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806A -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806A
KR980009806A KR1019960029295A KR19960029295A KR980009806A KR 980009806 A KR980009806 A KR 980009806A KR 1019960029295 A KR1019960029295 A KR 1019960029295A KR 19960029295 A KR19960029295 A KR 19960029295A KR 980009806 A KR980009806 A KR 98000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pipe
pipe
engine
present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2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806A/ko
Publication of KR98000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806A/ko

Links

Landscapes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흡기기관에 설치된 리턴파이프는 바이패스밸브가 열릴 때 과급 공기압이 점선과 같이 흐르게 되는데, 이때 소음 발생이 크고, 바이패스밸브가 급격히 개폐될 때 엔진의 분당회전수(RPM)가 변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2도와 같이 자동차 엔진의 흡기기관에 있어서, 리턴파이프(14)의 일측에 리소네이터(10)를 설치하되, 리소네이터(10)의 하측면에 연결관(12)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관(12)은 리턴파이프(14)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턴파이프를 통해 밀려드는 공기압이 리소네이터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저하되고 과급기 입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과급기 출구측의 압력을 원활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변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된 엔진중 흡기계통의 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급기를 통과한 공기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리턴파이프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줄이고,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변동되지 않도록 자동차의 리턴파이프의 일측에 리소네이터를 설치한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에 설치된 흡기계통의 기관은 첨부도면 도1과 같이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공기청정기(Air cleaner)(1)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유량기(Air flow meter)(2)의 플랩을 밀어 열고 스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에 따른 공기량이 연소실(6)에 흡입된다.
여기서 공기는 연소실(6)에 흐르기 전에 과급기(3)를 통과하게 되는데, 과급기(3)는 자동차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기 다기관에 설치한 공기펌프이고, 과급기가 설치되지 않은 엔진은 피스톤의 하강행정에서 발생되는 진공으로 혼합기를 흡입하여 출력향상을 얻을수 없기 때문에 과급기라는 공기 펌프를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많은 공기량을 실린더에 공급시켜 엔진의 출력 및 회전력의 증대, 연료 소비율을 향상시키도록 설치된 부속품이다.
이때, 과급기(3)를 통과한 발생되는 P1의 공기 압력이 엔진 설계치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엔진의 노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규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공기가 상승 되었을 때 바이패스밸브(4)가 열리게 되고, 압축된 공기압이 리턴파이프(5)를 통해 과급기(3) 입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의 리턴파이프(5)는 과급기(3)의 좌우로 연결된 호스(7)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것으로, 과급기(3)를 통과한 공기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리턴파이프(5)를 통해 과급기(3) 입구측으로 나머지의 공기압이 밀려갈수 있도록 설치되는 부속품이다.
상기의 노킹현상은 가솔린 엔진의 이상연소 및 이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바이패스밸브(4)는 공기압이 리턴파이프(5)를 따라 점선과 같이 흐를때는 상방으로 열려지면서 과급기(3) 입구측으로 흐를수 있도록 된 것이고, 공기압이 흐르지 않을때는 공기압이 흐르는 유출공을 막아 역유입되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부속품이다.
그러나, 종래의 흡기기관에 설치된 리턴파이프(5)는 바이패스밸브(4)가 열릴 때 과급 공기압이 점선과 같이 흐르게 되는데, 이때 압축된 공기가 작은 파이프관을 통해 이동됨으로 인해 소음이 크게 발생되고, P2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됨과 동시에 P1압력도 변동됨으로 인해 엔진의 분당회전수(RPM)가 변동되어 원활히 주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엔진의 흡기기관중 호스 주변에 설치된 리턴파이프가 지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턴파이프에 흐르는 공기압의 소음을 줄이고,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변동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턴파이프의 일측에 원통형의 리소네이터(Resonator)를 설치하되, 리소네이터의 중심부 하측면에 연결관을 리소네이터와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관의 하측면에는 리턴파이프의 일측면과 일체로 형성하며, 연결관의 내부에는 리턴파이프와 리소네이터간에 공기압이 흐를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턴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공기가 리소네이터를 통과하면서 P1의 압력과 P2의 압력이 균일화되어 과급기 입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급기 출구측의 압력을 원만하게 저감할 수 있어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변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 엔진의 흡기기관을 보인 부분 개요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소네이터를 흡기기관의 리턴파이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리소네이터 12:연결관
14:리턴파이프 16:바이패스밸브
18:과급기 20:호스
본 발명은 자동차 흡기기관의 리턴파이프(14)의 일측에 리소네이터(10)를 설치하되, 리소네이터(10)의 중심부 하측면에 연결관(12)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관(12)의 하측면은 리턴파이프(14)의 일측면과 일체로 형성한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소네이터(Resonator)(10)는 첨부도면 도2와 같이 리소네이터(10)의 하측면에 연결관(12)이 일체로 성형되고, 연결관(12)은 리턴파이프(14)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리소네이터(10)의 내부에는 텅빈 공간으로 형성된 일종의 원통이다.
또한, 연결관(12)은 리턴파이프(14)와 리소네이터(10)의 내부간에 공기압이 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것이다.
과급기(18)를 통과한 압력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할 때 리턴파이프(14)를 따라 점선과 같이 공기압이 흐르게 되고, 이때 공기압의 대부분은 리소네이터(10)의 원통 내부로 밀려들게 되며, 공기압의 나머지는 리턴파이프(14)를 통해 과급기(18)의 입구측으로 밀려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소네이터(10)의 원통 내부에는 공기압이 밀려들수 있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소네이터(10)의 내부는 P1의 압력보다 낮아 바이패스밸브(16)를 통과한 공기압이 자연히 리소네이터(10)의 내부에 밀려들게 되면서 P1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순간적으로 P1의 압력과 균일하게 되며, 과급기(18)의 입구측으로 이동되어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P2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되지 않고 균일하게 되어 P1의 압력도 급격히 변화되지 않아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변동되지 않고 균일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바이패브밸브(16)를 통과한 공기압이 리소네이터(10)의 내부로 밀려들면서 내부의 공간을 흐르는 만큼 시간이 흐르게 되어 압력이 완화되고 리턴파이프(14)의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된 엔진기관중 흡기기관에서 호스(20)의 중간부에 설치된 리턴파이프(14)의 일측면에 리소네이터(10)를 설치하되, 리소네이터(10)의 하측면에는 리소네이터(10)와 일체로 된 연결관(12)이 성형되고, 연결관(12)은 리턴파이프(14)의 일측면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즉, 리턴파이프를 통해 밀려드는 공기압이 리소네이터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저하되어 과급기 입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급기 출구측의 압력을 원활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변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장치에 있어서, 리턴파이프(14)의 일측에 리소네이터(10)를 설치하되, 리소네이터(10)의 하측면에 연결관(12)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관(12)은 리턴파이프(14)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By pass)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295A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KR980009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295A KR980009806A (ko)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295A KR980009806A (ko)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806A true KR980009806A (ko) 1998-04-30

Family

ID=6624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295A KR980009806A (ko)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8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6770B1 (en) Air intake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21734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02218A (en) Engine intake system having a pressure wave supercharger
US4444013A (en) Supercharger for motorcycle engine
US6945048B2 (en) Exhaust pressure restriction device with bypass passageway
CA2594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engine aspiration
US7467625B1 (en) Flexible fuel impulse charged engine assembly
CN109661511A (zh) 内燃机的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KR980009806A (ko) 자동차의 과급엔진 바이패스 장치
US5509397A (en) Air supply system preventing backflow
JPS6090935A (ja) 過給機付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CN1212325A (zh) 内燃机的吸气装置
US6883501B2 (en) Throttle and fuel injector assembly
KR20010061229A (ko) 흡기 시스템
US4886020A (en) Engine induction system
JPH0639096Y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アップ空気供給装置
KR100204777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덕트
JPH08100744A (ja) 燃圧レギュレータ
CA1317831C (en) Engine induction system
KR100233612B1 (ko) 엔진 보조흡기장치
KR19980027152A (ko) 자동차의 2단가변 흡기시스템
KR100312645B1 (ko) 자동차엔진용출력증강장치
JPS59218357A (ja) 過給機付内燃機関の給気騒音低減装置
JP2024057897A (ja) 流量制御弁
JPS58110852A (ja) 過給機付内燃機関における蒸発燃料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