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083A - 터미널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 - Google Patents

터미널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083A
KR980009083A KR1019970034939A KR19970034939A KR980009083A KR 980009083 A KR980009083 A KR 980009083A KR 1019970034939 A KR1019970034939 A KR 1019970034939A KR 19970034939 A KR19970034939 A KR 19970034939A KR 980009083 A KR980009083 A KR 98000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elevator
car frame
cap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무엘 시 완
프레드릭 에이취 바커
브루스 에이 포웰
폴 베넷
안토니 코니
리챠드 챨스 매커시
죠셉 비타
죤 케이 살몬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캄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캄파니
Publication of KR98000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083A/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캡(A - C)은 이중 덱크 카 프레임(41-43)의 상부 덱크에서 세개 이상의 연속성으로 중첩되는 승강 통로(38-40)를 통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덱크(또는 그 역)에서 승강 통로를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덱크 사이에 절환으로 캡은 셔틀의 터미널 단부에 보조 엘리베이터(50, 51) 내로 승강 통로로 부터 하차(offload) 시키고 그리고 보조 엘리베이터에 의해 다른 덱크에 인접되게 이동되어 대향 방향으로의 트립을 위해 그위에 적재된다. 제2 실시예는 승객의 탑승 및 하차 동작이 승강 통로에 캡의 이동을 지연하지 않도록 추가적인 보조 엘리베이터(64, 65)와 추가적인 캡(D, E)을 가진다.

Description

터미널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두개 보조 엘리베이터와 세개 메인 승강 통로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셔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입면도.
제11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두개 보조 엘리베이터와 네개 메인 승강 통로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셔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입면도.
제21도 내지 제30도는 셔틀의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서의 두개 보조 엘리베이터와 네개 메인 승강 통로를 구비하여, 보조 승강 통로 내의 이동으로 메인 승강 통로가 지연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셔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입면도.
제31도는 카 프레임과 수평적 캡 모션 수단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절취 도시한 측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8 : 하부 승강통로 39 : 중간 승강통로
40 : 상부 승강통로 41 - 43 : 카 프레임
44, 45 : 덱크 50, 51 : 보조 엘리베이터
52 : 그라운드 터미널 레벨 53 : 스카이 터미널 레벨
54, 55 : 랜딩부 56 : 제1 전달 레벨
57 : 제2 전달 레벨 64, 65 : 추가 보조 엘리베이터
66, 67 : 랜딩부 70 : 메인 랙
71 : 슬라이딩 랙 72, 73 : 덱크 플랫폼
75 : 피니언 79, 80 : 보조 피니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분야]
본 발명은 세개 이상의 중첩하는 연속성 엘리베이터 샤프트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셔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각각은 대응 승강 통로의 단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중 덱크 카 프레임을 가지고, 터미널 레벨에 도착하는 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덱크 사이에서 캡을 전달 하는데 터미널 레벨에 보조 엘리베이터를 활용하며, 엘리베이터 캡은 대부분의 시간에서 각각의 승강 통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을 하는 캡을 가지도록 다양한 카 프레임 사이에 전달되어 지는 것이다.
[배경 기술]
빌딩의 상부 층을 이용하는 모든 탑승객은 빌딩의 하부 층을 통해 상방향으로 이동해야함으로, 고층 빌딩은 유효한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본원에서는 빌딩의 "코어"로 참고됨)를 필요로 한다.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64,703 호는, 중첩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셔틀을 개시하고 있고, 그 각각은 그안에 이중 덱크 카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일 방향(상, 하)으로 이동하는 캡은 일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로 부터 다른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로 전달되고, 동시적으/로 다른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로 부터 일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로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캡을 전달한다. 그런데, 여기에 오직 두개만의 중첩 승강 통로가 있다면 모든 시간에서 각각의 승강 통로에서 움직이는 캡용으로 제공되고 반면에, 상기 시스템에서 일 시간에 세개 이상의 승강 통로에서 움직이는 캡을 가지기는 불가능한 것이다. 상기 출원 건의 3승강 통로 시스템에서, 3승강 통로의 최하부 또는 최상부 부분의 어느 하나는 캡을 기다리는 빈 카 프레임을 가지게 된다. 즉, 3승강 통로의 오직 두개만이 임의적으로 주어진 시간에 탑승객을 운반하게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승강 통로의 대부분 시간에서 이동하는 캡을 가진, 세개 이상의 중첩하는 연속성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고, 승강 통로는 엘리베이터 캡이 그 사이로 전달되는 이중 덱크 카 프레임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모든 엘리베이터 캡 이동은 지속적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에서 이중 덱크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 위를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모든 엘리베이터 캡 이동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또는 역) 위를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터미널 레벨(그라운드 레벨과 스카이 레벨과 같음)에서, 엘리베이터 캡은 이중 덱크 카 프레임 으로 부터 제거되고, 탑승객의 유입이 허락되고, 엘리베이터 캡은 카 프레임의 다른 덱크에 재적재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일 엘리베이터 캡이 셔틀의 메인 승강 통로의 터미널 레벨로 또는 레벨로 부터의 이동으로, 다른 엘리베이터 캡은 터미널 레벨에 두개의 보조 엘리베이터의 하나에서 상방향으로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두개의 캡은 메인 승강 통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이 터미널 레벨에 도달하는 각각의 시간에 대체로 동시적으로 교체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이 그 안에서 이동가능한 이중 덱크 카 프레임을 가진 세개 이상의 중첩하는 연속성 승강 통로를 가진 셔틀 엘리베이터는, 터미널에 도달하는 카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덱크 사이에 캡을 교체하도록 셔틀의 말단부(터미널 레벨)에 보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 단일 보조 엘리베이터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 두개의 보조 엘리베이터가 있어, 메인 셔틀 승강 통로 내에 이동은 메인 승강 통로 외측 캡의 이동으로 지연되지 않는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적한 모드 제1도는 세개의 엘리베이터 캡(A-C)이 그 사이에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연속적이고 서로 중첩된 하부 승강 통로(38)와, 중간 승강 통로(39)와 상부 승강 통로(4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셔틀(37)을 도시한 도면이다. 승강 통로(38-40)의 각각은 대응하는 승강 통로의 단부 사이에서 수직적으로 이동가능한 이중 덱크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41-43)을 가진다. 각각의 카 프레임(41-43)은 상부 덱크(44)과 하부 덱크(45)를 가진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캡은 하부 덱크(45)위에 상방향으로 운반되고 각각의 순간에서 상부 덱크(44) 위에 하방향으로 운반 된다. 물론, 본 발명은 본 발명과 무관한 하부 덱크 위에 하방향으로의 운반 동작과 상부 덱크 위에 상방향으로 운반 동작하는 모든 카를 가지고 균등하게 작업하는 것이다.
일 덱크 위에 일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덱크 위에 다른 방향으로 균일하게 캡이 운반되도록, 보조 엘리베이터(50, 51)는 그라운드 터미널 레벨(52)과 스카이 터미널 레벨(53)에 제공된다. 이들 레벨의 각각은 상부 및 하부 랜딩부(54, 55)를 가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캡(B)은 보조 엘리베이터(50)으로 부터 프레임(41)의 카 하부 덱크로 좌측으로 바로 이동되어져 있고; 카 프레임(43)은 그 하부 덱크에 캡(A)을 가진 스카이 레벨(53)에 바로 도착되고; 카 프레임(42)은 그 상부 덱크 내에 캡(C)을 가진 중간 승강 통로(39) 내의 하부에 있게된다. 다음, 도 2 에서, 카 프레임(41)은, 카 프레임(42)이 제1 전달 레벨(56)에 카 프레임(41)에 인접한 중간 승강 통로(39)의 바닥부에 도달시 하부 승강 통로(38)의 정상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일 시간 기간 동안에, 캡(A)은 카 프레임(43)의 하부 덱크로 부터 상부 보조 엘리베이터(51)로 우측으로 이동되고, 도어가 열려 캡(A)으로 부터 탑승객이 나가게 한다. 또한 이러한 동일 시간 동안에 보조 엘리베이터(50)는 하부 랜딩부(55)로 부터 그라운드 레벨(52)의 상부 랜딩부(54)로의 상승된 카 프레임을 가진다.
제3도에서, 다음에 캡(C, B)이 교체되는 일이 발생되고, 캡(A)은 하부 랜딩부로 부터 상부 레벨의 상부 랜딩부로 상승되고, 탑승객이 캡(A)에 유입되게 한다. 하부 레벨에서 탑승객이 유입되게 하여 시간이 절약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탑승객은 캡 내측부에서의 출발동작 및 정지동작이 최소한의 이동을 가져야 한다고 믿게된다. 필요에 따라, 캡은 본 발명과는 무관한 하부 레벨 또는 상부 레벨 어느하나에서 유출 및 유입 모두를 탑승객에게 허용한다.
다음, 제4도에 도시된 바로서, 캡(C)은 카 프레임(41)의 상부 덱크에서 하향 트립을 만들고; 캡(B)은 카 프레임(42)의 하부 덱크에서 중간 승강 통로(39)를 통해 상향 트립을 시작하고; 캡(A)은 카 프레임(43)의 상부 덱크 내로 상부 보조 엘리베이터(51)로 부터 좌측으로 이동된다. 제5도에서, 카 프레임(43)은 카 프레임(42)에 인접하여 제2 전달 레벨(57)에서 그 샤프트의 하단부에 도달되어 지고; 캡(C)은 카 프레임(41)로 부터 하부 보조 엘리베이터(50) 내로 우측으로 이동되고, 탑승객은 캡을 빠져 나온다. 도6에서, 캡(A, B)은 전달 레벨(57)에서 교체되고, 캡(C)은 하부 랜딩부 까지 보조 엘리베이터(50) 내에서 하향 이동하여, 탑승객은 캡(C)에 들어온다. 제7도에서, 상황은 여러 점(spot)에서의 다른 캡을 가진것을 제외하고는 도1에서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러한 진행은 제8도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어진다.
제1도 내지 제10도는 동일한 시간에서 카 프레임(41, 43)의 하나는 그 승강 통로의 전체 길이를 이동하고 카 프레임(42)은 그 승강 통로를 따라 오직 하프 웨이(halfway)만을 움직이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만일 하나가 카 프레임(41, 42)(도 2)이 동시적으로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도착되고 그리고 그런 후에 동시적으로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승강 통로(42, 43)가 도착 되어짐을 갖고 반면에 동시적으로 터미널 레벨(그라운드 및 스카이)에 캡이 메인 승강 통로 카 프레임(41 또는 43)을 나와야만 하고, 보조 엘리베이터(50 또는 51)에 적재되고 그런 후 보조 엘리베이터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고, 또한 승객이 타고 내리게 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카 프레임(41, 43)용 전달 레벨로 후퇴하는 전달 레벨(56 또는 57)로 부터의 라운드 트립 시간은 그 승강 통로(38, 40) 내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횡단하는 시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실질적으로 카 프레임(41, 43)이 터미널 레벨(그라운드 또는 스카이)에 서있는 시간의 량은 본 발명이 활용하고 있는 방식에 따르면 60 - 100초 정도가 될 것이다. 따라서, 중간 카 프레임(39)은 보다 긴 승강 통로(39)에서 또는 보다 느린 속도의 어느 하나로 운영 될 것이다.
제11도 내지 제20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세개 승강 통로 보다 많이 가진 셔틀 시스템에서는 타이밍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는, 셔틀 시스템(59)이 이중 덱크 카 프레임(61)을 가진 부가적인 매개 승강 통로(60)를 따르는 하부, 중간 및 상부 승강 통로(38-40)를 구비한다. 예를들면, 만일 캡(A, B)이 이들 개별적인 승강 통로를 따르는 하프 웨이를 대신하여 도 14 의 병렬로 전해지면, 다음에 캡(A, B)이 도 16 보다는 도 15 로 교체되어진다. 그리고 캡(A, B)은 이들을 도 16 의 상향 및 하향 트립으로 만들지만, 캡(D, C)은 도 18 까지 그와 같이 교체용으로 활용할 수가 없다. 이러한 사실이 중간 승강 통로(39, 60)의 임의적인 횡단을 위해 필요하지 않은 셔틀의 터미널 레벨(52, 53)에서 요구되는 시간의 길이를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제21도 내지 제30도의 실시예는 그안에 이중 덱크 카 프레임(61)을 가진 부가적인 매체 승강 통로(60)를 가진 셔틀 시스템(59a)을 나타낸 것이다. 그라운드 레벨(52)과 스카이 레벨(53)은 각각 상부와 하부 랜딩부(66, 67) 사이를 횡단하는 추가적인 보조 엘리베이터(64, 65)를 가진다. 도 21, 25, 및 29 에 특히 도시된 바로서, 엘리베이터 캡은 이들이 중앙 전달 레벨(68)에 매개(medium) 카 프레임(61)과 중간 카 프레임(42) 사이에 있음으로서 터미널 레벨(52, 53)에 동일한 시간 프레임에서 교체된다. 따라서, 승강 통로(38a, 39, 60, 40a)의 각각에서의 운영 시간은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동작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캡은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65,658 호에 개시된 타입일 수 있는 캡/카 록크로 운반되는 카 프레임에 다운 록크될 것이다. 카 프레임이 터미널 레벨 또는 전달 레벨의 어느 하나에 있으면, 각각의 카 프레임은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65,648 호에 개시된 타입일 수 있는 카/플로어(floor) 록크로 빌딩에 록크될 것이다. 그리고, 캡 전달 모두를 콘트롤하는 것은 상술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64,703 호와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64,534 호 및 제08/565,606 호에 개시된 기본원리를 활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보조 엘리베이터(50, 51)와 카 프레임(41, 45) 사이와 같은 카 프레임(41-43) 사이에 캡을 전달하는 최선의 모드에는, 도 2 와 관련되고 도 31 에서 간략하게 기술된 1995년 11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64,704 호에 개시된 타입의 수평적 모티브 수단(horizontal motive means)이 있다.
제31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외방향으로 활주하는 슬라이딩 랙(71)과 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도 31 에서 우측 대 좌측) 연장하는 고정된 메인 랙(70)을 가진 캡(B)의 바닥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카 프레임(41, 42)이 각각의 하부 덱크 플랫폼(72, 73) 위에(도 31 에서는 도시 않은 각각의 상부 덱크 플랫폼 위와 같은) 총 4개 모터 작동 피니언이 있다. 먼저, 보조 모터 작동 피니언(75)이 시계 방향으로 전환되어 도시된 위치내로 캡 밑으로 부터 벗어나 슬라이딩 보조 랙(71)을 구동하고, 여기서 랙(71)의 활주를 한정하는 플랫폼 위에 보조 모터 작동 피니언(76)과 결합된다. 다음에, 보조 모터 작동 피니언(76)은, 메인 랙(70)의 단부(77)가 도 31 에서 보조 모터 작동 피니언(76) 바로 뒤에 놓이는 메인 모터 작동 피니언(도시 않음)과 결합하는 시간 까지, 도 3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74) 위에 우측으로 (새롭게 그 한도가 연장된) 보조 랙(71)과 그에따른 전체 캡(B)을 당기어 시계 방향으로 전환된다. 다음에, 메인 모터 작동 피니언은 메인 랙(70)으로 플랫폼에 완전하게 전체 캡(B)을 당기고, 그렇 해서 스프링은 슬라이딩 보조 랙(71)이 캡(B) 밑에서 철회되게 한다. 보조 모터 작동 피니언(79)은 카 프레임(43)으로의 우측으로의 캡(B)의 이동을 어시스트 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피니언(76)과 유사한 보조 피니언(80)은 임의적인 필요시 카 프레임으로 부터 도 31 에 도시된 캡의 좌측으로 캡이 이동하는 것을 어시스트 할 수 있다.
좌측으로 부터 우측으로의 이동은 카 프레임(41, 43)과 보조 엘리베이터(50, 51) 사이에 그리고 상부 덱크 위에서만 발생한다. 동일한 하부 덱크(42, 41) 사이에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기술하였다. 플랫폼(73)으로 부터 플랫폼(72)으로 돌아오면, 보조 피니언(76)은 그 좌측 단부(81)가 보조 피니언(75)과 결합할 때 까지 좌측으로 외방향으로 슬라이딩 보조 랙(71)이 이동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한다. 다음에, 보조 피니언(75)은, 메인 랙의 좌측 단부(82)가, 프레임(72) 위에 완전하게 있을 때 까지 전체 캡(B)을 좌측으로 당기는, 보조 모터 작동 피니언(75) 뒤에 위치된 메인 모터 작동 피니언(도시 않음)과 결합할 때 까지 좌측으로 전체 캡(B)과 보조 랙(71)을 당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그 위에 가진 것으로 본원에 실시예의 각각에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스테그진 그룹으로 작업하는 것이고 여기서 양수 샤프트는 음수 샤프트와 동일한 측에 모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0 에서 우측에 랜딩부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좌측으로도 동일하게 양호하게 있을 수 있고 또는 하부 랜딩부는 본발명을 변경하지 않고 일측에 상부 랜딩부는 다른측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빌딩의 제1레벨과 상기 제1레벨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진 빌딩의 제2레벨 사이에 운송을 제공하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세개의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와, 각각이 승강 통로의 대응 승강 통로의 최상부 단부와 최하부 단부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승강 통로의 각각에 있는 메인 이중 덱크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과, 각각이 덱크을 가진 카 프레임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레벨의 각각에 보조 엘리베이터와, 인접한 일 승강 통로의 메인 카 프레임 사이에 그리고 최상부 및 최하부 승강 통로의 메인 카 프레임과 보조 카 프레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캡과, 임의적인 일 덱크와 그에 인접한 덱크 사이에서 캡을 이동시키기 위한 카 프레임의 각각 위에 배치된 수단을 포함하며; 최하부 승강 통로를 제외한 각각의 승강 통로의 최하부 단부는 다른 승강 통로의 최상부 단부와 중첩하고, 최상부 승강 통로를 제외한 승강 통로의 각각의 최상부 단부는 다른 일 승강 통로의 최하부 단부와 중첩하고, 각각의 승강 통로는 그와 중첩하는 다른 일 승강 통로와 연속성이 있고, 상기 최하부 승강 통로의 최하부 단부는 빌딩의 일 터미널 레벨에 있고 상기 승강 통로의 최상부 승강 통로의 최상부 단부는 빌딩의 다른 터미널 레벨에 있고; 한 쌍의 랜딩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각각의 카 프레임은 상기 카 프레임 위에 덱크의 상호 분리로서 동일한 상호 분리부를 가지고, 대응 랜딩부의 하나에서 보조 카 프레임의 각각은 상관 메인 카 프레임이 그 승강 통로의 대응 단부에 있을때 상관 메인 카 프레임의 덱크의 하나와 인접한 덱크를 가지고, 다른 대응 랜딩부에 있을때 보조 카 프레임의 각각은 상관 메인 카 프레임이 그 승강 통로의 대응 단부에 있을때 상관 메인 카 프레임의 다른 덱크에 인접한 덱크를 가지고; 상기 캡의 수는 보조 카 프레임의 각각 용의 일 엘리베이터 캡과 최하부 승강 통로와 최상부 승강 통로를 제외한 승강 통로의 각각 용의 일 엘리베이터 캡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관 승강 통로의 한측부 위에 한개와 그리고 상관 승강 통로의 대향측부 위에 한개로, 상기 제1 및 제2 레벨의 각각에 한 쌍의 보조 엘리베이터와; 추가적인 쌍으로된 캡을 포함하고; 인접한 덱크와 상기 덱크의 임의적인 어느 한개와의 사이에서 캡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레벨의 한 곳에 일 보조 카 프레임으로 부터 인접한 메인 카 프레임으로 그리고 인접한 메인 카 프레임으로 부터 상기 레벨의 한 곳에 다른 보조 카 프레임으로 대체로 동시적으로 캡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
  3. 제1레벨과 상기 제1레벨로 부터 수직적으로 원격진 빌딩의 제2레벨과의 사이에 운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개의 중첩 연속성 승강 통로의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한개 내에서 각각이 이동성이 있는, 연속적인 세개 이상의 이중 덱크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에서 제1레벨로 부터 제2레벨로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2레벨에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로 부터 보조 엘리베이터 내로 캡을 이동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레벨에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에 인접한 위치 까지 보조 엘리베이터 내의 캡을 상승 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조 엘리베이터로 부터 상기 제2레벨에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 내로 캡을 이동 시키는 단계 및; 연속적인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에서 제2레벨로 부터 제1레벨로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레벨에 제2보조 엘리베이터 내로 제1레벨에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로 부터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 시키는 단계와; 제1 레벨에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에 인접한 위치로 제2 보조 엘리베이터 내의 캡을 하강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레벨에서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 내로 제2 보조 엘리베이터로 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에서의 제1 단계는, 빌딩의 상부 레벨로 빌딩의 하부 레벨로 부터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승강 통로의 각각의 하나이고, 동시적으로 적어도 세개의 엘리베이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에 제2레벨로 제1레벨로 부터 제2엘리베이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1명칭 보조 엘리베이터에 대향 위치한 제2레벨에서 상기 승강 통로의 한측에 배치된 추가적인 보조 엘리베이터 내로 상기 제2레벨에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로 부터 상기 제2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레벨에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에 인접한 위치 까지 추가적인 보조 엘리베이터 내의 캡을 상승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레벨에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 내로 추가적인 보조 엘리베이터로 부터 캡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연속적인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 내의 제1레벨로 상기 제2레벨로 부터 제2캡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에 다른 보조 엘리베이터 내로 상기 제1레벨에 카 프레임의 상부 덱크로 부터 제2 캡을 이동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레벨에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에 인접한 위치로 다른 보조 엘리베이터 내의 제2캡을 하강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레벨에 카 프레임의 하부 덱크 내로 다른 보조 엘리베이터로 부터 제2캡을 이동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4939A 1996-07-25 1997-07-25 터미널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 KR9800090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69296A 1996-07-25 1996-07-25
US081686,992 1996-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083A true KR980009083A (ko) 1998-04-30

Family

ID=6604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939A KR980009083A (ko) 1996-07-25 1997-07-25 터미널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0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8055B (zh) 智能多轿厢电梯系统
US1939729A (en) Elevator system
US5758748A (en)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US7537089B2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dividually movable elevator ca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CN109422161B (zh) 一种智能多轿厢电梯
AU735064B2 (en)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US5924524A (en) Integrated, multi-level elevator shuttle
US5752585A (en) Elevator shuttle with auxiliary elevators at terminals
US5660249A (en) Elevator cabs transferred horizontally between double deck elevators
CN112888647A (zh) 具有第一部分电梯系统和第二部分电梯系统的电梯系统
KR19980063701A (ko) 엔 캡, 2엔 랜딩, 및 3엔 덱크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시스템
KR980009083A (ko) 터미널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
US5749441A (en) Extra deck elevator shuttle
AU701646B2 (en) Elevator shuttle employing horizontally transferred cab
JP7249529B1 (ja) 移動システム
JP7277411B2 (ja) 搭乗橋
KR19980032716A (ko) 일방적 오프 샤프트 로딩을 갖는 엘리베이터 셔틀
KR19980063784A (ko) 승객용 셔틀 엘리베이터로 화물을 이동시키는 방법 및 그시스템
JPH0710415A (ja) エレベータ
GB2175575A (en) Multilevel storehouse
JPH06144745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H063403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4003438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KR19980032594A (ko) 운영 모드사이를 변경하는 다수 덱크 엘리베이터 셔틀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87232A (ja) ロープ無し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