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372Y1 -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 Google Patents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372Y1
KR200354372Y1 KR20-2004-0009122U KR20040009122U KR200354372Y1 KR 200354372 Y1 KR200354372 Y1 KR 200354372Y1 KR 20040009122 U KR20040009122 U KR 20040009122U KR 200354372 Y1 KR200354372 Y1 KR 200354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hole
insert bracket
formwork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남
Original Assignee
박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남 filed Critical 박종남
Priority to KR20-2004-0009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에 마감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인서트 브라켓에 관한 기술로서, 천정 마감패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인서트 브라켓의 체결공 안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서 천정 마감패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인서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중앙부분에 너트가 내장 설치되고 그 상부에 철근이 놓이는 곡면형태의 헤드부가 형성되며 너트의 하부쪽에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못이 끼워져 거푸집 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기존의 인서트 브라켓에 있어서, 철근이 놓이는 헤드부의 상단에 교호되는 방향으로 양측에 안착홀이 연설되고, 너트의 하부쪽에서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부의 외경보다 큰 원형상의 지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부에 구멍이 형성된 실링패드를 부착시켜 체결공이 거푸집 위에 밀폐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a insert bracket for install the ceiling finish panel}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에 마감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인서트 브라켓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천정 마감패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인서트 브라켓의 체결공 안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서 천정 마감패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인서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및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는 전기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주고, 외관을 미려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내장재로서 마감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최근 천정 마감패널은 석고보드나 합판 및 밤나이트 등의 소재로 시공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시공작업에서 천정 슬래브층의 저면부에 다수의 인서트 브라켓을 매설 시공한 다음 상기 브라켓에 마감패널을 고정 설치하며, 이러한 마감패널의 설치 및 시공구조는 최근까지 여러방식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 천정 슬래브에 마감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인서트 브라켓은 건축물에서 천정 슬래브의 시공작업시 먼저 다수의 기둥에 지지되게 천정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거푸집 안에 철근을 결속시켜 설치하고, 거푸집과 철근 사이에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의 인서트 브라켓을 고정 설치한 다음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적정 두께로 타설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천정면을 지지하고 있는 기둥과 거푸집을 제거하여 천정 슬래브를 시공하며, 이때 인서트 브라켓은 콘크리트의 타설로 천정 슬래브의 저면부에 매설 시공된 상태에서 거푸집과 분리되고, 상기 인서트 브라켓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천정 마감패널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인서트 브라켓을 이용한 기존 천정 마감패널의 시공방식은 도면에 도시한 도 1과 같이 천정 슬래브(1)에 매설 시공된 인서트 브라켓(10)의 너트(11)에 소정길이의 고정볼트(20)가 체결되고, 고정볼트(20)에 체결볼트(31)가 형성된 고정부재(30)가 끼워져 장착되며, 고정부재(30)의 체결볼트(31)에 채널바(40)가 고정 설치되는 한편 채널바(40)에 마감패널(60)이 부착되는 패널고정바(50)가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기존 천정 슬래브에 매설 시공되는 인서트 브라켓(10)은 도면에 도시된 도 2와 도 3과 같이 중앙부분에 너트(11)가 내장 설치되고, 그 상부에 철근(2)이 놓이는 곡면형태의 헤드부(12)가 형성되며, 너트(11)에서 하부쪽에는 체결공(13a)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13)가 형성되는 한편 너트(11)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못(15)이 끼워져 거푸집(3) 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의 도 4 는 기존 인서트 브라켓(10)의 다른 실시예로 철근(2)의 시공과는 무관하게 철근(2)이 놓이는 헤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서, 이러한 인서트 브라켓(10)은 거푸집 위에 적당한 간격이 유지되게 격자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천정 슬래브층에 매설 시공된다.
이러한 구조의 기존 인서트 브라켓은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의 하단부와 거푸집의 표면이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와 이물질이 체결공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 시공되는 구조이나, 사실상 인서트브라켓과 거푸집과의 지지면적이 좁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체결공이 밀폐되게 설치되지 못하는 한편 지지면적이 협소함에 따라 약간의 충격이 가해지면 한쪽으로 기울어져 체결공의 하단부와 거푸집의 표면에 틈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에서 인서트 브라켓의 체결공 하단부와 거푸집의 표면에 약간의 틈이 발생하면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상기 체결공 안으로 콘크리트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한편 상기 유입된 콘크리트와 이물질이 체결공 안에서 경화되면 체결공이 막힘으로서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볼트를 체결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며, 또한 체결공 안에서 경화된 콘크리트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인서트 브라켓은 철근이 놓이는 헤드부의 높이가 일정하게 제작됨으로서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설치작업시 작업여건에 따라 거푸집에서 철근이 다수 높게 설치되면 철근이 인서트 브라켓의 헤드부 위에 놓이지 못하고 상부로 이격되어 철근이 지지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 인서트 브라켓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볼트가 끼워져 체결되는 인서트 브라켓의 체결공 안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한편 철근이 놓이는 헤드부가 상하로 형성됨으로서 체결공의 막힘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켜 천정 마감패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인서트 브라켓을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중앙부분에 너트가 내장 설치되고 그 상부에 철근이 놓이는 곡면형태의 헤드부가 형성되며 너트의 하부쪽에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못이 끼워져 거푸집 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기존의 인서트 브라켓에 있어서, 철근이 놓이는 헤드부의 상단에 교호되는 방향으로 양측에 안착홀이 연설되고, 너트의 하부쪽에서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부의 외경보다 큰 원형상의 지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부에 구멍이 형성된 실링패드를 부착시켜 체결공이 거푸집 위에 밀폐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천정 마감패널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기존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기존 인서트 브라켓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기존 인서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브라켓의 시공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천정 슬래브 2....철근
3....거푸집 10....인서트 브라켓
11....너트 12....헤드부
12a....안착홀 13....체결부
13a....체결공 14....지지부
16....지지판 17....실링패드
20....고정볼트 30....고정부재
40....채널바 50....패널고정바
60....마감패널
본 고안은 건축물에서 천정 슬래브의 저면부에 매설 시공되어 천정 마감패널이 고정 설치되는 인서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 슬래브의 시공작업시 인서트 브라켓의 체결공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킴으로서 천정 마감패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중앙부분에 너트(11)가 내장 설치되고, 그 상부에 철근(2)이 놓이는 곡면형태의 헤드부(12)가 형성되며, 너트(11)의 하부쪽에 체결공(13a)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13)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못(15)이 끼워져 거푸집(3) 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된 기존의 인서트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에 내장된 너트(11)의 하부쪽에서 체결공(13a)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13)의 하단부에 체결부(13)의 외경보다 큰 원형상의 지지판(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6)의 저면부에 구멍(17a)이 형성된 원형상의 실링패드(17)를 부착시켜 체결공(13a)이 거푸집(3) 위에 밀폐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철근(2)이 놓이는 헤드부(12)의 높이가 상하로 형성되게 헤드부(12)의 상단에 교호되는 방향으로 양측에 안착홀(12a)이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기존의 인서트 브라켓과 같이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거푸집(3) 위에 밀착되어 지지 고정되는 지지면적을 크게 하고, 천정 마감패널(60) 설치용 고정볼트(20)가 끼워져 너트(11)에 체결되는 체결공(13a)이 막히지 않도록 너트(11)의 하부쪽에서 체결공(13a)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13)의 하단부에 지지판(16)을 형성하고, 지지판(16)의 저면부에 실링패드(17)를 부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인서트 브라켓(10)은 중앙부분에 너트(11)가 내장되게 장착되고, 너트(11)에서 상부쪽에 철근(2)이 놓이는 곡면형태의 헤드부(1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너트(11)와 헤드부(12)의 양측에는 못(15)이나 또는 스크류볼트 등의 체결구가 끼워져 거푸집(3) 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되며, 또한 너트(11)의 하부쪽에서 체결공(13a)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3)의 하단부에 지지판(16)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인서트 브라켓(10)의 헤드부(12)는 철근(2)이 놓이는 높이가 상하로 형성되게 헤드부(12)의 상단에 교호되는 방향으로 양측에 안착홀(12a)을 연설시켜 형성하며, 상기 안착홀(12a)은 헤드부(12)의 상단에 교호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철근(2)이 거푸집(3)에서 다소 높게 시공되면 도면의 도 9와 같이 안착홀(12a)에 철근(2)이 놓이게 인서트 브라켓(10)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체결공(13a)이 관통된 체결부(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판(16)은 체결부(13)의 외경보다 큰 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판(16)의 저면부에는 지지판(16)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중앙부에 구멍(17a)이 형성된 원형상의 실링패드(17)가 부착된다.
실링패드(17)는 두께가 비교적 얇은 스폰지나 스치로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지판(16)의 저면부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되고, 인서트 브라켓(10)의 설치시 거푸집(3) 위에 밀착되어 압착됨으로서 체결공(13a)을 밀폐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인서트 브라켓(10)에서 체결부(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판(16)과, 상기 지지판(16)의 저면부에 부착되는 실링패드(17)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면의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지지판(16)과 실링패드(17)는 각기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원형상이나 사각형상 및 십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체결공(13a)이 관통된 체결부(13)의 하단부에 면적이 큰 지지판(16)을 형성함으로서 지지면적을 크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지지판(16)의 저면부에 연질의 실링패드(17)를 부착시킴으로서 체결공(13a)을 거푸집(3) 위에 밀폐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거푸집(3) 위에 밀착 설치되는 양측 지지부(14)와 중앙부의 지지판(16)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야 인서트 브라켓(10)의 하측부가 전반적으로 거푸집(3) 위에 밀착 설치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 지지판(16)은 저면부에 실링패드(17)가 부착됨을 고려하여 실링패드(17)가 압착되는 높이 만큼 지지판(16)을 양측 지지부(14)보다 높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건축물의 벽체위에 천정 슬래브(1)를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지용 기둥을 받쳐서 거푸집(3)을 설치한 다음 거푸집(3)안에 다수의 철근(2)을 결속시켜 설치하고, 거푸집(3)과 철근(2)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갖도록 격자형태로 다수의 인서트 브라켓(10)을 고정 설치한 다음 거푸집(3) 안에 콘크리트를 적정 두께로 타설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매설된 인서트 브라켓(10)이 거푸집(3)에서 분리되게 거푸집(3)을 제거하여 천정 슬래브(1)가 시공되며, 상기 슬래브(1)의 저면부에 매설된 인서트 브라켓(10)에 고정볼트(20)를 체결하여 천정 마감패널(6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의 설치과정에서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브라켓(10)의 설치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하측부의 지지판(16) 저면부에 실링패드(17)를 부착한 다음 거푸집(3)과 철근(2) 사이에 끼워 헤드부(12)위에 철근(2)이 놓여 지지되고, 거푸집(3)의 표면에 지지판(16)과 양측 지지부(1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측 지지부(14)의 상측부에 끼워진 못(15)을 박아 거푸집(3) 위에 고정 설치하며, 이때 지지판(16)의 저면부에 부착된 실링패드(17)는 압착되면서 거푸집(3)의 표면에 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거푸집(3) 위에 인서트 브라켓(10)을 고정 설치하는 못(15)은 스크류볼트 등의 체결구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거푸집(3)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매설된 인서트 브라켓(10)에서 거푸집(3)을 분리시켜 제거한 다음 실링패드(17)의 구멍(17a)과 체결부(13)의 체결공(13a)에 고정볼트(20)를 끼워 너트(11)에 체결함으로서 천정 마감패널(60)을 설치할 수 있으며, 거푸집(3)은 인서트 브라켓(10)의 못(15)에서 쉽게 분리되고, 도면의 도 8과 같이 슬래브(1)의 아래로 돌출된 못(15)의 끝부분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거푸집(3) 위에 밀착되는 인서트 브라켓(10)의 하측부에 지지면적이 크게 지지판(16)을 형성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또한 지지판(16)의 저면부에 연질의 실링패드(17)가 부착됨으로서 콘크리트의 타설시 고정볼트(20)가 끼워지는 체결공(13a)을 밀폐시킴으로서 체결공(13a)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볼트가 끼워져 체결되는 인서트 브라켓의 체결공 안으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한편 철근이 놓이는 헤드부가 상하로 형성되고, 거푸집 위에 지지되는 지지면적을 크게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체결공의 막힘을 방지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천정 마감패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중앙부분에 너트가 내장 설치되고, 그 상부에 철근이 놓이는 곡면형태의 헤드부가 형성되며, 내장된 너트의 하부쪽에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못이 끼워져 거푸집 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기존의 인서트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에 내장된 너트(11)의 하부쪽에서 체결공(13a)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부(13)의 하단부에 체결부(13)의 외경보다 큰 원형상의 지지판(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6)의 저면부에 구멍(17a)이 형성된 원형상의 실링패드(17)를 부착시켜 체결공(13a)이 거푸집(3) 위에 밀폐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철근(2)이 놓이는 헤드부(12)의 높이가 상하로 형성되게 헤드부(12)의 상단에 교호되는 방향으로 양측에 안착홀(12a)이 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판(16)과 실링패드(17)는 각기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판(16)과 실링패드(17)는 각기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KR20-2004-0009122U 2004-04-01 2004-04-01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KR200354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22U KR200354372Y1 (ko) 2004-04-01 2004-04-01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22U KR200354372Y1 (ko) 2004-04-01 2004-04-01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372Y1 true KR200354372Y1 (ko) 2004-06-24

Family

ID=4943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122U KR200354372Y1 (ko) 2004-04-01 2004-04-01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3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8277A1 (en) Non-destructive form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30140588A1 (en) Masonry wall insulation system
US20130118104A1 (en) Building module, a method for making same, and a method for using same to construct a building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1220811B1 (ko)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KR100998734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KR200354372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KR200354373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인서트 브라켓
JP4796325B2 (ja) 発泡性断熱体の型枠部材と改良されたセパレー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343681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장치
US11293189B2 (en) Flooring system for use in a sloped floor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200412098Y1 (ko) 천장용 인서트
KR100775676B1 (ko) 합판거푸집 보강 띠판형 장선, 합판거푸집 보강구조 및합판거푸집 보강구조 해체 후 마감방법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1394463B1 (ko) 폼 타이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외단열시공방법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JP5062713B2 (ja) 垂直スリット材の支持構造
JP3789616B2 (ja) ユニット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の施工方法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US6397538B1 (en) Foundation corner saver
KR2003665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채널바
KR950018994A (ko)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489700B1 (ko) 단열재 설치 간격을 가진 철근 받침구 겸용 인서트
KR102407766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