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44547A4 -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44547A4
WO2010044547A4 PCT/KR2009/005126 KR2009005126W WO2010044547A4 WO 2010044547 A4 WO2010044547 A4 WO 2010044547A4 KR 2009005126 W KR2009005126 W KR 2009005126W WO 2010044547 A4 WO2010044547 A4 WO 2010044547A4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ag
magnetic force
urine
pet
defe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51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44547A2 (ko
WO2010044547A3 (ko
Inventor
임지아
Original Assignee
Lim Zi-Ah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im Zi-Ah filed Critical Lim Zi-Ah
Priority to JP201153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2505635A/ja
Priority to CN2009801409291A priority patent/CN102186336A/zh
Publication of WO201004454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4547A2/ko
Publication of WO201004454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4547A3/ko
Publication of WO2010044547A4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4547A4/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waste col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waste collection device to which a collection bag is coupled.
  • a disposal apparatus for a pet comprising: a defecation main body having a defeca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the defecation main body having a semicircular hooking protrusion for holding a pet's tail; An attachment base extending back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and capable of rotating up and down; And a collection bag detachably attached to an edge of a bowel opening of the bowel body.
  • two lower connecting groove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efecation main body And two upper connection grooves formed at the respective ends of the attachment ba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ear band.
  • it may further comprise a bellows coupled to the feces body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eces body and the pet.
  • the catching jaw protrudes forward to a circular shape at 5 to 45 degrees to stabilize the attachment of the tail of the pet.
  • the collection bag may include a first mount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ag in a bellows shape, and a plurality of bellows attached to the primary mount, And a secondary mount on which a spreading protrusion is formed, and the bag is spread outward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defecation of a pet, and defecation is contained therein.
  • a disposal apparatus for a pet comprising: a disposable bowel body having a bowel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collection bag integrally coupled to an edge of the bowel opening; A wear band to be worn on a pet while passing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body of the obese; And a string fastening device 330 for fastening the strap automatic contraction field and the defecation main body 31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wearing band to a pet animal.
  • a disposal apparatus for a pet comprising: a defecation main body having a defeca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the defecation main body having a semicircular hooking protrusion for holding a pet's tail; A collection bag detachably attached to an edge of a bowel opening of the bowel body; And a garment for pets having a pouch into which the defecation body is inserted.
  • pet feces can be treated hygienicall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 the waste collecting device in which the collection bag is detached and attached is economical because only the collection bag is used as a disposable consumable item, and other collection devices can be used semi-permanently.
  • the waste collection device in which the collection bag is integrally formed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conveniently.
  • 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of a defecato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combination of a bowel body and a bel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le urin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 to 8 are views showing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a collection bag made up of a magnetic double structure of a male urine collection device.
  •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closed state of a lateral one-touch spring formed at both ends of a bod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male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feces collecting device.
  • 12 to 15 are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ail-fixing type feces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shows a magnetically coupled manner of the body of a bowel movement and the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to 19 are views showing a double structure coupling method of the magnetic force type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uble structure coupling method of a magnetic force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rotruding portion 12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defecation opening 1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10 at the center thereof.
  • a sliding groove 13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opened to slide the sliding plate 21 with the collection bag 20 attached thereto.
  • a semicircular hook 15 for holding a pet's tail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 of the bowel movement.
  • the latching jaw 15 is shap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by about 5 to 45 degrees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order to allow the tail of the pet to be comfortably mounted.
  • Two lower connection grooves 18 ar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an upper connection groove 19 is formed on the end of the attachment bas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ear band.
  • the bellows includes a first mount attached to a bellows shape and attached to an inlet of a collection bag, a plurality of bellows attached to the first mount and having a plurality of spread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wrinkling of the bellows bonded to the first mount It is made up of a car mount.
  • the bag expands outward to accommodate defecation.
  • the collection bag is bonded to a first mount attached to an inlet of a collection bag in a bellows shape, and a second mount having a plurality of spread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wrinkles of the bonded bellows from spreading, It is a structure attached to a mount.
  • FIG.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combination of a bowel body and a bel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le urin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le urine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urine body 110, a urine body 110, a removable urine collection bag 120, and a body band 130.
  • a sliding groove 113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12 and the upper part of the protrusion is opened to slide the sliding plate 121 with the collection bag 120 attached thereto.
  • Two lower connecting grooves 118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rine body and upper connecting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to be connected to the wearing band.
  • the collection bag 120 is provided with a sliding plate 121 and is slid into the sliding groove 113 of the protrusion 112.
  • An envelope knob 12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on bag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attachment.
  • the body band 130 has a wing body 1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t body, and a urine body body 132 is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body band 130.
  • a urine body sliding groove 133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wing portion 131 and the urine body catching portion 1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liding support portion 122 of the urine body slides and the urine body 110 is mounted on the body band 130 .
  • a comb-like one-touch spring 13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ing portion 131 of the body band 130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hair of a pet.
  • the one-touch spring 135 can be coupled with the body ban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urine main body 11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urine main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pet such that the urine body 110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pet, (Not shown), so that the pet and the urine body can be closely contacted to easily maintain the airtightness.
  • the collection bag as a magnetic double structure to constitute two collection bags and be sequentially detached.
  • FIG. 7 to 8 are views showing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a collection bag made of a magnetic double structure of a male urine collection device.
  • the magnetic double structure of the urine collection device is composed of a urine body, a primary collection bag, and a secondary collection bag.
  • the urine body 1000 includes a protrusion 1200 having a urine hole 1100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and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urine mouthpiece 1100 and sloped to the left or right side, And a magnetic force part 1400 embedded in the sliding groove 1300.
  • the magnetic force part 1400 is formed in the sliding groove 1300.
  • the sliding groove 130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0,
  • the protrusion 120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or right side so that when the pet observes defecation, the protrusion 1200 is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so that the collection bag is easily detached, 1200 are formed with sliding grooves 1300, and their side surfaces are opened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collection bag.
  • a magnetic force part 1400 is formed in the sliding groove 1300 so that a plurality of magnets are embedded to facilitate binding of the collection bag.
  • the curtain film 2200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with a magnet, and is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formed to prevent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from containing defecation.
  • the second collection bag 30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llection bag 2000.
  • the second collection bag 3000 is slid in the sliding groove 130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portion 1400 of the sliding groove
  • the magnet 3100 is embedded, and the shielding film 3200 is included.
  • the magnet 3100 of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is embed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1400 of the sliding recess, so that the magnet 3100 is more easily received by the primary collection bag 2000 than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2000,
  • the screening film 3200 formed on the display panel 3000 is preferably formed for a visual effect.
  •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closed state of a lateral one-touch spring formed at both ends of a bod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ne-touch spring 135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1351 and a comb tooth member 1352.
  • the elastic member 1351 In the open state, the elastic member 1351 is curved down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b tooth member 1352 do.
  • the elastic member 1351 is curved upward and abuts against the comb member 1352, and the hairs of the pet can be fixed therebetwee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male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waste collection device.
  • FIGS. 12 to 15 are views showing a tail-mounted waste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curing an excrement collection device to the tail of a pet.
  • a semicircular hook 15 for holding a pet's tail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 of the bowel movement.
  • the hooking jaw 15 is shaped to protrude in a circular shape about 5 to 45 degrees from the front when viewed from the side, so that the tail of the pet can be comfortably mounted.
  • a fixing member 37 that slides on the semicircular portion 32 of the latching spring 30 may further be provided to stably fix the defecation and urine collection device to the tail.
  • the fixing member 37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can be fixed to the latching spring 3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ember 3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il of the pet.
  • a method of fixing the fixing member 37 to the latching spring 3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a method of varying the size of the fixing member 37 is to mak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long the latching spring 30, 37), a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t while holding the pet's tail in a semicircular portion of the latch spring can be used.
  • the fixing member 38 can be radially cut and fixed to the latching spring 30. Such a structure is fixed to the tail of the pet while the tail of the semicircular portion 32 of the catching spring 30 penetrates and the radial fixing member 38 is bent outward.
  • the fixing member 39 is a one-touch type spring 39 composed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comb memb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is fixed to the hair on the tail of the pet.
  • the one-touch spring 39 is used a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ail, without a separate latching spring.
  • the above-mentioned collection bag coupl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collection bag slides on the body of the bowel.
  • a rubber band is combined with the entrance of a collection bag to engage with a protrusion of the rubber band and the body of the defecation body, a groov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owel body of the body of the body to fit the mount formed in the collection bag into the groove.
  • Various bonding methods can be used, such as a method of tape bonding to a collection bag and a defecation body after forming a double-sided tape.
  • FIG. 16 shows a magnetically coupled manner of a body of a bowel movement and a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agnet 50 is inserted into a defecation main body 10 around a defecation opening 11, and an iron plate 51 is inserted into the defecation bag and magnetically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 the magnetic force coupling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pet is defecated, the magnetic force is desorbed by the self weight of the collection bag and the defec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magnetic force type collection bag can be accomplished by a magnetic coupling method of a double structure constituting two collection bags.
  •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magnetic force type collection bag includes a first magnetic force part 62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s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fecation opening 61 and a second magnetic force part 62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And a second magnetic force part 63 composed of one or more magnets embedded in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62.
  • the primary magnetic force part 62 has a primary collection bag 70 And a secondary collection bag 80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63 to cover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 the defecation main body 60 is provided with a defecation opening 61 which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semicircular shape stopper in which a tail of a pet is stoo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 1 magnetic force part 62 is designed to bind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 a second magnetic force part 63 constituted by embedding one or more magnets is design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emicircular locking tabs on the upper part of the defecation main body 6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63 functions as a magnet embedded in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62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6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includes a second magnetic force part 83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a magn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63 of the defecation main body, A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82 and a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82 which are configured such that a magnet is embed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62 and the magnet 72 of the primary collection bag,
  • the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8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82 and the bent portion 85 is formed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8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83,
  • the bending groove 85 functions to easily fold a part of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may be configured so as to visually cover the collection bag by forming a curtain (not shown) on one side thereof.
  •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sorbed simultaneously with the envelope 80.
  •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main body 60 and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is configured to cover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As shown in FIG.
  • a certain portion of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defecation main body 60 and a covering film 75 is formed in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 defecation is preferentially contained in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bound with the defecation main body 60, and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containing defecation is constantly
  •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is provided with the bending grooves 85 so that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can be easily folded.
  • a curtain 75 is formed so that the bowel is firstly contained in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so a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80 and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 .
  • FIG. 2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uble structure coupling method of a magnetic force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fecation main body 600 includes a magnetic force portion 602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magnets embedded in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efecation opening and constituted by a defecation hole 601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And a hinge coupling means 604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cking protrusion 603.
  •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900 detachable from the bracket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by embedding a magn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portion 801 of the bracket 800.
  • the primary collection bag 700 containing the defecation falls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secondary collection bag 900 attached to the bracket waits for the next defecation of the pet.
  • the magnetic force urine collecting device includes a urine body including a magnetic force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s embedded in right and left urine openings communicated at the center and a hinge coupling mean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gnetic for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llecting bag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coupling means of the urine main body and which are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rine opening communicated at the center, A secondary bracket formed of a magnet and a secondary collection bag configured to be detachable by embedding a magn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agnetic force portion of the secondary bracket.
  • the coupling metho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 coupling method using a wear band and a body band.
  • a bonding method using a wearing band or a bonding method using clothes can be used.
  • Figs. 21 to 22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attaching a toilet or a urine body to a pet using a wearing band according to a practic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isposable feces body or a urine body integrally combined with a collection ba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FIG. 21 and FIG. 22 are views showing a combined feces body and a coupling band joined to the urine body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isposal bag 3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disposable defecation body 310.
  • a string connection groove 313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defecation main body 310 so that the string 210 is inserted into the feces body 320.
  • Reference numeral 315 denotes a circular stopp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ide by 5 to 45 degrees.
  • the disposable defecation body 310 may be made of paper.
  • a collection bag 4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disposable urine body 410.
  • a string engagement groove 413 is formed so that the string 210 passes through the urine body do.
  • the disposable feces body 310 and the disposable urine body 410 can be easily attached to male pets using a strap.
  •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can be used on the buttocks of the pet, and the string automatic retracting fastening device 340 can be used on the back part of the pet.
  •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its position so that the string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pet, and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which is located at the back part of the pet,
  • the retraction fixation device 340 is a device for easily fixing the disposable feces body 310 and the disposable urine body 410 to a pet animal and is configured as a device for tightening and fixing the strap at the tail portion of the pet .
  • 2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utomatic shrink catching and fixing apparatu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tomatic cord retractor 340 includes a circular spring 341, and a spring is wound when a string connected to the spring 341 is pulled. This increases or decreases the length of the lin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pet, so that the body of the bowel comes close to the pet.
  • the two-way cord fastening part 340 is simplified and is used primarily as a female thread fastening part, and the cord is deli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neck part and the defecation body.
  • the four-way cord fastening part 340 is simplified and used mainly as a male thread fastening part, and the cord is passed in both directions of the neck, the feces body and the urine body.
  •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is separated into an upper part 330a and a lower part 330b, and a spring 332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have holes (330a, 330b) through which strings (bands) pass, respectively.
  • the upper part 330a moves downward, and when the hole 331a of the upper part and the hole 331b of the lower part are aligned, the string inserted in the hole is passed So that the string fastening part 33 can move left and right.
  • the upper part 330a is moved up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2, so that the strap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is fastened to the strap.
  •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moves the string fastening part 330 just above the tail with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part 330a, the defecation body 310 is more rigidly attached to the pet As shown in Fig.
  • the string tightening part 330 allows the bottom to be rounded in a planar manner so that it can be worn tightly with the tail.
  • a pouch 510 is formed in a garment 500 for a pet, and a defecate body 10 with the above-described collection bag 20 is inser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수거봉투가 결합되는 애완동물의 배변수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변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을 갖는 배변본체; 상기 배변본체의 후면 양측면으로 뒤로 연장되며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부착대; 및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거봉투가 결합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을 사육하는데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의 원시적인 방법이며 가장 애용되고 있는 방법은 일회용 비닐봉투와 휴지를 휴대하고 다니며 애완동물이 배설시 직접 손으로 치우는 방법이다. 이는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 많은 특허와 실용신안이 출원되었지만 애완동물의 실생활에서 적용되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하여 그 용품들을 시장에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등록된 배설물 수거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843589호인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등록특허 제10-843626호인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및 등록특허 제10-843591호인 "애완동물의 수컷용 소변 수거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배설물 수거장치는 애완동물에 이 장치들을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완동물과의 산책시뿐만 아니라 집안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에 장착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대변뿐만 아니라 소변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을 갖는 배변본체; 상기 배변본체의 후면 양측면으로 뒤로 연장되며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부착대; 및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변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하부 연결홈; 및상기 부착대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상부 연결홈을 더 포함하여 착용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변본체와 애완동물과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변본체의 둘레로 결합되는 자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전방으로 5도 내지 45도로 원형으로 돌출되어 애완동물의 꼬리의 거치를 안정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거봉투는 벨로우즈 형태로 접합되어 수거봉투의 입구에 부착되는 제1차 마운트와, 상기 1차 마운트에 부착되며 1차 마운트에 접합된 벨로우즈의 주름이 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펴짐 방지턱이 형성된 2차 마운트로 구성되며, 애완동물의 배변 시 자중에 의해 수거봉투가 외부로 펴지면서 배변이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자기력식 또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 및 상기 제1자기력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배변본체에 구성된 걸림턱의 좌우측면에 매입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2자기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본체와, 상기 제1자기력부에 결착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 및 상기 제2자기력부와 결착되어 상기 1차 수거봉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의 이중구조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수거봉투는 배변본체의 제1자기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결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2차 수거봉투에 배변 및 소변이 담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차 수거봉투와 2차 수거봉투 사이에 1차 수거봉투측에 가림막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수거봉투는 배변본체의 제2자기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자기력부와, 배변본체의 제1자기력부와 1차 수거봉투의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 및 상기 2차 수거봉투의 상단에 위치한 제2자기력부가 1차 수거봉투와 고정되며 제1자기력부가 1차 수거봉투의 자석과 벌어질수 있기 위해 제1자기력부와 제2자기력부 사이에 일정부분 절곡된 홈으로 접힐 수 있는 절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수거봉투의 측면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한 가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배변구의 하단을 연장하여 대소변 일체형의 수거장치로써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완동물용 배변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를 구비하며, 측면으로는 수평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지지부를 갖는 소변본체; 상기 소변본체의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 및상기 소변본체의 슬라이딩 지지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을 갖는 소변본체 걸림부와 소변본체 걸림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몸을 감싸도록 형성된 날개부를 갖는 몸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띠의 날개부의 양단에는 애완동물의 털과 결합할 수 있는 빗살형식의 원터치 스피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변본체의 수거봉투는 자기력식 탈부착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변본체는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되되 좌측 또는 우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통공된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홈에 매입되는 자기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1차 수거봉투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홈의 자기력부와 일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차 수거봉투는 상기 제1차 수거봉투의 후면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홈의 자기력부와 제1차 수거봉투의 자기력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기력이 매입되고,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중앙에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의 하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수거봉투; 상기 본체의 상단과 결합하며 애완동물의 꼬리의 상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걸림 스프링; 및 상기 걸림 스프링의 반원부에 슬라이딩하여 애완동물의 꼬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중앙에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의 하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수거봉투; 상기 본체의 상단과 결합하며 애완동물의 꼬리의 상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걸림 스프링; 및 상기 걸림스프링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애완동물의 꼬리가 관통하면서 꼬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중앙에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의 하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수거봉투; 및 상기 본체의 상단과 결합하여 탄성부재 및 빗살부재로 구성되어 애완동물의 꼬리 상부의 털에 고정되는 원터치형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중앙에 배변구를 구비하며, 배변구 가장자리에 수거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일회용 배변본체; 상기 배변본체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면서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착용밴드; 상기 착용밴드의 중간에 형성된 끈 자동수축장 및 배변본체(310)를 애완동물에 고정하는 끈 조임장치(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을 갖는 배변본체;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 및 상기 배변본체가 삽입되는 주머니를 갖는 애완동물용 의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거봉투가 탈부착되는 배설물 수거장치는 수거봉투만 일회용인 소모품으로 사용하고 그 이외의 수거장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수거봉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배설물 수거장치는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본체와 자바라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컷용 소변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는 수컷용 소변수거장치의 자석식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수거봉투의 탈부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띠의 양단에 형성되는 가로방향 원터치 스프링의 여닫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수컷 애완동물이 배변수거장치를 장착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꼬리 거치형 배변수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배변본체와 수거봉투의 자기력식 결합방식을 나타낸다.
도 17 내지 도 19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이중구조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이중구조 결합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수거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대변본체 및 소변본체에 결합밴드가 결합된 도면들이다.
도 23는 본 발명에 따른 수컷 애완동물에 일회용 대변본체 및 일회용 소변본체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암컷 애완동물에 일회용 대변본체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끈 자동수축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 부속(330)을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27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와 결합하는 배변본체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설물 수거장치는 본체(10), 본체의 정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거봉투(20)로 구성된다.
배변본체(10)의 중앙에는 통공된 배변구(11)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배변구(11)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돌출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의 상부는 개방되어 수거봉투(20)가 부착된 슬라이딩판(21)이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구조이다.
배변본체(10)의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 형상의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5)은 측면에서 볼 때, 전면으로 5~45도 정도 돌출되는 형상인데, 이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편안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배변본체(10)의 후면 양측면으로는 뒤로 연장되는 부착대(16)가 형성되는데, 부착대(16)는 중간부위에 힌지결합(17)되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부착대(16)는 애완동물의 둔부 또는 꼬리 인접부근에 밀착되어 배변본체(10)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배변본체(10)의 하단에는 두 개의 하부 연결홈(18)이, 부착대의 단부에는 상부 연결홈(19)이 형성되어 착용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수거봉투(20)에는 슬라이딩판(21)이 구비되어 돌출부(12)의 슬라이딩홈(13)으로 슬라이딩되며, 수거봉투의 상측에는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봉투 손잡이(22)가 구비된다. 수거봉투(20)는 평상시에는 평면이지만, 애완동물이 배변을 본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다단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수거봉투는 벨로우즈 형태로 접합되어 수거봉투의 입구에 부착되는 제1차 마운트와, 상기 1차 마운트에 부착되며 1차 마운트에 접합된 벨로우즈의 주름이 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펴짐 방지턱이 형성된 2차 마운트로 구성되며, 애완동물의 배변 시 자중에 의해 수거봉투가 외부로 펴지면서 배변이 담기게 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수거봉투는 수거봉투의 입구에 부착된 제1차 마운트에 벨로우즈 형태로 접합되고, 접합된 벨로우즈의 주름이 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펴짐 방지턱을 갖춘 제 2차 마운트를 제 1차 마운트에 부착한 구조로써 애완동물이 용변 시 그 무게에 의한 중력에 의해 벨로우즈 된 봉투가 외부로 펴지면서 용변이 담기는 구조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본체와 자바라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변본체(10)의 후면으로 자바라(25)가 구성되어 애완동물과 배변본체를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바라는 배변본체의 둘레에 끼워져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대변본체(10)가 애완동물에 더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배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바라는 대변본체 뿐만 아니라 후술할 소변본체의 둘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컷용 소변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수컷용 소변수거장치는 소변본체(110), 소변본체(110)와 탈부착되는 소변수거봉투(120) 및 몸띠(130)로 구성된다.
소변본체(110)의 중앙에는 통공된 소변구(111)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소변구(111)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돌출되는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2)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의 상부는 개방되어 수거봉투(120)가 부착된 슬라이딩판(121)이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구조이다.
소변본체의 소변구(111)를 에워싸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지지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지지부(115)의 후방으로는 고환걸림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소변본체의 하부에는 두 개의 하부 연결홈(118)이, 상부에는 상부 연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착용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수거봉투(120)에는 슬라이딩판(121)이 구비되어 돌출부(112)의 슬라이딩홈(113)으로 슬라이딩되며, 수거봉투의 상측에는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봉투 손잡이(122)가 구비된다.
몸띠(130)는 애완동물을 몸을 감싸는 구조로서 양쪽으로 날개부(131)가 형성되며, 중앙 하부에는 소변본체 걸림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131)와 소변본체 걸림부(132)가 접하는 영역에는 소변본체 슬라이딩 홈(133)이 형성되어 소변본체의 슬라이딩 지지부(122)가 슬라이딩되어 소변본체(110)가 몸띠(130)에 장착될 수 있다. 몸띠(130)의 날개부(131)의 양단에는 빗살형식의 원터치 스프링(135)가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털과 결합할 수 있다. 원터치 스프링(135)은 몸띠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소변본체(110)의 둘레에 끼워져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소변본체(110)가 애완동물에 더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배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바라(미도시)가 구성되어 애완동물과 소변본체를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봉투를 자기력식 이중구조로 구성하여 두개의 수거봉투를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는 수컷용 소변수거장치의 자기력식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수거봉투의 탈부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소변 수거장치의 자기력식 이중구조는 소변본체와, 1차 수거봉투와, 2차수거봉투로 구성된다.
한편, 소변본체(1000)는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1100)를 구비하며, 소변구(1100)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되되 좌측 또는 우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1200)와, 상기 돌출부(1200)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통공된 슬라이딩 홈(1300)과,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 매입되는 자기력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1200)는 바람직하게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좌측 또는 우측면의 한방향으로 모임으로써 수거봉투가 탈착되기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200)에는 슬라이딩 홈(1300)이 형성되되 측면이 개방되어 수거봉투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는 다수개의 자석을 매입하여 수거봉투를 결착시키기 용이하도록 자기력부(1400)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소변본체의 소변구(1100)를 에워싸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지지부(1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지지부(1500)의 후방으로는 고환걸림부(160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차 수거봉투(2000)는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홈의 자기력부(1400)와 일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2100)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림막(2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차 수거봉투(2000)는 상기 슬라이딩 홈의 자석(1400)과 일부 대응되도록 적은 수의 자석(2100)만을 매입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탈착되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막(2200)은 2차 수거봉투와 자석으로 결합되되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탈착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2차 수거봉투에 배변이 담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위하여 형성되어 진다.
한편, 2차 수거봉투(3000)는 상기 제1차 수거봉투(2000)의 후면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홈의 자기력부(1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3100)이 매입되고, 가림막(3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2차 수거봉투의 자석(3100)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자석(14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매입되어 상대적으로 1차 수거봉투(2000)보다 힘을 받기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2차 수거봉투(3000)에 구성된 가림막(3200)은 바람직하게 시각적인 효과를 위하여 형성되어 진다.
도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띠의 양단에 형성되는 가로방향 원터치 스프링의 여닫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원터치 스프링(135)은 탄성부재(1351)와 빗살부재(1352)로 구성되며, 열린상태에서는 탄성부재(1351)는 하부로 곡면지면서 빗살부재(1352)와 일정거리를 유지한다.
도 10를 참조하면, 똑딱이(135)가 닫힌상태에서는 탄성부재(1351)는 상부로 곡면지면서 빗살부재(1352)와 맞닿게 되며, 그 사이에 애완동물의 털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터치 스프링(135)은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351) 와 빗살부재(1352)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고정시킬 경우 분리된 탄성부재(1351) 및 빗살부재(1352)를 결합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의 털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수컷 애완동물이 배설물 수거장치를 장착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착용밴드(200)와 몸띠(130) 사용하여 배설물 수거장치가 애완동물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암컷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수컷용 배설물 수거장치에서 소변수거장치가 장착되지 않으며, 암컷용 배변수거장치의 배변구는 수컷용보다 더 길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배설물 수거장치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2 실시예)
도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꼬리 거치형 배설물 수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즉, 애완동물의 꼬리에 배설물 수거장치를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변본체(10)의 중앙에는 통공된 배변구(11)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배변구(11)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돌출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의 상부는 개방되어 수거봉투(미도시)가 부착된 슬라이딩판(미도시)이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구조이다.
배변본체(10)의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 형상의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5)은 측면에서 볼 때, 전면으로 5~45도 정도 원형으로 돌출되는 형상인데, 이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편안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에서 배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술한 부착대를 대신 걸림스프링(30)을 사용한다. 걸림스프링(30)은 배변본체(10)의 결합홈(14)과 탈부착이 가능한 양측면의 결합돌기부(31)와 꼬리의 상부가 거치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반원부(32)를 갖는다.
결합돌기(31)의 일측에는 힌지홀(33)과 힌지홀에 삽입하는 고정나사(35)를 구비하여, 걸림스프링의 결합돌기(31)와 배변본체의 결합홈(14)이 힌지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31)의 타측은 톱니 형상의 고정부(36)가 형성되어 결합본체와는 높낮이에 따른 단계별 고정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걸림스프링(30)의 반원부(32)에 슬라이딩하는 고정부재(37)를 더 구비하여 배변 및 소변수거장치가 꼬리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7)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꼬리에 고정부재(37)가 밀착된 상태에서 걸림스프링(3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37)의 걸림스프링(30)에 고정하는 방법은 미도시 되어 있는데, 고정부재(37)의 크기를 다양화하는 방법, 걸림스프링(30)에 높낮이 따라 다수의 돌기를 만들고 고정부재(37)에는 홈을 만들어 애완동물의 꼬리가 걸림스프링의 반원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8)는 걸림스프링(30)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걸림스프링(30)의 반원부(32)를 꼬리가 관통하면서 방사형의 고정부재(38)가 외부로 젖혀지면서 애완동물의 꼬리에 고정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9)는 도 6 및 도 7에서 상술한 탄성부재와 빗살부재로 구성되는 원터치형 스프링(39)으로서 애완동물의 꼬리 상부의 털에 고정된다. 도 12에서는 별도의 걸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으며, 꼬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원터치 스프링(39)을 사용한다.
(제3 실시예)
이하, 배변 및 소변본체와 수거봉투의 결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배변본체만 예를 든다.
상술한 수거봉투 결합방식은 수거봉투가 배변본체에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수거봉투의 입구에 고무밴드를 결합하여 고무밴드와 배변본체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방식,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여 수거봉투에 형성된 마운트를 홈에 끼우는 방식, 수거봉투의 가장자리에 양면테이프를 형성한 후에 수거봉투와 배변본체와 테이프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기력식의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배변본체와 수거봉투의 자기력식 결합방식을 나타낸다.
도 16를 참조하면, 배변본체(10)에는 배변구(11) 둘레로 자석(50)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배변봉투에는 철판(51)이 삽입되어 서로 자기력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자기력식의 결합방식은 애완동물이 배변을 본 경우에 수거봉투의 자중에 의하여 자기력식이 탈착되어 배변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 내지 도 19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이중구조 결합방식을 나타낸다.
도 17를 참조하면,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두개의 수거봉투를 구성한 이중구조의 자기력식 결합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배변구(61)의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62) 및 상기 제1자기력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배변본체에 구성된 걸림턱의 좌우측에 매입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2자기력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본체(60)와, 상기 제1자기력부(62)에 결착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70) 및 상기 제2자기력부(63)와 결착되어 상기 1차 수거봉투(70)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8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 지게 된다.
한편, 배변본체(60)는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61)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배변구의 좌우측에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62)가 설계되어 1차 수거봉투(70)를 결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제1자기력부(62)와 자석으로 결착된 1차 수거봉투(70)가 자중에 의하여 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변본체(60)의 상부에 구성되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의 걸림턱의 좌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매입되어 구성되는 제2자기력부(63)가 설계되어 2차 수거봉투(80)를 용이하게 결착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자기력부(63)는 제1자기력부(6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입되는 자석으로써 상기 제1자기력부(62)보다 상부에 구성되어 진다.
한편, 상기 1차 수거봉투(70)는 배변본체의 제1자기력부(6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72)이 매입되어 결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1차 수거봉투(70)와 동시에 탈착되고 상기 2차 수거봉투에 배변 및 소변이 담기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7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1차 수거봉투(70)는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는 경우 우선적으로 애완동물의 배변을 담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1차 수거봉투(70)에 구비된 가림막은 애완동물의 배변이 2차 수거봉투(80)에 담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배변본체의 제1자기력부(6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된 자석(72)은 배변본체(60)와 1차 수거봉투(70)를 결착시키다가 애완동물이 배변을 본 후 일정한 자중에 의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1차 수거봉투(70)는 바람직하게 배변본체의 제2자기력부(63)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여 제2자기력부(63)와 2차 수거봉투(80)가 결착되기 용이하도록 2차 수거봉투(8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배변본체의 제2자기력부(63)와 대응되는 부분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수거봉투(80)는 배변본체의 제2자기력부(63)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결착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자기력부(83)와, 배변본체의 제1자기력부(62) 및 1차 수거봉투의 자석(7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결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82) 및 상기 제1자기력부(82)의 상단에 제2자기력부(83)가 위치하여 제1자기력부(82)와 제2자기력부(83)의 경계선 상에 일정부분 절곡된 홈으로 구성되어 접힐 수 있는 절곡홈(85)이 형성되어 1차 수거봉투(70)에 애완동물의 배변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절곡홈(85)은 용이하게 2차 수거봉투(80)의 일부분을 접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수거봉투(80)는 일측면에 가림막(미도시)을 형성하여 시각적으로 수거봉투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2차 수거봉투(80)의 상부에 결합되고 2차 수거봉투(80)와 동시에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배변본체(60)의 일면에 1차 수거봉투(7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1차 수거봉투(70)를 덮는 형태로 2차 수거봉투(80)가 구성되어 진다.
2차 수거봉투(80)의 일정 부분은 배변본체(60)와 결착하게 구성되고, 1차 수거봉투(70)에는 가림막(75)이 형성된다.
도 19을 참조하면,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배변본체(60)와 결착된 1차 수거봉투(70)에 우선적으로 배변이 담기게 되며, 배변이 담긴 1차 수거봉투(70)는 일정한 만큼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므로 2차 수거봉투(80)는 절곡홈(85)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우선적으로 1차 수거봉투(70)에 배변이 담기도록 가림막(75)이 형성되어 2차 수거봉투(80)와 1차 수거봉투(70)의 사이를 가리게 되는 것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이중구조 결합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자기력식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브라켓을 추가로 구성하여 본체와 힌지결합되도록 구성한 이중구조의 자기력식 결합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브라켓을 추가로 구성한 이중구조의 자기력식 결합방식은 배변본체(600)와, 상기 배변본체에 탈착되는 제1차 수거봉투(700)와, 상기 배변본체와 힌지결합하는 브라켓(800)과, 상기 브라켓에 탈착되는 제2차 수거봉투(9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변본체(600)는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601)가 구성되며, 배변구의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력부(602)와, 상기 자기력부(602)의 상단에 위치하며 걸림턱(603)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힌지결합 수단(6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 수단(604)은 바람직하게 스프링을 내재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변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700)는 상기 배변본체(600)의 자기력부(60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701)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1차 수거봉투(700)에 구성되는 가림막은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우선적으로 1차 수거봉투(700)에 배변이 담기도록 브라켓 및 2차 수거봉투(80)를 가리는 기능을 한다.
한편, 브라켓(800)은 상기 배변본체(600)의 힌지결합수단(604)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801)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력부(802) 및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8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900)는 상기 브라켓(800)의 자기력부(801)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한편,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배변본체(600)와 결착된 1차 수거봉투(700)에 우선적으로 배변이 담기게 되며, 배변이 담긴 1차 수거봉투(700)는 일정한 만큼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상기 배변본체와 힌지결합된 브라켓은 일정 각도만큼 들려 올려지게 된다.
또한,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았을 경우 배변이 담긴 1차 수거봉투(700)는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며 브라켓에 결착되어 있는 2차 수거봉투(900)가 애완동물의 다음 배변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브라켓을 이용한 이중구조의 자기력식 결합방식은 소변수거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자기력 소변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력부 및 상기 자기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결합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본체와, 상기 소변본체의 자기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와, 상기 소변본체의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 2차 브라켓과, 상기 제 2차 브라켓의 자기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는 배변본체 또는 소변본체와 수거봉투가 탈부착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이와는 달리 배변본체 또는 소변본체와 수거봉투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애완동물에 배변본체 및 소변본체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결합방식은 착용밴드와 몸띠를 이용한 결합방식이었다.
이와는 달리 착용밴드를 사용한 결합방법 또는 의류를 사용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착용밴드를 사용한 애완동물에 배변본체 또는 소변본체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수거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일회용 대변본체 또는 소변본체를 예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수거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대변본체 및 소변본체에 결합밴드가 결합된 도면들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회용 배변본체(310)에 수거봉투(3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배변본체(310)의 각 단부에는 끈결합홈(313)이 형성되어 끈(210)이 대변본체를 통과한다. 도면부호 '315'는 전면으로 5도 내지 45도로 돌출된 원형의 걸림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회용 배변본체(310)는 바람직하게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회용 소변본체(410)에 수거봉투(4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일회용 소변본체의 각 단부에는 끈결합홈(413)이 형성되어 끈(210)이 소변본체를 통과한다.
도 23는 본 발명에 따른 수컷 애완동물에 일회용 대변본체 및 일회용 소변본체를 결합한 도면이며,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암컷 애완동물에 일회용 대변본체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23를 참조하면, 일회용 대변본체(310) 및 일회용 소변본체(410)를 끈(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컷 애완동물에 장착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둔부 상부에는 끈 조임 부속(330)과 등 부분에는 끈 자동수축 고정장치(34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끈 조임 부속(330)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애완동물의 종류와 형태에 맞추어 상기 끈(밴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끈 자동수축 고정장치(340)는 상기 일회용 대변본체(310) 및 일회용 소변본체(410)를 애완동물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애완동물의 꼬리부분에서 끈을 조인 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구성되어 진다.
도 24을 참조하면, 일회용 배변본체(310)를 끈(밴드)를 이용하여 암컷 애완동물에 장착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둔부 상부에는 끈 조임 부속(330)과 등 부분에는 끈 자동수축 고정장치(34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끈 자동수축 고정장치(340)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끈 자동수축 고정장치(340)은 원형 스프링(341)이 내장되어 있으며, 스프링(341)에 연결된 끈을 당기면 스프링이 감기는 구조이다. 이는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줄이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배변본체가 애완동물에 밀착된다.
도 25(b)를 참조하면, 2방향 끈 조임부속(340)을 간략화한 것으로, 주로 암컷 끈 조임부속으로 사용되며, 목 부분과 배변본체 방향으로 끈이 전달된다.
도 25(c)를 참조하면, 4방향 끈 조임부속(340)을 간략화한 것으로, 주로 수컷끈 조임부속으로 사용되며, 목, 대변본체, 소변본체 양쪽 방향으로 끈이 전달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 부속(330)을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26를 참조하면, 끈 조임 부속(330)은 상부 부속(330a)과 하부 부속(330b)으로 분리되며, 그 사이에 스프링(332)이 개재된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부부속 및 하부부속에는 각각 끈(밴드)가 통과하는 구멍(330a, 330b)이 있다. 상부부속(330a)에 외압을 가하면 상부부속(330a)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부부속의 구멍(331a)과 하부부속의 구멍(331b)가 일치하게 되면, 그 구멍에 삽입된 끈(밴드)를 통과하면서 끈 조임 부속(33)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부부속(330a)에 외압을 제거하면 상부부속(330a)은 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로 이동하면서 끈(밴드)는 서로 어긋나면서 끈 조임 부속(330)은 끈(밴드)에 고정된다.
다시 도 26를 참조하면, 끈 조임 부속(330)은 상부부속(330a)에 외압을 가한 상태에서 꼬리 바로 위까지 끈 조임 부속(330)을 이동시키면, 배변본체(310)는 더 견고하게 애완동물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끈 조임 부속(330)은 평면적으로 하부가 라운딩되어 꼬리와 밀접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7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와 결합하는 배변본체를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애완동물용 의류(500)에 주머니(510)를 만들어 상술한 수거봉투(20)가 부착된 배변본체(10)를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11)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15)을 갖는 배변본체(10);
    상기 배변본체(10)의 후면 양측면으로 뒤로 연장되며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부착대(16); 및
    상기 배변본체(10)의 배변구(11)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2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15)은 전방으로 5도 내지 45도로 원형으로 돌출되어 애완동물의 꼬리의 거치를 안정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2.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111)를 구비하며, 측면으로는 수평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지지부(115)를 갖는 소변본체(110);
    상기 소변본체의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120); 및
    상기 소변본체(110)의 슬라이딩 지지부(115)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113)을 갖는 소변본체 걸림부(132)와 소변본체 걸림부(132)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몸을 감싸도록 형성된 날개부(131)와 밴드를 연결하는 연결홈(118)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하부 연결홈(18); 및
    상기 부착대(16)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상부 연결홈(19)을 더 포함하여 착용밴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구(11)의 하단을 연장하여 대소변 일체형의 수거장치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5.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봉투는 벨로우즈 형태로 접합되어 수거봉투의 입구에 부착되는 제1차 마운트와;
    상기 1차 마운트에 부착되며 1차 마운트에 접합된 벨로우즈의 주름이 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펴짐 방지턱이 형성된 2차 마운트로 구성되며;
    애완동물의 배변 시 자중에 의해 수거봉투가 외부로 펴지면서 배변이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 및 소변수거장치.
  6.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본체 내지 소변본체는 애완동물과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변본체 내지 소변본체의 둘레로 결합되는 자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7.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봉투의 탈부착은 자기력, 고무밴드방식, 똑딱이 단추방식, 접착테이프방식, 홈에 끼우는 마운트방식 또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자기력 배변수거장치는,
    상기 배변본체(60)의 배변구(61)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62) 및;
    상기 제1자기력부(62)의 상단에 위치하며 배변본체(60)에 구성된 걸림턱의 좌우측면에 매입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형성되는제2자기력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본체(60)와;
    상기 제1자기력부(62)에 결착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70) 및;
    상기 제2자기력부(63)와 결착되어 상기 1차 수거봉투(70)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8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수거봉투(70)는
    배변본체(60)의 제1자기력부(6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72)이 매입되어 결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2차 수거봉투(80)에 배변 및 소변이 담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차 수거봉투(70)와 2차 수거봉투(80) 사이에 1차 수거봉투(70)측에 가림막(75)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수거봉투(80)는
    배변본체(60)의 제2자기력부(63)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자기력부(83)와;
    배변본체(60)의 제1자기력부(62)와 1차 수거봉투(70)의 자석(72)과 대응되는 위치에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자기력부(82) 및;
    상기 2차 수거봉투(80)의 상단에 위치한 제2자기력부(83)가 1차 수거봉투(70)와 고정되며 제1자기력부(82)가 1차 수거봉투(70)의 자석(72)과 벌어질수 있기 위해 제1자기력부(82)와 제2자기력부(83) 사이에 일정부분 절곡된 홈으로 접힐 수 있는 절곡홈(8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자기력 배변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601)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력부(602) 및 상기 자기력부(602)의 상단에 위치하며 걸림턱(603)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힌지결합 수단(6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본체(600)와;
    상기 배변본체(600)의 자기력부(60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701)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700)와;
    상기 배변본체(600)의 힌지결합수단(604)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801)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력부(802) 및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803)을 가지는 브라켓(800)과;
    상기 브라켓(800)의 자기력부(801)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9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중짹망떱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자기력 소변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1100)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되되 좌측 또는 우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1200)와, 상기 돌출부(1200)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통공된 슬라이딩 홈(1300)과,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 매입되는 자기력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본체(1000)와;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홈의 자기력부(1400)와 일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2100)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2000)와;
    상기 제1차 수거봉투(2000)의 후면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1300)에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홈의 자기력부(1400)와 제1차 수거봉투의 자석(2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3200)이 매입되고,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3000);로 구성되는 수거봉투의 자기력식 탈부착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자기력 소변수거장치는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력부 및 상기 자기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결합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본체와;
    상기 소변본체의 자기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수거봉투와;
    상기 소변본체의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 좌우측에 매입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제 2차 브라켓과;
    상기 제 2차 브라켓의 자기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매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차 수거봉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4. 중앙에 통공된 소변구(111)를 구비하며, 측면으로는 수평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지지부(115)를 갖는 소변본체(110);
    상기 소변본체의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120); 및
    상기 소변본체(110)의 슬라이딩 지지부(115)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113)을 갖는 소변본체 걸림부(132)와 소변본체 걸림부(132)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몸을 감싸도록 형성된 날개부(131)를 갖는 몸띠(130)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몸띠(130)의 날개부(131)의 양단에는 애완동물의 털과 결합할 수 있는 빗살형식의 원터치 스피링(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16. 중앙에 배변구(11)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의 하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배변본체(10);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수거봉투;
    상기 배변본체의 상단과 결합하며 애완동물의 꼬리의 상부가 거치되는 반원부(32)를 갖는 걸림 스프링(30); 및
    상기 걸림 스프링(30)의 반원부(32)에 슬라이딩하여 애완동물의 꼬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37)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17. 중앙에 배변구(11)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의 하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배변본체(10);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수거봉투;
    상기 배변본체의 상단과 결합하며 애완동물의 꼬리의 상부가 거치되는 반원부(32)를 갖는 걸림 스프링(30); 및
    상기 걸림스프링(30)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애완동물의 꼬리가 관통하면서 꼬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38)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18. 중앙에 배변구(11)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의 하부가 거치되는 반원부를 갖는 배변본체(10);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수거봉투; 및
    상기 배변본체(10)의 상단과 결합하여 탄성부재 및 빗살부재로 구성되어 애완동물의 꼬리 상부의 털에 고정되는 원터치형 스프링 고정부재(39)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19. 중앙에 배변구를 구비하며, 배변구 가장자리에 수거봉투(320)가 일체로 결합된 일회용 배변본체(310);
    상기 배변본체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면서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착용밴드;
    상기 착용밴드의 중간에 형성된 끈 자동수축장치(340)와;
    상기 배변본체(310)를 애완동물에 고정하는 끈 조임장치(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20. 중앙에 통공된 배변구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애완동물의 꼬리가 거치되는 반원형상으로 걸림턱을 갖는 배변본체(10);
    상기 배변본체의 배변구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되는 수거봉투(20); 및
    상기 배변본체가 삽입되는 주머니(510)를 갖는 애완동물용 의류(500)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PCT/KR2009/005126 2008-10-14 2009-09-10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WO2010044547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30928A JP2012505635A (ja) 2008-10-14 2009-09-10 ペットの排泄物回収装置
CN2009801409291A CN102186336A (zh) 2008-10-14 2009-09-10 宠物排泄物收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50A KR101218824B1 (ko) 2008-10-14 2008-10-14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
KR10-2008-0100650 2008-10-14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4547A2 WO2010044547A2 (ko) 2010-04-22
WO2010044547A3 WO2010044547A3 (ko) 2010-07-15
WO2010044547A4 true WO2010044547A4 (ko) 2010-10-14

Family

ID=4210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5126 WO2010044547A2 (ko) 2008-10-14 2009-09-10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505635A (ko)
KR (1) KR101218824B1 (ko)
CN (1) CN102186336A (ko)
WO (1) WO20100445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47668U (zh) * 2012-10-31 2013-03-01 shu-guang Li 簡易動物接便器快速穩固安裝構造
CN103385210B (zh) * 2013-07-02 2015-02-04 无锡天惠塑机有限公司 一种陆龟接便器
CN107846866A (zh) * 2015-07-08 2018-03-27 崔永道 宠物便盆
CN107996442A (zh) * 2016-11-02 2018-05-08 清远市普理斯贸易有限公司 一种宠物随身集便器
US10757918B2 (en) * 2017-01-25 2020-09-01 David William STOCCARDO Touchless pet waste container
CN108743143B (zh) * 2018-08-21 2024-03-26 严彦宏 可收集使用者排泄物的护理垫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691A (en) * 1995-03-06 1998-10-13 Lavi; Yaakov Apparatus for collecting animal waste deposits
AU770618B2 (en) * 1999-04-29 2004-02-26 Chui-Wen Chiu 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 worn by the animal
KR20060005733A (ko) * 2004-07-14 2006-01-18 박영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장치
CN1833489B (zh) * 2005-03-14 2010-04-14 曾天赐 承接狗便的器具
KR20060109015A (ko) * 2005-04-15 2006-10-19 이태영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TWM297623U (en) * 2006-04-04 2006-09-21 Apple Ju Studio Inc Mobile stool for animals
CN2917270Y (zh) * 2006-05-12 2007-07-04 苹信心文化事业有限公司 动物行动马桶
CN200944785Y (zh) * 2006-07-18 2007-09-12 徐卫星 宠物随身洁便器
KR100843591B1 (ko) * 2007-03-22 2008-07-03 이기철 애완동물의 수컷용 소변 수거장치
KR100843589B1 (ko) * 2007-03-22 2008-07-03 이기철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CN101278655A (zh) * 2007-04-03 2008-10-08 苹信心文化事业有限公司 符合环保的动物排泄物收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5635A (ja) 2012-03-08
WO2010044547A2 (ko) 2010-04-22
KR101218824B1 (ko) 2013-01-04
KR20100041460A (ko) 2010-04-22
WO2010044547A3 (ko) 2010-07-15
CN102186336A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44547A4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WO2019164135A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7510076B2 (en) Case
WO2021172767A1 (ko) 접이식 상자
WO2015199334A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WO2017086600A1 (en) Headrest folding device
WO2013191501A1 (ko) 서핑보드
WO2017090822A1 (ko) 선 감개형 책상
WO2016200172A1 (ko) 세척 가능 빨대
WO2019017571A1 (ko)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WO2010016691A2 (ko) 우산
WO2016024715A1 (ko)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WO2009125939A2 (ko) 다용도 손수건
WO2016021946A2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3172570A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WO2016060526A2 (ko) 스마트폰 거치대
WO2019212225A1 (ko) 우산 장착이 가능한 가방
WO2019066499A1 (ko) 양봉용 밀랍분리도구
WO2021177568A1 (ko) 의류 폴딩 장치
WO2012173340A2 (ko) 손가락 보호가 되는 주방용 칼
WO2013118976A1 (ko) 타월
WO2013180331A1 (ko) 카메라 홀더
WO2017034222A2 (ko)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WO2014185670A1 (ko) 우산 고정장치
WO2010107219A2 (ko) 바퀴와 받침대가 함께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바퀴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40929.1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06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3092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206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