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05206A9 - 독서 보조용 기구 - Google Patents

독서 보조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05206A9
WO2010005206A9 PCT/KR2009/003635 KR2009003635W WO2010005206A9 WO 2010005206 A9 WO2010005206 A9 WO 2010005206A9 KR 2009003635 W KR2009003635 W KR 2009003635W WO 2010005206 A9 WO2010005206 A9 WO 2010005206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ok
bookmark
reading
read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36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05206A1 (ko
Inventor
이희재
Original Assignee
Lee Heeja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Heejae filed Critical Lee Heejae
Priority to CN200980126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089156A/zh
Priority to EP09794612A priority patent/EP2325021A1/en
Priority to US13/003,074 priority patent/US20110109074A1/en
Priority to JP2011517341A priority patent/JP2011527645A/ja
Publication of WO20100052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05206A1/ko
Publication of WO2010005206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05206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42D17/005Hand-held holders for facilitating the reading of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6Handles; Gripp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aid, and relates to a tool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 bookshelf from falling over when a person reads.
  • a reading aid is one that can be used to help the reading behavior when a person reads a book, such as a bookmark or a reading table.
  • Conventional bookmarks are used to read the book and mark the read portion so that it is easy to find the portion that was read in the past when reading the book continuously.
  • the book is us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book to reduce eye strain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reader.
  • the bookmark generally has only a function of displaying a portion which has been read in the past by being sandwiched between specific bookshelves.
  • a reading aid device has an object to provide a reading aid device that includes a structure to prevent the bookshelf was read when a person reads.
  • the re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ookshelf from going to the next chapter by being sandwiched between bookshelves.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formed in a concave contour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okbinding portion of the book.
  • It preferably includes a bookmark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the bookmark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 the flip-flop preven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to be in contact with the bookshelf facing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ip-flop prevention portion is attached to the polymer material having the adsorption force.
  • the main body and the bookmark are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is preferably accommodated detachably.
  • the main body preferably contains a cleaner capable of wiping surfaces such as sticky notes or glasses.
  • the main body accommodates a small magnifying glass or a small lamp.
  • the main body accommodates a USB memory or a small rechargeable battery.
  • the main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pencil or ball pen.
  • the main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so as to hook the key ring.
  • the re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ook turn-over un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okbinding portion of the book to prevent the bookshelf from going to the next chapter.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may be used as a tool for turning the bookshelf by the us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ding aid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reading aids shown in FIG.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reading ai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views for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reading aids in FIG.
  • FIGS. 9 and 10 are views illustrating a reading aid in accordance with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d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ding aid shown in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reading aids shown in FIG.
  • the read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bookshelves to prevent the bookshelf from going to the next chapter, the main body 20,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art 30, the bookmark 40, and the earplug 50 are included.
  • the main body 20 is a member made of a rod shape.
  • the body 20 may be manufactured by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wood, and the like.
  • the main body 20 includes a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30, an ear plug receiving groove portion 22, and a guide groove 24.
  • the fall prevention portion 30 is formed in a concave contour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20.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30 is provided with a pair.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30 is preferably made of a shape that closely follows the outline of the bookbind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okbinding portion of the book 100.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30 is attached to a pad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a suction force.
  • the pad is provided to allow the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30 to be in good contact with the bookshelves facing each other.
  • a polymer material having adsorptive properties such as silicone and rubber having adsorption power is preferable.
  • the ear plug receiving grooves 22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0.
  • the ear plug receiving groove part 22 is a part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concave inside the main body 20.
  • the guide groove 24 is a groov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The guide groove 24 is provided to couple the bookmark 40 to be described later.
  • the earplug 50 is detachably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2 for the earplug.
  • the earplug 50 is separated from the earplug receiving groove 22 when inserted in the user's ear when reading in a noisy environment, such as a train, by blocking the surrounding noise adversely affects the user's reading environment reading It is designed to help you focus on.
  • the bookmark 40 is provided to make it easy to find the part that was read later by sandwiching the bookshelf like a conventional bookmark.
  • the bookmark 40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2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 the bookmark 40 has a guide rail 45.
  • the guide rail 45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bookmark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 the bookmark 4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such as silicon.
  • the material of the bookmark 40 for example, rubber, silicone, polyvinyl chloride (PVC),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flexible material used for the material of the bookmark 40 is to prevent marks or scratches on the bookshelf when used as a bookmark.
  • the bookmark 40 employs a flexible polymer material in order to have a greater frictional force than a human finger when in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 the bookmark 40 is formed to become thinner and thinner as it moves away from the main body 20.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is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ookbinding portion of the book 100.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okshelf in accordance with the contours of the bookshelf surfaces on both sides.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30 serves to press the surface of the bookshelf to prevent the bookshelf to go to the next chapter.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30 is simply inserted near the bookbinding portion of the book 100 to prevent the bookshelf from falling, so when the user deliberately uses his or her hand or arm or other object when reading, There is no need to act to prevent it from falling over. Therefore, since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during reading, it is possible to obtain freedom of action such as taking notes, and it is effective to concentrate on reading mentally.
  • the reading aid 10 may be used as a tool for turning over a bookshelf. This effect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3. That is, as shown in FIG.
  • the earplug 50 provides an effect of concentrating on reading by blocking surrounding noise from adversely affecting the user when reading in a noisy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 the reading aid 10a includes a main body 20, a book turning prevention unit 30, and a bookmark 40. Referring to FIGS. 1 to 3.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reading aid 10a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25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memo paper 60 and the cleaner 65 are detachably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5.
  • the memo paper 60 is a stack of multiple sticky notes.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emo pad 60 is a memo pad such as a so-called post-it.
  • the memo paper 60 is provided to enable the reader to make an important note or a simple memo while reading.
  • the cleaner 65 has a tong shape, and a cleaning part 67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microfiber fiber which contacts a surface of glasses, a magnifier, a screen, etc. at one side of the tongs shape, and wipes the surface of the glasses. Equipped with.
  • the reading aid 10b shown in FIG. 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tool shown in FIG. 4, and only the additive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5 are different.
  • a small magnifying glass 70 and a small lamp 75 ar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5.
  • the compact magnifying glass 70 is provided with a convex lens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frame. 5, 7 and 8, the small light fixture 75 has a light source mounted therein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a slit 76 is inserted into a bookshelf or the bookmark 40 to be fixed. It is provided.
  • the small lamp 75 is provided to allow a convenient reading even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damage to the surroundings or lighting is not provided around.
  • the small lamp 75 is provided with a digital clock so that the reader can check the time when reading.
  • the reading aid 10c shown in FIG. 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shown in FIGS. 4 and 5, and only the additive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5 are different. That is, referring to FIG. 6, a USB memory 85 or a small rechargeable battery 8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5.
  • the rechargeable battery 80 and the USB memory 85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5 in a separated state.
  • the rechargeable battery 80 or the USB memory 85 is provided to be used as a power supply or emergency memory mean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PMPs.
  • the reading aid 10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20 has a coupling groove 27 into which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pencil or a ballpoint pen can be inserted.
  • the coupling groove 27 is provided to enable students to easily read the reading aid 10e, such as a pencil case, and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oss.
  • the reading aid 10e is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28 to be hooked to the key ring or the like in the main body 20.
  • the ring portion 28 allows the user to easily carry the present reading aid (10e) to a key ring, a mobile phone, etc. to use anytime and anywhere, and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oss.
  • the bookmark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ade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the bookmark is not made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even if made of a rigid plastic or metal such as polypropylen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to be in contact with the bookshelf facing each other,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is described as having a polymer material with adsorptive power, but the book turning prevention portion Even if the adsorption force is not attached to the polymer material is somewhat less effecti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 the main body and the bookmark has been described as detachably coupled, even if the main body and the bookmark are integrally combined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is described as being housed in earplugs, memo paper, cleaners, magnifiers, lights, rechargeable batteries, USB memory, etc.,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such an accessory is not stored. Even if other adducts not listed here are accommodat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는, 책장 사이에 끼워져 그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막대형상의 본체; 및 책의 제본부위 부근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표면에 오목한 윤곽으로 형성된 책 넘김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서 보조용 기구
본 발명은 독서 보조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이 독서를 하는 경우에 책장 사이에 끼워 그 책장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 보조용 기구는 사람이 책을 읽는 경우에 그 독서 행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책갈피, 독서대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종래의 책갈피는 책을 읽다가 그 읽은 부분을 표시하여 나중에 연속하여 책을 읽을 경우에 과거에 읽었던 부분을 찾기 쉽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독서대는 사람이 책을 읽는 경우에 책의 각도를 조절하여 눈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독서자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책상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독서를 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열차나 버스 등과 같은 교통 수단에 탑승하여 독서를 하는 경우에 상기 독서대를 휴대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책갈피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책장 사이에 끼워서 과거에 읽었던 부분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진다.
그런데 독서를 하는 경우에 책의 제본 특성상 펼쳐진 책장을 사람이 손으로 잡거나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다음 책장으로 넘어가서 읽던 페이지를 다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독서를 하는 경우에 사람이 인위적으로 읽고 있던 책장을 누르거나 잡지 않더라도 그 책장이 자연적으로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는 사람이 독서를 하는 경우에 읽고 있던 책장이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된 독서 보조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는, 책장 사이에 끼워져 그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막대형상의 본체; 및
책의 제본부위 부근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표면에 오목한 윤곽으로 형성된 책 넘김 방지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로부터 그 본체의 외부로 길게 돌출된 책갈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책갈피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책 넘김 방지부는 서로 마주하는 책장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책 넘김 방지부에는 흡착력이 있는 고분자 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와 책갈피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귀마개용 수용홈부를 구비하며, 그 수용홈부에는 귀마개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점착성이 있는 메모지 또는 안경 등의 표면을 닦을 수 있는 클리너를 수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소형 돋보기 또는 소형 전등을 수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유에스비(USB) 메모리 또는 소형 충전지를 수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열쇠고리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는 책 넘김 방지부가 책의 제본부위 근처에 밀착되어 그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책 넘김 방지부는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책장을 넘기기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독서 보조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독서 보조용 기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독서 보조용 기구의 사용예를 보여 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10d,10e...독서 보조용 기구
20...본체 22...귀마개용 수용홈부
24...가이드 홈 25...수납공간
27...결합홈 28...고리부
30...책 넘김 방지부 40...책갈피
45...가이드 레일 50...귀마개
60...메모지 65...클리너
67...세정부 70...소형 돋보기
75... 소형 전등 76...슬릿
80...소형 충전지 85...유에스비 메모리
100...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독서 보조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독서 보조용 기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10)는 책장 사이에 끼워져 그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20)와, 책 넘김 방지부(30)와, 책갈피(40)와, 귀마개(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2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상기 본체(20)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는 책 넘김 방지부(30)와, 귀마개용 수용홈부(22)와, 가이드 홈(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상기 본체(20)의 표면에 오목한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책(100)의 제본부위 부근에 밀착되도록 그 제본부위 부근의 윤곽을 잘 추종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흡착력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서로 마주하는 책장에 잘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패드의 재료로는 흡착력이 있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흡착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귀마개용 수용홈부(22)는 상기 본체(20)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귀마개용 수용홈부(22)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가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 홈(24)은 상기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부이다. 상기 가이드 홈(24)은 후술하는 책갈피(40)를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귀마개(50)는 상기 귀마개용 수용홈부(22)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귀마개(50)는 전철 등과 같이 주변이 소란스러운 환경에서 독서를 하는 경우에 상기 귀마개 수용홈부(22)에서 분리하여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주변의 소음이 사용자의 독서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하여 독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책갈피(40)는 종래의 책갈피와 같이 책장 사이에 끼워서 읽었던 부분을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책갈피(4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그 본체(20)의 외부로 길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책갈피(40)는 가이드 레일(4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45)은 상기 본체(20)에 마련된 가이드 홈(24)에 끼워져서 상기 책갈피(40)가 상기 본체(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책갈피(40)는 실리콘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책갈피(40)의 소재는 예컨대 고무, 실리콘, 폴리염화비닐(PV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책갈피(40)의 재질을 유연한 소재를 사용한 것은 책갈피로 사용되는 경우에 책장에 자국이나 흠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책갈피(40)는 종이면과 접촉시 사람의 손가락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를 채용하였다. 상기 책갈피(4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더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독서 보조용 기구(10)의 작용을 사용자가 독서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독서를 하는 경우에 책(100)의 특정한 페이지를 읽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에 마련된 책 넘김 방지부(30)를 책(100)의 제본부위 부근의 양쪽 면에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양쪽의 책장 표면의 윤곽과 일치하여 그 책장의 표면에 밀착된다. 그 상태에서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려는 힘이 발생하면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그 책장의 표면을 가압하여 그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는 간단하게 책(100)의 제본부위 부근에 끼워짐으로써 책장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자가 독서시에 일부러 손이나 팔 또는 다른 물건을 사용하여 책장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행위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독서시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메모를 하는 등의 행동의 자유를 얻을 수 있으며, 정신적으로 독서에만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독서 보조용 기구(10)는 책장을 넘기기 위한 도구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3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갈피(40)를 손가락으로 잡고서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를 넘기고자 하는 책장의 가장자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 책장을 넘기고자 하는 방향으로 살짝 힘을 가하면 상기 책 넘김 방지부(30)와 책장 표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그 책장만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귀마개(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이 소란스러운 환경에서 독서를 하는 경우에 주변의 소음이 사용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여 독서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는 여러 가지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데 그 중 몇 가지의 경우를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10a)는 본체(20)와, 책 넘김 방지부(30)와, 책갈피(40)를 포함하고 있는 점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독서 보조용 기구(10a)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공간(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25)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지(60)와 클리너(65)가 그 수납공간(25)에 분리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상기 메모지(60)는 점착성이 있는 메모지가 여러 겹 중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메모지(60)의 대표적인 예는 소위 포스트잇(post-it)과 같은 메모지가 있다. 상기 메모지(60)는 독서자가 독서 중에 중요한 사항이나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클리너(65)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집게 형상의 일측부에 안경, 돋보기, 스크린 등의 표면에 접촉하여 그 안경 등의 표면을 닦을 수 있는 부직포나 극세사 섬유로 이루어진 세정부(67)를 구비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독서 보조용 기구(10b)는 도 4에 도시된 도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수납공간(25)에 수납되는 부가물이 다를 뿐이다. 상기 수납공간(25)에는 소형 돋보기(70)와 소형 전등(75)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소형 돋보기(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록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형 전등(75)은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이 장착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책장이나 상기 책갈피(40)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릿(7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형 전등(75)은 독서시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거나 또는 주위에 조명시설이 구비되지 않는 곳에서도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소형 전등(75)에는 디지털 시계가 구비되어 있어서 독서자가 독서시에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독서 보조용 기구(10c)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25)에 수납되는 부가물이 다를 뿐이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공간(25)에는 유에스비(USB) 메모리(85) 또는 소형 충전지(80)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충전지(80)와 상기 유에스비 메모리(85)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25)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지(80)나 유에스비 메모리(85)는 휴대폰이나 피엠피(PMP)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이나 비상용 메모리 수단으로 휴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서 보조용 기구(10e)는 본체(20)에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27)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결합홈(27)은 학생들이 필통 등에 상기 독서 보조용 기구(10e)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며, 분실될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는 독서 보조용 기구(10e)는 본체(20)에 열쇠고리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부(2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28)는 사용자가 본 독서 보조용 기구(10e)를 열쇄고리나 휴대폰 등에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분실의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그 본체의 외부로 길게 돌출된 책갈피를 포함하는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책갈피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책갈피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책갈피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가 아니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이 딱딱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책 넘김 방지부는 서로 마주하는 책장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책 넘김 방지부에는 흡착력이 있는 고분자 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책 넘김 방지부에 흡착력이 고분자 소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효과는 다소 떨어지지만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와 책갈피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본체와 책갈피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귀마개, 메모지, 클리너, 돋보기, 전등, 충전지, 유에스비 메모리 등이 수납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와 같은 부가물이 수납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하지 않는 다른 부가물들이 수용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1)

  1. 책장 사이에 끼워져 그 책장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막대형상의 본체; 및 책의 제본부위 부근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표면에 오목한 윤곽으로 형성된 책 넘김 방지부;를 포함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그 본체의 외부로 길게 돌출된 책갈피를 포함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책갈피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넘김 방지부는 서로 마주하는 책장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책 넘김 방지부에는 흡착력이 있는 고분자 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책갈피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귀마개용 수용홈부를 구비하며, 그 수용홈부에는 귀마개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점착성이 있는 메모지, 또는 안경 등의 표면을 닦을 수 있는 클리너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소형 돋보기 또는 소형 전등을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유에스비(USB) 메모리 또는 소형 충전지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열쇠고리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보조용 기구.
PCT/KR2009/003635 2008-07-08 2009-07-03 독서 보조용 기구 WO201000520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266368A CN102089156A (zh) 2008-07-08 2009-07-03 书页保持装置
EP09794612A EP2325021A1 (en) 2008-07-08 2009-07-03 Book page holder
US13/003,074 US20110109074A1 (en) 2008-07-08 2009-07-03 Book page holder
JP2011517341A JP2011527645A (ja) 2008-07-08 2009-07-03 読書補助用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245 2008-07-08
KR1020080066245A KR100957834B1 (ko) 2008-07-08 2008-07-08 독서 보조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5206A1 WO2010005206A1 (ko) 2010-01-14
WO2010005206A9 true WO2010005206A9 (ko) 2010-03-11

Family

ID=4150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3635 WO2010005206A1 (ko) 2008-07-08 2009-07-03 독서 보조용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09074A1 (ko)
EP (1) EP2325021A1 (ko)
JP (1) JP2011527645A (ko)
KR (1) KR100957834B1 (ko)
CN (1) CN102089156A (ko)
WO (1) WO2010005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7795B1 (en) * 2011-09-23 2013-03-05 Donald Scott Rogers Combined beverage lid plug and bookmark
JP5032715B1 (ja) * 2012-03-23 2012-09-26 啓太 飯塚 書籍のページ押さえ具
CN110404140B (zh) * 2013-01-29 2022-09-30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电子模块和药物输送装置
KR200479361Y1 (ko) 2014-04-01 2016-01-25 김송주 책 고정 기구
US20160154232A1 (en) * 2014-12-01 2016-06-02 David Levine Menu vision aid and methods thereof
US10183519B1 (en) * 2017-07-19 2019-01-22 Marcio Almeida Landim Batista Page bookmarking device
US20220371353A1 (en) * 2021-05-23 2022-11-24 Andrew Francis Blanchard Book Page Holder Device
USD992640S1 (en) * 2023-01-12 2023-07-18 Yu Fan Book pag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4010A (en) * 1959-05-25 1960-12-13 Quality Weaving Company Bookmarks
US3703779A (en) * 1969-11-14 1972-11-28 Allan Goldman Translucent sign
FR2271636B1 (ko) * 1974-01-25 1976-10-08 Delage Jean
JPS5443455U (ko) 1977-08-31 1979-03-24
US5189405A (en) * 1989-01-26 1993-02-23 Sharp Kabushiki Kaisha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JPH0667062U (ja) * 1993-03-08 1994-09-20 秀雄 今井 戻り閉じ防止クリップ
CN2325216Y (zh) * 1998-03-18 1999-06-23 陈晓军 阅读用书夹
JP2000097707A (ja) * 1998-09-18 2000-04-07 Fujitsu Ltd 加速度センサ
JP3753581B2 (ja) * 1999-05-20 2006-03-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748021B2 (ja) * 1999-10-04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2316491A (ja) * 2001-04-20 2002-10-29 Tsunayoshi Iizuka ペン付きしおり
US20030168847A1 (en) * 2002-03-11 2003-09-11 Ralph Palamidessi Bookmark including elastic member attached thereto
CN2719584Y (zh) * 2004-07-09 2005-08-24 李德胜 压书板装置
CN1760037A (zh) * 2005-04-15 2006-04-19 陈烁 撑书夹
CN2920669Y (zh) * 2006-03-09 2007-07-11 刘思洋 一种多功能书签
KR100722425B1 (ko) * 2006-10-19 2007-05-28 장용철 북 그립
US7607463B2 (en) * 2007-06-11 2009-10-27 Bryan Huber Billfold with integrated notepad and writing utensil
KR20080033214A (ko) * 2008-03-25 2008-04-16 이승락 필기구 수납실과 눈금자를 형성한 책갈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74A (ko) 2010-01-18
CN102089156A (zh) 2011-06-08
JP2011527645A (ja) 2011-11-04
US20110109074A1 (en) 2011-05-12
EP2325021A1 (en) 2011-05-25
WO2010005206A1 (ko) 2010-01-14
KR100957834B1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05206A9 (ko) 독서 보조용 기구
ATE471674T1 (de) Universalbuchhalterung
US20030012013A1 (en) Reading and writing assistant device
US5526180A (en) Multifunction glare screen
US20030029985A1 (en) Clipboard and reading stand with light and drawers
CN101382650B (zh) 一种放大镜装置
GB2471145A (en) A handheld image capture and viewing device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CN214467423U (zh) 一种可以调节支撑角度的便携平板皮套键盘
CN201298109Y (zh) 一种放大镜装置
GB2476064A (en) Video recording spectacles with removable camera
WO2021100892A1 (ko) 다이어리 케이스
CN214311735U (zh) 一种具有防护眼睛功能的电子书
KR101822994B1 (ko) 북커버
WO2012070869A2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213659294U (zh) 一种防摔儿童学习平板电脑
KR1010341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KR200493133Y1 (ko) 와이드 프레넬 렌즈 돋보기
CN215643183U (zh) 一种外语学习读写辅助装置
CN212160986U (zh) 一种法条朗读显示学习机
US11846872B2 (en) Night vision preserving case for use in associ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KR101384615B1 (ko) 보청기 배터리 교체장치
CN215792773U (zh) 压书器
RU2783360C1 (ru) Планшет тактический с подсветкой
CN215456230U (zh) 一种多功能阅读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26636.8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946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1734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003074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794612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