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464A - 마하-젠더 장치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마하-젠더 장치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464A
KR980010464A KR1019970031585A KR19970031585A KR980010464A KR 980010464 A KR980010464 A KR 980010464A KR 1019970031585 A KR1019970031585 A KR 1019970031585A KR 19970031585 A KR19970031585 A KR 19970031585A KR 980010464 A KR980010464 A KR 98001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synthetic
reg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밀러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엘. 미첼슨
Publication of KR98001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5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 G02B6/29352Mach-Zehnder configuration, i.e. comprising separate splitting and combining means in a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2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lateral coupling between contiguous fibre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 G02B6/28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lateral coupling between contiguous fibre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formed or shaped by thermal treatment, e.g. coupl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1Light guide terminations
    • G02B6/243Light guide terminations as light absor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마하-젠더 파장 선택 장치는 상이한 유효 굴절율을 갖는 커플링 영역 사이에 겹쳐이어진 하나의 유효굴절율을 갖는 위상 이동 영역을 각각 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합성 광 섭유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각각의 이러한 합성 파이버에 의해 유발되는 광 경로 길이 차이 또는 위상 지연은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의 직선기능이다.

Description

마하­젠더 장치 및 그 제작방법
본 발명은 마하-젠더 갑섭계 장치(Mach-Zehder interformetric device) 및 상기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목적을 위한 파장 선택장치를 요구한다. 예로써, 파장 분할 다중화 전송 설계에 있어서, 단일섬유는 약간 상이한 파장에서 광의 몇 개의 빔들을 이송한다. 각각의 빔은 정보의 단독 흐름을 이송한다. 파장 선택 필터는 특정 파장으로 하나의 빔을 광섬유의 하나의 지로상으로 나아가게하고, 다른 빔을 다른 지로상으로 나아가게하도록 광섬유지로 위치에 사용된다. 상이한 전기통신 거래처들에 소속하는 몇 개의 리시버들은 단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리시버는 파장의 매우 폭이좁은 밴드만 그 장치로 향하고, 모든 다른 밴드는 제외되도록 채용되는 필터와 함께 갖추어진다. 특정가입자를 위한 신호들은 그 가입자와 관련된 파장으로 송신된다.
이들 및 다른 파장선택장치는 실제전송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하는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파장선택장치는 환경적으로 안정되고, 신뢰성이 있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약간의 응용에 있어서, 파장선택장치는 선택하는 파장에 변화를 주도록 "조율" 또는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장선택장치는 광력(optical power)의 상대적으로 낮은 손실로 작동하여야 한다. 즉, 장치는 공급되는 광력의 실질적인 양이 흐터지지 않아야 한다.
마하-젠더 간섭계들은 광전송시스템에서의 파장선택장치와 같이 활용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하-젠더 갑섭계는 파이버(fiber)(F1, F2)쌍을 포함한다. 파이버들은 제1커플러(C1) 및 제2커플러(C2) 사이에서 광을 이송하기 위해 각각에 연결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플러들은 폭이 좁은 "소실" 커플러라 불러도 좋고, 파이버의 연장된 부분이 매트릭스 또는 외측 코팅내에 상호 밀접하여 병렬로 연결된다. 커플러는 일측 파이어상에서 타측 파이버로 공급되는 광력의 대략 절반을 이송하도록 배열되는 3dB 커플러가 좋다. 파이버(F1, F2)는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는 상이한 광경로 길이를 갖는 위상이동영역을 갖는다. 그러므로, 파이버(F1)내에 위상이동영역을 지나는 광경로길이는 파이버(F2)내에 위상이동영역을 지나는 광경로길이와 상이하다. 이 설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광경로길이(optical path length)"는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파이버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주어진 파장 및 주어진 전파모드에서의 광이 요구되는 시간측정이다. 광경로길이 차이는 두 개의 파이버내에 광의 속도가 상이하도록 하나의 파이버가 다른 파이버 보다 물리적으로 길이가 긴 파이버의 위상이동영역을 만들거나 또는 상이한 전파상수를 갖는 두 개의 파이버(F1, F2)를 만들므로써 제공된다. 후자의 구조는 상이한 굴절율 프로파일을 갖는 파이버를 제작하므로써 실행될 수 있다. 파이버는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율을 갖는 코어(core)와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고 코어를 덮는 코팅을 조합하는 "스템-인덱스(step-index)" 파이버이고, 두 개의 파이어는 상기한 굴절율, 상이한 코어직경, 상기한 코팅 굴절율 또는 약간의 결합성을 구비한 코어들을 갖는 것이 좋다. 광경로길이 차이를 생성시키도록 사용되는 특정한 기계장치에 관계없이, 제1도에 도시되는 단일 상태 마하-젠더 필터(single stage Mach-Zehnder filter)는 광의 파장에 따라 출력(3)이거나 또는 출력(4)로 입력(1)에 의해 광이 직접 공급될 것이다. 보다 복잡한 마하-젠더 장치는 요구가능한 파장-선택특성을 확실히 달성하도록 연속하여 연결되는 다중 커플러 및 다중 위상이동영역을 갖는 다중상태를 활용한다. 다른 마하-젠더장치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기재된 미합중국특허 제5,351,325호에 기재된바와 같이 커플러 사이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버보다 더욱 조합시킨다. 다양한 광섬유는 이상한 광경로길이를 조합시킨다. 바람직하게, 광경로길이 차이는 상호 온당 또는 완전한 다중화인 광경로길이 차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요구되는 파장-선택 특성을 제공하는 마하-젠더 장치에 대하여, 경로길이 차이는 설계장치에서 상술된 바와 같아야 하고, 일부러 변경할 때를 제외하고는 안정하게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개개의 파이버의 작동 또는 진동과 같은 환경적인 효과 및 파이버들의 상이한 가열 또는 냉각은 마하-젠더 부속품들의 성능을 격심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 참고적으로 기재되는 미합중국특허 제5,295,205호에는 공동 튜브와 같이 형성된 매트릭스 크라스의 길게형성된 본체를 조합하는 개량된 마하-젠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광섬유는 튜브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커플러는 그 다음 매트릭스 그라스에 에 의해 둘러싸여진 파이버에 폭이좁고 길게 느러진 단면을 제공하도록 가열하여 파이버상에 튜브의 일부를 찌부러트리고, 찌부러진 튜브의 일부 및 튜브내에 수용되어 있는 파이버의 일부를 잡아당기므로써 형성된다.이 일반적인 접근방법은 두 개의 커플러 보다 더 많이 구비한 마하-젠더 부속품들의 폭 변화를 형성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미합중국특허 제5,295,205호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장치는 매트릭스 그러스내에 확실히 넣기 때문에 온도 변화 및 요구되지 않은 부주의한 구부러짐에 대하여 사실상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합중국특허 제5,295,205호에 따라 형성된 양호한 장치는 특히 전기통신 시스템에 부속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해기술분야에서 이들 및 다른 진보성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의 개량이 필요하다. 상이한 전파상수를 갖는 파이버들을 사용하는 마하-젠더 장치의 제작은 상이한 전파상수를 갖는 파이버들을 구입하도록 제작자에게 요구한다. 두 개 이상의 파이버가 단일 장치에 사용될 때, 파이버들은 상호 요구된 관계성을 갖는 전파 상수에 의해 제작되지 않으면 안된다. 약간의 설계로써, 파이버들은 차이점이 상호 완전히 다중화되도록 전파 상부 사이의 차이점을 갖도록 설정하여 제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것은 파이버 드로윙 공정에 중대한 압박 및 제작단가를 부과한다. 더구나, 요구된 전파 상수를 달성하도록 요구되는 파이버에 대한 조정은 부수적 효과를 요구할 수 없다. 예로써, 특정한 전파 상수를 생기게 하는 파이버 코어 합성은 커플러들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당김공정시 타원 단면으로 형성되는 특히 소프트한 코어를 갖는 파이버가 생기게 한다. 이것은 번갈아 광 성능에 장치를 통하여 이송되는 광의 편광에 의해서 변화를 주는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그 이상의 개량들이 요구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합성 파이버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광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이러한 파이버는 커플링 영역 및 위상 이동 영역쌍을 포함한다.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은 그 파이버내에 커플링 영역의 전파 상수와 다른 전파 상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 목적에 따른 방법은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이 커플러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파이버상에서 소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광 커플러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합성 파이버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스토크(stock) 파이버의 하나 사이에 제2스토크 파이버의 하나를 겹쳐이음으로써 실행된다. 합성 파이버 또는 파이버에 추가적으로, 마하-젠더 장치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복수개의 파이버는 파이버 길이를 통과하여 동일한 전파 상수를 갖는 균일한 파이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파이버가 각각의 합성 파이버를 제작하도록 사용되는 제1스토크 파이버 하나로 완전히 형성되는 것이다.
제2스토크 파이버는 합성 파이버 또는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제2스토크 파이버는 커플러 형성 공정을 하지 않고, 커플러의 어떤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스토크 파이버의 특성은 커플러-형성 공정에서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선택될 수 있다. 합성 파이버의 광 경로 길이는 합성 파이버에 조합되는 제1스토크 파이버 하나의 길이에 좌우된다. 그러므로, 합성 파이버의 광 경로 길이는 커플러 사이에 파이버의 전체적인 물리적 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합성 파이버에 조합되는 제2스토크 파이버 하나의 길이를 제어하므로써 제어될 수 있다. 모든 파이버는 커플러 사이의 전체적인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을 형성하는 제2스토크 파이버 하나의 길이는 고칭값(nominal values)으로 부터 어떤 파어버 전파 상수의 편차에 대하여 보상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공정이 커플러 사이에 연장하는 두 개이상의 파이버를 갖는 마하-젠더 장치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때, 다수개의 광 섬유는 다수개의 합성 파이버를 포함한다. 다시 여시에서, 모든 파이버는 커플러 사이에서 동일한 물리적 길이를 갖는다. 합성 파이버의 광 경로 길이는 각각의 이러한 합성 파이버에 조합되는 제2파이어 하나의 길이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파이버 사이에 광 경로 길이 차이 사이의 정확한 관계는 다수의 상이한 전파 상수를 갖는 특별한 파이버를 제작할 필요없이 즉시 달성될 수 있다. 모든 균일 및 합성 파이버는 동일한 제1 및 제2스토크 파이버로 부터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양호한 배열에 있어서, 커플러의 형성단계는 매트릭스 그라스내에 파이버를 넣는 단계와, 매트릭스 그라스내에 상호 나란히 연장하는 폭이 좁은 단면을 형성하도록 파이버를 길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 과 균일한 파이버의 일부만이 커플러를 형성하도록 길게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매트릭스 그라스내에 파이버를 넣는 단계는 매트릭스 그라스의 튜브의 구멍내에 파이버를 배치하고, 찌부러진 영역을 형성하도록 파이버상에 튜브를 찌부러트림으로써 실행되고, 파이버를 연장하는 단계는 튜브의 구멍내에 배치된 파이버부 및 찌부러진 영역 각가의 일부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정의 이들 단계는 전기된 미합중국 특허 제5,295,205호에 따라 실행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수의 파이버는 적어도 하나의 합성 파이버를 포함하고, 각각의 이러한 합성 파이버는 커플링 영역 및 위상 이동 영역쌍을 포함한다.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은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의 전파 상수와 상이한 전파 상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 목적에 따른 장치는 파이버상에서 소정간격 떨러진 위치에 광 커플러쌍과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파이버는 커플러 사이의 총 길이가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다수의 파이버는 그 길이를 통과하여 동일한 전파 상수를 갖는 균일한 파이버와 같은 베이스 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은 균일한 파이버의 전파 상수와 사실상 같은 전파 상수를 갖는 것이 좋고,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은 균일한 파이버의 전파 상수와 상이한 전파 상수를 갖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베이스 또는 균일한 파이버와 관계가 있는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광 경로 길이 차이는 합성 파이버내에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에 좌우된다. 되도록 이면 모든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의 전파 상수들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균일한 파이버에 관계가 있는 각각의 합성 파이버내에 위상 이동의 크기는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에 직접 비례할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합성 파이버가 사용되고, 다양한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는 상호 정량의 다중화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상호 완전한 다중화가
되는 것이 좋다.
장치는 파이버를 둘러싸고, 커플러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매트릭스 그라스의 튜브를 조합하는 한 덩어리의 마하-젠더 장치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는 마하-젠더 갑섭계의 개략 다이아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 공정의 하나의 단계시 파이버를 도시하는 개략 입면도.
제3도는 및 제4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공정 후 상태의 파이버를 도시하는 개략 입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하-젠더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장치의 파워 출력 특성을 예시하는 그래프도.
제8도는 제6도의 장치의 제작에서 활용되는 장치를 예시하는 개략 예시도.
제9도는 제6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에 활용되는 파이버의 집합물의 개략도.
제11도는 제10에 도시된 파이버로 제작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하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즉시 명료해질 것이다.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은 제1스토크 광섬유의 하나(106)을 갖는다. 예시된 특정한 배열에 있어서, 제1스토크 파이버는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율을 갖는 코어(102) 및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고 코어를 둘러싸는 코팅(104)을 구비하는 형태의 스템-인덱스 그라스 광섬유이다. 또한, 파이버는 그라스 코팅을 둘러싸는 관례적인 폴리머릭 코팅(108)을 갖는다. 제1스토크 파이버는 제1스토크 파이버의 피스(106)를 형성하도록 절단된다. 코팅(108)은 절단면과 인접한 영역에서 제거된다. 피스(106)의 길이는 공정에 위험하지 않고; 단지 하기된 바와 같이 커플러의 형성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길지않으면 안된다. 공정의 다음상태에 있어서, 제2스토크 파이버는 워킹 길이(Lw)를 갖는 피스(110)를 제공하도록 절단한다. 또한, 제2스토크 파이버는 코어(112) 및 코팅(114)을 구비하는 스텝-인덧스 파이버이다. 제2스토크 파이버는 제1스토크 파이버의 전파 상수와 상이한 전파 상수(β)를 갖는다. 그러므로, 전송되는 광의 전파 상수에 영향을 미치는 제2스토크 파이버의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제1파이버의 대응하는 매개변수와 상이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어(112)의 직경이 제1스토크 파이버내에 코어(102)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코어(112)의 굴절율은 코어(102)의 굴절율과 상이하다. 또한, 제2파이버 코팅(114)의 굴절율은 제1파이버 코팅(104)의 굴절율과 상이하다. 피스(110)는 연결부(116)에서 피스(106)에 겹쳐이어진다. 연결부(116)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겹쳐이음 공정은 코어(102, 112) 사이의 난반사를 허용하도록 높여진 온도에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두 개의 코어 사이에서 점진적인 전이를 형성한다. 이것은 연결부에서 공력에 손실을 최소화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부가 약 0.2dB 이하의 손실을 갖는 것이다. 연결부(116)의 형성후, 제2파이버 피스(110)는 요구된 위상 이동 영역 길이(Lps)로 쪼개진다. 길이(Lps)는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완성된 장치에서 요구된 광 성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피스(106)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제1파이버의 제2피스(118)는 제2연결부(120)에서 절단하고, 피스(110)와 함께 연결된다. 또한, 파이버 피스(118)의 길이는 부족하지 않다. 여기서 재차, 연결부는 연결부(120)에서의 손실을 억제하돌고 확산되고 단계적인 접촉면과 함께 형성된다. 관례적인 융해 겹쳐이음 장비가 연결부(116, 120)를 제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연결하는 절차는 제1파이버의 두 개의 피스(106, 118) 과 상기 두 개의 피스 사이에 겹쳐이어진 제2파이버의 피스(110)에 의해서 합성 파이버(122)가 완성된다. 제1파이버 피스(106, 118)가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을 형성하는데 반하여, 제2파이버 피스(110)는 위상 이동 영역을 형성한다.
합성 파이버는 최종 생성물에서 요구되는 단부 터미네이션(end termination)의 형태를 제공하도록 마무리된다. 예로써, 합성 파이버의 단부(124)는 마하-젠더 장치의 입력 또는 출력에 연결되며, 정상적인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절단되고, 준비된다. 택일적으로, 단부(126)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미합중국 특허 제4,979,972호의 기술에 따라 역반사 터미네이션(anti-reflection termination)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플링 영역(118)은 가열되고, 가열된 커플링 영역을 절단하도록 당기고, 그 다음 그라스가 파이버 코팅의 원래 외경와 같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볼형태로 라운드진 단부면을 형성되게 가열된다.
합성 파이버(122)는 균일한 파이버(130)(도 6)와 함께 이 합성 파이버를 포함하는 한덩어리로 된 장치내에 형성된다. 균일한 파이버(130)는 합성 파이버에서 커플링 영역(106, 118)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동일한 제1파이버의 다른 하나의 피스이다. 그러므로, 균일한 파이버는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과 같은 동일한 전파 상수를 갖는다. 합성 파이버의 형성 후 장치 형성 공정에서의 단계는 전기된 미합중국 특허 제5,295,205호에 따른 마하-젠더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단계와 사실상 일치한다. 그러므로, 마하-젠더 장치(제6도)는 위상 이동 영역(14)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되고 덮혀진 커플러(11, 12)를 수용하는 한덩어리로 된 구조로 형성된다. 위상 이동 영역(14)은 제2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110)을 포함한다. 장치는 매트릭스 그라스(19)의 튜브의 구멍(18)내로 (오버코팅이 제거된)균이한 파이버(130) 및 합성 파이버(122)를 삽입하므로써 형성된다.파이버에 인접한 매트릭스 그라스 튜브의 일부의 굴절율은 파이버 코팅(104)의 최저 굴절율 이하이다. 구멍은 파이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단부에 깔대기(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튜브와 파이버의 결합은 커플러 예비성형단계를 참조한다.
커플러 예비성형물은 제8도의 드로우 장치(draw apparatus)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예비성형물(31)은 링 버너(34)를 통하여 삽입되고, 모터 제어 스테이지(45, 46)상에 장치되는 드로우 척(32, 33)에 고정된다. 파이버는 진공 어태치먼트(41, 41')를 통하여 꿰어지고, 그 다음 예비성형물(31)의 단부에 밀봉된다. 전형적인 진공 에태치먼트는 본 명세서에 참조적으로 기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011,251 호에 기재되어 있다. 진공은 라인(42)을 통하여 튜브(41)에 공급된다. 얇은 러버 튜빙(43)의 길이의 일 단부는 예비성형물(31)과 대향하는 진공 에태치먼트(41)의 단부와 크램핑 수단(도시되지 않음)내에 연장하는 튜빙의 남은 단부에 부착된다. 진공 에태치먼트(41')의 위쪽은 마찬가지로 라인(42'), 튜빙(43') 및 크램핑 수단와 결합된다. 튜빙(43, 43')으로 부터 연장하는 파이버의 피복된 부분 및 포인트(a, b)(제6도) 사이의 튜브(19)내의 파이버부는 피복되지 않는다. 공기압력이 화살표(44, 44')로 표시된 것과 같이 튜빙(43, 43')로 향해질 때, 튜빙을 통하여 연장하는 파이버에 대하여 튜빙을 고정하도록 구멍(18)은 라인(42, 42')을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인트(a, b) 사이의 튜브의 그 부분은 파이버상으로 초기에 찌부러진다. 예비성형물이 척(342, 33)에 붙여지고, 튜브 구멍이 내용물을 배출한 후, 튜브는 공급된 가열 영역에서 튜브의 일부를 찌부러트릴 수 있도록 일 단부 근처가 가열된다. 척(32, 33)는 찌부러진 튜브의 요구된 길이가 얻어질 때 까지 예비성형물의 대향하는 단부를 향하여 찌부러진 영역을 단게적으로 연장하도록 버너에 대하여 예비성형물을 이송시킨다.
택일적인 공정에 있어서, 척(32, 33)은 조립될 수 있고, 버너(34)는 모터 제어 스테이지(35)상에 장치될 수 있다. 버너(34)는 초기에 튜브를 찌부러트릴 수 있도록 예비성형물의 일 단부 근처에 위치되고, 스테이지(35)는 예비성형물의 대향 단부를 향하여 찌부러진 영역을 연장하도록 예비성형물에 대하여 버너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커플러(11)는 튜브의 영역을 가열하므로써 예비성형물의 일 단부 근처에 형성되고, 가열된 영역을 늘리도록 대향하는 방향으로 컴퓨터 제어 스테이지(45, 46)를 이동시킨다. 늘림작동은 미합중국 특허 제 5,011,251 호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두 개의 튜브 단부가 상호 떨어져서 이동하는 비율은 결합된 신축율로 정한다. 커플러(11)는 커플러의 수직중앙이 최소직경을 나타내도록 약간의 경사가 존재하더라도 일정 직경을 갖는 것으로 예시된다. 합성된 커플러의 커플링 특성은 매트릭스 그라스(19) 및 파이버(130) 및 합성 파이버(122)의 커플러 영역(106, 118)의 광학 및 기계적 특성으로써 이러한 매개변수에 의해서 결절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커플링 특성은 목아래 및 경사진 영역의 길이 및 형상과 같이 커플러 매개
변수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제1커플링을 형성하도록 튜브를 늘리는 동시에 광력은 입력 광파이버에 연결될 수 있고, 출력신호는 커플러 제작공정에서 처리단계를 제어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트라이얼 장치(trial device)는 이 상태에서 간격을 늘리는 트라이얼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최적의 늘름 거리는 측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덮혀진 파이버 광 커플러를 갖는 이전의 경험에 있어서, 각각의 커플러의 형성시 양측 스테이지에 대한 총 늘림 거리는 통례적으로 12 내지 16㎜ 사이이다.
필터 또는 WDM 커플러의 최고성능을 위하여, 커플러(11, 12)는 사실상 동일한 커플링 특성을 갖는다. 제2커플러(12)는 제1커플러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이들과 동일한 늘림조건에서 튜브의 적당한 영역을 종속시키므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커플러(11, 12)가 무색 또는 WDM 형태라 할지라도 마하-젠더 장치는 무색 커플러가 사용되면 폭 넓은 파장 범위 이상에서 유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색 덮혀진 파이버 광 커플러"로 명명된 미합중국 특허 제5,268,979호에 따라, 커플러는 파이버의 코팅을 둘러싸는 매트릭스 그라스 본체의 굴절율가 0.125% 이하의 △2-3값에 의해서 코팅의 굴절율이하라면 무색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2-3와 같다.
약간의 응용으로써, 마하-젠더필터의 파이버의 하나만 각각의 단부에 장치로 부터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치가 형성된 후, 장차로 부터 연장하는 파이버(17)의 니들 부분은 절단된다. 파이버(17)의 절단단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역반사 테미네이션과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서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플러(11)는 합성 파이버(122)의 커플링 영역(106)과 균이한 파이버(130)의 조정부만을 포함하는 반면에 커플러(12)는 합성 파이버의 제2커플러 영역(118)과 균이한 파이버(130)의 일부를 포함한다. 합성 파이버의 위상이동영역은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러 형성공정시 길계늘어나지 않는다. 합성 마하-젠더 장치는 입력단부(132)를 통하여 광이 공급될 수 있고, 제1출력단부(134) 및 제2출력단부(136)에 파워를 전달할 수 있다. 제1출력단부에 나타나는 입력파워의 일부는 하기와 같이 공급된 광의 파장기능이다.
여기서,
P:제1출력포트(134)에 나타나는 출력파워의 일부.
LPS:합성 파이버내에 위상 이동 영역(110)의 길이.
dβ: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과 균일한 파이버(130)의 전파 상수 사이의 전파상수 차이.
β:낮은 위상이동영역(110)의 전파상수 및 균일한 파이버(130)의 전파상수.
λ:공급된 광의 파장.
단일 모드전송에 대하여, 모든 파이버는 동일한 모드에서 전공하고, 방정식(1)은 하기와 같이 고쳐질 수 있다.
여기서,
n:낮은 위상 이동영역(110)의 유효한 굴절율 및 균일한 파이버(130)의 유효한 굴절율.
dn:합성 파이버 및 균일한 파이버(130)의 유효한 굴절율 사이의 차이.
유효한 굴절율을 갖고 있는 상이한 코어가 단일모드 가이드의 파워의 절반을 취하므로써 통계적으로 예측될 수 있는 효과는 파이버의 델타(Δ)를 증가시키므로써 코어내에서 일어난다. 유효한 인덱스는 대략적으로 하기식과 같이 변환한다.
여기서, Δ1-2와 같고, Δ1-2'와 같고, n1 및 n2'는 각기 제1 및 제2파이버의 코어(102, 112)의 굴절율이다. 또한, n2 및 n2' 는 제1 및 제2파이버내에 코팅(104, 114)의 굴절율이다. 파이버(130)와 합성 파이버(122)의 위상 이동 영역(110) 사이의 유효한 굴절율에 대한 차이는 하기식과 같다.
방정식(4)는 하기식을 얻도록 방정식(2)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방정식(5)은 파이버(130)가 0.3%의 Δ1-2값을 갖고,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110)이 1.0%의 Δ1-2값을 갖고, 위상 이동영역의 길이(LPS)가 1㎝인 단일-스테이지 마하-젠더 필터에 대하여 제7도에서 그래프로 계산되었다. 이들 파장에서 P는 최대치이며, 사실상 (장치에서 어떤손실 이하인) 제1입력(134)을 통하여 공급되는 모든 광은 제1출력단부(132)에 보내진다. 이 파장에서, P는 대략 0이고, 사실상 장치에 입력단부(134)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든 광은 테미네이티드 단부(126)에 보내지고, 방산된다.
명료하게, 출력파워일부(P)와 파장(λ) 사이의 관계는 위상 이동 영역(110)의 길이(LPS) 및 파이버의 성질에 의해 단독으로 죄우된다.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106, 118)의 광학적인 성질이 균일한 파이버(130)의 광학적 성질과 정합하기 때문에 커플링 영역의 길이는 파워기능에 무익하다. 그러므로, 커플링(11, 12) 사이의 거리는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110)이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는 것만큼 긴 장치의 성능에 본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커플러 형성 공정은 커플러의 파워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최대 커플러 성능을 제공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더구나, 커플러의 대량 생산에 있어서, 장치의 파워기능은 장치의 다른 매개변수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고 위상 이동 영역(110)의 길이를 조정하므로써 활용될 수 있다. 예로써, 만약 파이버가 그들의 공칭 합성물로 부터 약간 벗어나는 공정에 공급된다면, 파이버의 전파상수는 그들의 공칭값과 상이할 것이다. 이것은 파워기능의 피크(peak) 사이의 분리에 있어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파워기능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이것은 위상 이동 영역(110)의 길이(LPS)를 증가 또는 감소 시키므로써 정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은 커플러 형성공정에 변화 및 최종생성물의 외경 변경없이 달성될 수 있다.
예로써, 전기된 미합중국 특허 제5,295,20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하-젠더 장치는 상이한 필터링 특성을 제공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첫번째로 이러한 배열은 두 개의 장체에 사용하고, 두 번째는 광학적광학적인 경로 길이 차이 또는 두배의 광 경로 길이 차이 지연 또는 다른 장치의 지연을 갖는다. 제1장치의 하나의 파이버는 제2파이버를 통하여 이송되고, 다른 파이버는 테미네이티드된다. 합성장치는 개개의 장치의 파워기능의 생성과 같은 파워기능을 갖기 때문에 폭으로 분리된 피크를 갖는 파워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위상 이동 영역(110')을 갖는 제1합성 파이버(122')(제9도) 및 제1위상 이동 영역(110')의 길이의 두배인 위상 이동 영역(111')을 갖는 제2합성 파이버(123')를 사용한다. 각각의 합성 파이버는 볼-테미네이션된 광 차단 단부(125')를 갖는다. 합성 파이버는 상호 입접한 파이버의 광 차단 단부(125')를 갖는 튜브(19)의 구멍내에 단부와 단부가 맞닿게 배열되는 것이 좋다. 균일한 파이버(130')는 튜브를 통하여 완전히 연장한다. 커플러(11')는 각각의 위상 이동 영역의 각각의 측면상에 커플러를 제공하기 위하여 튜브를 따라 4개의 위치에 형성된다. 택일적으로, 두 개의 합성 파이버(122', 123')는 신호에 의해 재배치되고, 연속하여 합성 파이버는 위상 이동 영역(110', 111') 양측을 구비하고, 단일 균일한 파이버는 두 개의 마하-젠더 장치 사이의, 여기에서 제2 및 제2커플러 사이의 중간 포인트에 광 차단 단부에 의해 터미네이티드 된다.
합성 파이버의 사용은 이러한 다중-스테이지 장치의 제작에 충분한 장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재차, 각각의 마하-젠더 장치의 광 경로 길이 차이는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를 선택하므로써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의 마하-젠더 장치를 제1마하-젠더 장치의 정확히 두배의 광 경로 길이 차이를 갖게 제작될 수 있고, 그것의 정확성은 파이버의 튿성이 공칭값을 벗어나는 공정에 공급되때 조차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한 장점은 다양한 스테이지에 제공되는 위상 이동 사이의 다른 관계가 유지되지 않으면 안될 때 제공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011,25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커플러의 무색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확실한 방법은 커플러내에 파이버 코팅의 굴절율들이 약간씩 상이한 값을 갖도록 요구한다.
그 접근방법이 사용될 균일한 파이버(130)는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내에 코팅(104)의 굴절율과 상이한 코팅 굴절율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코어직경 및 코어 굴절율과 같은) 균이한 파이버의 다른 매개변수는 균일한 파이버의 유효한 굴절율(n)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전파 상수(β)는 합성 파이버내에 커플링 영역(106, 108)의 전파 상수 및 유효한 굴절율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적으로 기재된 미합중국 특허 제5,351,325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마하-젠더 장치는 두 개이상의 파이버를 갖도록 제작한다. 이러한 장치는 다중방식입력 커플러에 몇 개의 신호로 입력포트에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분할하고, 상이한 유효 광 경로 길이를 갖는 몇 개의 광 경로에 따라 분할 신호를 정하고, 출력 커플러에 단일 출력 신호로 분할신호를 최종적으로 재결합한다. 이러한 장치는 두 개의 균일한 파이버(230a, 230b) 및 두 개의 합성 파이버(222a, 222b)를 조합하는 제10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파이버(200)의 집합체로 제작할 수 있다. 제2합성 파이버는 제1합성 파이버내에 위상 이동 영역(210a)의 길이 보다 정확히 두배의 길이를 갖는 위상 이동 영역(210b)을 귀비한다. 여기서 재차,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206, 218)은 제2균일한 파이버(230b)의 전파 상수와 같은 전파상수를 갖는다. 또한,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내에 전파상수는 상호 동일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상 이동 영역이 동일한 제2스토크 파이버의 피스로 형성되는 것이다.
균일한 파이버(230b) 및 합성 파이버(222a, 222b)는 일단부에 광 차단 터미네이션과 함께 제공된다. 4개의 파이버는 미합중국 특허 제5,351,325호의 기술을 사용하여 다중-경로 마하-젠더 장치로 제작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5,351,32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이버는 매트릭스 그라스의 튜브를 통과하여 함께 길게 형성되고, 합성 커플러 예비성형물은 입력 커플러(211)(제11도) 및 출력 커플러(212)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열되고, 늘려진다. 모든 파이버는 입력과 출력 커플러 사이에서 장치의 길이로 연장한다. 제11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210a, 210b)은 입력 커플러(211)와 출력 커플러(212) 사이에 배치된다.
커플러 구조는 미합중국 특허 제5,351,325호에서 예시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특허 제5,351,325호에서 명료해진 바와 같이, 커플러 구조는 제1파이버(230a)의 입력단부에 입력포트(232)를 통하여 공급되는 모든 강이 본질적으로 이 파이버로 부터 다른 파이버로 전송되고, 광의 사실상 동일한 분량이 다른 파이버의 각각에 전송되도록 선택된다. 입력포트(232)에 들어가는 광은 본질적으로 커플러 사이의 영역에 제1파이버를 따라 전파하지 않는다. 다른 파이버에 따라 통과하는 광은 재결합되고, 집합체(212)를 출력 커플러에 제1파이버(230a)까지 역으로 전송되고, 입력포트(234)의 외부로 통과한다. 그러므로, 광은 균일한 파이버(230b)에 따르는 커플러와 합성 파이버(222a, 222b)에 따르는 커플러 사이만 통과한다. 여기서 재차, 상기한 지연들이 커플러 사이로 광을 이송하는 3개의 파이버(230b, 222a, 222b) 사이에 유효한 광 경로 길이의 차이에 의해서 유발되므로 출력포트(234)에 나타나는 입력광의 비는 파장에 의해 죄우될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5,351,325 호에 매우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평행인 다중경로의 사용은 큰"피네스(finese)"를 제공한다. 용어 "피네스"는 각각의 피크의 폭에 대한 파워출력기능에서 인접한 피크 사이의 파장분리 비율을 의미한다. 비록 피네스의 높은 값이 단폭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도 9에 예시된 것과 같은 연속 마하-젠더 장치 및 제11도에 예시된 것과 같은 다중-파이버 구조는 단일 스테이지에서 높은 피네스를 제공한다.
장치의 위상 이동부(214)를 통하여 연장하는 다양한 파이버는 상호 완전한 다중화인 광 경로 길이 차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제1합성 파이버(222a)를 통하여 통과하는 광은 균일한 파이버(230b)를 통하여 통과하는 광에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지연량은 위상 이동 영역(210a)의 길이에 정비례한다. 마찬가지로 제2합성 파이버(222b)를 통하여 통과하는 광은 지연되고, 균일한 파이버(230b)내에 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연하는 량은 위상 이동 영역(210b)의 길이에 정비례한다. 다양한 합성 파이버내에 지연정도가 각각의 파이버내에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에 직접관련되므로 파이버들은 상호 완전한 다중과인 지연을 생기게 하도록 정확히 정합될 수 있다. 이것은 전파 상수에서 정확히 등급매겨진 차이를 갖는 일련의 파이버내에 다중 파이버를 정합시킬 필요없이 달성된다. 마하-젠더 장치는 입력 및 출력 커플러 사이에 3개 이상의 활성 광 경로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가장 짧은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의 큰 완전 다중화의 길이를 갖는 위상 이동 영역을 구비하는 추가적인 합성 파이버를 조합한다.
제10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파이버는 위상이동 영역 및 커플링 영역내에 동일한 전파 상수를 갖도록 모두 제작한다. 이 배열른 생산에서의 제어를 단순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커플링 영역은 하나의 파이버의 단일 묶음이고, 모든 위상 이동 영역은 다른 하나의 파이버의 단일 묶임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폭 넓은 범위에 따라, 다른 배열이 가능하다. 예로써, 다양한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파이버는 서로 상이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파이버에 대한 결과는 상호 완전한 다중화이거나 또는 상호 약간 다르게 요구된 관계를 갖으며; 여기서, dn은 균일한 파이버의 특정한 위상 이동 영역 및 유효한 굴절율을 구성하는 파이버의 유효 굴절율 사이의 차이이다.
상기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은 커플링 영역이 어떤 위상 이동도 유발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합성 파이버가 사용되는) 다른 하나와 아주 동일하거나, 균일한 파이버와 아주 동일하다. 이것은 장치의 성능이 커플링 영역의 길이내의 변화 및 커플러 사이의 간격에 영향을 받지않게 한다. 그러나, 그것은 각가의 합성 파이버내에 커플링 영역이 다른 파이버내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파상수와 상이한 전파상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커플링 영역이 동일한 위상 이동을 제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례에 있어서,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는 커플링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위상 이동에 대하여 보상하도록 감소 또는 증가된다. 더구나, 비록 상기된 양호한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합성 파이버를 갖는 균일한 파이버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장치가 오직 합성 파이버만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파이버는 합성 파이버이다.
또한, 비록 전술한 실시예가 스텝-인덱스 파이버를 참조하여 기재되었다 할지라도 동일한 기술이 변화-인덱스 파이버(gradient-index fiber)를 사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은 리소넌트 논-라인얼이티(resonamt non-linerity)를 갖는 물질을 조합한다. 이러한 물질의 굴절율은 실질적인 광력이 가해질 때 변화한다. 이것은 위상 이동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광 경로 길이 차이가 펌핑력이 가해질 때 변화하도록 한다. 마하-젠더 장치는 광 제어가능한 스위치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전파가 합성 파이버를 통과하도록 펌핑 조명을 공급하므로써 합성 파이버의 유효 굴절율이 변화되고, 그것에 의해 장치의 특성이 변화하고, 장치의 입력포트로 부터 다른 포트로 광을 전송한다. 합성 파이버내의 이러한 비-직선 물질을 조합하는 장치는 전기된 [밀러-놀란 126-70]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된 특성의 결합 및 다른 변화들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양호한 실시예의 전술한 기재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한정된 방식에 의핸 것 보다 오히려 실시예의 방식에 의해 취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합성 파아버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광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합성 파이버는 위상 이동 영역 및 커플링 영역쌍을 포함하고, 각가의 상기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은 이러한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의 전파 상수와 상이한 전파상수를 갖고; (b) 각가의 상기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이 상기 커플러 사이에 배지되도록 상기 파이버상의 소정간격져 떨어진 위치에 광 커플러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합성 파이버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스토크 파이버의 피스 사이에 제2스토크 파이버의 피스를 겹쳐잇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겹쳐잇는 단계는 상기 제1스토크 파이버의 피스에 상기 제2스토크 파이버의 피스를 융합하고, 상기 제2스토크 파이버를 길이로 절단하고, 제2스토크 파이버의 피스에 상기 제1스토크 파이버의 다른 피스를 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파이버는 다수개의 합성 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제1 및 제2스토크 파이버의 피스는 상기 모든 합성 파이버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다수개의 파이버는 균일한 파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균일한 파이버는 상기 제1스토크 파이버의 피스를 완전히 형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커플러를 형성하는 단계는 매트릭스 그라스내에 상기 파이버를 넣는 단계와, 상기 매트릭스 그라스내에서 상호 나란히 연장하는 폭 좁은 단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파이버를 길게늘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그라스내에 상기 파이버를 넣는 단계는 상기 매트릭스 그라스의 튜브의 구멍내에 상기 파이버를 배치하고, 찌부러진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파이버상에 상기 튜브를 찌부러트림으로써 실행되고, 상기 파이버를 길게 늘리는 단계는 상기 찌부러진 영역 및 영역내에 배치된 파이버부를 길게 늘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9. (a) 적어도 하나의 합성 파이버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광 섬유와, 각각의 합성 파이버는 위상 이동 영역 및 커플링 영역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합성 파이버의 상기 위상 이동 영역은 이러한 파이버의 커플링 영역의 전파 상수와 상이한 전파 상수를 갖고; (b) 상기 파이버상에서 소정간격져 떨어진 위치에 광 커플러쌍을 포함하며, 각가의 상기 합성 파이버의 상기 위상 이동 영역은 상기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파이버는 실직적으로 상기 커플러 사이의 총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파이버는 파이버의 길이를 통과하는 동일한 전파상수를 갖는 균일한 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합성 파이버의 상기 커플링 영역은 균일한 파이버의 전파상수와 실질적으로 같은 전파상수를 갖고, 각각의 상기 합성 파이버의 상기 위상 이동 영역은 상기 균일한 파이버의 전파상수와 상이한 전파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파이버의 상기 위상 이동 영역의 전파상수는 상호 같으므로, 균일한 파이버에 관하여 각각의 합성 파이버내에 위상 이동의 광도는 각각의 합성 파이버의 위상 이동 영역의 길이에 정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광 섬유는 다수개의 합성 파이버와, 제1위상 이동 영역 길이를 갖는 하나의 제1합성 파이버와, 상기 제1위상 이동 영역 길이의 적합한 다중화인 상기 다수개의 합성 파이버의 각각의 다른 하나내에 위상 이동 영역의 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 섬유는 다수개의 합성 파이버와, 제1위상 이동 영역을 갖는 하나의 제1합성 파이버와, 상기 제1위상 이동 영역 길이의 완전한 다중화인 상기 합성 파이버의 각각의 다른 하나내에 위상 이동의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는 상기 커플러 사이에 광 경로 길이 및 다수개의 상기 합성 파이버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 파이버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 파이버의 광 경로 길이와 상이한 광 경로 길이를 구비하므로, 각각의 상기 합성 파이버는 상기 베이스 파이버에 관하여 상이한 광 경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길이 차이는 다른 하나의 완전한 다중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익 커플러는 매트릭스 그라스의 한덩어리로 둘러싸어지는 상기 파이버의 상기 커플링 영역의 늘려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사이의 상기 파이버를 둘러싸는 상기 커플러내에 매트릭스 그라스의 상기 덩어리와 일체인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하-젠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1585A 1996-07-08 1997-07-08 마하-젠더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980010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5796P 1996-07-08 1996-07-08
US60/016,057 1996-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464A true KR980010464A (ko) 1998-04-30

Family

ID=2177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585A KR980010464A (ko) 1996-07-08 1997-07-08 마하-젠더 장치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18694B1 (ko)
JP (1) JPH10176903A (ko)
KR (1) KR980010464A (ko)
CN (1) CN1172958A (ko)
AU (1) AU714724B2 (ko)
CA (1) CA2208122A1 (ko)
DE (1) DE69706486T2 (ko)
TW (1) TW344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6492B (zh) * 2010-05-31 2012-01-04 哈尔滨工程大学 双F-P腔与Mach-Zehnder组合干涉仪
PL224871B1 (pl) * 2013-09-30 2017-02-28 Inpho Tech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rzęgacz, w szczególności do produkcji interferometrów odpornych na wysokie temperatury i interferometr odporny na wysokie temperatury
CN106124030A (zh) * 2016-06-27 2016-11-16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基于up‑taper结构的模式干涉型光纤振动传感器
CN111007593B (zh) * 2019-05-12 2022-05-13 桂林电子科技大学 基于热扩散融嵌芯毛细管光纤微小粒子输运装置
CN113804315B (zh) * 2021-08-06 2023-05-12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激光扫描频率带宽标定装置和标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252A (ja) * 1992-02-14 1993-09-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四光波混合光の抑圧回路
US5295205A (en) * 1993-03-29 1994-03-15 Corning Incorporated Environmentally stable monolithic Mach-Zehnder device
US5351325A (en) * 1993-04-29 1994-09-27 Corning Incorporated Narrow band Mach-Zehnder filter
EP0835540A4 (en) * 1996-04-18 2000-02-02 Corning Inc MACH-ZEHNDER OPTICAL FILTERS HAVING A PERIODIC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8122A1 (en) 1998-01-08
EP0818694A1 (en) 1998-01-14
TW344035B (en) 1998-11-01
EP0818694B1 (en) 2001-09-05
MX9705103A (es) 1998-06-30
JPH10176903A (ja) 1998-06-30
CN1172958A (zh) 1998-02-11
AU2840397A (en) 1998-01-15
AU714724B2 (en) 2000-01-06
DE69706486T2 (de) 2002-06-06
DE69706486D1 (de)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9196B1 (en) Passive fiber optic multiplexer
KR910006731B1 (ko) 광섬유 커플러 및 그 성형방법
KR100323207B1 (ko) 마하-젠더(Mach-Zehnder)디바이스및이의제조방법
EP0511435B1 (e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making use of a coaxial coupler
US5351325A (en) Narrow band Mach-Zehnder filter
US4560234A (en) Fiber optic switchable coupler
EP1426799A2 (en) Optical demultiplexer, optical multi-/demultiplexer, and optical device
EP1055946A2 (en) Tapered multimode interference coupler
US4946250A (en) Compact wavelength filter integrated to a single-mode optical fiber
KR960024498A (ko) Mxo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장치
US5943458A (en) Mach-Zehnder interferometric devices with composite fibers
EP0704725B1 (en) Low loss fiber optic coupler and method
EP1052530A2 (en) Wavelength multiplexer-demultiplexer having a wide flat response within the spectral passband
KR980010464A (ko) 마하-젠더 장치 및 그 제작방법
CA2022367C (en) Simplified wdm fused fiber coupler design
EP0234665A2 (en) Fibre-optic coupler
CA1284282C (en) Wavelength filter integrated into an optical waveguide
US5796885A (en) 3×3 waveguide coupler for bidirectional dual wavelength transmission and signal sampl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8220370A (ja) 光ファイバカプラ
EP1091222A2 (en) Method of making Mach-Zehnder interferometric device with composite fibers
JPH06250042A (ja) 広波長域光ファイバ型カプ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306325A1 (en) Mmi thermo-optic coupler
JPH03154010A (ja) 光フア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CA1317495C (en) Compact wavelength filter integrated to a single-mode optical fiber
JPH01154009A (ja) ファイバ融着型光カプ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