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526A -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526A
KR980009526A KR1019960027765A KR19960027765A KR980009526A KR 980009526 A KR980009526 A KR 980009526A KR 1019960027765 A KR1019960027765 A KR 1019960027765A KR 19960027765 A KR19960027765 A KR 19960027765A KR 980009526 A KR980009526 A KR 980009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thode
chamber
electrolyte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봉
한정희
오근찬
염대일
조문형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101996002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526A/ko
Publication of KR98000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전해조는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총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양극실 가스켓과 상기 양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공급판이 형성되어 양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양극판을 구비하는 양극실과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은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과 상기 음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모서리에 전류 방출판이 형성되어 음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음극판을 구비하는 음극실과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전해액 통공과 중앙부에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밀착배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밀착되게 고정배치되는 격막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전해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해조의 부품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해 시스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해조에서의 전해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극실 2 : 음극실
3 : 격막 4 : 프레임
5 : 전류방출판 6 : 전류공급판
7 : 결합로드 11 : 양극판
12 : 양극 전해질 유입구 13 : 양극 생성물 출구
14 : 양극실 가스켓 21 : 음극판
22 :음극 전해질 유입구 23 : 음극 생성물 출구
24 : 음극실 가스켓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단극식 전해조 및 다수의 단위 전해조로 구성되는 전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필요한 반응공간을 가스켓으로 구성하고, 가스량이 적은 시스템에 알맞는 판형 전극, 전해조내의 전해질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전해질 정체의 의한 격막 보호를 위한 가스켓, 이온들의 이동을 보조하는 양이온 교환막 등이 구비된 전해조로서 또한 조작이 용이하고 성능이 우수한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극실과 음극실 및 이들 사이에 격막으로 구성된 전해조가 복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진 전해 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전해조는 단위 전해조의 양극측과 단위 전해조의 음극측에는 고전류, 저전압의 전원이 각각 연결되어지며 격막을 통하여 전해질이 이동한다.
한편, 격막을 통하여 염소 및 가성칼리와 같은 알칼리 금속물 등을 생성하는 전해조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선행기술이 발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4-10104호는 북극식 전해조에 관한 것으로, 균일한 전류밀도와 전해질 분포를 가질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지는 Ni와 Ti로 제작된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253,932호는 전해조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것에 관한 것이며, 미합중국 특허 제4,568,434,호와 일본 특허공고 소화 제59-9634호는 전해조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있어 이들을 필터-프레스(filter-press)방법에 의해 단위셀을 연결시키는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이 선행기술로 공지된 대부분의 전해조의 특징은 가스 발생량이 많은 경우에 적합한 전해조로서 양극실-가스켓-양극전극-가스켓-격막-가스켓-음극전극-가스켓-음극실로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전극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가스를 전극면에서 용이하게 이탈하도록 설계된 메쉬형태의 전극과 이탈된 가스 버블들이 전해실에서 합체되는데, 이때 전해실의 크기는 최대 버블크기보다 큰 공간(10∼20㎜)과 이의 재질은 금속성분 Ti 또는 Ni 재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행기술을 이용하여 가스발생량이 적은 제품, 예를들면 이온수등을 제조하는 경우, 전압이 상승되고 필요이상의 전해조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의 전해조는 이의 구비요건인 우수한 성능, 용이한 조작, 제작과 관리에 따른 비용의 저렴 등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단극식 전해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극식 전해조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극식 전해조는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북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양극실 가스켓과, 상기 양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객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공급판이 형성되어 양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양극판을 구비하는 양극실과,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가지는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과, 상기 음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방출판이 형성되어 음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음극판을 구비하는 음극실과,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전해액 통공과 중앙부에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밀착배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밀착되게 고정배치되는 격막부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해 시스템은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양극실 가스켓과, 상기 양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공급판이 형성되어 양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양극판을 구비하는 양극실과,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젖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가지는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과, 상기 음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방출판이 형성되어 음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음극판을 구비하는 음극실과,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전해액 통공과 중앙부에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밀착배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밀착되게 고정배치되는 격막부로 구성된 단위 전해조가 복수개 연결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단극식 전해조와 그 전해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해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전해조의 부품도로서, 도면중 부호1은 양극실, 2는 음극실, 3은 격막, 4는 프레임, 5는 전류방출판, 6은 전류공급관, 11은 양극판, 12는 양극 전해질 유입구, 13은 양극 생성물 출구, 14는 양극실 가스켓, 21은 음극판, 22은 음극전해질 유입구, 23은 음극 생성물 출구, 24는 음극실 가스켓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해조는 크게 양극실(1)과 음극실(2)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격막부로서 구성되는데, 이러한 각 부분들의 구조를 제2도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양극실(1)은 복수의 양극실 가스켓(14)과 양극판(11)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양극실 가스켓(14)은 제1도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쳐져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가진다. 양극판 (11)은 상기 양극실 가스켓(14)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 즉 양극 전해질 유입구(12)와 양극 생성물 출구(13)가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공급판(6)이 형성되어 양극실 가스켓(14) 사이에 배치된다.
음극실은(2) 상기 양극실(1)과 유사하게도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24)과 음극판(21)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음극실 가스켓(24)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쳐져 관통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양극실 가스켓(14)과는 반대 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는 소정직경을 가지며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가진다. 음극판(21)은 상기 음극실 가스켓(24)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 즉 음극 전해질 유입구(22)와 음극 생성물 출구(23)가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방출판(5)이 형성되어 음극실 가스켓(24) 사이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격막부는 복수의 프레임(4)과 격막(3)으로 이루어져있다. 먼저 프레임(4)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전해액 통공과 중앙부에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개구부가 관통형성되어 있는데, 개구부의 형태는 격막(3)을 지지하면서 이의 역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양극실(1)과 음극실(2)은 격막(3)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위 전해조의 하부 일측에 단위 전해조 내부에 전해질이 유입되도록 전해질 유입구(12, 22)가 있으며, 이의 맞은편 상부 일측에는 생성물이 유출되는 출구(13,23)가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 유입구(12, 22)와 생성물 출구(13, 23)는 단위 전해조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라인과 출구라인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양극실 가스켓(14)과 음극실 가스켓(24)의 내측 모서리에는 전기분해의 생성물 및 전해질 정체에 의한 격막 손상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모서리가 일정한 각의 곡면이 형성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양극실과 음극실의 내측 모서리에 곡면 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분해시 음극실(2)에서 양극실(1)로 이동하는 수산화 이온과 양극실 (1)내에 정체되어 있는 염소 또는 H+가 각각 격막(3)으로 확산함에 따라 격막내에서 반응하여 결정이 생성되므로 격막(3)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른 반응식을 다음과 같다.
2OH-+ Cl2→ OCl-+ H2O
일반적으로 상기 양극실 가스켓(14)과 음극실 가스켓(24)의 두께는 제한이 없으나, 통상 1㎜내지 50㎜의 두께가 사용되어지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2㎜의 두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양극실 가스켓(14)과 음극실 가스켓(24)의 재질은 전해질과 생성물에 대하여 내화학성을 가지는 철, 니켈, 티타늄 등의 금속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수지, 고무(EPDM), 불소수지 등의 플라스틱류 등이 사용되어지며 가격과 전해액 누설 및 전해조의 기계적인 강도를 고려할 때 고무(EPDM)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염수의 전기분해의 경우에는 양극실 가스켓(14)의 재질은 티타늄, 음극실 가스켓(24)의 재질은 니켈이 가장 바람직하다.
양극판(11)의 재질은 티타늄 재료와 피복된 백금족 금속산화물로 구성되고, 백금산화물은 이리듐 산화물, 루테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등이 사용되며, 상기 양극(11)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금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양극(11)의 구조는 약 40%의 개구도를 가지는 다공성판과 같은 형상의 전극 또는 판형 형상의 전극이 바람직하며, 이온 재조수의 경우 양극 (11)으로는 판형 형상의 전극이 바람직하다.
음극판(21)의 재질은 철,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금속을 음극재료로 사용하고 라니니켈, 니켈 산화물, 니켈에 음극활성물질을 코팅시킨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음극(21)의 구조는 상기 양극(11)과 동일한 조건으로 형성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켓(14, 24)은 단위 전해조내의 전해질 용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막(3)의 양단부에 설치되므로 가능한 평평한 표면이 효과적이며, 이들의 재질은 전해질과 생성물에 대한 내화학성을 가지도록 요구되며, 특히 물의 전기분해의 경우 미량의 염소가 발생하므로 가스켓(14, 24)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로렌 고무, 부틸고무, 불소고무 등이 사용되어지며, 가격과 성능의 측면에서는 가스켓(14)은 불소고무, 가스켓(24)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바람직하며, 이들의 형상 및 크기는 전해질 가스켓과 동일한 조건으로 형성된다.
격막(3)의 기능은 양극실(1)과 음극실(2)를 차단하고 양이온이 양극실에서 음극실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확보시켜 주어야 하며, 양단에 걸리면 전압이 낮아야 한다. 따라서 격막의 재질은 불소수지 및 스티렌 계열의 양이온 교환막 또는 단순한 종이 필터, 세라믹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고려할 때 약 200㎛이상 두께의 양이온 교환막이 가장 바람직하다. 격막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격막의 양쪽에 프레임(4)이 설치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도면중 부호7은 결합로드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해 시스템은 전술한 단위 전해조가 다수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단위 전해조들은 결합수단인 결합로드(7)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지며 상기 단위 전해조의 수는 20개 이상이 바람직하며, 배열된 전해조의 각 전해조에는 전류 공급판과 전류 방출판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해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전해조에서의 전해질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선은 양극실 용액흐믈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은 음극실 용액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양극실 용액 흐름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전해질 유입구(13)-양극실 가스켓(14)의 개구부-프레임(4)의 통공-격막(3)의 통공-프레임(4)의 통공-음극실 가스켓(24)의 통공-음극판(21)의 통공-음극실 가스켓(24)의 통공--양극실 가스켓(14)의 개구부-양극판(11)의 통공-양극실 가스켓(14)의 개구부의 순으로 계속적으로 흐른다. 반면에 음극실 용액흐름은 마찬가지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전해질 유입구(22)-음극실 가스켓(24)의 개구부-프레임(4)의 통공-격막(3)의 통공-프레임(4)의 통공-양극실 가스켓(14)의 통공-양극판(11)의 통공-양극실 가스켓(14)의 통공-음극실 가스켓(24)의 개구부-음극판(21)의 통공-음극실 가스켓(24)의 개구부의 순으로 계속적으로 흐른다. 이상에서와 같이, 양극실 용액과 음극실 용액은 전혀 교류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것이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1과 같은 구조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전해조는 다음과 같은 수치를 가진다.
1) 양극실의 폭(D) : 2㎜
2) 음극실의 폭(D) : 2㎜
3) 전해조의 세로길이 : 100㎜
4) 전해조의 가로길이 : 200㎜
5) 양극 : 수치안정성 전극(재료는 티타늄, 피복물은 이리듐-백금 산화물)
6) 음극 : 활성전극(재료는 철, 피복물은 라니니켈)을 갖게 된다.
7) 가스켓 :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8) 전류밀도 : 0.25A/㎠
9) 유량 : 10㎖/min
10) 양극실 pH : 3.30
11) 음극실 pH : 11.7
12) 격막 : 양이온 교환막(Nafion 300)
상기 운전조건에서 조전압은 6.0v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1의 1)에서 10)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해조를 제작하고 운전하였다. 격막은 양이온 교환막(일본 아사히 그라스사, 제품 AMV)을 사용하였다.
측정되는 전압은 6.0v를 유지하였다. 양극의 pH는 3.31정도로 pH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치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1의 1)에서 10)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해조를 제작하고 운전하였다. 격막은 Wattman사의 Filter Model No. DBSD-20을 사용하였다. 측정되는 전압은 9.3v를 유지하였다. 양극의 pH는 3.20정도로 pH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1시간 정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치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1의 1)에서 10)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해조를 제작하고 운전하였다. 격막은 Wattman사의 Filter Model No. F169-05을 사용하였다. 측정되는 전압은 8.3v를 유지하였다. 양극의 pH는 5.73 정도로 pH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치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1의 1)에서 10)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해조를 제작하고 운전하였다. 격막은 Wattman사의 Filter Model No. SLA-1000을 사용하였다.
측정되는 전압은 8.0v를 유지하였다. 양극의 pH는 3.99정도로 pH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치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1의 1)에서 10)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해조를 제작하고 운전하였다. 격막은 Wattman사의 Filter Model No. SLA-1250을 사용하였다. 측정되는 전압은 9.0v를 유지하였다. 양극의 pH는 3.50정도로 pH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치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표 1]
[발명의 효과]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해조는 양극실-가스켓-격막-가스켓-음극실로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수단에 의해 단위 전해조를 연속적으로 배열하며 가스켓으로 반응공간을 확보하고 전해질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개구부의 내측 모서리에 라운드를 제공하고 가스량이 적은 시스템에 알맞는 판형 전극, 이온들이 이동을 보조하는 양이온 교환막 등을 구비된 전해조로서, 이온수를 제조할 때 전술한 실험결과와 같이 조작이 용이하고 성능(낮은 전해전압과 높은 전류효율), 저렴한 전해조 제작비용 등의 잇점을 가진다.

Claims (5)

  1.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양극실 가스켓과, 상기 양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객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공급판이 형성되어 양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양극판을 구비하는 양극실과,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과, 상기 음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방출판이 형성되어 음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음극판을 구비하는 음극실과,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전해액 통공과 중앙부에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밀착배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밀착되게 고정배치되는 격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식 전해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극실과 가스켓과 양극판과 복수의 프레임과 격막과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과 음극판은 동일한 크기를 갖고 각각의 전해액 통공이 동축상에 위치되어 각각의 전해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순차적으로 밀착되에 고정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식 전해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실 가스켓과 음극실 가스켓의 개구부의 내측 모서리는 전해질의 정체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식 전해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불소수지 및 스티렌 계열의 양이온 교환막, 종이 필터 또는 세라믹 필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식 전해조.
  5.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점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양극실 가스켓과, 상기 양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공급판이 형성되어 양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양극판을 구비하는 양극실과, 소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하단부 일측 꼭지젖이 상하방으로 대향되게 치우치게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는 개구부와 상하부 일측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전해액 통공을 일체로 갖는 복수의 음극실 가스켓과, 상기 음극실 가스켓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의 전해액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일측 모서리에 전류 방출판이 형성되어 음극실 가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음극판을 구비하는 음극실과, 각각의 코너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전해액 통공과 중앙부에 전해액이 유동가능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밀착배치되는 격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밀착되게 고정배치되는 격막부로 구성된 단위 전해조가 복수개 연결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해 시스템.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7765A 1996-07-08 1996-07-08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KR980009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765A KR980009526A (ko) 1996-07-08 1996-07-08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765A KR980009526A (ko) 1996-07-08 1996-07-08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26A true KR980009526A (ko) 1998-04-30

Family

ID=6624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765A KR980009526A (ko) 1996-07-08 1996-07-08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5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2009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electrolysis using a cation-permselective membrane and turbulence inducing means
JP2515142Y2 (ja) 電解槽用ガスケット
KR890000708B1 (ko) 필터프레스형 전해조
EP0250127B1 (en) Electrolytic cell
US20030106805A1 (en) Method of producing alkali alcoholates
US4144146A (en) Continuous manufacture of sodium dithionite solutions by cathodic reduction
FI82487C (fi) Elektrolytisk cell och taetning.
US4752369A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improved energy efficiency
US4851099A (en) Electrolytic cell
IE65467B1 (en) Process for electrochemically regenerating chromosulfuric acid
CA1117473A (en) Electrolytic cell
US4568433A (en) Electrolytic process of an aqueous alkali metal halide solution
FI116299B (fi) Elektrodi, elektrolyysikenno sekä menetelmät elektrodin valmistamiseksi ja vesipitoisen liuoksen elektrolysoimiseksi
GB2082633A (en) Securing ion exchange membrane in electrolytic cell
EP0250108B1 (en) Electrolytic cell
KR980009526A (ko) 단극식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시스템
EP0077982A1 (en) An electrolysis process and electrolytic cell
JP3827647B2 (ja) ガス拡散電極を備えたイオン交換膜電解槽
KR890001490B1 (ko) 전해조 및 전해조용 가스켓
JPH0216389B2 (ko)
JPS59104486A (ja) アルカリ金属ハロゲン化物水溶液の電解方法
JPS59197582A (ja) 電解槽及び電解方法
JPS56108888A (en) Manufacture of alkali hydroxide and chlorine
JPS59153888A (ja) 電解方法及び電解槽
JPS6494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