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336U -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 Google Patents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336U
KR980008336U KR2019960020543U KR19960020543U KR980008336U KR 980008336 U KR980008336 U KR 980008336U KR 2019960020543 U KR2019960020543 U KR 2019960020543U KR 19960020543 U KR19960020543 U KR 19960020543U KR 980008336 U KR980008336 U KR 9800083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level bar
rod
slab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하
이형순
Original Assignee
이진하
이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하, 이형순 filed Critical 이진하
Priority to KR2019960020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336U/ko
Publication of KR980008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36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천장에 각종 구조물을 매달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입되는 인서트(insert)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인서트는 콘크리트 타설중에 암나사부에 콘크리트액이 불의하게 유입되고,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고유기능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철제로 된 몸체(11)의 저면에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못(12)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11) 저면 중앙부에 암나사부(13)가 형성된 공지의 인서트에 있어서, 상하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조절너트(19)가 체결된 레벨봉(16)을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봉(14)에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레벨봉(16)에 의하여 슬라브 두께를 육안으로 감지하며 작업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몸체(11)의 저면에 돌출턱(15)을 형성하여 슬라브 판넬(20)에 돌출턱(15)이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콘크리트액이 암나사부(13)에 불의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인서트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몸체 12 : 못 13 : 암나사부
14, 15 : 돌출턱 16 : 레벨봉 17 : 나사봉
18 : 탄성부 19 : 위치조절너트
본 고안은 건물천장에 각종 부속물을 매달기 위한 브라켓트 (bracket)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할 때에 일체로 매입하는 인서트(inser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인서트의 상부에 높낮이를 조절할 있는 레벨봉을 결합하므로서, 인서트의 고유기능뿐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두께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있도록한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배관이나 전선관 등의 구조물이 설치되는 공장이나 사무실을 건축할 때에, 상기 구조물을 천정에 시공하고 일정공간이 확보되게 하여 천정판을 부착하는 시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가 천정면에 부착되어야 하며, 상기 브라켓트를 천정면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할 때에 일체로 매입시키는 인서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인서트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철제로 된 몸체(31)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못(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1)의 하방 중앙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암나사부(33)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인서트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못(32)을 슬라브형틀에 박으므로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는 것이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몸체(32)를 일체로 매입시키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슬라브형틀을 제거하면, 몸체(32)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일체로 고정되고 암나사부(33)가 하방으로 노출되며, 암나사부(33)에 브라켓트 등을 결합하므로서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서트는, 저렴한 제조단가로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주철의 재질로서 주형작업에 의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몸체(31)의 저면을 매끈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어려웠다.
즉, 슬라브 형틀의 상면에 몸체(31)의 저면이 밀착되지 못하고 틈새가 발생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중에 틈새사이로 암나사부(33)에 콘크리트액이 유입되어 경화되므로서 체결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작은 양의 이물질이 유입되어도 암나사부(33)의 체결기능이 저하되므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체결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인력과 시간의 손실을 초래하였다.
또한, 슬라브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타설작업은 슬라브층의 두께가 소정의 차수로 설계되고, 이러한 설계된 치수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방법은 작업중에 타설도니 슬라브층의 두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별개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계속확인 하여야 하며, 특히 슬라브층의 테두리 부는 두께의 측정이 가능하나, 중앙부는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타설된 슬라브층의 평탄도가 양호하지 못하여 두께가 두꺼운 부위와 얇은 부위로 타설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슬라브형틀에 고정되는 몸체의 상부에 상하길이가 긴 레벨봉을 결합하므로서, 인서트의 고유기능 뿐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에 레벨봉에 의하여 육안으로 두께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서트의 저면에 돌출턱을 형성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시에 암나사부에 콘크리트가 불의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은, 주철제로된 몸체의 저면에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못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의 저면 중앙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공지의 인서트에 있어서, 상하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레벨봉을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봉에 결합하며, 상기 몸체 저면에 환형의 돌출턱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레벨봉은 나사봉과 탄성부로 분할구성하여서 나사봉에 위치조절너트를 체결하며, 탄성부를 몸체의 결합봉에 탄력있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철제로 된 원통형의 몸체(11)를 구성하여, 몸체(11)의 저면에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못(12)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11)의 저면 중앙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암나사부(13)를 형성하며, 몸체(11)의 상면 중앙부에 상부로 길게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결합봉(14)을 형성하며, 몸체(11)의 저면에 암나사부(13)를 따라 원형의 돌출턱(15)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하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벨봉(16)을 구성하여 상기 결합봉(14)에 레벨봉(16)의 하단부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벨봉(15)은 나사봉(17)와 탄성부(18)로 상하 각각 분할구성한다.
상기 나사봉(17)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의 강한 재질로 구성하고 외주면에 나사(17a)가 형성되고 위치식별 너트(19)를 나사(17a)에 체결하여 상하조절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탄성부(18)는 탄력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하며, 상단부를 상기 나사봉(17)의 하단부와 일체로 고정하고 하단부를 상기 결합봉(14)에 분해되도록 결합한다.
미설명부호 20은 슬라브형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인서트는, 레벨봉(16)이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11)를 슬라브 형틀(20)에 시공하는 것으로서, 못(12)을 이용하여 슬라브형틀(20)에 망치질하며, 이때, 결합봉(14)의 상단부를 망치로 타격하면 탄력이 중앙으로 집중되어 물질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1)가 슬라브형틀(20)에 못질이 완료되면 돌출턱(15)이 슬라브혀을(2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 액이 암나사부(1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몸체(11)는 슬라브형틀(2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시공되는 것으로서, 레벨봉(16)을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슬라브두께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하여는 시공된 몸체(11)중에서 필요한 위치마다 레벨봉(16)을 결합하는 것이다.
즉, 몸체(11)의 상부에 돌출된 결합봉(14)의 나사에 탄성부(18)의 하단부 내주면을 끼워 결합하면 몸체(11)의 상부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레벨봉(16)이 결합된다.
상기 레벨봉(16)이 몸체(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브의 두께, 즉 콘크리트를 타설한 두께에 따라 위치식별너트(19)를 나사봉(17)에 위치시켜 고정한 후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며, 이때 레미콘 등으로부터 콘크리트가 쏟아져 슬라브형틀(20)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레벨봉(16)에 충격이 가하여지면 탄성부(18)가 휘어지면서 충격이 완화되므로 레벨봉(16)이 파손되거나 몸체(11)로 부터 불의하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콘크리트 타설시에 작업자는, 레벨봉(16)에 정해진 위치로 고정된 위치식별너트(19) 직전까지 콘크리트를 주입시키며, 일정부위마다, 레벨봉(16)에 의하여 두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평탄도를 양호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다.
타설작업후, 일정시간 경과되어 콘크리트가 경화되며, 레벨봉(16)을 상부로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레벨봉(16)의 탄성부(18)가 몸체(11)의 결합봉(14)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브의 콘크리트 두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레벨봉(16)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면서 상부로 잡아당기면 나사결합되어 있는 탄성부(18)의 하단부가 결합봉(14)으로 부터 해체되므로 레벨봉(16)을 분리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슬라브형틀(20)을 제거하면, 몸체(11)가 콘크리트에 매입된 상태가 되면서 암나사부(13)가 하방으로 노출되므로 브라켓트 등을 암나사부(13)에 나사로 체결하여 공지의 방법으로서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는 인서트의 고유기능인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 뿐 아니라, 부가적 기능으로서 콘크리트의 타설두께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서트의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중에 암나사부에 불의하게 콘크리트액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11)의 저면에 못(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부에 암나사부(13)가 형성되고 공지의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돌출턱(15)을 형성하며, 위치조절너트(19)가 체결된 나사봉(17)과 탄성질의 재질로된 탄성부(18)를 상하로 고정하여서된 레벨봉(16)을 구성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봉(14)에 상기 레벨봉(16)의 탄성부(18)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인서트.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543U 1996-07-11 1996-07-11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KR9800083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543U KR980008336U (ko) 1996-07-11 1996-07-11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543U KR980008336U (ko) 1996-07-11 1996-07-11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36U true KR980008336U (ko) 1998-04-30

Family

ID=5397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543U KR980008336U (ko) 1996-07-11 1996-07-11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3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85B1 (ko)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미장용 레벨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85B1 (ko)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미장용 레벨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20080018978A (ko)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980008336U (ko) 레벨봉의 기능이 부가된 건축용 인서트
KR100221038B1 (ko)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455039Y1 (ko) 슬라브 매립용 앵커장치
KR200308686Y1 (ko)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KR102469147B1 (ko) 선설치 앵커볼트 제공을 위한 슬래브 인서트 고정구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JPH08333719A (ja) 壁高欄とその設置工法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JPH0430257Y2 (ko)
JPH0118731Y2 (ko)
KR200293886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354372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KR200364386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JPH0450325Y2 (ko)
KR200241832Y1 (ko) 구조물 공사용 거푸집 분리장치
KR970005529Y1 (ko) 단열재 고정클립
JPS5912327Y2 (ja) 建物用埋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