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956A -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 Google Patents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956A
KR980008956A KR1019960030338A KR19960030338A KR980008956A KR 980008956 A KR980008956 A KR 980008956A KR 1019960030338 A KR1019960030338 A KR 1019960030338A KR 19960030338 A KR19960030338 A KR 19960030338A KR 980008956 A KR980008956 A KR 980008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hub
vehicle
fram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기동
Original Assignee
강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동 filed Critical 강기동
Priority to KR101996003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956A/en
Publication of KR98000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956A/en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차량의 회전시에도 회전하지 않으며, 각종 계기판과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는 허브를 구비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가 개시된다. 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고정되는 조향 컬럼, 조향 컬럼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 핸들, 조향 핸들 내측에 위치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허브를 구비한다. 허브 내에는 에어백 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허브 상에는 각종 계기판과 각종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의 회전시에도 허브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회전시에도 각종 계기판을 판독함은 물론 각종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고, 허브 내에 장착된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시에도 운전자의 룸밀러 등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Disclosed is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vehicle is rotating, and has a hub in which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switches are installed. A steering column fixed to the frame, a steering handle rotatably engaged with the fram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teering column, and a hub positioned inside the steering handle and fixed to the frame. An airbag module can be installed in the hub, and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switches can be installed on the hub. Since the hub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vehicle is rotating, it is possible to read various instrument boards as well as various switch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irbag mounted in the hub can prevent the driver from colliding with the room mirror or the like .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 장치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본 발명의 차량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 등이 장착되는 허브를 조향 핸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separating a hub on which an airbag or the like is mounted from a steering wheel.

차량의 조향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차량의 전행 방향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운전자는 조향 장치의 조향 핸들(조향 휠 : STEERING WHEEL)을 이용하여 차량이 진행하는 차선을 변경하거나 차량을 좌·우회전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향 핸들은 운전자가 손으로 파악하고 차량의 방향을 조작하는 림, 그리고 상기 림과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리브가 가해지는 회전 운동을 조향 칼럼에 전달하는 허브로 구성된다. 상기 조향 장치에는 전조등 스위치, 윈도우 와이퍼 스위치, 그리고 에어백 등이 장착된다.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is a device used when the driver rotates the vehicle in a desired direction or chang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driver can use the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of the steering unit to change the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or turn the vehicle left or right. Generally, the steering wheel is composed of a rim that the driver grasps by hand and manipulates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hub that is connected to the rim and transmits rotational motion to the steering column by the driver. The steering apparatus is equipped with a headlight switch, a window wiper switch, and an airbag.

제1도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평6-49485호에 개시되는 종래의 조향 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평6049485호에 개시된 종래의 차량용 조향 장치(10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향 핸들(10), 상기 조향 핸들(10)가 연결되는 스티어링 칼럼(20)을 구비한다. 상기 조향 핸들(10)은 상기 스티어링 칼럼(20)의 조향축(30)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칼럼(20)은 조향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조향 핸들(10)과 상기 조향축(30) 사이에는 콤비 스위치(40)이 개재된다. 상기 콤비 스위치(40)는 방향 지시등, 전조등, 비상등, 그리고 윈도우 와이퍼 스위치 등이 부착된다.FIG. 1 shows a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6-49485. As shown in the drawings, a conventional steering system 100 for a vehicle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049485 includes a steering handle 10 operated by a driver, a steering column 20 to which the steering handle 10 is connected, Respectively. The steering wheel 10 is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30 of the steering column 20 and the steering column 20 is connected to a steering gear (not shown). A combination switch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ering wheel (10) and the steering shaft (30). The combination switch 40 is attached with a turn signal lamp, a headlight, an emergency light, and a window wiper switch.

제2도는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평6049485호에 개시된 상기 차량용 조향 장치(100)의 케이블 릴(50)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콤비 스위치(40)와 상기 조향 핸들(10) 사이에는 케이블 릴(50)이 개재된다. 상기 케이블 릴(50)은 상기 스티어링 칼럼(20)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52), 상기 상부 케이스(52)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54),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52, 54) 내부에 장착되는 로터(56), 그리고 일단이 상기 로터(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케이스(52)에 전기적으로 연걸되는 케이블(58)을 구비한다. 상기 조향 핸들(10)에 의해 상기 조향축(30)이 회전하면, 상기 로터(56)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58)은 상기 로터(56)에 감기거나 느슨하게 되도록 장착한다.2 shows a cable reel 50 of the steering system 100 for a vehicle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049485. As shown in the figure, a cable reel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mbi-switch 40 and the steering handle 10. The cable reel 50 includes an upper case 52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20, a lower case 54 coupled with the upper case 52, And a cable 58 whose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tor 56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case 52. When the steering shaft 30 is rotated by the steering handle 10, the rotor 56 is rotated together and the cable 58 is mounted on the rotor 56 so as to be wound or loosened.

또한, 일본국 특허 공보 평6-98915호에는 다른 형태의 차량의 조향 장치를 개시한다. 일본국 특허 공보 평6-98915호의 조향 장치는 전기 접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 접점 스위치는 조향 핸들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접점 부재, 그리고 상기 조향축(30)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고정된 상기 콤비 스위치(4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접점 부재와 습접 하는 대향접점 링을 구비한다.Furth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6-98915 discloses a steering apparatus for other types of vehicles. The steering apparatus of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6-98915 has an electrical contact switch (not shown). The electric contact switch includes a rotary contact memb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handle and an opposite contac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mbination switch 40 fixed to the bracket for supporting the steering shaft 30, Ring.

상기 조향 핸들(10)의 허브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 혼 스위치, 리모트 콘트롤 스위치 등이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SDV, 및/또는 보디 와이어링 하니스(HARNESS)와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조향 핸들(10)의 상기 허브(12) 내에는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가 내장되며, 차체에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주행 중 충돌할 경우, 상기 충격 감지센서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면, ECU(ELECTROLIC CONTROL UNIT)는 에어백 전개신호를 상기 콤비 스위치(40) 또는 전기 접점 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인플레이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게 되고 운전자는 차량의 충돌로부터 부상을 피하게 된다.An airbag module mounted on a hub of the steering handle 10, a horn switch, a remote control switch,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an SDV and / or a body wiring harness provided in a vehicle body (not shown). Furthermore, an inflator for deploying the airbag is built in the hub 12 of the steering handle 10, and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collision of the vehicl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When the impact detection sensor senses an impac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quipped with such an apparatus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 ECU (Electronically Control Unit) transmits an airbag deployment signal via the combination switch (40) or the electrical contact switch By transmitting to the inflator, the airbag is deployed and the driver avoids injury from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존의 조향 장치는 허브에 구성된 에어백 모듈, 혼 스위치 및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등을 차체에 구성된 SDV나 보디 와이어링 하니스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조향 핸들(10)과 콤비 스위치(40) 사이에 케이블 릴(50)이나 전기 접점 스위치를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케이블 릴(50)이나 전기 접점 스위치는 조향 핸들(10)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며, 조향 핸들(10)의 고장 발생시 정비 및 보수가 곤란하였다. 특히 상기 조향 핸들(10)의 상기 허브(12) 상에 다양한 기능의 각종 스위치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 케이블 릴(50)의 케이블(58)이나 전기 접점 스위치는 케이블(58)의 권선수나 전기 접점 스위치의 접점 단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제한을 받게 되며, 조향 장치의 조립성이 저하되어 전체적으로 차량의 생산성이 악화되고, 결국 차량의 가격이 상승되는 원인이 된다.The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teering wheel 10 and a combination switch 4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airbag module, a horn switch, a remote control switch, and the like configured in the hub to an SDV or a body- A cable reel (50) or an electrical contact switch is to be provided between the two.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reel 50 and the electrical contact switch complicate the structure of the steering handle 10,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the steering handle 10 when a failure occurs. The cable 58 of the cable reel 50 and the electrical contact switch are connected to the cable 58 by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cable 58, As the number of contact terminals of the switch increases, it is subjected to a lot of restrictions, and the assemblability of the steering device is deteriorated, so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vehicle as a whole deteriorates, and as a result, the cost of the vehicle increases.

또한, 종래의 차량의 조향 장치에 따르면, 조향 핸들(10)은 운전자가 손으로 파악하고 차량의 방향을 조작하는 림, 그리고 상기 림과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림에 가해지는 회전 운동을 조향 칼럼에 전달하는 상기 허브, 그리고 상기 림과 상기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를 구비하며 일체로 제작된다. 즉, 조향 핸들(10)의 상기 림과 상기 허브(12)는 분리할 수 없으며, 따라서, 운전자가 조향 핸들(10)을 회전시키면 허브(12)는 조향핸들(10)과 함께 회전된다. 조향핸들(10)이 회전하면 상기 허브(12)가 차량의 각종 계기판, 예를 들면, 속도계, 유량계, RPM 미터, 그리고 온도계 등을 가리게 되며, 운전자는 차량의 회전시 각종 계기판을 판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허브 상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다.(제7도 참조)Further, according to 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the steering handle 10 includes a rim that the driver grasps by hand and manipulates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rotary motion connected to the rim and applied to the rim by the driver, And a spoke connecting the rim and the hub, and is integrally manufactured. That is, the rim of the steering wheel 10 and the hub 12 are inseparable, so that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10, the hub 1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teering wheel 10. When the steering wheel 10 is rotated, the hub 12 covers various instrument panels of the vehicle such as a speedometer, a flow meter, an RPM meter, a thermometer, etc., and the driver can not read various instrument panels In addition, various switches installed on the hub can not be operated (see FIG. 7).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향 장치, 구체적으로 말하면 조향 핸들(10)의 허브(12) 내에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이 장착된다. 차량이 충돌하는 형태는 전면으로 충동하는 정면 충돌, 그리고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측면 충돌 등이 있다. 전면 충돌의 경우, 차량의 충돌에 의해 운전자는 차량의 조향 핸들을 향하여 돌진하고 허브 내에 장착된 에어백이 전개됨으로써 운전자를 보호한다. 그러나, 측면 충돌의 경우, 운전자는 조향 핸들이 아닌 차량 내부의 전면 윈도우 중앙에 위치한 룸미러, 또는 좌측 후사경을 향하여 돌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도 에어백은 운전자를 보호할 수 없다.(제3도 내지 제6도 참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백 좌우측을 돌출시킨 에어백이 제시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specifically, the hub 12 of the steering wheel 10, is equipped with an airbag capable of protecting the dri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type of collision of the vehicle is a frontal collision impulsive to the front, and a side collision occurring on the side of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a collision of the vehicle causes the driver to rush against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protect the driver by deploying the airbag mounted within the hub. However, in the case of a side collision, the driver rushes toward the room mirro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window inside the vehicle, not the steering wheel, or toward the left rearview mirror. In this case, the airbag can not protect the driver even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see FIGS. 3 to 6). To solve such a problem, an airbag protrud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bag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는 조향 핸들이 회전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양측(좌우측)을 돌출시킨다 해도 운전자가 룸미러나 후사경을 향하여 돌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곤란하다.(제7도 참조)However, since the steering wheel is in a rotated state at the time of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river from rushing toward the room mirror or rearview mirror even if both sides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bag are protruded. See also)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적 연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많은 기능 스위치 및 각종 계기 장치를 허브 상에 장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며, 조향 핸들의 회전시에도 허브가 회전하지 않으며, 에어백이 장착되며, 차량의 회전 및 방향 변경 조작시에도 허브 상에 장착된 각종 조작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apparatus that can mount a large number of function switches and various instrument devices on a hub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assemble and repai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operating various operation switches mounted on a hub even when an airbag is mount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구멍이 형성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구멍에 장착되며 각종 계기판 및 각종 조작 스위치가 내장되는 허브; 상기 허브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 핸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구멍에 장착되는 조향 칼럼; 그리고 상기 조향 칼럼과 상기 조향 핸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칼럼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comprising: a frame fix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rib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holes; A hub mounted in the first hole of the frame and having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incorporated therein; A steering handle rotatably mounted outside the hub; And a steering column mounted to the second hole of the frame;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provided between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handl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handle to the steering column.

상기 조향 핸들은 운전자의 손에 의해 파악되는 제1림, 원추 형상을 갖는 제2림, 상기 제1 및 제2림을 연결하는 스포크, 그리고 상기 제2림 중심 하부에 형성되며 외측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중공축에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된다.The steering wheel includes a first rim that is grasped by a driver's hand, a second rim that has a conical shape, a spoke that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rims, and a spline formed outside the second rim center And is integrally formed.

상기 허브는 속도계, 유량계, RPM 미터, 방향 지시등 스위치, 오디오 리모트 스위치, 그리고 에어백 모듈 등이 설치된다. 상기 허브는 상기 조향 핸들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구멍에 장착된다. 상기 허브는 에어백 모듈이 장착되며 원추 형상을 갖는 케이스, 각종 계기판 및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의상면에 결합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케이스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 상기 각종 계기판, 그리고 상기 각종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며 상기 허브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구멍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구를 구비한다. 상기 허브는 상기 조향 핸들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구가 상기 조향 핸들의 중공축을 경유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구멍을 관통하며 너트 등에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다. 따라서, 조향 핸들이 회전할지라도 상기 허브는 회전하지 않는다.The hub includes a speedometer, a flow meter, an RPM meter, a turn signal switch, an audio remote switch, and an airbag module. The hub is located inside the steering handle and mounted in the second hole of the frame. The hub includes a case having a cone shape,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switches,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an airbag module,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switches And a fastener for passing through various electric cabl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ub to the second hole of the frame. The hub is located inside the steering handle and the fastener passes through the second hole of the frame via the hollow shaft of the steering handle and is mounted to the frame on a nut or the like. Therefore, even if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 hub does not rotate.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조향 핸들의 중공축에 축삽되는 제1풀리, 상기 조향 컬럼의 상기 조향축에 축삽되는 제2풀리, 그리고 상기 제1풀리의 동력을 상기 제2풀리에 전달하는 벨트를 구비한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first pulley that is shunted to the hollow shaft of the steering handle, a second pulley that is shunted to the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column, and a belt that transmits power of the first pulley to the second pulley do.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 핸들이 회전할 때에도 각종 계기판 등이 설치된 허브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거나 회전시킬 때에도 각종 계기판을 판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 hub provided with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the like is not rot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read various instrument boards when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rotate the vehicle, .

또한, 상기 허브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조향 핸들이 회전하고 차량이 측면으로 충돌하는 경우에도 상기 허브 내에 장착된 에어백에 의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는 조향 핸들과 허브가 분리되며, 각종 전기적 연결 장치가 단순하여 이의 정비 및 보수가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hub does not ro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y by the airbag mounted in the hub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and the vehicle collides laterally. In addition, the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ering handle and a hub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various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are simple and easy to maintain and repair.

제1도는 종래의 차량의 조향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제2도는 제1도의 조향 장치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ble reel used in the steering apparatus of FIG. 1; FIG.

제3도는 차량의 우측면 충동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right side impulse of the vehicle.

제4도는 제3도의 충돌시 종래의 조향 장치에 장착된 에어백의 전개되는 형태 및 운전자의 충돌 방향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ployed configuration of the airbag mounted on the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and the direction of collision of the driver in the collision of FIG. 3;

제5도는 차량의 좌측면 층돌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eft side floor stone of a vehicle. FIG.

제6도는 제5도의 충돌시 종래의 조향 장치에 장착된 에어백의 전개되는 형태 및 운전자의 충돌 방향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ployed form of the airbag mounted on the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collision in the collision of FIG. 5;

제7도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차량의 측면 충돌시 종래의 조향 장치에 장착된 에어백이 전개되는 형태 및 조향 핸들이 회전된 상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bag mounted on a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is deployed and a steering wheel is rotated in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shown in FIG. 3 to FIG. 6;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차량의 조향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with the steering apparatus shown in FIG.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차량의 조향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with the steering apparatus shown in FIG. 10 being engaged.

제12도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측면 충돌하였을 때의 에어백이 전개된 형태, 허브의 회전되지 않은 형태, 그리고 조향 핸들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airbag deployed whe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to FIG. 10 collides with the side, the unrotated configuration of the hub,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제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20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200 of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200)는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구멍(214, 216)을 구비하는 리브(212)를 구비하는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1구멍(214)에 장착되며 각종 계기판 및 각종 조작 스위치가 내장되는 허브(220), 그리고 상기 허브(220)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 핸들(240),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2구멍(216)에 장착되는 조향 컬럼(23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eering apparatus 2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es 214 and 216 which are fix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 hub 220 mounted on the first hole 214 of the frame 210 and equipped with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and a hub 220 And a steering column 230 mounted on the second hole 216 of the frame 210. The steering column 2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210,

상기 프레임(210)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212) 상의 상기 제2구멍(216)에는 상기 조향 컬럼(230)이 삽입된다. 상기 조향 컬럼(230)과 상기 제2구멍(216) 사이에는 제2베어링(232)이 개재되며 상기 조향 컬럼(230)은 제2너트(234)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한다.The frame 21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teering colum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216 on the rib 212. A second bearing 232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ering column 230 and the second hole 216 and the steering column 230 is fixed to the frame 210 by a second nut 234.

상기 허브(220)는 속도계, 유량계, RPM 미터 등의 각종 계기판(224), 방향 지시등 스위치(222), 전조등 스위치, 오디오 리모트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226), 그리고 에어백 모듈(228) 등이 설치된다. 상기 허브(220)는 상기 에어백 모듈(228)이 설치되는 케이스(221), 상기 각종 계기판(224) 및 각종 스위치(226)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21)에 결합되는 커버(223), 그리고 상기 케이스(221)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허브(220)를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1구멍(214)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부(225)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225)는 중공의 보스로 형성되며 외측 일단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각종 계기판(224), 상기 각종 스위치(226), 그리고 상기 에어백 모듈(22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종 케이블(227)은 상기 체결부(225)를 관통한다.The hub 220 is provided with various instrument panels 224 such as a speedometer, a flow meter and an RPM meter, a turn signal switch 222, various switches 226 such as a headlight switch and an audio remote switch, and an airbag module 228 do. The hub 220 includes a case 221 on which the airbag module 228 is installed, a cover 223 on which the various instrument panels 224 and various switches 226 are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case 221, And a fastening part 22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221 for fastening the hub 220 to the first hole 214 of the frame 210. The fastening portion 225 is formed of a hollow boss, and a screw is formed at an outer end thereof. The various instrument panels 224, the various switches 226 and various cables 22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irbag module 228 pass through the coupling part 225.

상기 허브(220)는 상기 체결부(225) 외측에는 제1베어링(252)이 삽입되며, 상기 제1베어링(252)가 외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214)에 장착된다. 상기 제1구멍(214)에 삽입된 상기 허브(220)는 제1너트(252)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된다.The first bearing 252 is inserted into the hub 220 and the first bearing 252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214 in a state where the first bearing 252 is extruded. The hub 220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214 is fixed to the frame 210 by a first nut 252.

상기 허브(220) 외측에는 상기 조향 핸들(24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조향 핸들(240)은 운전자의 손에 의해 파악되는 제1림(242), 원추 형상을 갖는 제2림(244), 상기 제1 및 제2림(242, 244)을 연결하는 스포크(246), 그리고 상기 제2림(244) 중심 하부에 형성되며 외측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중공축(248)을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조향 핸들(240)의 상기 중공축(248)은 상기 허브(220)의 상기 체결부(225)에 외삽되는 상기 제1베어링(252)에 회전가능하게 외삽된다.The steering handle 2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ub 220. The steering wheel 240 includes a first rim 242 grasped by the driver's hand, a second rim 244 having a conical shape, spokes 246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ims 242, 244 And a hollow shaft 248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second rim 244 and forming a spline on the outer side thereof.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handle 240 is rotatably extrapolated to the first bearing 252 that is extrapolated to the fastening portion 225 of the hub 220.

상기 조향 컬럼(230)과 상기 조향 핸들(240) 사이에는 상기 조향 핸들(240)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칼럼(2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유니트(25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 전달 유니트(250)는 상기 조향 핸들(250)의 상기 중공축(248)에 결합되는 제1풀리(254), 상기 조향축(232)에 결합되는 제2풀리(256), 그리고 상기 제1풀리(254)의 회전력을 상기 제2풀리(256)에 전달하는 벨트(258)를 구비한다.A power transmission unit 250 is provided between the steering column 230 and the steering wheel 24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240 to the steering column 23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50 includes a first pulley 254 coupled to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handle 250, a second pulley 256 coupled to the steering shaft 232, And a belt 258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ulley 254 to the second pulley 256.

상기 제1풀리(254)는 상기 조향 핸들(240)의 상기 중공축(248)에 외삽되며 상기 중공축(248)의 하단에는 제3베어링(253)이 결합되어 상기 제1풀리(254)가 상기 중공축(248)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풀리(256)는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2구멍(216)에 결합되는 상기 조향축(232)에 외삽되고, 상기 조향축(232)의 단부, 즉 상기 제2풀리(256) 위에는 제2너트(234)가 결합되어 상기 제2풀리(256)가 상기 조향축(232)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벨트(258)는 상기 제1풀리(254)와 상기 제2풀리(256)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풀리(254)의 회전력,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상기 조향 핸들(240)의 회전력을 상기 제2풀리(256), 즉 상기 조향 칼럼(230)의 상기 조향축(232)에 전달한다. (제9도 참조) 상기 벨트(258)는 타이밍 벨트로서 상기 조향 핸들(240)의 회전 방향이 변경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백래쉬를 방지한다.The first pulley 254 is extruded into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handle 240 and a third bearing 25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low shaft 248 to connect the first pulley 254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hollow shaft 248. The second pulley 256 is extrapolated to the steering shaft 232 coupled to the second hole 216 of the frame 21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teering shaft 232, A second nut 234 is coupled to prevent the second pulley 256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steering shaft 232. The belt 258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ulley 254 and the second pulley 256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ulley 254, 2 pulley 256, i.e., the steering shaft 232 of the steering column 230. [ 9). The belt 258 prevents backlash that may occur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eering handle 240 is changed as a timing belt.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유니트(250)는 상기 제1 및 제2풀리(254, 256) 대신에 스프라켓을 이용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258) 대신에 체인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50 may use a sprocket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254 and 256, and a chain instead of the timing belt 25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apparatus 2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운전자에 의해 조향 핸들(240)이 회전하면, 상기 조향 핸들(240)의 상기 중공축(248)에 결합된 제1풀리(254)가 회전한다. 제1풀리(254)가 회전하면 제1풀리(254)에 연결된 벨트(258)는 제2풀리(256)를 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조향 컬럼(230)의 조향축(232)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향축(232)에 연결된 조향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차량이 회전 또는 진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조향 핸들(240)이 회전할지라도 상기 조향 핸들(240)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된 허브(220)는 회전하지 않는다.First, when the steering wheel 240 is rotated by the driver, the first pulley 254 coupled to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wheel 240 rotates. When the first pulley 254 rotates, the belt 258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54 rotates the second pulley 256, so that the steering shaft 232 of the steering column 230 rotates, A steering gearbox (not shown)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232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However, even if the steering wheel 240 rotates, the hub 220 located inside the steering wheel 240 and fixed to the frame 210 does not rotate.

따라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회전된 상태, 즉 차량의 조향 핸들(240)이 회전한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될 때, 상기 허브(22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허브(220)내에 장착되는 에어백(228)이 전개되어 차량의 충돌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향 핸들(240)의 회전시에도 상기 허브(220)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허브(220) 상에 설치된 각종 계기판(224)의 판독, 그리고 상기 각종 스위치(226)를 조작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vehicle is rotated, that is, when a collision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240 of the vehicle is rotated, the hub 220 does not rotate, The airbag 228 mounted in the vehicle can be deployed to safely protect the driver from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hub 220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240 rotates, it is possible to read various instrument panels 224 installed on the hub 220 and to operate the various switches 226.

실시예 2Example 2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30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3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200)의 조향 핸들(240), 허브(220), 그리고 조향 컬럼(210)이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차량의 조향 장치(200)와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300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ring apparatus 300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wheel 240 of a steering apparatus 200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ub 220, and a steering column 210 ) Are the same, so that only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steering apparatus 200 of the vehicl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300)는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구멍(214, 216)을 구비하는 리브(212)를 구비하는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1구멍(214)에 장착되며 각종 계기판 및 각종 조작 스위치가 내장되는 허브(220), 그리고 상기 허브(220)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 핸들(240),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2구멍(216)에 장착되는 조향 컬럼(23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teering apparatus 3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es 214 and 216 which are fix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 hub 220 mounted on the first hole 214 of the frame 210 and equipped with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and a hub 220 And a steering column 230 mounted on the second hole 216 of the frame 210. The steering column 2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210,

상기 프레임(210)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212) 상의 상기 제1 및 제2구멍(214, 216) 사이에는 아이들 축(218)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212) 상의 상기 제2구멍(216)에는 상기 조향 컬럼(230)이 삽입된다. 상기 조향 컬럼(230)과 상기 제2구멍(216) 사이에는 제2베어링(253)이 개재되며 상기 조향 컬럼(230)은 제2너트(234)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된다.The frame 2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idle shaft 218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les 214 and 216 on the rib 212. The steering colum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216 on the rib 212. A second bearing 253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ering column 230 and the second hole 216 and the steering column 230 is fixed to the frame 210 by a second nut 234.

상기 조향 컬럼(230)과 상기 조향 핸들(240) 사이에는 상기 조향 핸들(240)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컬럼(2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유니트(26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 전달 유니트(260)는 상기 조향 핸들(240)의 상기 중공축(248)에 결합되는 제1기어(262), 상기 조향축(232)에 결합되는 제2기어(264), 그리고 상기 아이들축(218)에 결합되는 아이들 기어(266)를 구비한다.A power transmission unit 260 is provided between the steering column 230 and the steering wheel 24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240 to the steering column 23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60 includes a first gear 262 coupled to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wheel 240, a second gear 264 coupled to the steering shaft 232, And an idle gear 266 coupled to shaft 218.

상기 제1기어(262)는 상기 조향 핸들(240)의 상기 중공축(248)에 외삽되며 상기 중공측(248)의 하단에는 제3베어링(253)이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262)가 상기 중공축(248)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기어(264)는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제2구멍(216)에 결합되는 상기 조향축(232)에 외삽되고, 상기 조향축(232)의 단부, 즉 상기 제2기어(264) 위에는 제2너트(234)가 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264)가 상기 조향축(232)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아이들 기어(266)는 상기 제1기어(262)와 상기 제2기어(264)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1기어(262)의 회전력, 보다 졍확하게 말하면 상기 조향 핸들(240)의 회전력을 상기 제2기어(264), 즉 상기 조향 컬럼(240)의 상기 조향축(232)에 전달한다. (제11도 참조) 상기 아이들 기어(266)는 상기 제1기어(262)의 회전 방향을 바꾸게 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266)에 의해 상기 제2기어(264)는 상기 제1기어(26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first gear 262 is extruded into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handle 240 and the third bearing 25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low side 248,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hollow shaft 248. The second gear 264 is extrapolated to the steering shaft 232 coupled to the second hole 216 of the fram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eering shaft 232, A second nut 234 is coupled to prevent the second gear 264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steering shaft 232. The idle gear 266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62 and the second gear 264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gear 262 and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240, 2 gear 264, that is, to the steering shaft 232 of the steering column 240. The idle gear 266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irst gear 262 and the idle gear 266 causes the second gear 264 to rotate about the first gear 262, As shown in Fi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apparatus 3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운전자에 의해 조향 핸들(240)이 회전하면, 상기 조향 핸들(240)의 상기 중공축(248)에 결합된 제1기어(262)가 회전하면 상기 제1기어(262)와 맞물려있는 아이들 기어(266)는 상기 제1기어(262)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아이들 기어(266)와 맞물려 있는 제2기어(264)는 상기 아이들 기어(266)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국 제1기어(262)의 회전 방향, 즉 조향 핸들(240)의 회전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기어(26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기어(264)가 결합된 조향축(232)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향축(232)에 연결된 조향 기어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차량이 회전 또는 진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조향 핸들(240)이 회전할지라도 상기 조향 핸들(240)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된 허브(220)는 회전하지 않는다.First, when the steering wheel 240 is rotated by the driver, when the first gear 262 coupled to the hollow shaft 248 of the steering wheel 240 rotates, the first gear 262 And the gear 266 rotat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ear 262.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264 engaged with the idle gear 266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dle gear 266,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gear 262, that i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240 In the same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264 rotates the steering shaft 232 to which the second gear 264 is coupled so that the vehicle is rotated by the steering gear box (not shown)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232 Or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However, even if the steering wheel 240 rotates, the hub 220 located inside the steering wheel 240 and fixed to the frame 210 does not rotate.

따라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회전된 상태, 즉 차량의 조향 핸들(240)이 회전한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될 때, 상기 허브(22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허브(220)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228)이 전개되어 차량의 충돌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향 핸들(240)의 회전시에도 상기 허브(220)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허브(220) 상에 설치된 각종 계기판(224)의 판독, 그리고 상기 각종 스위치(226)를 조작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vehicle is rotated, that is, when a collision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240 of the vehicle is rotated, the hub 220 does not rotate, The airbag 228 mounted in the vehicle can be deployed to safely protect the driver from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hub 220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240 rotates, it is possible to read various instrument panels 224 installed on the hub 220 and to operate the various switches 226.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 장치는 허브 상에 에어백 모듈, 각종 계기판, 그리고 각종 조작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고장시 보수 및 수리가 용이하고, 상기 에어백 모듈, 각종 계기판, 그리고 각종 조작 스위치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an airbag module,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on a hub. It is easy to perform maintenance and repair in case of failure,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evice for connecting the airbag module,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회전시 즉 조향 핸들의 회전시에도 상기 허브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조향 핸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허브 상의 각종 계기판을 판독하거나 각종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ub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vehicle is rotating, that is,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various instrument panels on the hub can be read or various switches can be operated while rotating the steering wheel.

나아가, 상기 허브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상기 조향 핸들이 회전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할지라도 운전자의 전면을 향하여 전개되기 때문에 차량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룸미러나 리어 미러(후사경)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전자의 충돌을 방지하고자 설계된 에어백 모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airbag mounted in the hub is deployed toward the front of the driver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teering wheel rotated. Therefore, the airbag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driver's room mirror or the rear mirror (rearview mirror) And an airbag module designed to prevent such a driver collision can be efficiently us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 RTI ID = 0.0 >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9)

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각종 계기판 및 각종 조작 스위치가 내장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외삽되는 조향 핸들;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컬럼; 그리고 상기 조향 컬럼과 상기 조향 핸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컬럼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A frame fixed to the vehicle body; A hub fixed to the frame and incorporating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A steering handle rotatably extrapolating to the hub; A steering column fixed to the frame and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power transmit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handle and mounted on the frame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handle to the steering colum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리브는 상기 허브가 고정되는 제1구멍, 그리고 상기 조향 컬럼이 고정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2. 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bs of the frame are formed with a first hole through which the hub is fixed, and a second hole through which the steering column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에어백이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각종 계기판 및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케이스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종 계기판 및 상기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ub comprises: A case in which the airbag is installed; A cover provided with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switches and coupled to the case;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wherein the various instrument panels and various cabl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witches penetrate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핸들은; 운전자의 손에 의해 파악되는 제1림; 원추 형상을 갖는 제2림; 상기 제1 및 제2림을 연결하는 스포크; 그리고 상기 제2림 하부에 형성되는 중공축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축은 외측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ering handle comprises: A first rim that is grasped by the driver ' s hand; A second rim having a conical shape; A spoke connecting said first and second rims; And a hollow shaf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im, wherein the hollow shaft is formed with a spline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is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조향 핸들에 외삽되는 제1풀리; 상기 조향 컬럼에 외삽되는 제1풀리; 그리고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제1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2풀리에 전달하는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comprises: A first pulley extruded into the steering handle; A first pulley extruded into the steering column; And a belt for connecting the first pulley to the second pulley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ulley to the second pulle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The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elt is a timing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조향 핸들에 외삽되는 제1스프라켓; 상기 조향 컬럼에 외삽되는 제2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제1스프라의 회전력을 상기 제2스프라켓에 전달하는 체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comprises: A first sprocket extruded into the steering handle; A second sprocket extruded into the steering column; And a chain 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procket to the second spr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 사이에 아이들 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2. 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n idle shaft between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조향 핸들에 외삽되는 제1기어; 상기 아이들 축에 회전가능하게 외삽되며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 그리고 상기 조향 컬럼에 외삽되어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comprises: A first gear extruded into the steering handle; An idle gear rotatably extruded on the idle shaft and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that is extrapolat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meshes with the idle gear.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30338A 1996-07-25 1996-07-25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KR9800089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338A KR980008956A (en) 1996-07-25 1996-07-25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338A KR980008956A (en) 1996-07-25 1996-07-25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956A true KR980008956A (en) 1998-04-30

Family

ID=6624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338A KR980008956A (en) 1996-07-25 1996-07-25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95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133B1 (en) * 2002-11-1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ba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KR100844660B1 (en) * 2006-12-13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for automobile
KR100980928B1 (en) * 2007-12-15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atic airbag steering column device in vehicle
US11407436B2 (en) 2019-03-04 2022-08-09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fixed cen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133B1 (en) * 2002-11-1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ba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KR100844660B1 (en) * 2006-12-13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for automobile
KR100980928B1 (en) * 2007-12-15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atic airbag steering column device in vehicle
US11407436B2 (en) 2019-03-04 2022-08-09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fixed ce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912A (en) Steering wheel
JPS638070A (en) Steering handle device for car
JP3393762B2 (en) In-vehicle rotary connector
KR980008956A (en) Steering devices for automobiles
JP2716335B2 (en) Abnormal alarm device for automobile tire with remote control device
KR970040790A (en) Handle with centralized control panel
WO2003097415A1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out a contact coil
EP0890486B1 (en) Rotary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KR102601024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KR100613553B1 (en) Exterior mirror with puddle lamp and turn signal lamp
US7255366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EP0756973B1 (en) Steering wheel assembly containing an air bag module
KR100993554B1 (en) Apparatus For Rear Guard Spare Tire Protection
KR102613408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JPH10100926A (en) Steering gear
JPH11329650A (en) Rotary connector
JPH05238341A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or for air bag device
JP2607501Y2 (en) Abnormal signal transmitter
KR200271315Y1 (en) Hazard switch for automotive
KR100206229B1 (en) Electromotive side step plate device of recreational vehicle
KR20010048737A (en) Steering wheel for an automobile
JP2554159Y2 (en) Steering wheel device
KR100494423B1 (en) Vehicle Combination Switch
KR200162213Y1 (en) Parking brake
KR0132821Y1 (en) Mounting structure of an airba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