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393B1 -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393B1
KR100856393B1 KR20060124833A KR20060124833A KR100856393B1 KR 100856393 B1 KR100856393 B1 KR 100856393B1 KR 20060124833 A KR20060124833 A KR 20060124833A KR 20060124833 A KR20060124833 A KR 20060124833A KR 100856393 B1 KR100856393 B1 KR 10085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ay call
open service
mov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2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978A (ko
Inventor
김정환
배현주
김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06012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3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3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용 서비스의 제삼자 호 처리 요청에 대하여 특정 사업자 내에서 번호 이동과 관련된 처리를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이트웨이가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라도 자신의 망에 속하는 경우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번호 이동이 되지 않은 경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번호 이동이 된 경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된 타 망으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모두 자신의 망에 속하지 않은 경우, 상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신의 망으로의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가 자신의 망으로 번호 이동된 경우, 상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모두 자신의 망으로 번호 이동되지 않은 경우, 발신 번호가 가입된 망으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삼자 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응용, 번호, 이동, 호처리

Description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third party call in the open service gateway}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서비스 망의 구조도,
도 2 는 일반적인 번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서비스 망의 전체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내지 도 8 은 개방형 서비스 망에서 삼자 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신호 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개방형 서비스 망 구조하에서 응용 서비스의 제삼자 호(third party call) 처리 요청에 대하여 특정 사업자 내에서 번호 이동과 관련된 처리를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형 서비스 기술이라 함은 유무선 전화연결(Call Control) 기능, 단문메시지(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송수신 기능, 특정 가입자의 위치정보 검색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능력에 대해서 추상화된 응용프로토콜인터페이스(API)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3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통신망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의 개발 및 관리를 쉽고 빨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현재, 개방형 API 기술은 Parlay 그룹을 통해 제정되고 있으며, 이는 3세대 이동통신의 사실상 표준 단체인 3GPP의 멤버들과 함께 JWG(Joint Working Group) 활동을 통해 3GPP, ETSI, 3GPP2 등의 규격으로 공표되고 있다. 개방형 API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통신망의 능력은 유무선 전화연결 및 부가적인 호처리 능력, SMS/MMS 송수신, 위치정보 제공, 과금/계정관리(Charging & Account Management) 능력, PAM(Presence And Availability) 정보 등이며, 이 능력은 계속 확장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개방형 서비스 망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호 설정을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요청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외부 응용이 안전한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개방형 API를 접근하여 호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와 그 접근 방법을 제공하며, 그 내부적으로는 해당 API와 관련 통신망 능력을 연결시키기 위해 망 내의 하부자원과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들이 존재한다.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는 개방형 API를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 응용들이 존재하는 장치로, 해당 서비스의 수행 및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이다. 서비스 응용에 따라 각자 다른 형태의 서비스를 구성하며, 인터넷 영역의 자원과 통신망 영역의 자원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번호 이동성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번호 이동성이라 함은 유무선 가입자가 자신의 번호를 바꾸지 않고서도 통신사업자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번호이동성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식에는 크게 유선 번호이동성(LNP: Local Number Portability)과 무선 번호이동성(Mobile Number Portability)으로 구분되며, 호 루팅을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유선 번호이동성(LNP)에서는 Onward Routing, Drop Back, QoR(Query on Release), ACQ(All Call Query) 방식과, 무선 번호이동성(MNP)에서는 QoHR(Query on HLR Release), TQoD(Terminating call Query on Digit analysis), OQoD(Originating call Query on Digit analysis), QoR(Query on Release) 등의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번호이동성 서비스는 유무선 망 내에서 가입자가 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이동함에 따라 실제 착신을 위해서는 망에서의 부가적인 루팅이나 데이터베이스 질의에 따른 자원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예를 들어, QoR 방식의 경우, 발신망에서 원착신망으로의 호루팅을 무조건 시도 후(도 2에서 ②)에, 원착신망에서 번호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해제 신호가 도달하면(도 2에서 ③), 다시 발신망 내의 번호 이동 데이터베이스(NPDB)에 질의하여(도 2에서 ④), 루팅 정보를 획득한 다음(도 2에서 ⑤), 다시 번호 이동한 가입자의 신규 착신망으로 호를 루팅하게 된다(도 2에서 ⑥).
이와 같은 일반적인 번호 이동성 호 처리는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이동 처리에만 관심을 두면 되지만, 개방형 서비스 구조하에서는 발착신 번호가 삼자호 요청을 받는 사업자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가 존재한다. 발착신 번호가 자기 가입자번호가 아닌 경우뿐만 아니라, 더욱이 번호이동된 경우도 존재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2의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이동 처리처럼 발착신 번호 양쪽으로의 번호이동 처리가 진행되어야 하며, 이는 부가적인 루팅이나 데이터베이스 질의로 인해 서비스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개별적인 통신 사업자가 개방형 서비스 구조를 제공하고 있고, 발신 및 착신 번호들이 자유로이 번호이동을 한 상황하에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 또는 타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발착신 번호를 포함한 삼자 호 처리 요청을 받아 처리함에 있어, 발착신 번호에 대한 번호이동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라도 자신의 망에 속하는 경우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번호 이동이 되지 않은 경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번호 이동이 된 경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된 타 망으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모두 자신의 망에 속하지 않은 경우, 상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신의 망으로의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가 자신의 망으로 번호 이동된 경우, 상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모두 자신의 망으로 번호 이동되지 않은 경우, 발신 번호가 가입된 망으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방형 서비스 망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개방형 서비스 망은 특정 사업자에게 서비스 처리 요청을 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와, 각 사업자에 존재하여,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와,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위치등록기(HLR)와, 번호이동 데이터베이스인 NPDB와, 호 처리를 실행하는 교환기(MSC, GMSC)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형 서비스 망 구조에서 삼자 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사업자 망에 설치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번호 분석 결과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가 자신의 사업자의 번호 범위에 포함되고 실제 자신의 사업자에 가입된 번호일 경우의 신호 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번호 분석 결과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자신의 사업자의 번호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만, 발신자와 착신자가 번호 이동된 경우의 신호 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번호 분석 결과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자신의 사업자의 번호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의 신호 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삼자 호 요청을 수신하면(401), 상기 요청된 삼자 호 처리 요청이 타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인계된 요청인지 아니면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수신된 요청인지를 확인한다(402).
상기 확인 결과(402), 타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인계된 삼 자호 처리 요청인 경우, 이 요청은 번호이동 처리에 대한 것이 확인된 상황이므로 자신의 망의 교환기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한다(407). 그러면, 교환기는 공지의 과정을 통해 요청된 삼자 호를 처리한다.
한편, 확인 결과(402),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수신된 삼자 호 처리 요청인 경우에는,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에 대한 검사 및 번호이동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먼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발신 번호(CPN: Calling Party Number)와 착신 번호(CdPN: Called Party Number)가 자신의 사업자가 관리하는 번호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검사한다(403).
상기 검사 결과(403),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라도 자신의 사업자가 관리하는 번호 범위 내에 있다면(404), 일단 자신의 망의 가입자 번호라고 가정하고 홈위치등록기(HLR)로 발신 번호에 대한 라우팅 정보와 착신 번호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405).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홈위치등록기로 발신 번호에 대한 MAP SRI(Mobile Application Part SendRoutingInformation) 질의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라우팅 정보(MSRN)를 수신하고, 마찬가지로 착신 번호에 대한 MAP SRI 질의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번호의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사업자 망에 속한 가입자로 판단하고, 삼자 호 처리를 교환기로 요청한다(406, 407).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와 교환기가 연동하여 삼자 호를 처리하는 과정은 공지의 삼자 호 처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와 교환기와의 삼자 호 처리 과정은 사업자의 망이 유선망 또는 이동망 또는 이동망 중에서도 3GPP를 따르는 비동기망 또는 3GPP2를 따르는 동기망이냐에 따라서 달리 진행되지만, 도 5에서는 3GPP 비동기망에서 지능망 프로토콜인 CAP(CAMEL Application Part)를 이용한 삼자 호 처리 과정의 예를 나타내었다.
삼자 호 생성 과정은, 먼저 "InitiateCallAttempt"을 통해 발신번호(CPN)측으로 "Call leg"를 생성하고, ISUP 시그널링하여 발신자가 응답하면, 착신번호(CdPN)측으로 호를 연결하게 된다. 이에 착신자가 수신을 요청하면, 착발신 간의 통화가 가능해진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삼자 호 처리중에 호 정보 요구(CallInformationRequest)를 교환기로 요청하여 교환기로부터 호 정보 보고(CallInformationReport)를 수신하여 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이후 응용 서버로부터의 호 정보 요청(GetCallInformation)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한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자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번호 범위 내에 있는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홈위치등록기(HLR)로 요청하여 번호 이동으로 인해 도 6과 같이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도 6에서 "Unknown Subscriber"를 수신하면)(406),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번호 이동된 번호로 인식하고, 번호 이동성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NPDB)를 통해 어느 사업자로 번호이동하였는지 확인한다(408). 그런 다음,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번호가 이동된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삼자 호 처리 요청을 전송한다(409). 이때,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를 발신 번호가 이동된 사업자의 게이트웨이로 전달한다. 한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응용 서버의 호 정보 요청(Get Call Information)에 따라 발신 번호가 이동된 사업자의 게이트웨이로 호 정보를 요청하여, 그 결과를 전달받아 응용 서버로 전달한다.
한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범위를 검사한 결과(404), 만약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모두 자신의 번호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사업자에 속하는 로컬 NPDB로 질의를 전송하여,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어느 사업자의 가입자인지를 확인한다(4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는 "ServiceKey"를 번호 이동 질의 서비스로 설정하고,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INAP: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의 "InitialDP"를 통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질의를 NPDB로 전송하면, 자기 가입자일 경우에 NPDB로부터 "Continue"를 수신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NPDB로부터 "Continue"를 수신하여,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라도 자신의 사업자 망으로 번호 이동된 번호로 판단되면(411), 자신의 망에 속하는 교환기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한다(407).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와 교환기가 연동하여 삼자 호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ServiceKey"를 번호 이동 질의 서비스로 설정하고 INAP의 "InitialDP"를 통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질의를 NPDB로 전송한 결과, 자신의 망에 속하는 가입자가 아닐 경우에는 NPDB로부터 "Connect" 응답을 수신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모두 자신의 사업자 망으로 번호 이동된 번호가 아님을 NPDB로부터 통보받으면, NPDB로부터 전달된 응답(Connect) 내의 번호를 통해 어느 사업자 망으로 번호 이동된 가입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발신 번호가 속하는 사업자 망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한다(412). 여기서, 발신 번호를 기준으로 삼자 호 요청을 인계하는 이유는, 발신측이 삼자 호를 요청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개별적인 통신 사업자가 개방형 서비스 구조를 제공하고 있고, 발신 및 착신 번호들이 자유로이 번호이동을 한 상황하에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 또는 타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발착신 번호를 포함한 삼자 호 처리 요청을 받아 삼자 호를 처리함으로써, 망 내에서의 호 설정 시간 감소와, 호 처리 루트가 길어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망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5)

  1.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라도 자신의 망에 속하는 경우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번호 이동이 되지 않은 경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번호 이동이 된 경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된 타 망으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모두 자신의 망에 속하지 않은 경우, 상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신의 망으로의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가 자신의 망으로 번호 이동된 경우, 상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모두 자신의 망으로 번호 이동되지 않은 경우, 발신 번호가 가입된 망으로 삼자 호 처리를 요청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자신의 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삼자 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로부터 호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자신의 망의 교환기로 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호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삼자 호 요청에 대해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번호라도 자신의 망이 관리하는 번호 범위에 속하는 경우, 홈위치등록기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를 이용해 번호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 번호 이동되지 않은 가입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INAP)을 이용해 번호 이동된 망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KR20060124833A 2006-12-08 2006-12-08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KR10085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4833A KR100856393B1 (ko) 2006-12-08 2006-12-08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4833A KR100856393B1 (ko) 2006-12-08 2006-12-08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78A KR20080052978A (ko) 2008-06-12
KR100856393B1 true KR100856393B1 (ko) 2008-09-04

Family

ID=3980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24833A KR100856393B1 (ko) 2006-12-08 2006-12-08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3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15A (ko) * 2003-12-26 2005-06-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KR20060070715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통합 개방형 관리 서비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15A (ko) * 2003-12-26 2005-06-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KR20060070715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통합 개방형 관리 서비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78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507B1 (ko)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P1420605B1 (en) Implementing roaming call to foreign intelligent client
US8060087B2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WO2008030476A2 (en) Call forward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wireless networks
CN110267261B (zh) 携号转网的漫游通信方法及呼叫会话控制功能实体
CN109451491B (zh) 一种携号转网的通信方法、主叫的业务控制点
CN101867866B (zh) 一种多智能业务嵌套触发的方法和系统
US7711378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KR100856393B1 (ko)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삼자 호 처리 방법
JP3847574B2 (ja)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を用いてゲートウェイ移動交換局で呼制御を維持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674496B (zh) 综合虚拟专用网系统及触发综合虚拟专用网业务的方法
US82543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HLR support for IP-MSC feature activation
US847766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ommunication services
KR20110013041A (ko) 유선통신 사업자와 이동통신 사업자 사이의 번호 이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404869A (zh) 虚拟专用移动网呼叫的方法、系统及移动关口局
KR101086233B1 (ko) 번호 이동성 호 처리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KR100876795B1 (ko) 소프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능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30820B1 (ko)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내선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101043205B1 (ko) Acq 방식에서 번호이동서버를 이용한 착신호 처리 간소화 방법
KR101012852B1 (ko) 음성-영상 전환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착신과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0345A (ko) 국제 로밍 호의 라우팅 방법
KR980007064A (ko) 디지탈 이동전화망과 아날로그 이동전화망의 상호 로밍 방법
KR101043204B1 (ko) 번호이동성 환경에서의 착신전환 호의 호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57640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통신망 사이의 호연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