)는 운영체제(22a),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b) 및 본 발명의 전자저작도구(22c)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기록되는 것으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는 컴퓨터 장치(2)의 부팅시, 각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비디오 어댑터(Video Adapter, 25)는 모니터(6) 또는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2)의 명령에 따라,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어댑터(25)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빔 프로젝터(30)와는 독립적인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혹은 현재 빔 프로젝터(3)와 동일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System Bus)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주변 장치 버스 및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구조들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컴퓨터 장치(2)는 중앙처리장치(21)가 메모리(22)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22b)등의 실행에 따른 화상을 I/O 장치(23)를 통해 빔 프로젝터(3)로 전송하고, 빔 프로젝터(3)는 그 화상을 화이트 보드 등에 투영하여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22b)은 워드 프로세서(Word Processor), 파워 포인트(Powerpoint®) 등 일 수 있으며, 화상은 그 프로그램에 의한 문서 자료일 수 있다.
이후, 카메라 모듈(4)이 화면을 감지하여 컴퓨터 장치(2)에 전달하면, 전자저작도구(22c)는 화면내 이벤트를 인식하고, 팔렛트를 화상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전자저작도구(22c)는 사용자의 필기 및 그리기 등의 저작시에 팔렛트의 컴포넌트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시각적 효과를 주거나,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저장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전자저작도구(22c) 화면상에서 팔렛트의 위치가 변경되면, 그 위치에 대응하여 팔렛트의 외형을 원형 또는 바형(Bar)으로 전환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22c)는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로 이루어지며, 이벤트 핸들러(210), 메인모듈(220), 팔렛트 드로잉 모듈(230) 및 컴포넌트(240)을 포함한다.
이벤트 핸들러(21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모듈(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전자 펜에 의한 포인터의 이동, 대기 및 깜박임 등으로 대표될 수 있으며, 이벤트 핸들러(210)는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전자저작도구(22c)가 제공하는 팔렛트에 대한 명령을 메인모듈(220)에 입력한다.
메인모듈(220)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 모듈 및 컴포넌트들(24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벤트 발생시, 메인모듈(220)은 팔렛트 드로잉 모듈(230) 및 컴포넌트(240)를 호출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응한 결과를 반환하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이벤트가 팔렛트의 기능 중, 배경색상 설정에 대한 컴포넌트가 선택되면, 메인모듈(220)은 해당 컴포넌트(240)를 호출하고, 컴포넌트(240)는 배경색상 설정기능(244)에 대한 메소드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반환하게 된다.
팔렛트 드로잉 모듈(230)는 팔렛트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며, 팔렛트의 외곽선을 드로잉하는 외곽선 드로잉부(231) 및 팔렛트의 위치에 따라 형태를 결정하는 타입 설정부(232)로 구분될 수 있다.
초기값으로서 팔렛트는 하나의 이미지로서 하나의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하여 타 컴포넌트들이 둘러싸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화면상에 표시되며, 외곽선 드로잉부(231)는 설정값에 따라 팔렛트의 외곽선을 구성한다. 이때, 외곽선 드로잉부(231)는 초기 표시된 팔렛트에 대하여 위치 변동시 마다 팔렛트의 좌표값에 대응하여 외곽선을 재 드로잉 하게 된다.
여기서, 팔렛트의 위치는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화면상의 임의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팔렛트가 중앙영역이 아닌 화면의 각 측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팔렛트의 타입은 제2 형으로 결정되며,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위치하고, 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의 양측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타입 설정부(232)는 현재 팔렛트의 위치좌표를 식별하고, 화면의 측단으로 판단되는 경우, 컴포넌트의 배치를 바 형태로 전환하게 된다.
컴포넌트(2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기능별로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기능이 하나의 모듈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240)는 환경설정기능(241), 제1 펜 속성 설정기능(242), 제2 펜 속성 설정기능(243), 배경색상 설정기능(244), 확대축소 기능(245), 연동기능(246) 및 저장기능(2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설정기능(241)은 팔렛트를 사용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화면상에 팔렛트를 표시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비표시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언어선택, 도움말 기능 및 버전확인 기능 등을 제공한다.
제1 펜 속성 설정기능(242)은 사용자의 필기시, 선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굵기의 선을 표시하는 일반펜, 선 굵기가 달라지는 붓펜 및, 반투명 선에 대응하는 형광펜 등을 제공한다.
제2 펜 속성 설정기능(243)은 선의 굵기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기능이다.
배경색상 설정기능(244)은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이 아닌, 필기내용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단색 또는 단패턴으로 배경색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캡쳐된 화상을 단색화상으로 변경하게 된다.
확대축소 기능(245)은 화면을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화면 확대시 전체 화면에서 현재 포커싱된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을 제공할 수 있다.
연동기능(246)은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 이외에, 컴퓨터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이를 화면에 반영하는 기능이다.
저장기능(247)은 화면상의 화상 및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컴퓨터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컴퓨터 파일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연결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동영상 및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의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의 제공방법의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팔렛트의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이용하여 구축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화면(src)상에 화상(img)을 표시하며, 화상(img)과 중첩되도록 전자저작도구가 GUI로서 팔렛트(100)를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전자 펜(5)을 이용하여 화면(src)상에 필기(txt) 등의 저작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전자 펜(5)은 적외선 광을 방출하여 화면(src)상에 포인트(P1, P2)를 표시하게 된다. 전자저작도구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트(P1, P2)를 추적하고, 이에 따른 이벤트를 판단한다. 예시된 바에 따라, 전자 펜(5)이 제1 포인트(P1)에서 특정 경로를 따라 제2 포인트(P2)로 이동하면, 전자저작도구는 이를 추적하여 그 이동경로(L)에 따른 선을 화상(img)에 반영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이 전자저작도구가 제공하는 팔렛트(100)의 설정값에 의해 그 색상 및 굵기 등이 결정되게 된다.
팔렛트(100)는 다양한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컴포넌트(101 ~ 107)들의 집합으로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그 기능들을 확인하는 동시에 선택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컴포넌트(101 ~ 107)들은 그 기능을 상징하는 하나이상의 아이콘(icon)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펜 속성과 관련된 컴포넌트(102)는 펜 이미지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배경 크기설정과 관련된 컴포넌트(105)는 돋보기에 "+", "-"가 합성된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팔렛트(100)의 컴포넌트(101 ~ 107)별 기능을 설명하면, 환경설정 컴포넌트(101)는 팔렛트(100)의 환경설정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화면상에 팔렛트를 표시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비표시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언어선택, 도움말 기능, 버전확인 기능 등을 제공한다. 예시와 같이 환경설정 컴포넌트(101)는 제품을 상징하는 로고 이미지로 표시될 수도 있다. 특히, 환경설정 컴포넌트(101)는 로고 일 뿐만 아니라, 팔렛트(100) 기능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므로, 팔렛트(100)의 중앙에 배치하여 식별력이 있도록 한다.
제1 펜 속성 컴포넌트(102)는 펜 속성 중, 선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선이 진행하는 동안 일정한 굵기를 계속 유지하는 일반적인 펜의 효과를 갖는 일판펜과, 선이 진행하는 동안 그 속도에 따라 굵기가 가변하는 붓펜과, 반투명으로 배경과 중첩되어 선이 표시되는 형광펜과, 필기된 선을 지우는 지우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지우개 기능은 화면 전체를 지우는 "All", 일부만을 지우는 "*" 등의 부가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제2 펜 속성 컴포넌트(103)는 펜 속성 중, 선의 색상 및 굵기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필기되는 선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선의 기본 굵기를 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1 펜 속성 컴포넌트(102)에서 굵기가 가변되는 붓펜이 설정되면 그 최소굵기를 결정하게 된다.
배경설정 컴포넌트(104)는 필기시 그 내용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배경을 단색 또는 단패턴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예로서, 사용자가 화이트 보드와 같은 효과를 얻고자 하면, 제4 컴포넌트(104)를 선택하여 배경을 화이트로 설정하면, 화면전체에 화이트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크기설정 컴포넌트(105)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크기설정 컴포넌트(105)는 100%, 150% 및 200% 등의 배율에 대한 설정값을 제공하거나, 또는 확대 아이콘 및 축소 아이콘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크기설정 컴포넌트(105)는 원 화면크기 즉, 100% 이하의 크기에 대한 축소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현재 화면이 100% 이상인 경우, 100% 로의 축소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크기설정 컴포넌트(105)는 화면 확대시 전체 화면에서 현재 포커싱된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mp)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 화면의 영역에서 어느 부분에 대한 저작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연동 컴포넌트(106)는 전자저작도구와 타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자저작도구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은 프로그램의 실행시 화면상에 필기 등의 저작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며, 그 화면을 현재 화면을 워드 프로세서 또는 에디터 등의 외부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파일의 화면으로 대체하여 저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연동 컴포넌트(106)는 컴퓨터 장치의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매체 또는 메모리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캡쳐하여 화면에 반영하게 된다.
파일처리 컴포넌트(107)는 화면상의 화상 및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컴퓨터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저장되는 파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는 동영상 파일 또는, 마지막 화면내용이 그대로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은 컴퓨터 장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연결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시 화면상에 불러 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이면서도 사용하기 용이한 GUI 형태의 팔렛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팔렛트(100)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펜(5)을 이용한 이벤트로서, 사용자가 팔렛트(100)를 포인팅 후 드래그(drag)하여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만약 팔렛트(100)의 외곽선이 특정 해상도를 기준으로 드로잉되어 고정된 이미지를 그대로 표시하는 방식이라면, 화면의 해상도(resolution)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도트(dot)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외곽선이 거칠게 표시되게 되며(A), 이는 심미적인 효과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팔렛트의 좌표이동에 응답하여 외곽선을 재 드로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도 6b를 참조하면, 먼저 화면전체에 대한 비트맵 값(Screen Bmp)을 추출한다. 이어서, 이동전 팔렛트를 드로잉하는 제1 사각영역 메소트(DrawRect)의 좌표값을 변경하여 이동후 팔렛트를 드로잉하는 제2 사각영역 메소트(TargetRect)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비트맵 값을 참조하여 이동후 팔렛트에 대응하는 제2 사각영역 메소드(TargetRect)을 호출하여 팔렛트를 드로잉 함으로써, 팔렛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팔렛트는 원형에서의 직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편의성에 따라,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면상의 4 측단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 될 때, 자동으로 바 형태로 전환되어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의 팔렛트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바형 팔렛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src)의 중앙영역에 팔렛트(100)가 배치되는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5)을 이용하여 팔렛트(100)를 드래그(drag)함으로써 화면의 측단영역 즉, 하단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전자저작도구는 원형 팔렛트(100)를 바형 팔렛트(110, 120)로 전환하게 된다.
바형 팔렛트(110)는 화면의 하부 최측단으로 길이방향이 화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되며, 그 중심으로 제1 컴포넌트(111)가 배치된다. 또한, 제1 컴포넌트(111)의 양측으로 제2 내지 제7 컴포넌트(112 ~ 117)들이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좌측으로 이동시에는 바형 팔렛트(120)는 수직방향으로 우측단과 평행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자저작도구는 화면(src)상에서 현재 팔렛트(100)의 위치를 판단하여 화면(src)의 중앙영역에서 벗어난 측단영역인 경우, 각 컴포넌트의 배치를 재정렬하여 바형 팔렛트(110)로 전환한다. 여기서, 각 컴포넌트들(111 ~ 117)의 기능은 원형 팔렛트(100)와 동일하며, 그 형태 및 배치에만 차이가 있다. 특히, 바형 팔렛트(110)는 일 방향으로 컴포넌트들(111 ~ 117)이 배치됨에 따라 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며, 일부 컴포넌트들(112, 113)은 확장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펜 속성 컴포넌트(112, 113)의 지우개 기능과, 선의 색상 및 굵기를 결정하는 기능은 다수의 설정값이 요구됨에 따라, 해당 컴포넌트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연관된 확장 아이콘(113a)들이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바형 팔렛트(110) 또한 원형 팔렛트(100)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형 팔렛트(110)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들(111 ~ 117)은 전술한 원형 팔렛트(100)의 컴포넌트들과 동일하게 각각 환경설정기능, 제1 및 제2 펜 속성 설정기능, 배경색상 설정기능, 확대축소기능, 연동기능 및 저장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작도구는 팔렛트의 위치에 따라 그 구조를 적합한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저작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복수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과 같이, 컴퓨터 장치에 의한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내장된 메모리 또는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 뿐만 아니라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 : 인터렉티브 시스템 2 : 컴퓨터 장치
3 : 프로젝터 4 : 카메라 모듈
5 : 전자 펜 100 : 팔렛트
txt : 필기 img : 영상
src : 화면 usr : 사용자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전자저작도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프로젝터를 통하여 화상에 대응하는 화면을 외부에 투영하는 단계;
    이벤트 핸들러가 상기 화면 내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팔렛트 드로잉 모듈이, 상기 화면상에 복수의 컴포넌트를 일정영역으로 구획 배치하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들이 화면 상에서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제1 형 및,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들이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측단영역에 위치하는 제2 형을 갖는 팔렛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상기 팔렛트의 위치 변경이면, 상기 팔렛트 드로잉 모듈이 상기 팔렛트의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팔렛트를 상기 제1 형 또는 제2 형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팔렛트를 제1 형 또는 제2 형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핸들러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팔렛트의 일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이벤트 핸들러가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상기 팔렛트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팔렛트 드로잉 모듈이, 상기 이동된 팔렛트의 위치가 상기 화면의 중앙영역인 경우, 외곽선이 곡선인 원(circle)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팔렛트를 구성하고, 상기 팔렛트 드로잉 모듈이 이동된 팔렛트의 위치가 상기 화면의 측단영역인 경우, 외곽선이 직선 및 수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바(bar)형이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중앙에 배치되며, 나머지 컴포넌트가 중앙의 컴포넌트의 양측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팔렛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팔렛트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측단 영역 내에서의 위치 변경시에도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서 상기 팔렛트의 외곽선을 재 드로잉 하되,
    상기 팔렛트의 외곽선을 재 드로잉 하는 단계는,
    상기 팔렛트 드로잉 모듈이 화면 전체에 대한 비트맵 값(screen bmp)추출하는 단계와, 이동전 팔렛트를 드로잉하는 제1 사각영역 메소트의 좌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이동 후 팔렛트를 드로잉하기 위한 제2 사각영역 메소트를 도출하는 단계와,상기 추출된 비트맵 값을 참조하고 상기 제2 사각영역 메소트를 호출하여 상기 화면 상에 이동 후의 팔렛트를 재드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를 제공하는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50104381A 2015-07-23 2015-07-23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KR10170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81A KR101700117B1 (ko) 2015-07-23 2015-07-23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81A KR101700117B1 (ko) 2015-07-23 2015-07-23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117B1 true KR101700117B1 (ko) 2017-02-01

Family

ID=5810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81A KR101700117B1 (ko) 2015-07-23 2015-07-23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26B1 (ko) * 2008-06-16 2009-12-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자세를 감지하여 메뉴 아이콘이 움직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48934A (ko) * 2011-07-14 2014-04-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동적 컨텍스트 기반 메뉴
KR20140133081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26B1 (ko) * 2008-06-16 2009-12-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자세를 감지하여 메뉴 아이콘이 움직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48934A (ko) * 2011-07-14 2014-04-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동적 컨텍스트 기반 메뉴
KR20140133081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74686A1 (en) Content Relocation on a Surface
CN108733296B (zh) 书写笔迹的擦除方法、装置和设备
US10379706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changing size of display window on screen
KR102393295B1 (ko)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3517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0131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774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03597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20180046351A1 (en) Controlling display object on display screen
WO2018198703A1 (ja) 表示装置
US2014016499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contents
JP6349811B2 (ja) 映像信号出力装置、映像信号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84772B2 (en) Document view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30293495A1 (en) Method for inputting touch and touch display apparatus
US2014022333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ynamic map-type graphic interface
KR101700117B1 (ko) 인터렉티브 전자저작도구, 이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및 방법
US201703514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16795273A (zh) 交互式屏幕展示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JP7247554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5954146B2 (ja) 補正方法、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補正プログラム
US20140223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dynamic map-type graphic interface
US2018012946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system
KR20200033640A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12563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5929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