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064A -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064A
KR980007064A KR1019960020994A KR19960020994A KR980007064A KR 980007064 A KR980007064 A KR 980007064A KR 1019960020994 A KR1019960020994 A KR 1019960020994A KR 19960020994 A KR19960020994 A KR 19960020994A KR 980007064 A KR980007064 A KR 98000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telephone
telephone network
analog
hl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2233B1 (ko
Inventor
함희혁
송은하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6002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233B1/ko
Publication of KR98000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코드분할다중 접속방식(CDMA)의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기존에 서비스중인 아날로그 이동전화망과의 상호연동기능를 구현하는 상호 로밍 방법.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신규사업자는 초기에 전국망을 구성하기 어렵고, 음영지역을 없애기 위하여 전파환경을 최적화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통합된 망번호계획이 불가능하므로 호설정 지연이 발생되고 해당 트래픽처리를 위해 시설용량의 증대를 필요로 하고 가입자의 망변경시 가입자번호를 변경해야 하므로 가입자에게 많은 불이익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음.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중모드 단말기를 사용하는 디지탈 이동전화서비스(CDMA) 가입자는 디지탈 이동전화서비스 영역에서는 디지탈 이동전화서비스를 제공받으며, 디지탈 이동전화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디지탈 이동전화 전파 음영지역 또는 서비스 미실시지역)에서는 기존에 서비스중인 아나로그 이동전화망을 이용하여 발신 및 착신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디지탈 이동전화와 아날로그 이동전화 같은 무선접속규격이 서로 상이한 두종류 이상의 망을 동시에 운용하는 경우에 무선접속규격에 상관없이 국번호 및 신호망 번호 계획을 가능하게 한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발명의 중요한 용도: 새로 구축되는 CDMA 이동전화망에서 전국을 서비스권으로 하는 기존의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서비스영역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과정의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응답메시지 수신과정의 흐름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 과정의 흐름도.

Claims (15)

  1. 디지탈 이동전화망의 프로토콜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을 상호 연동시키는 이동통신망에 적용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에 있어서, 위치등록요구를 수신한 이동통신시스템은 위치등록을 요구한 이동단말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HLR로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HLR로부터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호링크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위치등록 응답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생성한 다음에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제1 단계(61 내지 76); 착신호 설정요구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착신호 설정이 요구된 착신단말의 HLR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거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 단계(61,81 내지 89);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신호링크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착신가입자의 위치와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는 착신위치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 전송하거나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루팅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단말이 위치한 VLR(Visitor Lov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3 단계(61,90 내지 106); 및 위치등록요구메시지, 착신호설정요구메시지 및 찬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제외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신호링크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4 단계(61,111 내지 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하나의 구체적인 신호점에 대하여 두개의 신호점 코드가 존재하도록 데이타를 구성하여 신호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디지탈 신호점 또는 아날로그 신호점으로 신호점 형태를 정해 한개의 물리적인 신호점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는 두개의 신호점 코드가 동시에 존재 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이동전화망의 프로토콜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프로토콜은, 상기 이동전화망을 구성하는 망 구성요소중 임의의 요소에 집중하거나 각 망 구성요소에 분산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61 내지 76)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휴지 상태에서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등록을 요구한 이동단말의 국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이동단말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아날로그 HLR인지 또는 디지탈 HLR인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61 내지 64); 상기 제5 단계(61 내지64)의 판단 결과, 아날로그 HLR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위치등록요구메시지와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고 디지탈 HLR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MAP 위치등록요구메시지와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메시지 생성시 정해진 신호점에 따라 상기 HLR로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등록응답메시지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6 단계(65 내지 70); 위치등록응답대기상태에서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신호링크형태를 분석하여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수신한 신호링크형태가 아날로그 신호링크인지 또는 디지탈 신호링크인지를 판단하는 제7 단계(71 내지 73); 및 상기 제7 단계(71 내지 73)의 판단 결과,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링크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 형태에 따라 MAP(Mobile Application Part)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생성하고, 디지탈 형태의 신호링크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MAP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MAP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가입자 데이타를 생성하여 위치등록을 완료하고 휴지상태로 천이하는 제8 단계(61, 74 내지 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5. 제4항 있어서, 상기 제6 단계(65 내지 70)는, 이동단말의 홈 HLR이 아날로그 HLR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인 IS41A에 따라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아날로그 HLR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ANSI TCAP, ANSI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ANSI MTP를 거쳐서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64,67); 이동단말의 홈 HLR이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 HLR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인 CDMA MAP에 따라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 HLR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ITU-T TCAP, ITU-T SCCP, ITU-T MTP를 거쳐서 공통선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66,68); 및 메시지 생성이 완료되면 메시지 생성시 정해진 신호점에 따라 상기 HLR로 위치등록요구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등록응답메시지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단계(6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61,74 내지 76)는, 위치등록응답메시지가 미국규격협회(ANSI) 형태의 신호링크에서 수신된 경우에는 ANSI MTP, ANSI SCCP, ANSI TCAP를 거쳐서 MAP(Mobile Application Part)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74); 위치등록응답메시지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형태의 신호링크에서 수신된 경우에는 ITU-T MTP, ITU-T SCCP, ITU-T TCAP를 거쳐서 MAP 위치등록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75); 및 생성된 MAP 위치등록응답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가입자 데이타를 생성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휴지상태로 천이하는 단계(61,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61,81 내지 89)는, 휴지 상태에서 착신호 설정요구를 수신하면 착신가입자의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질의하기 위해 국번호를 분석하여 착신단말의 HLR이 아날로그 HLR인지 또는 디지탈 HLR인지를 판단하는 제9 단계(51,81 내지 83); 상기 제9 단계(61,81 내지 83)의 판단 결과, 찬식단말의 HLR이 아날로그 HLR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와 공통선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0 단계(84 내지 87); 및 찬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 생성이 완료되면 메시지 생성시 정해진 신호점에 따라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착신위치정보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11 단계(88,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84 내지 87)는 착신단말의 HLR이 아날로그 HLR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인 IS41A에 따라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아날로그 HLR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ANSI TCAP, ANSI SCCP, ANSI MTP를 거쳐서 공통선 (NO.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84,86); 및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HLR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인 CDMA MAP의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HLR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ITU-T TCAP, ITU-T SCCP, ITU-T MTP를 거쳐서 공통선(NP.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85,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61,90 내지 106)는, 호설정시 MSC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서 HLR로 전달되는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상호링크형태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링크형태가 아날로그 신호링크인지 또는 디지탈 신호링크인지를 판단하는 제12 단계(61,90,91); 상기 제12 단계(61,90,91)의 판단 결과, 아날로그 신호링크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MAP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고, 디지탈 신호링크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MAP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3 단계(92,93); 생성된 MAP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분석하고 착신가입자의 위치를 분석하여 착신가입자의 위치와 수신된 메시지의 형태를 조합, 판단하는 제14 단계(94 내지 96); 상기 제14 단계(94 내지 96)의 판단 결과, 착신가입자가 디지탈 이동전화망에 위치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 메시지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응답메시지와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SC로 전송하는 제15 단계(97, 104 내지 106); 및 상기 제14 단계(94 내지 96)의 판단 결과, 착신가입자가 디지탈 이동전화망에 위치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루팅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가입자의 위치에 따라 공통선(NO.7)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상기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여 루팅정보를 요구하는 제16 단계(98 내지 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단계(92.93)는,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가 미국규격협회(ANSI) 형태의 신호링크에서 수신된 경우에는 ANSU MTP, ANSI SCCP, ANSI TCAP를 거쳐서 MAP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92); 및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형태의 신호링크에서 수신된 경우 에는 ITU-T MTP, ITU-T SCCP, ITU-T TCAP를 거쳐서 MAP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5 단계(97, 104 내지 106)는, 착신가입자가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이동전화망에 위치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인 CDMA MAP 메시지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른 착신위치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97); 디지탈 이동전화망에 따른 착신위치응답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ITU-T TCAP, ITU-T SCCP, ITU-T MTP L3를 거쳐서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는단계(104); 및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송신한 MSC로 착신위치응답메시지를 전송하고 착신위치요구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하는 단계(105,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나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6 단계(98 내지 103)는, 착신가입자가 디지탈 이동전화망에 위치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인 IS41A에 따른 루팅정보요구메시지를 생성하고 착신가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98,99); 상기 단계(98,99)의 판단 결과, 착신가입자가 아날로그망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ANSI TCAP, ANSI SCCP, ANSI MTP를 거쳐서 공통선(NO.7) 메시지를 생성하고, 착신가입자가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이동전화망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ITU-T TCAP, ITU-T SCCP, ITU-T MTP를 거쳐서 공통선(NO.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00,101); 및 루팅정보요구메시지를 착신단말이 위치한 상기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여 루팅정보를 요구하고 루팅정보요구 응답대기상태로 천이하는 단계(102,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61,111 내지 122)는, 휴지 상태에서 위치등록요구메시지, 착신호설정요구메시지 및 착신위치정보요구메시지를 제외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신호링크형태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링크형태가 아날로그 신호링크인지 또는 디지탈 신호링크인지를 판단하는 제17 단계(111,112); 상기 제17 단계(111,112)의 판단 결과,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링크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MAP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MAP메시지를 분석하여 응답 MAP 메시지를 생성하여 아날로그망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8 단계(113 내지 116); 상기 제14 단계(111,112)의 판단 결과, 디지탈 형태의 신호링크인 경우에는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MAP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MAP 메시지를 분석하여 응답 MAP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지탈망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디지탈 이동전화망 프로토콜에 따라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9단계(117 내지 120); 및 메시지 생성이 완료되면 메시지 생성시 정해진 신호점에 따라 해당응답메시지를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고 휴지상태로 천이하는 제20 단계(121,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8 단계(113 내지 116)는, 메시지가 미국규격협회(ANSI) 형태의 신호링크에서 수신된 경우에는 ANSI MTP, ANSI SCCP, ANSI TCAP를 거쳐서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13); 생성된 MAP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응답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14,115); 및 생성된 응답 MAP 메시지를 아날로그망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ANSI TCAP, ANSI SCCP, ANSI MTP를 거쳐서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9 단계(117 내지 120)는, 메시지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형태의 신호링크에서 수신된 경우에는 ITU-T MTP, ITU-T SCCP, ITU-T TCAP를 거쳐서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17); 생성된 MAP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응답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18,119) 및 생성된 응답 MAP 메시지를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이동전화망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ITU-T TCAP, ITU-T SCCP, ITU-T MTP를 거쳐서 공통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KR1019960020994A 1996-06-12 1996-06-12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KR018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994A KR0182233B1 (ko) 1996-06-12 1996-06-12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994A KR0182233B1 (ko) 1996-06-12 1996-06-12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64A true KR980007064A (ko) 1998-03-30
KR0182233B1 KR0182233B1 (ko) 1999-05-15

Family

ID=1946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994A KR0182233B1 (ko) 1996-06-12 1996-06-12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343B1 (ko) * 1999-12-30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717821B1 (ko) * 2000-12-30 2007-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홈 위치 등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385136B1 (ko) * 2001-05-07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 망 연동을 위한 맵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2233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8762B2 (ja) 統合ワイヤレス・オフィス・システムを有する移動電話網
KR100212938B1 (ko) 지에스엠(gsm)/브이엘알(vlr)에서 에이취엘알(hlr)쪽으로 부가 서비스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KR10042403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출전환
USRE43065E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US5883943A (en) Calling party name delivery to digital phone subscriber
WO1996020570A1 (en) A method for improving charging criteria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EP0966853B1 (en) Ussd-positioning
US6850762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setting up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980007064A (ko)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GB2403100A (en) Mobile subscriber database recognising different protocols from diverse networks
KR100273046B1 (ko) 종합 유무선 장치 및 방법
KR20050075469A (ko) 국제 로밍 홈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KR100516297B1 (ko) 이기종망간의 번호 이동성 서비스 방법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100995477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947496B1 (ko) 해외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거기에 이용되는 다중 번호 제공 서비스의 가입자 위치 등록 방법 및 착신 번호 식별 방법
KR100486059B1 (ko) 이종 이동통신망간 로밍시 이동국 위치등록 방법
KR100856393B1 (ko)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KR100326319B1 (ko) 미확정이동통신망에서피엘엠엔코드의생성에의한엠에이피통신방법
KR200335607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101043205B1 (ko) Acq 방식에서 번호이동서버를 이용한 착신호 처리 간소화 방법
KR100957640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통신망 사이의 호연결 처리 방법
Biesterfeld et al. The Application of MAP in DECT Systems
KR20130040345A (ko) 국제 로밍 호의 라우팅 방법
KR1006672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와 상한 요금제 서비스의 연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