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406A -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406A
KR980009406A KR1019960028026A KR19960028026A KR980009406A KR 980009406 A KR980009406 A KR 980009406A KR 1019960028026 A KR1019960028026 A KR 1019960028026A KR 19960028026 A KR19960028026 A KR 19960028026A KR 980009406 A KR980009406 A KR 98000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polyolefin
reactive gas
resi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0601B1 (ko
Inventor
박성철
김성룡
최영준
송준섭
고석근
최원국
정형진
Original Assignee
김상응
주식회사 삼양사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응, 주식회사 삼양사,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김상응
Priority to KR101996002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601B1/ko
Publication of KR98000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온건에 주입하여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폴리올레핀 시료에 조사(照射)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수지의 표면주위로 불어넣어 줌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단시간내에 접착을 가능케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을 증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온건에 주입하여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폴리올레핀 시료에 조사(照射)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수지의 표면주위로 불어넣어 줌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단시간내에 접착을 가능케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을 증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표면장력과 젖음성이 낮아 다른 물질들, 예를들어 고분자, 금속, 세라믹 등과의 접착성이 좋지 않기때문에, 응용범위에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일부 분야에서는 이런 낮은 접착성이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예를들어,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농업용 호스는 물성이 유연하고 가격이 저렴한 이유로 폴리에필렌 필름을 서로 용융접착(thermal lamination)시켜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가열과 가압이 필요하고 공정시간이 길며 특히 접착의 불량이 많다. 또한, 높은 수압에 견딜만큼 접착력이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에 코로나(corona) 방전처리 후 열접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처리시 고분자 표면에 많은 손상을 주어 접착력의 증대에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법들로는 아크릴산 플라즈마 고분자를 입히거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화학처리하거나, 반데르 그라프 발생기(Van der Graaff generator)나 활성화된 헬륨 등으로 조사(照射)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들도 역시 공정이 복잡하거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노력한 결과, 먼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에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온건에 주입하여 에너지를 갖는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수지 표면에 조사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수지 표면에불어넣어 주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을 개질화한 후 여기에 접착제를 접착한 결과 단시간내에 접착가능하고 접착력이 향상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단시간내에 접착가능하고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척력 증대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관 2 : 시료
3 : 이온건 4 : 불활성 또는 반응성 기쳬 주입관
5 : 반응성 기체 주입관 6 : 진공펌프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에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온건에 주입하여 0.5~2.5keV의 에너지를 가진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수지의 표면에 조사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불어넣어 주고 여기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온빔을 조사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온건에 주입하여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수지 표면에 조사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에 불어넣어 수지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접착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온빔 조사는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조(1) 내에서 이루어지는 바, 먼저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료(2)를 이온건(3)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진공조 외부의 불활성 기체 주입관(4)을 통해 불활성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한다. 이때, 기체를 이온건(1)에 주입하고 에너지 0.5~2.5keV의 이온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이온 생성에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로는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및 제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성 기체로는 질소, 산소 및 공기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온생성시 에너지가 0.5keV 미만이면 처리효과가 적은 문제가 있고, 2.5keV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건은 그 직경이 5㎝정도인 것이다.
이와같이 이온을 생성하여 시료(2)에 이온빔을 조사하면 고분자 표면으로 입사되는 이온의 에너지는 고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간의 화학결합력에 비하여 상당히 높기 때문에 고분자 사슬과 충돌시 결합을 절단하고 불안정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조사되는 이온의 양은 1×1013~1×1017 이온/㎠인 바, 만일, 시료의 표면에 조사되는 이온의 양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효과가 없거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온빔을 조사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진공조의 상부에 위치한 반응성 기체 주입관(5)을 통해 시료(2)의 표면에 불어넣는다. 이때, 사용되는 반응성 기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 주입양은 1~6 ㎖/분이다. 만일, 주입되는 반응성 기체의 양이 1㎖/분 미만시에는 처리효과가 적으며, 6㎖/분을 초과하는 경우 진공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와같은 반응성 기체를 이온빔을 조사하면서 시료의 표면에 불어넣어주면 이온빔의 조사로 인하여 고분자 시료의 표면에 생성된 자유리디칼들이 반응성 기체와 반응하여 극성 작용기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접착력은 고분자 사슬을 형성하고 있는 작용기 성분 및 표면의 구조형체에 의하여 결정된다. 아미노, 에테르, 카르보닐, 카르복시, 수산기 등의 극성작용기로 구성된 고분자는 표면장력이나 젖음성이 높아 접착력이 크나, 탄화수소와 같은 비극성 작용기로 이루어진 고분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장력, 젖음성 및 접착력을 갖게된다. 또한 표면이 거칠어질수록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접착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응성 기체 환경에서의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의 이온빔 조사에 의하여 비극성 작용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에 극성작용기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게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반응성 기체 또는 불활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의 이온빔을 이용하여 수지의 표면을 개질화한 후 여기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바, 접착제로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포함하여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면 표면개질화된 수지와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수지자체의 인장강도에 비하여 커져서 강력한 접착력으로 단시간내에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농업용 호스의 재료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두께 : 0.2 ㎜)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2.5 × 7 ㎠)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60 ℃의 건조기 속에서 10분동안 건조한 후 이온빔으로 조사되어졌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의 이온빔 처리는 대략 2 × 10-4 토르(torr)의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조 속에서 5㎝ 직경의 이온건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이온빔을 생성하기위해 아르곤 가스(순도 99.9%)를3㎖/min의 주입속도로 이온건으로 주입하고 에너지를 1keV, 밀도를 30 ㎂/㎠로 고정시켰다. 한편, 아르곤 이온으로 시료를 조사하면서 산소가스(순도 99.9%)를 시료의 표면주위로 주입관을 통해 6 ㎖/min 불어넣어 주었고 이온 조사량 1 × 104 이온/㎠다.
시료의 에폭시에 대한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해 처리된 시료 각각의 동일한 면적(2.5 × 2.5 ㎠)의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바른 후, 100 ℃ 오븐에 10분간 경화시켜 서로 접착시켰다. 접착력 측정은 인장강도 시험기를 사용해 40㎜/min의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로 양쪽 끝에서 당겨 이루어졌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1~8]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이온빔 에너지, 이온빔에 사용된 기체의 종류, 이온의 조사량, 반응성 기체, 반응성 기체 주입량을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접착력을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폴리올레핀의 표면을 개질한 후 접착제로 접착시킬 경우, 접착불량을 제거, 상온에서의 접착가능, 빠른 생산속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고분자 또는 금속, 세라믹과 직접 또는 접착제로 접착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에 불활성 기체 또는 반응성 기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온건에 주입하여 0.5~2.5 keV의 에너지를 가진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수지의 표면에 조사하면서 반응성 기체를 불어넣어 주고 여기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로는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및 제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기체로는 질소, 산소 및 공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빔의 조사량은 1 × 1013~1 × 1017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기체의 주입량은 1~6㎖/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026A 1996-07-11 1996-07-11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KR017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026A KR0170601B1 (ko) 1996-07-11 1996-07-11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026A KR0170601B1 (ko) 1996-07-11 1996-07-11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406A true KR980009406A (ko) 1998-04-30
KR0170601B1 KR0170601B1 (ko) 1999-03-20

Family

ID=1946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026A KR0170601B1 (ko) 1996-07-11 1996-07-11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46B1 (ko) * 2003-08-20 200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온 빔 조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46B1 (ko) * 2003-08-20 200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온 빔 조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0601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3060A (en) Surface modification of fluoropolymers by reactive gas plasmas
US5069926A (en) Method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a polymer article
Comyn et al. Plasma-treatment of polyetheretherketone (PEEK) for adhesive bonding
JP3213005B2 (ja) ポリマー、金属またはセラミックの表面改質
Yanling et al. Non-thermal plasma assisted polymer surface modification and synthesis: A review
Petasch et al. Improvement of the adhesion of low-energy polymers by a short-time plasma treatment
US82470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l functionalization of polymer materials
Ibrahim et al.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for the deposition of organic plasma polymer coatings for biomedical application
Deshmukh et al. Surface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films modified by gaseous plasma
Blais et al. Effects of corona treatment on composite formation. Adhesion between incompatible polymers
Lee et al. Plasma modification of polyolefin surfaces
JPH05504991A (ja) 重合体状材料からなる支持体に接着させる酸化珪素の薄層を沈着させる方法
Cho et al. Improvement of paint adhesion to a polypropylene bumper by plasma treatment
KR980009406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접착력 증대방법
CA2374031C (en) Functionalised solid surfaces
Yu et al. Surface passivation of epoxy resin with a covalently adhered poly (tetrafluoroethylene) layer
EP0423499B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surface of articles of polymeric material and articles obtained thereby
Zhang et al. Adhesion improvement of a poly (tetrafluoroethylene)-copper laminate by thermal graft copolymerization
Sant'Ana et al. Surface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PET treated by 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for food packaging
US5059447A (en) Method for the acitivation of a surface of a shaped body formed of a synthetic organic polymer
Morra et al. Adhesion improvement by UV grafting onto polyolefin surfaces
Tang et al. Preparation of thermo-sensitive poly (N-isopropylacrylamide) film using KHz alternating current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Narushima et al. Possibility of solid-state graft copolymerization on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lms by plasma irradiation and effects of surface modification
KR100385486B1 (ko) 고분자의 발수막 코팅을 위한 표면 개질 방법
JPH02123140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の表面改質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