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619A - Air mouth radial tire - Google Patents

Air mouth radial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619A
KR980008619A KR1019960026855A KR19960026855A KR980008619A KR 980008619 A KR980008619 A KR 980008619A KR 1019960026855 A KR1019960026855 A KR 1019960026855A KR 19960026855 A KR19960026855 A KR 19960026855A KR 980008619 A KR980008619 A KR 98000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wire
bead core
tire according
radial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48461B1 (en
Inventor
박종복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101996002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461B1/en
Publication of KR98000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46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4Bead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드코어의 비중을 낮출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연비도 절감시킬수 있도록 하고 타이어의 모든 성능을 균일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which can reduce the specific gravity of bead cores provided inside a bead portion, reduce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achieve uniform performance of all the tires.

종래에 있어서의 비드코어(6)는 배열되는 금속재질의 선재와이어(60)의 비중이 큼에 따라 비드부(4)의 중량이 무겁게 되어 연비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아울러 비드코어의 조인트 부위가 다른 여타부위의 강성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비드부의 무게균형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타이어의 각 성능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비드코어(6)를 형성시키는 와이어(60)를 중심에 중공부(61)를 보유하는 관재의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비드부(4)의 비중은 낮추면서도 그 강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비드부가 설치되는 본래의 목적은 충실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이어의 모든 성능을 균일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The conventional bead core 6 ha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bead portion 4 becomes heavy due to the large specific gravity of the wire rod 60 of the metal material to be arranged and the fuel consump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The weight of the bead is unbalanc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tire is not uni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60 forming the bead core 6 is centered By forming the bead portion 4 in the shape of a pipe holding the hollow portion 61,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ead portion 4 is reduced while its rigidity is not lowered so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the bead portion is faithfully performed, And to achieve uniform performance of all the tires.

Description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Air mouth radial tire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Figure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pneumatic tire.

제2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비드와이어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ad wire. FIG.

제3도는 (가)(나)본 발명의 요부인 비드와이어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 및 홈부 확대도.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wire of FIG.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비드와이어의 조인트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of a bead wir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3 : 트레드 4:비드부3: Tread 4: Bead portion

5:사이드월 6:비드코어5: Sidewall 6: Bead core

60:비드와이어 61:중공부60: bead wire 61: hollow

62:홈62: home

본 발명은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지지부인 비드부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드부의 내부에 배열되는 비드와이어의 형상을 개선시켜 비드부의 비중을 낮출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연비를 절감시키고 타이어의 모든 성능을 균일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radial tire for reducing the specific gravity of a bead portion which is a support portion of a tire, and in particular, by reduc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ead portion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bead wire arranged inside the bead portion, And to provide a pneumatic tire that allows uniform performance of all tires.

일반적으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비드부(4)는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3)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월(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비드부(4)는 림과 결합되어 타이어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중요부분으로 비드부(4)의 중심에는 다수의 와이어(60)가 권회되어 비드코어(6)를 형성시키고, 비드코어(6)의 주위를 경질의 고무와 합성 인장고무로 감싸 림의 플렌지 또는 공구의 삽입으로 인한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Generally, in the air-inlet radial tire, the bead portion 4 is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3, as shown in FIG. The bead portion 4 is an important portion which is coupled with the rim and maintains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ire. A plurality of wires 60 are wound around the center of the bead portion 4 to form a bead core 6, ) Is prevented from breaking of the tire due to the insertion of the flange or the tool wrapped around the rigid rubber and the synthetic tension rubber.

이와 같은 종래에 있어서의 비드코어 구조를 첨부된 도면 제 2 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bead cor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수의 선재(속이 꽉찬 봉형상)형상을 이루는 비드와이어(60)가 권회되어 비드코어(6)를 형성시키고 비드코어(6)의 조인트 부위는 다수의 선재 비드와이어(60)가 겹쳐서 오버랩 조인트(overlap joint)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종래에 있어서의 비드코어(6)는 배열되는 금속재질의 선재와이어(60)의 비중이 큼에 따라 비드코어(6)의 중량이 무겁게 되어 연비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아울러 비드코어(6)의 조인트 부위가 다른 여타부위의 강성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비드부(4)의 무게균형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타이어의 각 성능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A plurality of wire rods 60 are wound to form a bead core 6 and a joint portion of the bead core 6 is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wire bead wires 60 to form an overlap joint The conventional bead core 6 ha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bead core 6 becomes heavy a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ire rod 60 of the metal material arranged increases, And the joint portion of the bead core 6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igidity of the other portions so that the balance of the weight of the bead portion 4 is unbalanc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ire becomes uneven.

이에 본 발명은 비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드코어의 비중은 낮추면서도 그 강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비드부가 설치되는 본래의 목적은 충실하게 수행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타이어의 중량 감소화로 인한 차량의 연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비드코어의 무게균형을 이루어 타이어의 각 성능을 균일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ead core provided inside the bead portion and to reduce the rigidity thereof so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the bead portion can be faithfully performed while improving du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inlet / outlet radial tire which can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and balance the weight of the bead core to achieve uniform performance of the tir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드코어를 형성시키는 비드와이어의 형상을 개선시킨 것으로써, 비드부의 중심에 비드코어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비드코어를 형성하는 비드와이어의 중심에 중공부를 형성시켜 와이어가 관재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시킨 것에 특징을 둔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a bead wire for forming a bead core, wherein a bead cor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ead portion,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ead wire forming the bead core And the wire is formed so as to have a shape of a pipe,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드부(4)의 중심에 비드코어(6)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비드코어(6)를 형성시키는 비드와이어(60)의 중심에 중공부(61)를 형성시켜 비드와이어(60)가 관재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비드와이어(60)의 외경(d2)과 중공부(61)의 직경(d1)비율은 0.3보다는 크고 0.8보다는 작은 법위내에서 형성시킨다. 또한 이와같은 비드와이어(60)를 적어도 1개 이상을 설치시켜 비드코어(6)를 형성하며, 비드코어(60)의 조인트 방식은 맞댄이음(butt joint)방식으로 형성시켜 비드부(4)의 무게균형을 균등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조인트 되는 길이(L)는 L=d2(와이어)외경)/sina(조인트 되는 와이어 단부의 경사각)로 형성시키며, 와이어 단부의 경사각(a)은 15도 내지 60도의 범위내에서 형성시킨다.3, the bead core 6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ead portion 4, and a hollow portion (not show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ead wire 60 forming the bead core 6 The ratio of the outer diameter d2 of the bead wire 60 to the diameter d1 of the hollow portion 61 is greater than 0.3 and 0.8 Rather than within a small statut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ead wires 60 may be provided to form the bead core 6 and the bead core 60 may be formed in a butt joint manner to form the bead core 60, (The length L of the joint is formed to be L = d2 (wire) outer diameter) / sina (inclination angle of the end portion of the wire to be jointed), and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wire end portion is in a range of 15 to 60 Is formed within the range of.

그리고 비드와이어(60)의 외주연에 다수의 홈(62)을 형성시켜 비드코어(6)를 감싸는 고무와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와같은 홈(62)의 간격은 15도 내지 90도의 간격을 이루는 범위내에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62)은 V자의 형상을 이루게 하고 홈(62)의 폭(W)과 깊이(H)의 비율은 0.4보다는 크거나 같고 1.0보다는 작거나 같은 범위내에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grooves 62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ad wire 60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rubber surrounding the bead core 6. The spacing of the grooves 62 may be in the range of 15 to 90 degree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m within a range of spacing.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groove 62 has a V shape and the ratio of the width W of the groove 62 to the depth 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4 and less than or equal to 1.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비드코어(6)를 형성시키는 비드와이어(60)의 중심부위에 중공부(61)가 형성됨으로써, 와이어(60)의 단면적이 줄어들게되어 비드코어(6)의 비중을 줄일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비드부(4)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력에 대한 응력은 줄어들지 않아 비드부 본래의 목적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hollow portion 61 is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ad wire 60 forming the bead core 6 so that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wire 60 is reduced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ead core 6 is reduced The weight of the bead portion 4 can be reduced and the stress on the external force is not reduced, so that the objective of the bead portion can be faithfully performed.

이하 종래의 선재 비드와이어와 본 발명에 의한 관재 비드와이어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wire bead wire and a tube b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w:선재의 단면적 Ap:관재의 단면적Aw: sectional area of wire: Ap: sectional area of pipe

Μw:선재의 굽힘 모멘트 Μp:관재의 굽힘 모멘트Μw: Bending moment of wire rod Μp: Bending moment of pipe

σw:선재의 굽힘 응력 σp:관재의 굽힘 응력σw: Bending stress of wire rod σp: Bending stress of pipe

Ζw:선재의 단면 계수 Ζp:관재의 단면 계수Ζw: Section modulus of wire rod Ζp: Section modulus of pipe girder

d:선재와이어의 직경 d1:관재와이어의 중공부 직경d: Diameter of the wire rod d 1 : Hollow diameter of the tube wire

d2:관재와이어의 직경d 2 : Diameter of the tubular wire

굽힘 모멘트 Μ = σΖBending moment Μ = σΖ

여기서 선재와 관재의 재질이 같을 경우 σ(σw = σp)는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고, d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6mm을 사용 할 경우를 고려 한다면,Here, σ (σw = σp) is excluded from consideration when the materials of wire and tube are the same, and considering the case of using 6mm,

Μw = Ζw == 21.2058 이고,Mw = Zw = = 21.2058,

Μp = Ζp =(x = d1/d2 = 0.7의 관재일 경우)Mp = Zp = (in the case of a tube with x = d1 / d2 = 0.7)

= () = 21.2058 이 되어= ( ) = 21.2058

d = 6.00mm이면If d = 6.00 mm

d2 = 6.5751, d1 = 4.6025일 때, 굽힘 모멘트 Μ을 동일하게 받는 조건이 된다.When d2 = 6.5751 and d1 = 4.6025, the condition for receiving the bending moment M is the same.

따라서 동일한 굽힘 모멘트 Μ을 가지기 위한 각각의 단면적은Therefore, each cross-sectional area to have the same bending moment M

선재의 단면적 Aw == 28.2743이고,Aw = = 28.2743,

관재의 단면적 Ap =(d22-d12) =(6.57512-4.60252) = 17.3164 이다.Sectional area of the pipe material Ap = (d2 2 -d1 2 ) = (6.5751 2 -4.6025 2 ) = 17.3164.

그러므로 각 단면적의 비 == 0.6124이다.Therefore, the ratio of each cross- = 0.6124.

이것은 동일한 굽힘응력(Μ)을 견디기 위한 관재의 단면적(Ap)은 선재 단면적(Aw)의 약61.2%이므로 결과적으로 약 38.8% 가량의 단면적(=중량)을 줄일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cross-sectional area Ap of the pipe to withstand the same bending stress (M) is about 61.2% of the cross-sectional area Aw of the wire, resulting in a reduction of about 38.8% of the cross-sectional area (= weigh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비드코어의 비중은 낮추면서도 그 강성은 저하 되지 않도록 하여 비드코어가 가지는 본래의 목적은 충실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연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비드부의 무게 균형을 이루어 타이어의 각 성능을 균일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ead core is reduced while the rigidity thereof is not lowered, so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bead core is faithfully performed so that the weight of the tir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fuel consumption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also balancing the weight of the bead portion, thereby achieving the uniform performance of each tire.

Claims (8)

비드부(4)의 중심에 비드코어(6)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비드코어(6)를 형성시키는 비드와이어(60)의 중심에 중공부(61)를 형성시켜 비드와이어(60)가 관재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hollow portion 6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ead wire 60 for forming the bead core 6 so that the bead wire 6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ead core 60, Of the air inlet radial tires. 제1항에 있어서, 비드와이어(60)의 외경(d2)과 중공부(61)의 직경(d1)비율은 0.3보다는 크고 0.8보다는 작은 범위내에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임레디얼 타이어.The air im-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outer diameter (d2) of the bead wire (60) to the diameter (d1) of the hollow portion (61) is larger than 0.3 and smaller than 0.8. 제1항에 있어서, 비드와이어(60)의 외주연에 다수의 홈(62)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62) ar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bead wire (60). 제3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홈(62) 간격을 15도 내지 90도의 범위내에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62) are formed in a range of 15 degrees to 90 degrees.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62)은 V자의 형상을 이루게 하고, 홈(62)의 폭(W)과 깊이(H)의 비율은 0.4보다는 크거나 같고 1.0보다는 작거나 같은 범위내에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3 or 4, wherein the groove (62) has a V shape and the ratio of the width (W) to the depth (H) of the groove (6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4 and less than or equal to 1.0 Of the pneumatic tir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드와이어(60)로 비드코어(6)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a bead core (6) is formed by at least one bead wire (60). 제6항에 있어서, 비드코어(6)의 조인트 방식은 맞댄이음(butt joint)방식으로 형성시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7. 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joint method of the bead core (6) is formed in a butt joint manner. 제7항에 있어서, 비드코어가 조인트 되는 길이(L)는 L = d2/sina로 형성시키며, 와이어 단부의 경사각(a)은 15 내지 60도의 범위내에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air-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ength (L) in which the bead core is jointed is formed by L = d2 / sina and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wire end portion is formed within a range of 15 to 60 degrees. .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26855A 1996-07-03 1996-07-03 Pneumatic radial tire KR100248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855A KR100248461B1 (en) 1996-07-03 1996-07-03 Pneumatic radial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855A KR100248461B1 (en) 1996-07-03 1996-07-03 Pneumatic radial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19A true KR980008619A (en) 1998-04-30
KR100248461B1 KR100248461B1 (en) 2000-05-01

Family

ID=1946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855A KR100248461B1 (en) 1996-07-03 1996-07-03 Pneumatic radial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4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502B1 (en) * 2006-10-24 2007-12-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Tire installing bead wire for improving tire bead section
KR100899669B1 (en) 2007-11-23 2009-05-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Vehicle tire improved bead member
KR20170122036A (en) * 2016-04-26 2017-11-03 고려제강 주식회사 Wire Having Etching Gro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22037A (en) * 2016-04-26 2017-11-03 고려제강 주식회사 Stranded Wire Having Etching Gro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461B1 (en)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993A (en) Rim and assembly of tire and ring-shaped tread support on same
JP3464014B2 (en) Method of incorporating hydraulic sleeve into end member, and hydraulic device having hydraulic sleeve
US3741507A (en) Tire bead core ring
EP1088686A3 (en) Pneumatic tire
JPH07276534A (en) Tire with reinforced sidewall
JPH0399903A (en) Radial tire for heavy load
EP0897813A3 (en) Pneumatic tires and method of building the same
RU99111955A (en) VEHICLE WHEEL FOR VEHICLES
FI62492C (en) PNEUMATIC DAECK
EP1080950A3 (en) Pneumatic tyre
KR980008619A (en) Air mouth radial tire
CA1147248A (en) Reinforcement for tires produced by molding
US5538059A (en) Tire and tire rim assembly adapted to carry weights
JP3718305B2 (en) Radial tires for vehicles
EP1174289A3 (en) Pneumatic tire
JPH0764169B2 (en) Automotive pneumatic tires, metal bands for bead core packages and their bead core packages
DE69605578D1 (en) Tire bead
EP1066993A3 (en) Pneumatic tyre for 15-degree-taper rim
JPH08207519A (en) Bead core for pneumatic tire
JPH0769010A (en) Pneumatic tire
JP4467151B2 (en) Pneumatic tire
CN218718409U (en) Dust cover, shock absorber assembly and vehicle
JPH0672109A (en) Pneumatic tire
KR960008031Y1 (en) Improved bead structure for pneumatic radial tyre
JPH07276916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