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1555A -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1555A
KR980011555A KR1019970019211A KR19970019211A KR980011555A KR 980011555 A KR980011555 A KR 980011555A KR 1019970019211 A KR1019970019211 A KR 1019970019211A KR 19970019211 A KR19970019211 A KR 19970019211A KR 980011555 A KR980011555 A KR 98001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isplay
push butt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 고지마
겐조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filed Critical 미츠이 고헤이
Publication of KR98001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5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자동판매기의 누름 버튼부의 발광표시부에 있어서 그 표시내용을 이해하기 쉽게하여, 조작상의 잘못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표시내용을 알기 어려운 것을 유인으로 하는 각종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는, 누름 버튼부(2)와, 해당 누름 버튼부(2)를 조작을 자유롭게 유지하는 케이스체(3)와, 해당 케이스체(3)에 내장되어 누르 버튼부(2)에 대응한 스위치이 접점(26)을 구비하는 회로체(4)를 가지고 있고, 상기 누름 버튼부(2)에는, 백 조명의 투과에 의해서 표시를 행하는 최소한 2개의 발광표시부(15, 16)가 설치됨과 동시에, 회로체(4)에는 누름 버튼부(2)의 각 발광표시부(15, 16)에 개별로 대응하는 투광부(27, 28)가 설치되어 있고, 각 투광부(27, 28)는, 발광표시부(15, 16)마다 옆폭 또는 표시내용에 따라서 개별로 밝기가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누름 버튼부가 반짝거려서 소정의 내용을 표시하게 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품을 고르는 스위치로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장치의 중에는, 자동판매기내의 상품의 재고가 있는 것, 및 투입금액이 판매상품 가격이상인 경우, 즉, 누름 버튼부를 누르면 상품이 나오는 것(판매가능표시)과, 자동판매기내에 상품재고가 없는 것 등, 즉, 누름 버튼부를 누르더라도 상품이 나오지 않는 것 (판매불가능표시) 중 어느 한쪽의 상태를, 누름 버튼부를 반짝거리는 것으로 표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종류, 빛나는 누름 버튼부를 가진 스위치장치는, 누름 버튼부에 발광표시부 (빛을 통하지 않는 영역 중에 소정 형상을 한 투과부를 설치한 것)를 설치해 놓고, 그 뒷편에서 투광부에 의해서 비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판매가능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는, 원형이나 타원 등의 도형으로 된 1개의 투과부를 가지고 있고, 판매불가능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는, 「품절」의 문자를 본뜬 2개 또는 그 이상의 투과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표시부는, 1개의 투과부를 가진 것과, 복수의 투과부를 가진 것이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복수의 투과부를 가진 발광표시부는, 발광하는 옆폭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투광부로부터의 빛이 구석 구석까지 닿지 않는다(즉, 「품절」의 문자가 완전한 모양으로서 빛나지 않는다)는 것과, 전체로서 광도가 부족하다는 것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가게앞의 야간조명 밑이나, 대낮 등에는, 표시내용을 알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 발광표시부의 표시내용을 알기 어려운 경우 (특히 「품절」표시일 때), 그 누름 버튼부를 조작한 사람에게 있어서, 상품이 나오지 않는 것이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자동판매기에 진동이나 충격을 주는 행동을 유발시키게 되어, 그 결과, 방범장치의 오작동, 자동판매기의 고장이나 파손등을 초래하는, 심대한 악영향으로 미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름 버튼부의 발광표시부에서 그 표시내용을 이해하기 쉽게하여, 조작상의 잘못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표시내용을 알기 어려운 것을 유인으로 하는 각종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도3중의 주요부를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도3에 가리키는 스위치장치를 유니트화한 것에 관하여 분해해서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가리키는 정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장치 2 : 누름 버튼부
3 : 케이스체 4 : 회로체
15 : 발광표시부 16 : 발광표시부
16a : 투과부 16b : 투과부
18 : 스위치접점 27 : 투광부
28 : 투광부 30 : 광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꾀하였다.
즉,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누름 버튼부와, 해당 누름 버튼부를 조작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케이스체와, 해당 케이스체에 내장되어 누름 버튼부에 대응한 스위치 접점을 구비하는 회로체를 가지고 있고, 상기 누름 버튼부에는, 백 조명의 투과에 의해서 표시를 행하는 최소한 2개의 발광표시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회로체에는 누름 버튼부의 각 발광 표시부에 개별로 대응하는 투광부가 설치되어 있고, 각 투광부는, 발광표시부 마다 옆폭 또는 표시내용에 따라서 개별로 밝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발광표시부로서, 옆폭이 넓은 것이나 표시내용을 강조하고 싶은 것에 대해서는, 옆폭이 짧은 것이나 표시내용을 강조할 필요성이 작은 발광표시부에 비해서, 그 투광부를 밝게 한다.
예컨대 「품절」등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투광부에 관하여, 가게앞의 야간조명 밑에서나, 대낮등에도 알기 쉽도록, 밝게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에 진동이나 충격을 주고자 하는 행동 그자체를 방지할 수 있고, 방범장치의 오작동, 자동판매기의 고장이나 파손등의 방지에 연결된다.
투광부에 있어서, 그 밝기를 더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광원의 광도를 강화하기도 하고, 복수의 광원을 조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발광표시부가 복수의 투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을 때에, 각 투과부에 개별로 대응하는 광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서, 결과적으로, 투과부마다(1문자당의) 투광부를 밝게하여, 발광표시부 전체를 알기 쉽게 하는 수단도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장치(1)의 한 실시형태를 가리킨 측단면도이고, 이 스위치장치(1)는, 누름 버튼부(2)와, 이 누름 버튼부(2)를 조작을 자유롭게 유지하는 케이스체(3)와, 이 케이스체(3)에 내장되는 회로체(4)를 가지고 있다.
또, 도면의 예의 것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3개)의 누름 버튼부(2)를 소정간격으로 배치한 유니트로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이 유니트를 1단위로서, 자동판매기(도시생략)의 조작패널에 끼워 넣거나 또는 외부 부착 형상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스체(3)는, 외부 커버(6)와 속판(7)을 가지고 있고, 이들 양자를 접착, 융착, 나사 멈춤, 무리하게 끼우기 등의 적당 수단에 의해서 결합하는 것으로,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외부 커버(6)에는, 누름 버튼부(2)의 일부(후술하는 버튼(10)의 조작면부(10a))를 노출시키기 위한 긴 구멍 형상 개구(8)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버튼부(2)는, 버튼(10)과, 탄성 칸막이재(11)와, 조명 가이드편(12)을 가지고 있다.
버튼(10)은, 투명한 수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타원 받침대 형상으로 돌출하는 조작면부(10a)와, 이 조작면부(10a) 주위에 설치한 빠짐방지 플랜지(10b)를 가지고 있다. 조작면부(10a)의 뒷편에는, 도 1에 가리키는 표시 플레이트(14)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표시 플레이트(14)는, 빛을 통하지 않는 타원형의 판재에 대하여, 그 좌우 양단 가까운 곳에 각 한 개(계2개)의 발광표시부(15, 16)가 설치된 것이다.
한쪽의 발광표시부(15)는, 타원 형상 도형을 본뜬 1개의 투과부(15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발광표시부(16)는, 「품절」의 문자를 본뜬 2개의 투과부(16a, 16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이것들의 발광표시부(15, 16)는, 버튼(10)의 조작면부(10a)에 대하여, 인쇄, 도장, 표면가공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탄성칸막이재(11)는, 실리콘등이 부드러운 수지 또는 고무등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버튼(10) 안에 끼는 볼록 다이부(18)와, 이 볼록다이부(18) 주위에서 케이스체(3)의 속판(7)을 대략 전면적으로 덮게 되는 방수시트(19)를 가지고 있다.
볼록다이부(18)는, 버튼(10)의 복귀 스프링을 겸하게 된 것으로, 그 폭방향 중심부에는, 회로체(4)로 향하여 돌출하는 도통단자(20)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 가이드편(12)은, 탄성칸막이재(11)의 각 볼록다이부(18)안에 끼워 넣기 가능한 타원 형상 판체이고, 표시플레이트(14)의 각 발광표시부(15, 16)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구형상 각도구멍(23, 24)이 설치되고, 또한 도통단자(20)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구멍(25)이 설치된다.
절구형상 각도구멍(23, 24)은, 각각의 발광표시부(15, 16)의 옆폭에 따른 개구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옆폭의 넓은 쪽의 발광표시부(16)에 맞추어, 쌍방의 절구형상 각도구멍(23, 24)을 같은 개구폭으로 해도 좋다.
회로체(4)는, 케이스체(3)의 속판(7)에 따라서 부착되어 있고, 외부커버(6)측으로 향하는 면에, 각 누름 버튼부(2)의 도통단자(20)에 대응하는 스위치 접점(26)의 양측에, 누름 버튼부(2)의 각 발광표시부(15, 16)에 대응하는 투광부(27, 28)가 설치된다.
투광부(27, 28)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광원(30)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투광부(15a)를 가진 발광표시부(15)에 대응하는 투광부(27)에서는, 1개의 광원(30)이 사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2개의 투과부(16a, 16b)를 가진 발광표시부(16)에 대응하는 투광부(28)에서는, 개개의 투과부(16a, 16b)와 1대 1대응이 되도록, 2개의 광원(30)이 사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투과부(16a, 16b) (즉, 「매진」의 2문자)를 가지는 발광표시부(16)에서는, 그 투광부(28)의 밝기가, 다른쪽의 발광표시부(15)의 투광부(27)에 의한 밝기보다도, 밝아지고 있다.
또한, 발광표시부(16)에서는 그 옆폭이 넓게 되어 있음에 대하여, 각 광원(30)의 부착 간격에 따른 부분이 필연적으로 넓게 되어 있고, 또한, 광원(30)의 간격은 그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발광표시부(16)의 구석 구석까지 확실하게 빛이 닿게 된다.
따라서, 옆폭이 넓은 발광표시부(16)에 있어서도, 문자의 읽기를 명료하고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옆폭이 넓은 발광표시부(16)에 대응하는 투광부(28)에 있어서, 각 광원(30)은 직렬 배선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병렬 배선하는 경우이더라도, 그 인가 전압을 조절하거나, 광원(30)에 사용하는 반도체의 재료를 바꾸기도 하는 것으로, 투광부(28)로서, 밝기를 더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병렬배선으로 한 경우에는, 1개의 광원(30)이 파손에 의해 발광하지 않게 되더라도, 다른쪽의 광원(30)은 발광을 계속하기 때문에, 수리기간까지 응급적인 빛은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LED 발광소자의 경우는, 노화에 의해 광휘도는 저하하지만, 단선상태가 되는 것은 거의 없는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봐서, 상기 투광부(28)의 2개의 광원(30)을 직렬로 해도 장기사용에 의한 노화시에, 「품절」부의 2개의 광원(30)이 동시에 휘도열화하는 것은 드물고, 품절의 휘도가 떨어지더라도 품절 표시기능은 계속 가진다.
상기 투광부(28)에서는, 각 광원(30)의 발광색을 다르게하여, 전체로서 그들의 합성색으로 발광시키거나, 혹은 그대로 복수색으로 발광시키거나, 이것을 보는 사람에게, 한층 환기를 재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표시부(16)는, 「품절」「판매중지」등과 같이 2문자 이상의 투과부를 가진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투과부와 마찬가지로 투광부(28)의 광원(30)도 개수를 늘리면 좋다. 또, 다른쪽의 발광표시부(15)에 있어서도, 「판매중」등과 같이 복수의 투과부를 가진 것으로 할 수 있고, 이것에 따라서 투광부(27)의 광원(30)을 복수 설치하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와는 달리, 옆폭이 넓은 발광표시부(16)에 대응하는 투광부(28)에서도 광원(30)을 1개만으로 하여, 이 광원(30)의 광도를 강화하는 것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광원(30)의 광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광원(30)에 사용하는 반도체의 재료를 다르게 하거나, pn 접합의 총수나 총두께를 변화시키거나, 전류치를 바꾸거나 하면 좋다.
각 투광부(27, 28)에 있어서, 그 광원(30)에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온구, 백열구, 형광관, 그밖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서는, 누름 버튼부에 설정된 최소한 2개의 발광표시부중, 옆폭이 넓은 것이나 표시내용을 강조하고 싶은 것 (예컨대, 「품절」의 표시)에 대응하는 투광부를 개별로 밝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가게앞의 야간조명 밑이나, 대낮 등에도, 이 표시를 알기 쉽다. 따라서, 누름 버튼부의 조작을 잘못하는 일이 없게 되고, 또한 자동판매기에 진동이나 충격을 주고자 하는 행동 그 자체를 방지할 수 있고, 방범장치의 틀린 작동, 자동판매기의 고장이나 파손등의 방지로 연결된다.
투광부의 밝기를 더하기 위해서, 복수의 광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광원에 빛깔이 다른 것을 사용하여 환기력이 강화되는 이점을 비롯하여, 하나의 광원이 노화, 파손에 의해 발광하지 않게 됐을 때에, 발광표시부가 전혀 반짝이지 않는 사태를 막으면서, 관리자에 대하여, 광원교환등의 메인티넌스를 조급하게 행하도록 재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1개의 광원이 파손하더라도 발광표시부가 어느 정도 빛난다는 점에 관하여, 이것을 환언하면, 발광표시부의 밝기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자동판매기의 설치장소가 항상 어둑어둑하게 되어있다던가, 상품관리를 철저하게 해서 상품재고가 없어지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나머지 광원이 파손할 때까지 메인티넌스를 보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스위치장치 유니트로서, 그 수명을 오래 끌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누름 버튼부(2)와, 해당 누름 버튼부(2)를 조작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케이스체(3)와, 해당 케이스체(3)에 내장되어 누름 버튼부(2)에 대응한 스위치접점(26)을 구비하는 회로체(4)를 가지고 있고, 상기 누름 버튼부(2)에는, 백조명의 투과에 의해서 표시를 행하는 최소한 2개의 발광표시부(15, 16)가 설치됨과 동시에, 회로체(4)에는 누름 버튼부(2)의 각 발광표시부(15, 16)에 개별로 대응하는 투광부(27, 28)가 설치되어 있고, 각 투광부(27, 28)는, 발광표시부(15, 16)마다 옆폭 또는 표시내용에 따라서 개별로 밝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28)는, 광원(30)의 광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밝기를 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28)는, 복수의 광원(30)을 조합하는 것으로 밝기를 더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28)는, 발광표시부(16)가 복수의 투과부(16a, 16b)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을 때에, 각 투과부 (16a, 16b)에 개별로 대응하는 광원(3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19211A 1996-07-01 1997-05-19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KR980011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1251 1996-07-01
JP8171251A JPH1021776A (ja) 1996-07-01 1996-07-01 発光表示部付き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555A true KR980011555A (ko) 1998-04-30

Family

ID=1591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211A KR980011555A (ko) 1996-07-01 1997-05-19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21776A (ko)
KR (1) KR9800115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22B1 (ko) * 1996-12-24 2005-09-02 고하 컴파니, 리미티드 자동 판매기용 푸시 버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1148B2 (en) 2007-10-27 2013-07-23 Osram Sylvania Inc. Chambered waterproof lamp assembly having a transparent cover switch activator
CN110214347B (zh) * 2017-01-27 2022-02-01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单元、显示装置及显示单元的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22B1 (ko) * 1996-12-24 2005-09-02 고하 컴파니, 리미티드 자동 판매기용 푸시 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1776A (ja) 199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8345C (fi) Belyst tastatur
US5548271A (en) Data display radio pager
US20060248761A1 (en) Multi-color illuminated sign
US3918053A (en) Digital display
US7595459B2 (en) Button display apparatus of refrigerator
JP2007094088A (ja) 表示装置
US6745507B2 (en) Address illumination assembly
US7213962B2 (en) High-efficiency circuit-equipped light emitting board
US5504660A (en) Lens retention structure
KR980011555A (ko) 발광표시부 부착 스위치장치
KR101291233B1 (ko) 조명등 노브 스위치
US6366539B1 (en) High illumination alarm clock
US20080316753A1 (en) Illumination device
JP5658543B2 (ja) 誘導灯
JPH1083701A (ja) 電子発光電球
US4951177A (en) Display device
JP3134067U (ja) 車両用表示灯
CN211062613U (zh) 一种背面标识墙壁开关面板
KR200366888Y1 (ko) 광고판
KR860000994Y1 (ko) 전광 표시판
JP4006728B2 (ja) 表示装置
JP2003309906A (ja) 分電盤
ATE334462T1 (de) Schild oder werbebrett
KR200278124Y1 (ko) 반투명관이 장착된 가변색 발광장치
KR200329643Y1 (ko) 발광 문자/숫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