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28658A2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28658A2
WO2009128658A2 PCT/KR2009/001969 KR2009001969W WO2009128658A2 WO 2009128658 A2 WO2009128658 A2 WO 2009128658A2 KR 2009001969 W KR2009001969 W KR 2009001969W WO 2009128658 A2 WO2009128658 A2 WO 200912865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main body
separation unit
air
dust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9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28658A3 (ko
Inventor
이창훈
김영호
황만태
양해석
정회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3525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5997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4816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3882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09732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277426B1/en
Publication of WO200912865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28658A2/ko
Publication of WO200912865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2865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Definitions

  •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 the dust separator.
  • Such a vacuum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suction nozzl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dust separator for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body to separate dust from the air.
  • This dust separation device allows dust to be separated mainly by the cyclone principle.
  •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that improves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nd is easy to manufacture.
  •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nd a dust separ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leaner body to separate dust from the air, wherein the dust separation unit includes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 the second main body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b bodies.
  • the dust separator and the dust container are provided as separate items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the structure of the dust container can be simplified and the weight can be light.
  • the dust separation unit unit and the filter unit ar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together in a combined state,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filter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o clean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filter unit. .
  •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can be cleaned while the first main body is rotated. Further, since the second cas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constituting the filter unit,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se can be cleaned or replaced while the second case is rotated.
  • a plurality of bodies are combined to form a complete dust separation unit. Therefore, since the respective bodies are combined after the production of the respective bodies, the number of molds for manufacturing the respective bodies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making the dust separation unit easy to manufact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dust container is separated.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dust separation apparatus separat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is rotated.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is rotated.
  •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se of the filter unit in FIG. 7 is rotated.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dust container is separated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dust separation device is removed to be.
  • FIG. 1 shows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as an exampl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dea of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the vacuum cleaner 1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suction motor therein and a main body 10 detachably mounted therein, and removes dust in the air.
  • the dust separator 100 for separating and the dust container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to allow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100 to be stored.
  •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2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has a mounting portion 13 for mounting the dust container 200 is formed.
  • the fixing plate 14 for fixing the dust contain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3.
  •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18 to accommodate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20 for covering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in a state where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8.
  • One end of the cover membe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a hinge,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4.
  • the cov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utton 22 to allow the cover member 20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4.
  • a coupling button 22 to allow the cover member 20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4.
  • an end of the coupling button 22 is selectively caught by the fixing plate 14.
  • the cover member 20 covers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 a part of the dust separator 100 is seated on the fixing plate 14 in the state where the dust separator 1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8.
  • an opening 16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14 to mov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100 to the dust container 200.
  • the opening 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discharge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tructure of the dust container 200 can be simplified. It can be lighter. Therefore, in order to empty the dust, the user only needs to separate the dust container 200 from the main body 10,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enhanced.
  •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5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14 to allow air containing dust to flow into the dust separator 100.
  • two suction holes 15 are form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is rotated.
  • the dust separation unit 100 is coupled to a dust separation unit 110 to separate the dust in the air,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 the filter unit 150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110 is included.
  •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llows the dust in the air to be separated by the cyclone flow.
  •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main body 112 and a second main body 120 to which the first main body 112 is rotatably coupled.
  • the second main body 120 has a first sub body 121 and a second sub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 body 121 and coupled to the first sub body 121.
  • Body 122 is included.
  •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forms a complete shap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odies.
  • the first sub body 121 is coup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sub body 122 and the cyclone axis (C).
  • the cyclone axis C means the central axis of the cyclone flow.
  • the number of molds for forming the body (112, 121, 122) can be reduced when manufacturing the body (112, 121, 122), respectively, than when manufacturing one complete dust separation unit, the mol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of each of the body 112, 121, 122 is eas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can be reduced.
  • the first main body 112 is provided with a dust discharge portion 114 for discharging dust separated from the air.
  • the dust discharge part 11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ain body 112.
  • the first main body 1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lever 113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main body 120.
  • the first main body 112 is provided with a pair of hinges 115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main body 120. As the first main body 11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main body 120,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can be easily clean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main body 112 is rotated. It becomes possible.
  • suction portions 123 and 124 for suctioning air and dust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sub body 121 and the second sub body 122. That is,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parts 123 and 124. The suction portions 123 and 124 exten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dies 121 and 122 so that cyclone flow is generated.
  • Each of the suction parts 123 and 124 i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dust discharge part 114.
  • hinge coupling parts 125 and 126 to which the hinge 115 of the first main body 112 is coupled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b bodies 121 and 122.
  •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b-bodies 121 and 122 to discharg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 filter bodies 127 and 128 for filtering air are coupled to a surface on which each discharge hole (see 137 and 138 of FIG. 9) is formed.
  • first and second sub-bodies 121 and 122 have an air discharge part 129 for al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see 137 and 138 of FIG. 9) to be moved to the filter unit 150. 130) is formed.
  • the first and second sub-bodies 121 and 122 are provided with coupling parts 133 and 134 which are screwed togeth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upling bosses 132 to be coupled to the filter unit 150.
  • coupling ribs 135 and 136 to which the coupling lever 113 of the first main body 112 is coupled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b-bodies 121 and 122.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is rotated
  •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se of the filter unit is rotated in FIG.
  • the filter unit 150 includes a first case 152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nd a seco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152.
  • a case 160 and a filter 170 mounted on the second case 160 are included.
  • the first case 152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enings 153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air discharge parts 129 and 130.
  • a handle 154 for holding the us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se 152.
  •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ase 152 has a pair of hinge coupling portion 155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air of hinges 164 of the second case 160.
  • a coupling protrusion 156 is formed on the first case 152 to selectively engage the coupling lever 162 of the second case 160.
  • the user can replace the filter 170 or clean the filter 170.
  • the second case 160 has a discharge port 161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70 is discharged.
  •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nd the filter unit 150 are coupl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lifts the filter unit 150 while holding the handle 154,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nd the filter unit 150 can be withdrawn from the body 10 at the same time.
  • one or more noise reduction units 139 ar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units 129 and 130 to reduce noise generated in the flow of air.
  • the noise reduction unit divides the flow paths of the air discharge units 129 and 130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air discharge unit.
  •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rough the pair of suction portions 123 and 124. Therefore, as air is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rough each of the suction units 123 and 124, a pair of cyclone flow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 the flow path area of the air is increased, and the loss of the air path is reduced to increase the separation performance.
  • the pair of cyclone flows are respectively generated at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o move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cyclone flows meet at the center portion. Accordingly, a stronger cyclone flow is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an the cyclone flow generated at each of the suction parts 123 and 124.
  • the dust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discharge portion 114 by a strong cyclone flow, thereby improving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the dust .
  • Air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s described above is mov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mov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collected, in this process air and dust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nder different centrifugal forces.
  • the separated dust is discharg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o the dust discharge unit 114, the discharged dust is moved along the dust discharge unit 114 to flow into the dust container 200 do.
  • th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is moved to the air discharge parts 129 and 130 through the discharge holes 137 and 138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dies 127 and 128.
  •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arts 129 and 130 is moved to the filter unit 150.
  • the user may clean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or replace the filter bodies 127 and 128 while the first main body 112 is rotat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distribution unit 300 allow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o be distributed to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 the distribu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distribution unit 300 includes a body 310 having a main flow passage 312 formed therein, an intake port 320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body 310, and the body 310.
  • a pair of branches (332, 334) is included to allow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divided flow.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flow passage 312 through the suction port 320 is divided into the respective branch portions 332 and 334, and the suction portions 123 and 124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moved to.
  • the suction port 320 is formed so as to be biased toward any one branch in order to prevent the large foreig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ain flow passage 312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main flow passage.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 the dust container 200 includes a dust collecting body 210 in which dust is stored, and a cover member 25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s formed with a handle 212 that the user can hold. And,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212 is formed with a coupling lever 214 for selectively coupling to the fixing plate 14.
  •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for pressing the stored dust.
  •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include a first pressing member 220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2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 the second pressing member 2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shaft 232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includes a pressing plate 221 for pressurizing dust by interaction with the second pressing member 230, and a rotating shaft 222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ing plate 221. do.
  • the rotation shaft 222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232.
  • a driven gea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 the shaft of the driven gea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and is 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222.
  • the driven gear meshes with a drive gear, not shown, which is engaged with the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Therefore, when the compression motor is rotated, the drive gear is rotated, and the driven gea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T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coupled with the driven gea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In addition,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body is compressed while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is rotated.
  • the compression motor may be a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and thus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is able to rotate in both direction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 the compression motor and the driving gear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s an example.
  • the cover member 250 is formed with a dust inlet 252 through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100 is introduced.
  • the dust inlet 252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16 of the fixing plate 14.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separated from the dust during the spiral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en, the separated dust is discharged to the dust discharge portion 114, the air of the dust discharge portion 114 passes through the opening 16 of the fixing plate 14 and then the dust inlet 252 It is moved to the dust container 200 through.
  • the separa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moved to the filter unit 150.
  • the air moved to the filter unit 15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after being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7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먼지분리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에는, 제 1 메인 바디와, 상기 제 1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메인 바디는 복수의 서브 바디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먼지분리장치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결합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어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장치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먼지 분리 장치는 주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먼지분리장치의 먼지분리성능이 향상되며, 제작이 용이한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먼지분리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에는, 제 1 메인 바디와, 상기 제 1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메인 바디는 복수의 서브 바디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먼지분리장치와 먼지통이 별개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본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먼지통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 만을 상기 본체에서 분리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먼지분리유닛 유닛과 필터 유닛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먼지분리유닛 및 필터 유닛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먼지분리유닛 및 필터 유닛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분리유닛을 구성하는 제 1 메인 바디가 제 2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메인 바디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유닛 내부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을 구성하는 제 1 케이스에 제 2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 2 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케이스에 수용된 필터를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 개의 바디가 결합되어 완전한 먼지분리유닛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바디를 제작한 후에 상기 각 바디를 결합시키면 되므로, 상기 각 바디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수가 줄어들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1 메인 바디가 회전된 상태의 먼지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제 1 메인 바디가 회전된 상태의 먼지분리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필터 유닛의 제 2 케이스가 회전된 상태의 먼지분리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일 례로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 청소기가 도시되나, 본 실시예의 사상은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통(20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의 바퀴(12)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3)의 상측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14)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상측 부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수용되는 수용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100)가 상기 수용부(18)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부재(2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버튼(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버튼(22)의 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수용부(18)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의 일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는 후술할 먼지분리장치(100)의 먼지 배출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먼지통(200)이 별개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본체(1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먼지통(20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200) 만을 상기 본체(10)에서 분리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홀(15)이 형성된다. 도 3에는 일 례로 두 개의 흡입홀(15)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1 메인 바디가 회전된 상태의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는,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분리유닛(110)과,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150)이 포함된다.
먼저, 먼지분리유닛(11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에는, 제 1 메인 바디(112)와,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1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메인 바디(120)에는, 제 1 서브 바디(121)와, 상기 제 1 서브 바디(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브 바디(121)에 결합되는 제 2 서브 바디(122)가 포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은 다수의 바디가 결합되어 완전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 바디(121)는 상기 제 2 서브 바디(122)와 싸이클론 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싸이클론 축(C)은 싸이클론 유동의 중심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바디가 결합되어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이 완성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완전한 먼지분리유닛을 제작하는 경우 보다, 상기 바디(112, 121, 122)를 각각 제작하는 경우에 상기 바디(112, 121, 122)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수가 줄어들 수 있고, 금형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바디(112, 121, 122)의 제작이 용이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제작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먼지 배출부(114)는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에는 상기 제 2 메인 바디(12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레버(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에는 상기 제 2 메인 바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힌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가 상기 제 2 메인 바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유닛(110)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서브 바디(121) 및 제 2 서브 바디(122) 각각에는 공기와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부(123, 1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은 복수의 흡입부(123, 124)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23, 124) 들은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 바디(121, 122)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각 흡입부(123, 124)는 상기 먼지 배출부(114)의 양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바디(121, 122)에는,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의 힌지(115)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125, 1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바디(121, 122)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도 9의 137, 138참조)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홀(도 9의 137, 138참조)이 형성되는 면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바디(127, 128)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바디(121, 122)에는 상기 배출홀(도 9의 137, 138참조)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필터 유닛(15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129, 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바디(121, 122)에는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133, 134)와, 상기 필터 유닛(15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보스(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바디(121, 122)에는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의 결합 레버(113)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리브(135, 13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유닛(15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1 메인 바디가 회전된 상태의 먼지분리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필터 유닛의 제 2 케이스가 회전된 상태의 먼지분리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유닛(150)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10)과 결합되는 제 1 케이스(152)와, 상기 제 1 케이스(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케이스(160)와, 상기 제 2 케이스(160)에 안착되는 필터(17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케이스(152)에는 상기 공기 배출부(129, 130)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한 쌍의 개구부(1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52)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15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52)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케이스(160)의 한 쌍의 힌지(164)가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힌지 결합부(1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152)에는 상기 제 2 케이스(160)의 결합 레버(162)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15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케이스(160)를 상기 제 1 케이스(150)에 대해서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170)를 교체하거나 상기 필터(170)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52)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15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홀(157)에 스크류가 체결되면, 상기 스크류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체결 보스(132)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 유닛(150)과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160)에는 상기 필터(17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먼지분리유닛(110)과 상기 필터 유닛(150)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154)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유닛(150)을 들어올리면, 상기 먼지분리유닛(110)과 상기 필터 유닛(150)이 상기 본체(10)에서 동시에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부(129, 13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소음 저감부(139)가 형성된다.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공기 배출부(129, 130)의 유로를 다수의 유로로 구획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에서의 공기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쌍의 흡입부(123, 124)를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각 흡입부(123, 124)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먼지분리유닛(110) 내부로 흡입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내부에서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일의 공간에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은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양측에서 각각 발생되어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며, 중앙부에서 상기 각 싸이클론 유동이 만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각 흡입부(123, 124) 측에서 발생된 싸이클론 유동 보다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중앙부에 모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공간에서 단일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보다 유동 세기가 커져 먼지의 분리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중앙부로 이동된 먼지는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의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먼지분리유닛(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중앙부로 이동되어 모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먼지 배출부(114)로 배출되고, 배출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14)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먼지통(200) 내부로 유입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 바디(127, 128)를 통과한 후에 상기 배출홀(137, 138)을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부(129, 13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129, 130)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150)으로 이동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제 1 메인 바디(11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상기 필터 바디(127, 128)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300)은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로 분배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배 유닛(300)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배 유닛(300)에는, 내부에 메인 유로(312)가 형성되는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320)와, 상기 바디(310)로 유입된 공기가 나뉘어 유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분지부(332, 334)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20)를 통하여 상기 메인 유로(31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각 분지부(332, 334)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각 흡입부(123, 124)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320)는, 상기 메인 유로(312)로 유입된 큰 이물이 상기 메인 유로 내부에서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일 분지부 측으로 치우지게 형성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200)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2)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레버(214)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는 저장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에는, 상기 집진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가압 부재(220)와, 상기 집진 바디(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2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축(232)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에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221)과, 상기 가압판(221)과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22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2)은 상기 고정축(23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종동 기어(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종동 기어의 축은 상기 집진 바디(210)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222)과 결합된다. 상기 종동 기어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구동 기어는 압축 모터의 축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 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종동 기어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종동 기어와 결합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 바디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된다. 이 때, 상기 압축 모터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양방향(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 및 상기 구동 기어는 일 례로 상기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5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유입부(252)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의 개구부(16)와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진공 청소기 내부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배 유닛(300)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각 흡입부(123, 124)로 분배된다.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와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14)로 배출되고, 상기 먼지 배출부(114)의 공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의 개구부(16)를 통과한 후에 상기 먼지 유입부(252)를 통하여 상기 먼지통(200)로 이동된다.
반면, 분리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유닛(110)에서 배출되어 상기 필터 유닛(150)으로 이동된다. 상기 필터 유닛(150)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17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에 상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난 후에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Claims (10)

  1.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먼지분리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먼지분리유닛에는, 제 1 메인 바디와, 상기 제 1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메인 바디는 복수의 서브 바디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바디는 상기 제 2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며,
    상기 복수의 서브 바디는 싸이클론 유동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바디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바디 각각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바디 각각에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부와,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가지는 필터 유닛이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더 포함되며,
    상기 먼지분리유닛은 상기 필터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먼지통은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먼지통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과 상기 먼지통을 연통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닛에 결합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필터가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
PCT/KR2009/001969 2008-04-16 2009-04-16 진공 청소기 WO2009128658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732203.6A EP2277426B1 (en) 2008-04-16 2009-04-16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51 2008-04-16
KR1020080035251A KR100959973B1 (ko) 2008-04-16 2008-04-16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2008-0048162 2008-05-23
KR1020080048162A KR101038827B1 (ko) 2008-05-23 2008-05-23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8658A2 true WO2009128658A2 (ko) 2009-10-22
WO2009128658A3 WO2009128658A3 (ko) 2009-12-30

Family

ID=4119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969 WO2009128658A2 (ko) 2008-04-16 2009-04-16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277426B1 (ko)
WO (1) WO20091286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3508A (zh) * 2011-05-26 2012-1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015B1 (ko) * 2000-08-07 2003-03-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01896B1 (ko) * 2004-05-12 2006-07-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GB2417674B (en) * 2004-09-02 2007-12-19 Techtronic Ind Co Ltd Suction cleaners
JP2006272314A (ja) * 2005-03-29 2006-10-12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60125956A (ko) * 2005-06-01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 유니트
KR100647195B1 (ko) * 2005-06-03 2006-11-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57384B1 (ko) * 2006-05-25 2007-09-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08114966A1 (en) * 2007-03-16 2008-09-25 Lg Electronics Inc.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16910B1 (ko) * 2007-04-12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27742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7426A2 (en) 2011-01-26
EP2277426A4 (en) 2014-03-26
WO2009128658A3 (ko) 2009-12-30
EP2277426B1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709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500829B1 (ko) 진공청소기의 이중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1611789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0147320A2 (ko)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WO201609904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US20050251951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WO2011055862A1 (ko) 진공청소기
WO2019231157A1 (en) Cleaning appliance
WO2020045809A1 (ko) 진공청소기
WO2010085050A2 (en)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11025071A1 (ko) 진공 청소기
WO2009128658A2 (ko) 진공 청소기
KR20090051346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먼지 분리 장치
EP2142064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WO2021172655A1 (en) Cleaner
CN111904326B (zh) 清洁设备
WO2011025072A1 (ko) 진공 청소기
KR100959973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WO2010104228A1 (ko) 진공 청소기
WO2010093072A1 (ko) 진공 청소기
CN111904325B (zh) 手持式清洁设备
WO2019231154A1 (en) Cleaning appliance
KR101038827B1 (ko) 진공 청소기
WO2021230585A1 (ko) 진공청소기 및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322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7322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