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7001139A - 안테나(Antenna) - Google Patents
안테나(Antenn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7001139A KR987001139A KR1019970704407A KR19970704407A KR987001139A KR 987001139 A KR987001139 A KR 987001139A KR 1019970704407 A KR1019970704407 A KR 1019970704407A KR 19970704407 A KR19970704407 A KR 19970704407A KR 987001139 A KR987001139 A KR 987001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antenna element
- case
- contact terminal
- rotat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CNQCVBJFEGMYDW-UHFFFAOYSA-N lawrencium atom Chemical compound [Lr] CNQCVBJFEGMY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헬리컬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와, 휩 안테나로 된 제2 안테나 소자 (2)를 직선상으로 배열하여 안테나(10)를 구성한다. 안테나(10)는 회전축(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기립되었을 때에 어느 하나의 안테나 소자가 케이스 내의 신호원(7)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축의 접촉 단자에 접속하는 제 1 안테나 소자용 제 1 접촉단자와, 제 2 안테나 소자용의 제 2 접촉 단자(6)가 설치되어 있다. λ/2로 되어 있는 안테나 소자의 정합을 하는 정합회로(4,9)를 안테나 (10)에 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종래, 이 종류의 안테나로는 일본특허공보 평 3-245603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12a도에 보인 타입 A 의 안테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216630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12b도에 보인 타입 B 의 안테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271701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12c도에 보인 타입 C 의 안테나가 알려져 있다.
이 타입 A 의 안테나는 케이스 (100) 내에 슬라이드 되어 수납가능한 휩(whip) 안테나 소자 (103) 와, 휩 안테나 소자 (103) 상에 절연부 (106) 를 통하여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로 이루어져있다. 그리고 타입 A 의 안테나를 케이스 (100)에서 인출하였을 때에는, 휩 안테나 소자 (103)에 신호원(102) 이 정합회로 (MC) (101) 를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휩 안테나 소자 (103) 가 동작상태로 된다. 또한, 타입 A 의 안테나를 케이스 (100) 내에 수납하면,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가 케이스 (100) 에서 돌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3) 가 정합회로 (101) 에 접속됨으로써,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3) 가 동작상태로 된다.
또한, 절연부 (106) 는 휩 안테나 소자 (103) 와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타입 B의 안테나는, 케이스 (100) 의 돌출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헬리컬 안테나 소자(104) 와 케이스 (100) 내에 슬라이스되어 수납가능한 휩 안테나 소자 (103) 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타입 B 의 안테나를 케이스(100) 에서 인출하였을때에는, 휩 안테나 소자 (103) 가 동작상태로 된다. 또한, 타입 A 의 안테나를 케이스 (100) 내에 수납하면,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만이 정합회로 (101) 를 통해 신호원 (102) 에 접속됨으로써,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3) 가 동작상태로 된다.
또한, 절연부 (106) 는 휩 안테나 소자 (103) 와 헬리컬 안테나소자 (104) 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게다가, 타입 C 의 안테나는, 케이스 (100) 의 돌출 부분에 수납되어 있는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와 케이스 (100) 내에 슬라이드 되어 수납가능한 헬리컬상으로 된 휩 안테나 소자 (103)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타입 C 의 안테나를 케이스 (100) 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는, 휩 안테나 소자 (103) 에. 신호원 (102) 이정합회로 (MC) (101) 를 통하여 접속되는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가 용량결합됨으로써, 휩 안테나 소자(103) 가 동작상태로 된다. 또한, 타입 A 의 안테나를 케이스 (100) 내에 수납하면,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와 휩 안테나 소자 (103) 의 용량결합이 해제되어,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만이 동작상태로 된다.
또한, 절연부 (106) 는 휩 안테나 소자(103) 와 헬리컬 안테나 소자 (104) 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는, 신장 시에는 불필요해지는 헬리컬 안테나 소자부, 및/혹은 헬리컬 안테나 소자 길이에 맞기만 한 절연부가 휩 안테나 소자부의 선단에 존재하며, 이 때문에 안테나 전체 길이가길어지고, 그 수납 공간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단부에 헬리컬 안테나 소자부가 형성되어 있는경우에는, 안테나 선단이 비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는,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기의 소형화에 지장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는, 안테나의 신장 시에 있어서의 휩 안테나 소자와, 안테나의 수납 시에있어서의 헬리컬 안테나 소자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하나의 정합회로로 행하고 있으나, 휩 안테나 소자 길이와 헬리컬 안테나 소자 길이에는 여러 조합이 있고, 양 안테나에 대한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으며, 도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쌍방향의 안테나에 임피던스 특성에 차이가 생기고, SWR 이 열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헬리젤 안테나 소자부의 제작을 할 때는 코일감지 공정으로부터 수지성형에 이르는 공정에서의 성능유지 관리가 곤란하였고, 휩 안테나 소자의 습동력이 고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안테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두개의 다른 종류의 안테나 소자의 어느 한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테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 무선전화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안테타의 제1의 실시예를 개요를 나타내는 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2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
제1c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3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
제1d도는 본발명의 안테나의 제4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에 있어서의 제2안테나 소자를 사용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에 있어서의 제2안테나 소자를 사용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4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3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4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3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4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3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2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5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2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1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1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에 있어서, 회전측에 설치된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앞쪽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8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뒤쪽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9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9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있어서 제2안테나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9c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있어서 제1안테나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은 본 발명의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도.
제11도는 종래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도.
제12a도는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의 타입B의 개략도.
제12c도는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의 타입 C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분 발명의 안테나는,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서로 형상이 다른 제 1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안테나 소자와의 사이에 설치된 삽통구멍을 가지는 안테나에 있어, 그 삽통구멍에 추지(樞支)된 회전축에 의해,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되어 소전 위치까지 기립(起立)한 어느 하나의 상기 안테나 소자에 급전 수단이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안테나는,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서로 형상이 다른 제 1 안테나 소자와 제 2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의 하단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안테나이며, 안테나가 상기 회전축이 케이스를 관통하여 추지되어있으므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각각 상기 케이스의 양면에 위치하도록 되어, 상기 케이스에 추지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일체화된 안테나가 상기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되어서 소정 위치까지 기립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 혹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에 급전 수단이 접속되도록 한 것 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양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상기 안테나가 회전되어 소정의 위치까지 기립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 혹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을 접속하는 스위치 기구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게다가,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의 소자의 급전점의 일방 혹은 쌍방에 정합회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게다가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판상의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있게 하여도 되고,
게다가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가 휩 안테나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헬리컬 안테나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테나에 의하면, 두 개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안테나를 회전가능하게 하여, 소정위치에 기립한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이 접속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본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안테나에 정합회로를 내장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각 안테나 소자의 정합을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게다가 또한 , 안테나가 회전되어 수납되는 것이며 유전체판 상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하도록 하면, 정밀한 가공이나 코일감기 등의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그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의 개략구성을 제1도에 나타낸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1실시예의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같은 제1b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같은 제1c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같은 제1d도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4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a도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안테나 (10) 는, 횝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소자 (2) 와, 헬리컬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와의 사이에 회전축 (3) 에, 안테나 (10) 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 구멍이 끼워져, 회전축 (3) 에 대해 안테나 (10) 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3) 은 도시하지 않은 휴대 무선 전화기 등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전기장은 약 1/2 파장 (λ/2) 으로 되어 안테나 임피던스가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측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하기 위해 정합회로 (MC) (9) 가 안테나 (10) 에 내장되어 있다. 이 정합회로 (9) 는 제 2 안테나의 소자 (2) 와 제 2 접촉 단자 (6) 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원 (7) 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2 접촉 단자 (6) 에 접속되어 있는 때는 제 2 안테나 소자 (2) 에 신호원 (7) 의 신호가 공급되어 동작상태로 되고,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위가 되도록 기립되면, 신호원 (7) 은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1 접촉 단자 (5) 에 접속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제 1 안테나 소자 (1) 용의 제 1 접촉 단자 (5)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용의 제 2 접촉 단자 (6) 가 안테나 (10)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의 전기장은 약 λ/4 로 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안테나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고, 안테나 (10) 를 회전시켜 기립시켰을 때에, 상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안테나 소자에 신호원 (7) 이 접속되도록 회전측 (2) 에 후술할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b도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의 안테나 (10) 는, 휩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소자 (2) 와, 헬리컬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와의 사이에 회전축 (3) 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 (3) 에 안테나 (10) 가 형성되어 있는 삽통 구멍이 끼워져, 회전축 (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 (3)에 안테나 (1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3)은 도시하지 않은 휴대 무선 전화기 등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의 전기장은 , 약 1/2과장 (λ/2)으로 되어 안테나 임피던스가 높게되어 있지 때문에, 케이스측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하기 위해 정합회로 (MC) (8) 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정합회로 (8)는 신호원과 안테나 (10) 에 접촉하는 케이스측 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원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합회로 (8) 및 케이스축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2 접촉 단자 (6) 에 접속되어 있을 때는 제 2 안테나 소자 (2) 에 신호원 (7)의 신호가 공급되어 동작상태로 되고,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위가 되도록 기립되면, 신호원(7)은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1 접촉 단자 (5) 에 접속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동작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제 1 안테나 소자 (1) 용의 제 1 접속 단자 (5)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용의 제 2 접촉 단자 (6)가 안테나 (10)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이 처럼, 제 1 실시의 형태와 비교하여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의 전기장이 함께 약 λ/2로 된 것이다.
제1c도에 나타내는 제 3실시예의 안테나 (10) 는,휩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소자 (2) 와 헬리컬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와의 사이에 회전축 (3) 이 설치 되어 있다. 이 회전축 (3) 에 안테나 (10)가 형성되어 있는 삽통 구멍이 끼워져, 회전축 (3) 에 대해 안테나 (1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3)은 도시하지 않은 휴대 무선 전화기 등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데나 소자 (2) 의 전기장은, 약 1/2 파장 (λ/2)으로 되어 안테나 임피던스가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측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하기 위하여, 정합회로 (MC) (4, 9)가 안테나 (10)에 내장되어 있다. 이 정합회로 9는 제 2 안테나 소자 (2) 와 제 2 접촉 단자 (6) 의 사이에 설치되며, 정합회로 4는 제 1 안테나 소자 (1)와 제 1 접촉 단자 (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원(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2 접촉단자 (6)에 접속되어 있을 때는 제 2 안테나 소자 (2) 에 신호원 (7) 의 신호가 공급되어 동작상태로 되고, 안테나 (10)가 회전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가 위가 되도록 기립되면, 신호원 (7)은 케이스축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1 의 접촉 단자 (5) 에 접속되고, 제 1 안테나 소자 (1)가 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제1 안테나 (1) 용의 제 1 접촉 단자 (5)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용의 제2 접촉단자 (6) 가 안테나 (10) 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실시예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정합회로의 설치방법이 다르게 되어 있을 뿐이다.
제1d도에 나타내는 제 4 실시예의 안테나 (10) 는, 휩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소자 (2)와, 헬리컬안테나로 되니 제 1 의 안테나 소자 (1) 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소자 (2) 와 제 1 안테나 소자 (1) 와의 사이에 회전축 (3) 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 (3) 에 안테나 (10) 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또한 회전축 (3)은 도시하지 않은 휴대 무선 전화기 등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전기장은, 약 1/4 파장 (λ/4) 으로 되어 정합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케이스측과의 임피던스 정합이 된다.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원 (7) 이 도시하는 것처럼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 통하여 제 2 접촉 단자 (6) 에 접촉되어 있을 때는 제 2 안테나 소자 (2) 에 신호원 (7) 의 신호가 공급되어 동작상태로 되고,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위가 되도록 기립되면, 신호원 (7) 은 케이스측 접촉 단자를하여 제 1 접촉 단자 (5) 에 접속되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제 1 안테나 소자 (1) 용의 제 1 접촉 단자 (5) 와, 제2 안테나 소자 (2) 용의 제 2 접촉 단자 (6)가 안테나 (10) 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실시예는 이렇게,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전기장이 약 λ/4 로 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안테나 (10) 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를 구비하는 휴대 무선 전화기 등의 케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제2도 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10) 가 케이스(11)에 회전축(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안테나(10)가 부착되어 있는 케이스 (11) 의 부착면에는 안테나 (10) 가 직립하여 수납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회전가능한 오목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제2a도는 제 1 안테나 소자 (1) 에 케이스 (11) 측이 접속되어 있을때의, 안테나 (10) 의 기립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케이스 (11) 로부터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돌출하도록 안테나 (10) 가 기립되어 있다. 이 때, 제 2 안테나 소자 (2)는 오목부 (12) 내에 수납되어, 케이스(11) 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 상태로부터, 안태나(1)를 회전시켜,같은 도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안테나 소자(2) 가 케이스(11)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시키면, 제 2 안테나 소자 (2) 에 케이스 (11) 츨이 접속되게 된다. 이 때, 제 1 안테나 소자 (1) 는 케이스(11)측과 분리된다.
이처럼 안테나(10)을 회전시켜 기립시킴으로써, 제 1 안테나 소자(1)과 제 2 안테나 (2) 와의 절환을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d도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안테나에 제 4 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도 3 에 나타낸다. 제3a도는 정면도, 같은 제4b 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헬리컨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휩 안테나로 된 휩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원통상 혹은 사각형상의 수지제 안테나 케이스 (20) 내에 대략 일직선상이 되도록 수납되어 안테나 (1)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전기장은 공히 약 λ/4 로 되어 있다.
이 안테나 (10) 는 케이스 (11) 의 일면에 회전축 (3)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안테나 케이스 (20) 에는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접촉되어 있는 제 1 접촉 단자 (5)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접속되어 있는 제 2 접촉 단자 (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접촉 단자 (6)는, 케이스 (11) 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로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기립된 때에,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는 어느 하나의 안테나 소자측의 접촉 단자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되어 있으면, 제 1 접촉 단자 (5)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 (10) 를 회전시켜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시키면, 제 2 접촉 단자 (6)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되게 된다.
다음에 제1c도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3 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제4도에 나타낸다. 제4a도 는 정면도, 같은 제b도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의 안테나는 상기 제3에 나타내는 제 4 의 실시예의 안테나와 비교하여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전기장이 약 λ/2 으로 된 것이며, 이 상이함에 기초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헬리컬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케이스 (1) 의 접지와 접촉하고 있는 회전축 (3) 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제 1 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4) 가 형성되고, 횝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소자 (2) 와 케이스 (1) 의 접지와 접촉하고 있는 회전축 (3) 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제 2 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9) 가 형성되어 있어서 안테나 케이스 (20) 내에 수납되어 안테나 (10) 가 구성되어 있다.
이 안테나 (10) 는 케이스 (11) 의 일면에 회전축 (3)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안테나 케이스 (20) 에는, 제 1 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4) 가 접속되어 있는 제1접촉 단자 (5) 와 제2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9) 가 접속되어 있는 제 2 접속 단자 (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접촉 단자 (5), 제 2 접촉 단자 (6) 는, 케이스 (11) 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측 접촉단자 (13) 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기립되었을 때에 케이스측 접촉단자 (11) 로 부터 돌출하도록 기립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 소자측의 접촉 단자 (5, 6)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접합회로 (4) 및 제 2 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9) 는 프린트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되어 있으면 제 1 접촉 단자 (5)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도록 되고, 제 1 안테나 소자 (1)가 제 1 안테나 소자 정합 회로 (4) 를 통하여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안테나 (10) 을 180° 회전시켜 제 2 안테나 소자(2) 가 케이스 (11) 에서 돌출하도록 기립하면, 제 2 접촉 단자(6)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제 2 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9)를 통하여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하게 된다.
다음에 제1b도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2 실시예의 상세구성을 제 5도 에 나타낸다. 제5a도는 정면도, 같은 제b도 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잇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의 안테나는 헬리컬 안테나로 된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슬리브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2) 가 수지제의 안테나 케이스 (20) 내에 수납되어 안테나 (10)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은 등축형 회전축 (21) 으로 되어 있고, 동축형 회전축 (21) 의 의주 도체는 케이스 (11) 측의 접지에 접속되어, 그 중심도체는 케이스 (11)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정합회로 (8) 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동축형 회전축 (21) 의 의주 도체에 슬리브 안테나로 된 제 2 안테나 (2) 의 슬리브가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동축형 회전축 (21) 의 중심도체를 이용하여 스위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 기구의 상세한 것을 도 7 에 나타내는 바, 동축형 회전축 (21) 의 중심도체를 구성하는 원통형 케이스측 급전단자 (13) 의 선단부는 반절(半截)되어 반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경우는, 이 반원상의 케이스측 급전단자 (13) 에 제 1 안테나 소자 (1) 에 접속되어 있는 원호상의 제 1 접촉 단자 (5) 가 접촉되어서 케이스 (11) 내의 신호원 (7) 은 제 1 안테나 소자 (1) 에 접속된다.
이 안테나 (10) 는 케이스 (11) 의 일면에 회전축 (3)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안테나 (10) 를 180° 회전시켜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11)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하면, 원호상의 제2 접촉 단자(6)가 케이스측 급전단자(13)에 접촉하게 되어, 제2안테나 소자(2)가 제 2 안테나 소자 정합회로 (9) 를 통하여 신호원 (7) 에 접속하게 된다.
이처럼 동축 회전축 (21) 에는, 안테나 (10) 를 회전함으로써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제 2 안테나 소자 (2)를 자동적으로 절환하여 케이스 (11) 내의 회로에 접속하는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케이스측 급전단자 (13) 에 케이스 내 회로 (14) 와의 사이에 정합회로 (8) 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 5 실시예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제 5 실시예의 안테나는, 유전체판 (22) 상에 지그재그상으로 형성한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유전체(22) 상에 직선상으로 형성한 제 2 안테나 소자 (2) 를 가늘고 긴 평면상의 수지제 안테나 케이스 (20) 에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2) 의 전기장은, 공히 약 λ/2 로 되어있고, 안테나(10) 는 얇은 판상의 플랙서불한 안테나로 할 수가 있다.
이 안테나 (10) 는 케이스 (11) 의 일면에 회전축 (3)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안테나 케이스 (20) 에는 제 2 안테나 소자 (1) 가 접속되어 있는 제 1 접촉 단자(5)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접속되어 있는 제 2 접촉 단자 (6) 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접촉단자 (5), 제 2 접촉단자 (6) 는, 케이스 (11) 에 설치되어 있는 원호상의 케이스측 접촉단자 (13) 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기립된 때에,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되는 어느 하나의 안테나 소자측의 접촉단자가, 케이스측 접촉단자 (13)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접촉 단자 (13) 와 16 의 사이에 스프링 (15)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 (15) 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케이스 접촉 단자 (13) 는 안테나 케이스 (20) 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단자 (5, 6) 에 안정하게 접촉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되어 있으면, 제 1 접촉 단자(5)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 (10) 를 180°회전시켜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하면, 제 2 접촉 단자 (6)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되게 된다.
케이스 (11) 내로 유도된 안테나 (10) 로부터의 신호는, 정합회로 (8) 를 통하여 케이스 내 회로 (14) 에 공급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제8도 및 제9도 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제 5실시예의 변형예의 안테나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 의 일면에 제 2안테나 소자 (1) 가 배치되고, 케이스(11)의 다른 면에 제2안테나 소지(2)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안테나 소자(1)와 제2 안테나 소자(2)는 케이스 (11) 를 협지하고 있고, 또한, 제 1안테나 소자 (1) 와 제 2안테나 소자 (2) 는 회전측 (3)에 고정됨으로써 일체화되고 있다.
또한, 제 1안테나 소자 (1) 가 배치되어 있는 일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안테나 소자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부채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배치되어있는 다른 면에는 제 2 안테나 소자 (2)가 수납되는 오목부 (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동작상태로 되어 있는 제 1 안테나 소자 (1) 를 회전시키면, 회전축 (3)에서 연결된 제 2 안테나 소자 (2) 도 회전하고, 180° 회전한 곳에서 같은 제b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게 되어, 제 2안테나 소자 (2) 가 제 1 안테나 소자 (1) 를 대신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안테나의 상세한 구성을 제9도에 나타내는 바, 유전체판 (22) 상에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된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가늘고 긴 평명상의 수지제 안테나 케이스(20) 내에 수납되어, 유전재판 (22') 상에 직선장으로 형성된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동일하게 가늘고 긴 평면상의 수지제 안테나 케이스 (20') 내에 수납되어 구성되고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소자 (1) 및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전기장은, 공히 약 λ/2로 되어 있고, 안테나(10)를 얇은 판상의 플렉서블한 안테나로 할 수가 있다.
이 안테나 (10) 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제 1안테나 소자 (11) 의 일면에 제 1안테나 소자 (1) 가 배치되고, 그 다른 면에는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배치되어 구성되며,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제 2안테나 소자 (2) 는 회전축 (3) 에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잇다. 이 회전축 (3) 은 케이스 (11) 의 앞면으로부터 뒷면까 지 관통하고 있고, 회전축 (3) 은 케이스 (11) 에 회전가능하게 추지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 (20) 에는,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접속되어 있는 제 1 접속 단자 (5) 가 제9a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되며, 안테나 케이스 (20') 에는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접속되어 있는 제 2 접촉 단자 (6) 가 제9b 도에 나차내는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접촉 단자, (5) 는, 케이스(11) 설치되어 있는 원호상의 케이스 접촉 단자 13'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기립되었을 때에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에 제 1 안테나 소자(1)의 접촉 단자 (5) 가 접촉하게 되고, 제 2 접촉 단자 (6) 는 , 케이스 (11) 에 설치되어 있는 원호상의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안테나 (10) 가 회전되어 기립되었을 때에. 케이스측접촉 단자 13' 에 제 2 안테나 소자 (2) 의 접촉 단자 (6)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13′) 는 스프링 (15, 15′) 에 의해 돌출하도록 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13′) 는 안테나 케이스 (20, 20′) 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 단자 (5, 6) 에 각각 확실히 접촉하게 된다.
이 안테나 (10) 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안테나 소자 (10 가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립되어 있으면, 제 1 접촉 단자 (5)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1 안테나 소자 (1) 가 정합회로 (8) 를 통하여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안테나 (10) 를 180° 회전시켜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케이스 (11) 로 부터 돌출하도록 기립하면, 제 2 접촉 단자 (6) 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하게 되고, 제 2 안테나 소자 (2) 가 정합회로 (8) 들 통해 케이스 내 회로 (14) 에 접속되게 된다. 이 경우, 제 1 안테나 소자 (1)도 동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제1접촉 소자 (5) 와 케이스측 접촉 단자 (13) 에 접촉은 단절됨과 동시에 제 1 안테나 소자 (1) 는 오목부 재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이 변형예의 안테나 (10) 는 제 5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로써 설명하였는바, 케이스 (11) 의 양면에 각각 안테나 소자를 베치하도록 하는 것은 제 5 실시예의 안테나에 한하지 않고, 제 1 내지 제 4 안테나에 있어서도 적응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제 1 실시에 내지 제 5 실시예의 안테나(10) 는, 제 1 안테나 소자 (1) 와 제 2 안테나 소자 (2) 를 가지고 있으나, 각 안테나 소자의 전기장에 응하여 단독, 혹은 공통의 정합회로를 안테나 (10) 내 혹은 케이스 (11) 내에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안테나 소자와 케이스 내 회로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양호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안테나 (10) 의 각 안테나 소자의 임피던스 특성을 제11도에 나타내는데, ∇ 로 나타내는 사용주파수에 있어서는 각 안테나 소자의 SWR 이 거의 1로 되어 있고, 양호한 안테나 특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에 있어서 소자 마다에 대해 임피던스 조정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제10도 에 나타내는 비와 같이 ∇로 나타내는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각 안테나 소자의 SWR 응 열화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단순히 회전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아니고, 두개의 안테나 소자 내 어느 하나가 반드시 동작상태로 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제7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안테나 (10) 와 케이스 (11) 측을 접속하는 급전수단의 구성은 그 각 도명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한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각 안테나 소자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형상의 안테나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두 개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안테나를 회전가능하게 하여, 소정위치에 기립한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에 접속되도록 한 것이므로, 절연부를 안테나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안테나를 구비하는 본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휴대옹 기기, 특히 휴대 무선 전화기에 적용하면 적당한 것이다.
또한, 안테나에 정합회로를 내장시킬 수도 있으므로, 각 안테나 소자의 정합을 용이 하게 행할 수가 있고, 각 안테나 소자의 특성을 양호한 특성으로 할 수가 있다.
게다가 또한, 안테나가 회전되어 수납되는 것이며, 유전체 상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하도록 한다면, 판상의 플렉서블 안테나로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할 수가 있다. 게다가,정밀한 가공이나 코일감기 등의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그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내용은 요구공개 건이므로 전문 내용를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0)
-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서로 형상이 다른 제1 안테나 소자와 제2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1안테나와 소자와 제2안테나 소자와의 사이에 설치된 삽통 구멍을 가지는 안테나에 있어서, 그 삽통 구멍에 추치(樞支)되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안테나 소자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되어 소정 위치까지 기립한 어느 하나의 상기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안테나 소자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상기 안테나가 회전되어 소정 위치까지 기립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 혹을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을 접속하는 스위치 기구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의 급전점의 일방 혹은 쌍방에 정합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가 판상의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가 휩 안테나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안테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서로 형상이 다른 제 1 안테나 소자와 제 2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의 하단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케이스를 관통하여 추지됨에 다라,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각각 상기 케이스의 양면에 위치하도록 되어, 상기 케이스에 추지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일체화된 안테나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되어 소정 위치까지 기립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 혹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상기 안테나가 회전되어 소정 위치까지 기립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 혹을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에, 급전수단을 접속하는 스위치 기구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의 급전점의 일방 혹은 쌍방에 정합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판상의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가 휩 안테나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가 헬리컬 안테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안테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00517/95 | 1995-10-26 | ||
JP7300517A JP2954867B2 (ja) | 1995-10-26 | 1995-10-26 | アンテナ |
PCT/JP1996/003060 WO1997015960A1 (fr) | 1995-10-26 | 1996-10-22 | Anten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7001139A true KR987001139A (ko) | 1998-04-30 |
Family
ID=1788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4407A KR987001139A (ko) | 1995-10-26 | 1996-10-22 | 안테나(Antenna)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0801434A1 (ko) |
JP (1) | JP2954867B2 (ko) |
KR (1) | KR987001139A (ko) |
CN (1) | CN1169209A (ko) |
WO (1) | WO19970159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723331B4 (de) * | 1997-06-04 | 2010-11-11 | Ipcom Gmbh & Co. Kg | Funkgerät |
SE9803232D0 (sv) * | 1998-09-23 | 1998-09-23 | Allgon Ab | Transmission line fed extendable matched antenna |
US6163302A (en) * | 1999-10-29 | 2000-12-19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Flexible dual-mode antenna for mobile stations |
KR20020025923A (ko) * | 2002-02-21 | 2002-04-04 | 양홍두 | 폴더형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
US6914570B2 (en) * | 2003-11-10 | 2005-07-05 | Motorola, Inc. | Antenna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
CN101350633B (zh) * | 2008-08-28 | 2013-04-17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通讯装置 |
JP5375831B2 (ja) | 2009-02-18 | 2013-12-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受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89946B2 (ja) * | 1991-10-04 | 1999-12-13 | 京セラ株式会社 | 無線電話用伸縮アンテナ装置 |
JPH06216630A (ja) * | 1993-01-14 | 1994-08-05 | Nippon Antenna Kk | 伸縮式ホイップアンテナ |
SE500331C2 (sv) * | 1993-05-24 | 1994-06-06 | Allgon Ab | Antennanordning för bärbar kommunikationsutrustning |
-
1995
- 1995-10-26 JP JP7300517A patent/JP295486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
- 1996-10-22 WO PCT/JP1996/003060 patent/WO1997015960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6-10-22 CN CN 96191579 patent/CN1169209A/zh active Pending
- 1996-10-22 KR KR1019970704407A patent/KR9870011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6-10-22 EP EP96935397A patent/EP0801434A1/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9130140A (ja) | 1997-05-16 |
CN1169209A (zh) | 1997-12-31 |
WO1997015960A1 (fr) | 1997-05-01 |
EP0801434A1 (en) | 1997-10-15 |
JP2954867B2 (ja) | 1999-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3851B1 (ko) | 휴대용 무선기기의 소형 안테나 | |
US4958382A (en) | Radio transceiver apparatus for changing over between antennas | |
EP0847103B1 (en) | Shared antenna and portable radio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299298B1 (ko) | 휴대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장치 | |
JP2703670B2 (ja) | アンテナ装置 | |
WO1997039493A1 (fr) | Dispositif radio portable | |
WO2004086555A2 (en) | Multi-band omni directional antenna | |
CN100438207C (zh) | 拆卸式天线装置 | |
US5969685A (en) | Pivotable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with capacitive coupling | |
GB2308746A (en) | Portable radio device antenna apparatus | |
US20050277398A1 (en) | Mobile terminal having satellite signal receiving antenna | |
KR987001139A (ko) | 안테나(Antenna) | |
US20080132272A1 (en) | Built-in antenna apparatus | |
JP4287574B2 (ja) |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無線装置 | |
JP4565305B2 (ja) | 携帯無線端末装置 | |
AU670389B2 (en) | Antenna system having plural antenna portions | |
US6075487A (en) | Portable telephone and antenna device | |
US6249257B1 (en) | Switched, dual helical, retractable, dual band antenna for cellular communications | |
US6441789B1 (en) | Antenna | |
JP2002064316A (ja) |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 |
JP3266911B2 (ja) | 携帯用無線機のアンテナ構造 | |
KR20020091760A (ko) |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 |
JP2006333387A (ja) | スライド式携帯無線端末 | |
JPH1064648A (ja) | アンテナ用ヒンジ型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使用した無線通信機器 | |
JP3510391B2 (ja) | アンテ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7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