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87650A2 - 이단자립 낚시찌 - Google Patents

이단자립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87650A2
WO2010087650A2 PCT/KR2010/000562 KR2010000562W WO2010087650A2 WO 2010087650 A2 WO2010087650 A2 WO 2010087650A2 KR 2010000562 W KR2010000562 W KR 2010000562W WO 2010087650 A2 WO2010087650 A2 WO 201008765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e
fishing
self
bobb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05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87650A3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ublication of WO201008765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7650A2/ko
Publication of WO201008765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765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in particular, a bobbin protruding from the bobbin body, and having a centerpiece to allow access to the inside of the bobbin and the bobbin body before being thrown, the centerpiece is contracted into the bobbin, so that the entire volume is small and thrown. Since the center can be extended to the self-supporting bobber that can be thrown in the desired position.
  • the center bar is stretched faster in the throwing state, so that the thrown fly can be freed up more quickly, and it is easier to throw, and it is self-supporting with a small weight, making it more sensitive. It is about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be detected.
  • fishing bobbers are tied to a fishing line and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hen a fish catches a bait and catches on a fishing hook, the fishing bobber swings and is used as a means to signal a fisherman to catch a fishing hook.
  • These bobbers have holes and rods, and they are divided into self-supporting and non-independent fishing bobbers, respectively.
  •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s attached to itself and stands straight from the beginning, so it is possible to grasp the quality of the food while it is going down.
  • the non-independent fishing bobber is not added to the bobber itself. It means that the weight and lure sink as the steam doesn't stand until it reaches the desired point.
  • Non-magnetic fishing bobb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the depth because the bobber will lay down if it is caught in the shallow pla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aves can not be stabilized and shake a lot when the waves are rough.
  • the self-supporting sticks are composed to connect to the underwater bobbers by using the bures because they have a slender scale marked on the top, the trunk of the middle part which determines buoyancy, and a hole at the bottom to connect with the fishing line. It is short, wide and composed of bells that penetrate through the fishing line, and when the wind is blowing a little, or when the activity of the fish is active at high waves, or when conditions such as where the waves break or form foam are given. Used.
  • the fishing bobbin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fishing bobbin according to this patent document is provided with a vertic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uoyant body 100 and buoyant body 100 act as buoyancy.
  • a fishing line through-hole 22 and a water line 210 and a vertical cutting groove 230 formed at the top and provided with a fishing line are provided at the top and are accessible from the vertical through-hole formed in the body 100.
  • a fishing line through-hole 40a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enetrates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bar 400 and the center bar 40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shing line through hole 40a formed in the center bar 4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ight (300) formed with a through hole (30a) opposed to.
  •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rown in a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23, and after being thrown, is further tilted downward to stand vertically as shown in FIG. 24.
  •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s in a state where the knot of the fishing line is caught at the inner end of the center, that is, the inner end of the center contracted to the claw in the first thrown state as shown in FIG. 23, and in this state, the weight of the weight In this state, the weight and the sawdust act like a seesaw around the middle part of the body,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sawtooth acts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which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 the weight of the weight and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claw saw and the water act on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center of the tail body, they must be heavy enough to overcome the surface tension of the claw saw.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should be heavy.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spring to push the center belt outwards to extend the center belt in the throwing state, so that the throwing is easier to throw, It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stand on its own with a small weight and detect a more sensitive mouth.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nfigured so that the fishing line and the rear row are not entangled with each other by allowi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er bar to exceed the top of the jigsaw so that the center bar is not caught on the top of the jigsaw during stretch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be obtained faster by being loaded on the weight when the weight of the weight is centered on the bobbin body by the knot formed on the fishing line is caught on the weight.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nfigured to be visible from all directions without hindering the claw saw while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chemical light to the bottom of the bobbin.
  • a hollow tooth saw hav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coupl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 a center bar provided to be accessible from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ail body and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 hole formed in a length direction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 a weigh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ail body;
  •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fixing tube,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mprising a spring that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to push the center to the outside.
  • the weight and the fitting is coupled to the lower fixed tube at the same time, and further comprises a hand-fitting fitting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weight and the lower fixed tube when throwing.
  • This underwater bobbin has an in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fixed tube together with the shape of the weight, and before throwing, the underwater bobbin is fitted to the weight and the lower fixed tub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underwater bobbin due to the impact on the water surface during the throwing Are separated and Bonchi is freestanding vertically, and the gear is aligned.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fixing tub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acted before being thrown into the center of the bobbin and the bobbin body before being thrown, and the fishing line is thrown through the center of the bobbin body and the bobbin and the center rod so that the fishing line is caught on another part of the bobb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rowing and tangling, and to make throwing easier. In addition, the overall volume is reduced, which reduces the wind resistance, so that the throwing can be easily carried out at a desired place. By the reaction of buoyancy of the central zone is extend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dependent.
  • the center belt 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weight and the bobbin body is far away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down and accordingly, even if using a small weight can be easily self-supporting, using such a small weight whole fishing bobber The lighter the weight, the more sensitive the effect can be confirmed.
  •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over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tooth saw there is no fear of catching on the top of the tooth saw when the center pole is stretched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tooth saw is rounded so that the fishing line can be quickly settled This can minimize the risk of tangling the fishing line and the back line at the throwing point.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hemie Wright stand and Chemie Lite installed in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center of gravity,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y to visually identify even if the angle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ngler.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eestanding bobber shown in FIG. 1.
  •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stage is extended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of the contraction state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6.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ixing tube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hemite stand portion and a tooth saw of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one modified form of FIG. 12.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chemirite holder shown in FIG.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chemite stand shown in FIG. 14 is fixed to a jaw saw.
  • 16 to 18 ar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hemierite rack.
  • FIG. 19 to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irst throwing state
  •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ar is extended by a spring extended state
  •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starts to tilt
  •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standing fishing bobber stands vertically.
  • FIG. 23 and 2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ntional self-supporting bobber
  • Figure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at the first throw
  • Figure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eestanding bobber is vertically standing.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ar constituting the independent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tracted state of the center rod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6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ixing tube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hemistry of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light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one of the modified form of FIG. 12, and
  • FIG. 1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milite holder shown in FIG. 13.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mite stand shown in FIG.
  • FIGS. 16 to 18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hemite stand
  • FIGS. 19 to 22 show
  • Figure 1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irst throwing
  •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ar is extended by a spring
  • Figure 21 is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started to be inclined
  • FIG. 22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stood vertically.
  •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s provided with a vertical through-hole (1a)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uoyancy acts on the buoyancy;
  • a hollow bobbin (2)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bbin body (1) and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 hole (22) into which a fishing line is fitted;
  • a center stage 4 installed to be accessible from a vertical through hole 1a formed in the tail body 1 and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 hole 4a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 weight (3)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stage (4) and having a through hole (3a) opposed to a vertical through hole (1a) formed in the tail body (1);
  • Upper and lower fixing pipes 6 and 7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 holes 1a and serving as passages through which the center bar 4 is stretched and contracted;
  •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fixing tube (7),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43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4) for pushing the center (4) outwards
  • the bobbin body 1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he diameter of which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and the top of the bobbin 2 is provided, and the bottom 3 is provided with a weight 3.
  • the jig saw 2 is a par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which is actually a part that the user can check the granularity is composed of a color contrasted with water and preferably luminous.
  • the bobbin 2 is made of a hollow thin pipe formed at the top of the fishing line through-hole 22 to which the fishing line is fitted, and can be fixed or detachably assembled at the top of the bobbin body 1.
  • the side wall of the claw saw (2) is further vertically formed in the vertical cutting groove (23) to move the fishing line up and down so that the fishing line is thrown in the state fitted to the fishing line through-hole 22 formed on the top of the claw saw (2),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fishing line moves along the vertical incision groove 2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body 1 so that the fishing bobber is not inclined even when the fishing line is pulled taut.
  • the fishing line through-hole 22 formed in the claw saw (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riction preventing ring (not shown) for reducing friction with the fishing line. That is, a friction preventing means made of resin or metal of high strength but low friction material, such as titanium, may be provided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shing line.
  • a plurality of vents 21 are further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peg 2 to reduce wind resistance.
  • the wind is blown in a state in which the bobber is thrown into the water and is standing vertically, the bobbin 2 is shaken by the resistance of the wind, so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wind as much as possible.
  • an upper end of the saw blade 2 forms a rounded inclined surface as shown, and the fishing line through-hole 2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ounded inclined surface.
  • the lower end of the fixing ring 5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stand 4 is designed not to exceed the upper end of the jaw saw 2, so that the fixing ring 5 is extended to the saw saw 2 when the center stand 4 is extended.
  • the fixing ring 5 is extended to the saw saw 2 when the center stand 4 is extended.
  • the anti-friction ring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fishing lin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bobbin 1, but the portion causing the friction with the fishing line is the upper portion and the weight 3 of the fishing line through hole 4a formed in the center bar 4. It is desirable to reduce friction with the fishing line by installing an anti-friction ring (not show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 the weight 3 may be detachab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bar 4, and as shown in FIG. 9, a fishing line through hole formed b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center bar 4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 through hole 3a is formed to face 4a.
  • the through hole 3a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knot so that the knot formed in the fishing line does not pass.
  • both ends of the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reduce the wear of the fishing line.
  • the center stage 4 is installed to be stretched into the interior of the tail body 1 as being substantially additionally installed, consisting of a wide portion 41 of the lower side and a narrow portion 42 of the upper side between the two parts
  • the locking jaw 43 is formed.
  • the center stage 4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upper and lower fixing pipes 6 and 7.
  • the upper fixing tube (6) and the lower fixing tube (7) all form a 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outer end of the tail body 1, that is, the upper and lower fixing tube (7) of the upper fixing tube (6)
  • the lower leakage preventing blades 61 and 71 ar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vertical through hole 1a so as to cover the vertical through hole 1a formed in the tail body 1.
  • grooves 71a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expose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fixing tube 7.
  • the leakage preventing wings 61 and 71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tail body 1 as shown in FIGS. 3 to 7 so that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tail body.
  • the engaging jaw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fixing tube 6, the engaging groove (2a)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jaw saw 2 is fitted into the jaw saw (2) It is to be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upper fixing pipe (6).
  •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xing pipe (6) is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chamfered less friction to reduce the friction with the fishing line.
  • the structure which can be called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is the spring 8 mentioned above.
  • the spring 8 which serves to push the center belt 4 outward is further configured to allow the center belt to be extended more easily, and the locking step 43 formed at the interruption of the center belt 4 is performed. ) Is caught by one end of the spring (8) is the center belt (4) contra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 can be pushed out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extend.
  • the spring 8 is installed as a means for pushing the center bar 4 outward, the spring 8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ixing tube 7 as shown in FIG. A wide portion 81 having a diameter; It is comprised by the narrow part 82 which has a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narrow part 42 which comprises the said center stand 4.
  • the spring 8 composed of the wide portion 81 and the narrow portion 82 is enlarged in FIGS. 4 and 7, and one end thereof is a portion at which the upper fixing tube 6 and the lower fixing tube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interposed and fixed, and the other end part is put in the state which is not fixed anywhere.
  • the hand float 10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 the underwater hand 10 has an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weight 3 and an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lower fixing tube 7.
  •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in the drawing of the underwater bobbin 10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body (1).
  • the hand bobber 10 having such a structure is fitted to the weight 3 and the lower fixed pipe 7 at the same time, and is separated from the weight 3 and the lower fixed pipe 7 during the throwing to serve as a hand float. .
  • the center bar 4 extends outward, and the weight 3 is separated from the bobbin body 1 by weight.
  • the weight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an be obtained in a vertical position faster.
  • the fishing line is pulled by the weight of another weight suspended on the fishing line, the knot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ulled fishing line is caught inside the through hole 3a formed in the weight 3, and thus the knot is caught in the through hole 3a.
  • the weight of the lower weight (3) and the other weight is to be caught in the lower end of the center bar (4) can be obtained from the center bar (4) to stand vertically faster.
  • the fixing ring 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stand 4 as a means for fixing the center stand 4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ail body 1.
  • a 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is formed in the fixing ring 5, and an arc-shaped edge portion 5a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e.
  • the fixing ring 5 is made of a material of low friction such as titanium to reduce friction with the fishing line.
  •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emistry light 24b and a chemistry stand 24 to which it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 1 and in particular FIG. 12.
  • the chemite which is plugged into the chemite stand 24, is used as a means for making the bobs more visible at night.
  • the chemite stand 24 including the chemite 24b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g saw 2.
  • the chemistry stand 24 has a structure capable of emitting light of the chemistry 24b in all directions, and has a light emitting port 24c capable of emitting light toward the bonding site that is coupled to the claw saw 2.
  • the light emitting port 24c formed in the chemite stand is coupled to the chuck top 2 so that the chemite stand 24 communicates with any one of the air vents 21 provided in the chuck saw 2. .
  • the chemistry stand 24 is also shown in FIG. 12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light from the chemite 24b is irradiated so that the chemite 24b can be easily removed and inserted, with the lower part partially exposed in the drawing. Is provided. Through the exposed portion, the chemite 24b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chemite stand 24 by raising the chemite 24b upward in the drawing by means of a user's finger or the like.
  • the chemistry stand 24 may in particular be directly fixed to the claw saw 2 as shown in FIG. 12, bu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itting member 28 as shown in FIGS. 13 and 14. .
  • the opposing side surface of the chemistry stand 24 of the fitting member 28 wa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tting system was easy.
  • the material of the fitting member 28, but a material having a restoring property upon opening will be preferable.
  • Such a chemistry stand provid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remove and u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chemite is not necessary, especially during the day when the amount of sunlight is abundant.
  • the chemistry light (2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hemistry can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claw saw (2).
  • the chemistry stand 24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top center of the top 2 as shown in FIG. 16, or at the sidewall of the top of the top 2 as shown in FIG. 17. In addition, the chemistry stand 2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g saw 2, as shown in FI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된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립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란하게 관통홀이 형성된 추,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단자립 낚시찌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찌몸체로부터 돌출된 찌톱과 상기 찌톱과 찌몸체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게 중심대를 구비하여 투척 전에는 중심대가 찌톱의 내부로 수축되어 전체 부피가 작고, 투척 후 중심대가 신장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투척이 가능한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특히,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된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싯줄에 매어서 수면 위로 뜨게 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에 걸리게 되면 낚시찌가 요동되어 낚시꾼에게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다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이러한 낚시찌에는 구멍찌와 막대찌가 있으며, 이들을 각각 자립 낚시찌와 비자립 낚시찌로 구분한다.
자립 낚시찌는 자체에 추가 부착되어 있어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찌이고, 비자립 낚시찌는 찌 자체에는 추가 없어 찌에서부터 채비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미끼가 정확하게 원하는 지점에 가라앉을 때까지 찌가 서지 못하고 있다가 추와 미끼가 가라앉으면 서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 낚시찌는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자립 낚시찌의 경우 얕은 곳에서 밑걸림이 생길 경우 찌가 누워 버리기 때문에 수심을 파악하기 유리하고, 채비가 정렬되어야 찌가 서기 때문에 채비의 정렬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봉돌의 무게에 의해 찌가 서기 때문에 파도가 거친 상황에서는 찌가 안정되지 못하고 많이 흔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도가 있고 조류나 바람이 강한 상황에서는 주로 자립 낚시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립 낚시찌의 경우 특히 파도가 있는 바다 낚시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 막대찌는 상단에 가느다란 눈금이 표시된 찌톱과 부력을 좌우하는 중간 부분의 몸통, 낚싯줄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에 구멍이 있어 부레를 사용하여 수중찌에 연결토록 구성되어 있고, 구멍찌는 전체적으로 짧고 몸통이 넓으며 종으로 낚싯줄이 관통하여 끼워지게 구성되고 바람이 다소 불어오거나 아니면 파도가 높은 곳에서 물고기의 활동이 활발할 때, 혹은 파도가 부서지거나 포말이 형성되는 곳과 같은 조건이 주어질 때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멍찌는 원심력으로 투척하며, 이렇게 투척할 경우 부피가 작아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음으로써 낚시꾼이 원하는 투척 지점에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낚시 장소로부터 투척길이가 멀면 구멍찌의 가시거리가 멀어짐으로써 물고기가 입질을 할 경우 낚시꾼이 구멍찌가 요동하는 상태를 보기가 어려워 낚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막대찌는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 막대찌를 낚시 장소로부터 먼 거리에 투척하여도 막대찌의 요동하는 상태를 볼 수 있으나 낚시꾼이 낚싯대의 낚싯줄에 매달린 막대찌를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원하는 목표지점에 투척할 경우 부피가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아 불안정한 낚싯대의 스윙으로 목표 지점에 던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회전으로 인하여 엉킴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된 특허 제0781696호가 있다.
이 특허문헌에 따른 낚시찌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찌몸체(100)와 상기 찌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공(22)과 통수공(210)과 수직 절개홈(230)이 형성된 중공의 찌톱(200)과 상기 찌몸체(100)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0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400)와 상기 중심대(40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심대(400)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0a)과 대향되는 관통공(30a)이 형성된 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자립 낚시찌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로 투척되며, 투척된 후 추가 아래로 기울어져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서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립 낚시찌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로 투척된 상태에서 낚싯줄의 매듭이 중심대의 내측 단부 즉, 찌톱까지 수축된 중심대의 내측 단부에 걸린 상태가 되고, 이렇게 매듭이 걸린 상태에서는 추의 무게가 작용하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는 찌몸체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추와 찌톱이 시이소와 같은 작용을 하며, 추의 무게에 대응하여 찌톱의 표면장력이 작용하여 자립 낚시찌가 서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찌몸체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추의 무게와 찌톱과 물 사이의 표면장력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므로 추가 충분히 무거워 찌톱의 표면장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어 추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심대의 전체 길이를 찌톱의 상단을 초과하도록 하여 중심대가 신장 중에 찌톱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하므로써 낚싯줄과 뒷줄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구성된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추에 걸리게 함으로써 추의 무게가 찌몸체를 중심으로 하였을 때 추에 실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른 입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를 설취 위치를 찌톱의 하단으로 낮춤과 동시에 찌톱에 의한 장애 없이 사방에서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란하게 관통홀이 형성된 추;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수중찌는 상기 추의 형상과 함께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가지며, 투척 전, 상기 수중찌는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에 형상에 따라 끼움 결합되며, 투척시 수면에 닿는 충격으로 인해 수중찌는 분리되며 본찌는 수직으로 자립하고, 채비가 정렬을 이룬다.
상기 하부 고정관의 원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투척 전에는 중심대가 찌톱과 찌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축되고, 낚싯줄이 찌몸체와 찌톱 및 중심대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투척됨으로서 낚싯줄이 낚시찌의 다른 부분에 걸리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투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부피가 작아져 바람에 의한 저항이 감소됨으로서 쉽게 원하는 장소에 투척을 할 수 있고, 투척 후에는 중심대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찌몸체의 부력의 반작용에 의해 중심대가 신장되어 쉽게 자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중심대를 길게 형성하여, 추와 찌몸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은 추를 사용하여도 낚시찌가 쉽게 자립될 수 있고, 이렇게 작은 추를 사용함으로서 낚시찌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 보다 예민한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중심대가 바깥쪽으로 밀리게 함으로써 투척된 상태에서 중심대가 보다 빨리 신장되어 무게중심이 추 쪽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중심대의 상단 부분이 찌톱의 상단 개구 부분에 걸쳐 있어 중심대가 신장시 찌톱의 상단에 걸릴 염려가 없으며 이와 동시에 찌톱의 상단 부분이 라운딩되어 있어 낚싯줄이 빠르게 자리를 잡을 수 있어 투척 지점에서 낚싯줄과 뒷줄이 엉킬 위험을 최소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에 설치되는 케미라이트 꽂이 및 케미라이트가 무게 중심이 낮춰져 있으며, 이와 동시에 낚시꾼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육안 식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립 낚시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신장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상부 고정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과 찌톱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나의 변형된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가 찌톱에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케미라이트 꽂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9는 최초 투척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대가 밀려 신장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21은 자립 낚시찌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2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종래의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23은 최초 투척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4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찌몸체
1a : 수직 관통홀
2 : 톱(top)대
2a : 걸림홈
21 : 통기공
22 : 낚싯줄 관통홀
23 : 수직 절개홈
24 : 케미라이트 꽂이
24b : 케미라이트
28 : 끼움 부재
3 : 추
3a : 관통홀
4 : 중심대
4a : 낚싯줄 관통홀
41 : 광폭부
42 : 협폭부
43 : 걸림턱
5 : 고정링
5a : 호형모서리부
6 : 상부 고정관
61 : 누수방지날개
7 : 하부고정관
71 : 누수방지날개
8 : 스프링
81 : 광폭부
82 : 협폭부
10 : 수중찌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직", "상부", "하부"와 같은 기재는 낚시찌가 투척 후 자립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립 낚시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신장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추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상부고정관의 부분 단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과 찌톱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나의 변형된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가 찌톱에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케미라이트 꽂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9는 최초 투척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대가 밀려 신장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21은 자립 낚시찌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2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1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찌몸체(1)와; 상기 찌몸체(1)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홀(22)이 형성된 중공의 찌톱(2)과 ;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4)와 ;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과 대향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와 ; 상기 수직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축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하부고정관(6, 7)과 ;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찌몸체(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며 지름이 작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상기 찌톱(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추(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찌톱(2)은 수면의 위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실제로 사용자가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 물과 대조되는 색깔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야광성을 띠는 것이 좋다.
상기 찌톱(2)은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홀(22)이 그 상단에 형성된 중공의 가느다란 파이프로 만들어지고, 상기 찌몸체(1)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찌톱(2)의 측벽에는 낚싯줄이 이동하는 수직 절개홈(23)이 상하로 길게 더 형성되어 있어 낚싯줄이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에 끼워진 상태로 투척된 후,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수직 절개홈(23)을 따라 찌몸체(1)의 상단 부분으로 이동함으로서 낚싯줄이 팽팽하게 긴장되게 당겨져도 낚시찌가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찌톱(2)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에는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마찰방지링(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낚싯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티탄 등과 같이 강도는 높되 마찰이 적은 재질의 수지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마찰 방지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찌톱(2)의 측벽에는 바람의 저항을 줄여주는 다수의 통기공(2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찌가 물에 투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찌톱(2)이 바람의 저항에 의해 흔들리게 되므로 가능한 바람과의 저항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상기 통기공(21)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찌톱(2)의 상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라운드진 경사면의 중간에 상기한 낚싯줄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중심대(4)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링(5)의 하단은 상기 찌톱(2)의 상단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중심대(4)의 신장시 고정링(5)이 찌톱(2)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중심대의 신장시 낚싯줄이 상기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라운드진 경사면을 타고 상기한 수직 절개홈(23)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찌톱(1)의 낚싯줄과 접촉면에 마찰방지링을 더 설치할 수 있으나 실제로 낚싯줄과 마찰을 많이 일으키는 부분은 중심대(4)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a)의 상단 부분과 추(3)의 하단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마찰방지링(미도시)을 설치하여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3)는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대(4)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a)와 대향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3a)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매듭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또한, 낚싯줄이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홀의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상기 중심대(4)는 실질적으로 추가 설치되는 것으로 찌몸체(1)의 내부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의 광폭부(41)와 상측의 협폭부(42)로 구성되어 두 부분 사이에 걸림턱(43)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대(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고정관(6, 7)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고정관(6)과 하부고정관(7)은 모두 원통형 통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찌몸체(1)의 바깥쪽을 향한 단부 즉, 상기 상부고정관(6)의 상단과 하부고장관(7)의 하단에는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직 관통홀(1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누수방지날개(61, 7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고정관(7)의 노출된 원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7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수방지날개(61, 71)들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몸체(1)의 양 단에 각각 밀착되어 찌몸체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관(6)의 내주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이 원주형성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찌톱(2)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a)이 끼워져 찌톱(2)이 상부고정관(6)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고정관(6)의 상단은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모따기가 되고 마찰력이 적은 티탄 등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요지라 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상기한 스프링(8)이다.
즉, 상기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8)이 더 구성됨으로써 중심대가 보다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중심대(4)의 중단에 형성된 걸림턱(43)이 상기 스프링(8)의 일측 단부에 걸려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중심대(4)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신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8)은 상기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8)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관(7)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광폭부(81)와 ; 상기 중심대(4)를 구성하는 협폭부(42)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협폭부(8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광폭부(81)와 협폭부(82)로 구성된 스프링(8)은 도 4 및 도 7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상부고정관(6)과 하부고정관(7)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져 있다.
이렇게 설치된 스프링(8)은 상기 중심대(4)가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가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82)가 중심대(4)의 걸림턱(43)에 걸린 상태로 신장되어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탄성이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찌(10)가 더 제공된다. 이러한 수중찌(10)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3)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와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동시에 갖는다. 또한, 상기 수중찌(10)의 도면상 상단 원주부에는 상기 찌몸체(1)의 아래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중찌(10)는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하여 수중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자립 낚시찌를 투척할 경우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중심대가 신장된다.
도 19는 자립 낚시찌가 투척되는 순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자립 낚시찌를 투척하면 낚싯줄에 매달린 또 다른 추의 무게와 찌의 무게 그리고 수중찌의 무게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립 낚시찌 하단의 추(3)와 또 다른 추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투척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대(4)는 낚싯줄과 또 다른 추의 작용에 의해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투척된 자립 낚시찌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밀려 중심대(4)가 바깥쪽으로 신장하게 되고, 이때 추(3)가 찌몸체(1)로부터 멀어짐으로 추의 무게에 의해 자립 낚시찌는 보다 빨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입수를 하게 된다.
이때 낚싯줄에 매달린 또 다른 추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당겨지고, 당겨진 낚싯줄의 중간에 형성된 매듭은 추(3)에 형성된 관통홀(3a)의 안쪽에 걸리며, 이렇게 관통홀(3a)에 매듭이 걸리므로 추(3)와 또 다른 추의 무게는 중심대(4)의 하단에 걸려 중심대(4)가 보다 빨리 수직으로 세워져 입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심대(4)가 찌몸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5)이 중심대(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5)에도 낚싯줄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의 상단 내주면은 호형모서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5)은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티탄 등과 같은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도 1 및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24b)와 이를 꽂을 수 있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에 꽂히는 케미라이트는 특히 야간에 찌가 보다 잘 보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케미라이트(24b)를 포함한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찌톱(2)의 원주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케미라이트(24b)의 광을 사방으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상기 찌톱(2)과 결합되는 결합 부위 쪽으로도 광을 방출시킬 수 있는 광 방출구(24c)를 갖는다. 이때,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에 형성된 광 방출구(24c)는 상기 찌톱(2)에 제공되어 있는 통기공(21) 중의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케미라이트 꽂이(24)가 상기 찌톱(2)에 결합된다. 이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사용자의 입장에서 찌톱(2)의 후방에 놓이는 경우에도 찌톱(2)의 수직 절개홈(23)을 통해서 쉽게 식별되게 한다.
케미라이트 꽂이(24)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24b)를 쉽게 빼고 끼울 수 있도록 케미라이트(24b)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반대 방향, 도면상 하부는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노출 부위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케미라이트(24b)를 도면상 위쪽으로 올리므로써 케미라이트 꽂이(24)로부터 케미라이트(24b)를 쉽게 꺼낼 수 있게 한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톱(2)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끼움 부재(28)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끼움 부재(28)의 케미라이트 꽂이(24)의 대향 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끼움 방식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러한 끼움 부재(28)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개방시 복원 특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케미라이트 꽂이 제공 방식은 케미라이트가 필요 없는 상황, 특히, 태양광량이 풍부한 낮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다르게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상단 일측에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가 끼워질 수 있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의 위치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상단 중앙의 일측이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 상단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양측에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1);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2);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4);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과 나란하게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6, 7);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원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홈(7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4)는 하측의 광폭부(41)와 상측의 협폭부(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두 부분 사이에는 신장으로 인한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3)에 형성된 관통홀(3a)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지름을 가지며, 낚싯줄이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홀의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8)은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광폭부(81)와 상기 중심대(4)를 구성하는 협폭부(42)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협폭부(8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은 측벽에는 물이 찌톱(2)의 내부로 출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낚싯줄이 이동하는 수직 절개홈(2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은 상기 수직 절개홈(23)을 향한 부분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4)의 상단에는 중심대(4)가 찌몸체(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5)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5)에 형성된 구멍의 상단 내부면은 호형모서리부(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관(6)의 상단과 하부 고정관(7)의 하단에는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직 관통홀(1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누수방지날개(61, 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의 상단 일측에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의 수직 절개홈(23)에 대향되는 위치에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 꽂이(2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통기공(21) 중의 어느 하나와 연통하는 광 방출구(24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찌톱(2)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찌톱(2)에 끼움 결합 가능한 끼움 부재(28)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PCT/KR2010/000562 2009-01-30 2010-01-29 이단자립 낚시찌 WO2010087650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477A KR101089140B1 (ko) 2009-01-30 2009-01-30 이단자립 낚시찌
KR10-2009-0007477 2009-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7650A2 true WO2010087650A2 (ko) 2010-08-05
WO2010087650A3 WO2010087650A3 (ko) 2010-11-04

Family

ID=4239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0562 WO2010087650A2 (ko) 2009-01-30 2010-01-29 이단자립 낚시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9140B1 (ko)
WO (1) WO201008765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0077A (en) * 2010-05-04 2011-11-09 Fox Int Group Ltd Angling float with replaceable sighting antenna
US20150013211A1 (en) * 2006-08-11 2015-01-15 Larry Schoenike Fly-fishing float or strike indicator and attachment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56B1 (ko) * 2018-05-28 2020-09-28 전덕용 반자립형 탄소 낚시찌
KR102447564B1 (ko) 2020-01-22 2022-09-29 김인관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4A (ko) * 2001-05-17 2002-11-29 김석후 장신구용 체인에 나선홈을 가공하는 회전식 가공기
US20020178645A1 (en) * 1999-07-14 2002-12-05 Adams Nicholas S. Fishing float
US6612066B1 (en) * 2002-09-27 2003-09-02 David W. James Adjustable depth fishing bobber
US20050210730A1 (en) * 2004-03-23 2005-09-29 Izzard David C Bobber with automatic hook se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04Y1 (ko) 2002-06-11 2002-09-11 박영태 다목적용 3단 낚시찌.
KR100781696B1 (ko) * 2006-09-22 2007-12-04 이상일 자립 낚시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8645A1 (en) * 1999-07-14 2002-12-05 Adams Nicholas S. Fishing float
KR20020088504A (ko) * 2001-05-17 2002-11-29 김석후 장신구용 체인에 나선홈을 가공하는 회전식 가공기
US6612066B1 (en) * 2002-09-27 2003-09-02 David W. James Adjustable depth fishing bobber
US20050210730A1 (en) * 2004-03-23 2005-09-29 Izzard David C Bobber with automatic hook se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3211A1 (en) * 2006-08-11 2015-01-15 Larry Schoenike Fly-fishing float or strike indicator and attachment methods
US9591841B2 (en) * 2006-08-11 2017-03-14 Larry Schoenike Fly-fishing float or strike indicator and attachment methods
GB2480077A (en) * 2010-05-04 2011-11-09 Fox Int Group Ltd Angling float with replaceable sighting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27A (ko) 2010-08-09
WO2010087650A3 (ko) 2010-11-04
KR101089140B1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7650A2 (ko) 이단자립 낚시찌
US5784829A (en) Fishing bobber
US5855084A (en) Fishing pole tip illumination attachment
KR101177823B1 (ko) 이단자립 낚시찌
GB2354146A (en) Fishing Tackle
US4065869A (en) Fishing down-rigger vane and release
US20060185216A1 (en) Light stick holding device for a fishing float
KR100781696B1 (ko) 자립 낚시찌
US5235776A (en) Fishing line floater
KR102287822B1 (ko) 자동 챔질 및 입질 알림 장치
WO2014054924A2 (ko)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KR100471681B1 (ko) 입질 감지장치를 구비한 낚시 받침대
US6602101B2 (en) Loop bottom buoy stick
GB2479612A (en) Releasable fishing float or sinker assembly
KR100574285B1 (ko) 낚시용 발광 집어기
CN115606554B (zh) 一种具有助力触发功能的自动钓鱼装置
CN216164583U (zh) 一种串联的浮漂
KR200302085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장치의 가이드
KR200262971Y1 (ko) 낚시찌
WO2021141417A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102088433B1 (ko) 낚시
Robertson et al. Improvements in designs of cod-end covers
KR100235557B1 (ko) 낚시찌
KR200272988Y1 (ko) 찌 속에서 부상하는 낚시찌
JP2000139304A (ja) 中通し飛ばしウ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360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1/10/201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360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