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173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173A
KR980010173A KR1019960027644A KR19960027644A KR980010173A KR 980010173 A KR980010173 A KR 980010173A KR 1019960027644 A KR1019960027644 A KR 1019960027644A KR 19960027644 A KR19960027644 A KR 19960027644A KR 980010173 A KR980010173 A KR 980010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grill member
air conditioner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1520B1 (ko
Inventor
김남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520B1/ko
Publication of KR98001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판넬의 흡입면적에 창살형 흡입구를 가진 그릴부재가 취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다단계 냉난방운전시 이에 알맞는 실내공ㄱ가 흡입되어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동원에 따라 흡입면적을 상하분할하여 여닫이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측 및 하측 그릴부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1도는 종래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송풍운전시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약냉난방 및 강냉난방운전시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강냉난방 및 터보냉난방운전시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전면판넬 100: 상측그릴부재
110: 하측 그릴부재 101,111: 흡입구
120: 제1구동수단 121: 제2동수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계 운전(예컨대, 송풍운전시, 약냉 난방 또는 강냉난방 운전시, 강냉난방 또는 터보 냉난방 운전시)에 알맞는 설정온도에 빠른 시간내에 도달되록 실내공기의 흡입량을 극대화하여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실내기 본체(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외관기능과 덕트기능을 가진 후면파넬(20)과,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흡입된 실내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도록 후면판넬(2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전면판넬(30)과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후면판넬(20)의 정면에 수동방식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그릴부재(40)와, 상기 전면판넬(30)의 전방 하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풍향조절하도록 전면판(20)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수단(50)과, 상기 그릴부재(4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 또는 뜨거운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그릴부재(40)의 후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60)와, 상기 그릴부재(40)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60)에 의해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나 또는 뜨거운 공기를 전면판넬(30)의 하부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열교환기(60)의 후측에 설치된 불로워팬(7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전면판넬(30)에는 전방측 하부에 상기 실내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토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릴부재(40)에는 살내공기가 실내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창살형의 흡입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배열된 조작버튼이나 또는 리모콘 조작에 의해 공지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실내기 본체(10)내에 설치된 블로워팬(70)은 전원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에 의해 그릴부재(40)에 형성된 창살형 흡입구(41)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실내공기는 흡입구(41)를 통과함과 동시에 그릴부재(40)의 후면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이 필터링되고, 이 에어필터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차가운 공기나 뜨거운 공기로 열교환됨과 동시에 후면판넬(20)에 여러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덕트구조의 안내를 받아 전면판넬(30)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1)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방운전시 실내공간을 낮은 실내온도로 차갑게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운전시 실내공간을 높은 실내온도로 뜨겁게 난방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그릴부재(40)는 그 이면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청소할 경우나 또는 실내기 내부를 점거 및 수리시에만 수동방식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개폐할수 있을뿐, 평상시의 냉난방 운전시에는 항상 닫혀 있으며, 또한 그릴부재(40)에 형성된 창살형 흡입구(4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계 냉난방운전(예컨대, 송풍운전, 약냉난방 또는 강낸난방 운전, 강낸난방 또는 터보 냉난방 운전)에 관계없이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이 모두 일정함에 따라 냉난방을 빠른 시간내에 실현할 수 없어 냉방 및 난방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계 냉난방운전(예컨대, 송풍운전, 약냉난방 또는 강냉난방 또는 터보 냉난방 운전)시 이에 알맞는 실내공기의 흡입량으로 가변시켜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빠르게 함에 따라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판넬이 흡입면적에 창살형 흡입구를 가진 그릴부재가 취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다단계 냉난방 운전시 이에 알맞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동원에 따라 흡입면적을 상하분할하여 여닫이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 및 110은 다단계 냉난방운전시 이에 알맞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동원에 따라 흡입면적을 상하분할하여 여닫이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100)(110)는 그들 하단 양측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30)의 흡입면적에 대하여 중간측과 하측에 여닫이 방식으로 각각 상하회동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그들 소정면적내에 실내공기가 통과되도록 각각 창살형의 흡입구(101)(1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30)에는 그 내부 일측에는 송푸운전시 상기 상측 그릴부재(100)를 상승회동시켜 전면판넬(30)의 상측흡입면적이 폐쇄되게 하거나 또는 약냉난방 운전, 강냉난방 운전 및 터보 냉난방 운전시 상측 그릴부재(100)를 하강회동시켜 상기 상측 흡입면적이 개방되게 하도록 상측 그릴부재(100)의 하단 힌지점과 연결되는 제1구동수단(120)과, 송풍 운전시 상기 하측그릴부재(110)를 상승회동시켜 전면판넬(30)의 하측 흡입면적이 폐쇄되게 하거나 또는 약냉난방 운전, 강냉난방 운전시 하측 그릴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연속 스윙동작시켜 상기 하측 흡입면적이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게 하면서 전면판넬(30)의 토출구(31)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승되어 흡입면적으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측 그릴부재(110)의 하단 힌지점과 연결되는 제2구동수단(121)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80은 상기 열교환기(60)의 하단과 상기 블로워팬(70)과의 사이 간극을 조절하여 그 사이에 발생되는 정압(예컨대, 공기의 와류현상)에 의한 소음을 억제시키도록 열교환기(60)의 하부측에 전면판넬(30)을 매개로 설치되는 스페이스 드레인을 나타내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을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배열된 조작버튼이나 또는 리모콘 조작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송풍운전으로 가동시키면,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100)(110)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및 제2구동수단(120)(121)이 동작되지 않음에 따라 전면판넬(30)의 흡입면적을 폐쇄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블로워팬(70)은 전원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구동되면서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100)(110)에 형성된 창살형 흡입구(101)(111)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실내공기는 흡입구(101)(111)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100)(110)의 후면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실내공기는 가동되지 않는 열교환기(60)를 통과함과 동시에 후면판넬(20)에 여러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덕트구조의 안내를 받아 전면판넬(30)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1)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공기조화기를 약냉난방운전 또는 강냉난방운전으로 가동시키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그릴부재(10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제1구동수단(120)에 따라 여닫이 방식에 의해 90°로 하강회동되어 수평되게 정지됨으로써 전면판넬(30)의 상측 흡입면적을 개방시키게 되고, 하측 그릴부재(110)는 제2구동수단(121)이 동작되지 않음에 따라 전면판넬(30)의 하측 흡입면적을 폐쇄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로워팬(70)이 전원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구동되면, 상측 그릴부재(1000의 개방동작에 의해 전면판넬(30)의 상측 흡입면적으로 많은 양의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하측 그릴부재(110)에 형성된 창살형 흡입구(111)로 적은 양의 실내공기가 흡입됨으로, 실내기는 약냉난방 운전시나 또는 강냉난방 운전시에 필요한 공기흡입량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 공기조화기를 강냉난방운전 또는 터보 냉난방 운전으로 가동시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그릴부재(10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제1구동수단(120)에 따라 여닫이 방식에 이해 90°로 하강회동되어 수평되게 정지됨으로써 전면판넬(30)의 상측 흡입면적을 개방시키게 되고, 하측 그릴부재(110)는 제2구동수단(121)의 정역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속 스윙동작하면서 전면판넬(30)의 하측흡입면적을 반복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전면판넬(30)의 토출구(31)로 투출되는 공기가 상승되어 흡입면적으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로워팬(70)이 전원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구동되면,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100)(110)의 개방동작에 의해 전면판넬(30)의 전체 흡입면적으로 많은양의 실내공기가 흡입됨으로, 실내기는 강냉난방 운전시나 또는 터보 냉난방 운전시 필요한 공기흡입량을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약냉난방 운전, 강냉난방 운전 및 터보 냉난방 운전시에 전면판넬(30)의 흡입면적으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이 필터링된 상태로 열교환기(60)에 공급되고, 이 열교환기(60)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차가운 공기나 또는 뜨거운 공기로 열교환됨과 동시에 후면판넬(20)에 여러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덕트구조의 안내를 받아 전면판넬(30)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1)를 통하여 실내로 그 토출구(31)에 설치된 블레이드 수단(50)의 좌우 및 상하구동에 따라 토출공기의 흐름도 바꾸어줌으로써 냉방운전시 실내공간을 낮은 실내온도로 차갑게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운전시 실내공간을 높은 실내온도로 뜨겁게 난방시켜 주게 되고, 또 다단계 냉난방운전에 각각 알맞는 흡입공기량으로 실내기가 가동됨으로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고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전면판넬이 상하측으로 분활되어 각각 구동원에 이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계 냉난방운전(예컨대, 송풍 운전, 약냉난방 또는 강냉난방 또는 터보 냉난방 운전)시 이에 알맞는 흡입공기량으로 각각 가변시켜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면판넬의 흡입면적에 창살형 흡입구를 가진 그릴부재가 취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다단계 냉난방운전시 이에 알맞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동원에 따라 흡입면적을 상하분할하여 여닫이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는 그들 하단 양측이 상기 전면판넬의 흡입면적에 대하여 중간측과 하측에 여닫이 방식으로 각각 상하회동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측 및 하측 그릴부재는 다단계 냉난방운전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1 및 제2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은 송풍운전시 상기 상측 그릴부재를 상승회동시켜 전면판넬의 상측 흡입면적이 폐쇄되게 하거나 도는 약냉난방 운전, 강냉난방 운전 및 터보 냉난방 운전시 상측 그릴부재를 하강 회동시켜 상기 상측 흡입면적이 개방되게 하도록 상측 그릴부재의 하단 힌지점과 연결되는 전면판넬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송풍운전시 상기 하측 그릴부재를 상승회동시켜 저면판넬의 하측 흡입면적이 폐쇄되게 하거나 또는 약냉난방 운전, 강냉난방 운전 및 터보 냉난방 운전시 하측 그릴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연속 스윙동작시켜 상기 하측 흡입면적이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게 하면서 전면판넬의 하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승되어 흡입면적으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측 그릴부재의 하단 힌지점과 연결되는 전면판넬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7644A 1996-07-09 1996-07-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19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644A KR100191520B1 (ko) 1996-07-09 1996-07-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644A KR100191520B1 (ko) 1996-07-09 1996-07-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173A true KR980010173A (ko) 1998-04-30
KR100191520B1 KR100191520B1 (ko) 1999-06-15

Family

ID=1946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644A KR100191520B1 (ko) 1996-07-09 1996-07-09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5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520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25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7553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19819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100737448B1 (ko) 공기조화기
JPH062888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2009746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KR20080101475A (ko) 공기조화기
KR9800101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95074B1 (ko) 공기조화기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512619B1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10575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02101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05149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64365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1429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027498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5176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222948B1 (ko)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56579A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 장치
KR20030042711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구동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