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331U -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331U
KR980006331U KR2019960022223U KR19960022223U KR980006331U KR 980006331 U KR980006331 U KR 980006331U KR 2019960022223 U KR2019960022223 U KR 2019960022223U KR 19960022223 U KR19960022223 U KR 19960022223U KR 980006331 U KR980006331 U KR 980006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astener
leather belt
leath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0016Y1 (ko
Inventor
유덕상
Original Assignee
유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상 filed Critical 유덕상
Priority to KR2019960022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016Y1/ko
Publication of KR980006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죽때내측에 부착되어진 걸림띠의 삼각걸림돌기를 고정구에 형성된 걸림편으로 잡아주어 허리사이즈에 맞게 가죽띠를 고정시켜주게 함으로써, 가죽띠의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한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2 내지 도5와 같이, 본 고안은 장착홀(42)과 걸림편(44)이 형성되도록 삼각형상의 고정구(45)가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구(45)의 장착홀(42)내로 하부에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수핀날(48)과 상부에 가이드부(47)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누름대(46)와 상기 누름대(46)를 탄지하도록 된 코일 스피링(50)과 상기 수핀말(48)의 첨단이 암핀날(52)의 첨단과 일직선상에 오도록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암핀날(52)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대(54)와 상기 회동대(54)의 요홈(55)에 끼워지도록 한 힌지편(56)이 순차적으로 내장되고, 가죽띠(32)가 삽입되어지는 버클(30)의 상단면(34)에 누름대(46)의 가이드부(47)가 끼워지도록 한 장방형의 삽입홈(36)과 바클(30)의 하단면(38)에 힌지편(56)이 삽입되도록 한 힌지홈(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구의 상부를 누르면 상기 장착홀에 압입된 회동대가 힌지편을 중심으로 좌우회동되면 고정구도 또한 회동대와 더불어 회동되기 때문에 고정구의 걸림편이 가죽띠의 단단한 수지재로 된 삼각걸림돌기에서 쉽게 빠지게 됨으로써, 가죽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혁대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죽띠내측에 부착되어진 걸림띠의 삼각걸림돌기를 고정구에 형성된 걸림편으로 잡아주어 허리 사이즈에 맞게 가죽띠를 고정시켜주게 함으로써, 가죽띠의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한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에서 의복인 바지를 입게 되면 입고 있는 바지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허리 부분의 혁대선에 혁대를 채용하여 조여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혁대의 일례를 예시도면 도1에 도시하였는 바,도시된 혁대(10)는 다수의 관통홀(12)이 일렬로 형성된 가죽띠(14)와, 상기 가죽띠(14) 일측단과 탈착이 가능하게 된 탈착구(16)와, 상기 가죽띠(14)의 관통홀(12)에 삽입되도록 한 일자형 고정핀(18)이 결합된 사각형상의 고정구(20)가 탈착구(16)의 선단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혁대(10)의 사용은 상기 혁대(10)를 바지의 혁대선에 채용한 후에 혁대(10)의 고정구(20)내로 가죽띠(14)의 타측단을 집어넣고, 사용자 자신의 허리크기에 맞도록 가죽띠(14)를 조여주며, 고정구(20)에 고리와 같이 결합된 일자형의 고정핀(18)을 가죽띠(14)의 관통홀(12)에 끼우고 난 후 가죽띠(14)의 타측단을 혁대선에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탈착구(16)에 장착된 사각형의 고정구(20) 일단에 결합된 일자형의 고정핀(18)이 가죽띠(14)의 관통홀(12)에 삽입되는 식으로 상기한 혁대(1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고정핀(18)은 금속재질이고 관통홀(12)이 형성된 가죽띠(14)는 유연한 가죽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하중과 비틀림 등에 의해 고정핀(18)이 관통홀(12)의 내벽 즉, 가죽띠(14)의 내측면을 계속적으로 마모하게 하여 가죽띠(14)의 횡방향으로 관통홀(12)이 점점 기형적으로 찢어지게 되며, 이러한 관통홀(12)의 찢어짐은 심지어 다른 관통홀(12)에 까지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죽띠내측에 부착되어진 수지재질을 갖는 걸림띠의 삼각걸림돌기를 혁대 바클의 고정구에 형성된 걸림편으로 잡아주어 허리 사이즈에 맞게 가죽띠를 고정시켜주게 함으로써, 가죽띠의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한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죽띠가 삽입되어지는 바클의 상단면에 형성된 장방형 삽입홈과, 바클의 하단면에 형성된 힌지홈과, 상기한 힌지홈을 중심으로 좌우회동 되도록 한 장착홀과 걸림편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장착홀내에 누름대와 상기 누름대를 탄지하도록 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누름대의 작동으로 고정구가 회동되도록 압입되는 회동대와 바클의 힌지홈에 일측이 삽입되는 힌지편이 순차적으로 삽입 내장되어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정구의 장착홀의 하단에 압입되는 회동대와, 그 회동대 위에 코일 스프링과, 누름대가 순차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고정구 상방으로 일부 돌출된 누름대의 상부를 버클의 삽입홈에 끼우며, 회동대의 하부에 힌지편을 집어넣어 버클의 힌지홈에 끼운 것으로, 고정구의 상부를 누르면 상기 장착홀에 압입된 회동대가 힌지편을 중심으로 좌우회동되면 고정구도 또한 회동대와 더불어 회동되기 때문에, 고정구의 걸림편이 가죽띠의 단단한 수지재의 삼각걸림돌기에서 쉽게 빠지게 됨으로써 가죽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혁대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누름대와 회동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도.
제5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바클 32 : 가죽띠
34 : 상단면 36 : 삽입홈
38 : 하단면 40 : 힌지홈
41, 41′: 경사면 42 : 장착홀
43, 43′: 수직면 44 : 걸림편
45 : 고정구 46 : 누름대
47 : 가이드부 48 : 수핀날
50 : 코일 스프링 52 : 암핀날
54 : 회동대 55 : 요홈
56 : 힌지홈 60 : 혁대
62 : 탈착구 64 : 바클몸체면
65 : 삽입가이드부 66 : 걸림띠
68 : 삼각걸림돌기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 도2 내지 도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장착홀(42)과 걸림편(44)이 형성되도록 삼각형상의 고정구(45)가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구(45)내로 하부에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수핀날(48)과 상부에 가이드부(47)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누름대(46)와 상기 누름대(46)를 탄지하도록 된 코일 스피링(50)과 상기 수핀말(48)의 첨단이 암핀날(52)의 첨단과 일직선상에 오도록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암핀날(52)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대(54)와 상기 회동대(54)의 요홈(55)에 끼워지도록 한 힌지편(56)이 순차적으로 내장되고, 가죽띠(32)가 삽입되어지는 바클(30)의 상단면(34)에 고정구(45)에 누름대(46)의 가이드부(47)가 끼워지도록 한 장방형의 삽입홈(36)과 바클(30)의 하단면(38)에 고정구(45)에 장착된 힌지편(56)이 삽입되도록 한 힌지홈(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이다.
예시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누름대와 회동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다른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바클(30)은 혁대(60)의 착용시에 가죽띠(32)가 삽입되어지는 부위이고, 상기 바클(30)의 일측에는 가죽띠(32)의 일측을 고정하여 잡아주는 탈착구(62)가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것이며, 또한 혁대(60)의 착용시 가죽띠(32)가 삽입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위해 바클(30)의 상단면(34)과 하단면(38)이 바클몸체면(64)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잇으며, 상기 바클(30)의 상단면(34) 일부와 하단면(38) 일부를 연결하는 삽입가이드부(65)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클(30)의 상단면(34)과 하단면(38)의 중앙에는 가죽띠(32)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구(45)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단면(34)에는 장방형의 삽입홈(36)이 형성되고, 하단면(38)에는 힌지홈(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가죽띠(32)는 혁대(60)를 착용했을 때 보이지 않게 되는 가죽띠(32) 내부일측에 즉, 종래의 관통홀(12)이 다수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는 그 길이만큼 딱딱한 수지재로 된 걸림띠(66)가 부착되어 진다.
상기한 걸림띠(66)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톱날형상과 같이 한쪽은 경사지고, 다른 한쪽은 수직인 삼각걸림돌기(68)가 일정거리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언급된 바클(30)의 힌지홈(40)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되어 가죽띠(32)이 삼각걸림돌기(68)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구(45)는 삼각형상으로 다수의 부품이 삽착되도록 한 장착홀(42)가 삼각걸림돌기(68)를 잡아주기 위한 걸림편(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구(45)의 장착홀(42)내에 삽착되는 부품은 회동대(54)와, 코일 스프링(50)과, 누름대(46) 그리고, 상기 회동대(54)의 요홈(55)에 끼워지는 힌지편(56)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암핀날(52)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대(54)가 고정구(45)의 장착홀(42)의 하부내측에 압입되어져 상기 고정구(45)가 회동대(54)와 같이 움직이게 되며, 상기 장착홀(42)의 하부에 압입된 회동대(54)의 상단중앙에 코일 스프링(50)을 안치시켜주며, 상기 안치된 코일 스프링(50)은 장착홀(42)내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끼워져 있는 것이다.
앞서 언급된 코일 스프링(50) 위에는 막대형상의 누름대(46)가 삽입되어 탄지되는데, 그 누름대(46) 하부에는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수핀날(48)이 형성되어 있고, 누름대(46)의 상부에는 바클(30) 상단면(34)의 삽입홈(36)에 삽입되는 가이드부(47)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린(50)에 의해 탄지되는 누름대(46)의 수핀날(48)들은 그 수핀날(38)의 첨단이 회동대(54)에 형성된 암핀날(52)의 첨단과 일직선상에 오도록 하여 누름대(46)는 장착홀(42)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짧은 막대형상의 힌지편(56)은 그 일측이 상기 회동대(54)의 요홈(55)에 끼워지고, 타측이 바클(30)의 하단면(38)에 형성된 힌지홈(40)에 끼워져 고정구(45)가 상기한 힌지편(56)과 힌지홈(4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고정구와 회동대의 다른 예로써 예시도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대(46)의 하부에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도록 한 수핀날(48)의 수가 3개이고, 이 누름대(46)와 대응되는 회동대(54)의 암핀날(52)의 수가 3개인 것도 가능하다.
예시도면 도5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혁대(60)를 채용하여 사용할 때 허리에 두른 혁대(60)의 가죽띠(32) 일측선단을 바클(30)에 집어넣어 적당한 크기로 조여주게 되는데, 이때 가죽띠(32)의 내측에 부착된 걸림띠(66)의 삼각걸림돌기(68) 수직부분을 고정구(45)이 걸림편(44)이 잡아주어 고정시킴으로써 가죽띠(32)가 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예시도면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걸림돌기(68)의 걸림편(44) 고정해제를위해 사용자가 바클(30)의 삽입홈(36)위로 돌출된 누름대(46)의 가이드부(47)를 누르게 되면 누름대(46)는 양 수핀날(48)의 첨단이 회동래(54)에 형성된 암핀날(52)의 첨단과 일직선상에 오도록 되어 있다가 누르는 힘에 의해 코일 스프링(50)의 탄지력을 이기고 누름대(46)가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암핀날(52)의 경사면(41′)을 수핀날(48)의 경사면(41)이 밀게 되어 회동대(54)가 좌우로 돌게 된다.
이와 같이 움직이는 회동대(54)는 고정구(46)의 장착홀(42)에 압입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46)도 회동대(54)와 같이 회동되어져 고정구(45)의 걸림편(44)이 가죽띠(32)의 삼각걸림돌기(68)에서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구의 상부를 누르면 상기 장착홀에 압입도니 회동대가 힌지편을 중심으로 좌우회동되면 고정구도 또한 회동대와 더불어 회동되기 때문에 고정구의 걸림편이 가죽띠의 단단한 수지재의 삼각걸림돌기에서 쉽게 빠지게 됨으로써, 가죽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혁대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착홀(42)과 걸림편(44)이 형성되도록 삼각형상의 고정구(45)가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구(45)의 장착홀(42)내로 하부에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수핀날(48)과 상부에 가이드부(47)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누름대(46)와 상기 누름대(46)를 탄지하도록 된 코일 스피링(50)과 상기 수핀말(48)의 첨단이 암핀날(52)의 첨단과 일직선상에 오도록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는 한쌍의 암핀날(52)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대(54)와 상기 회동대(54)의 요홈(55)에 끼워지도록 한 힌지편(56)이 순차적으로 내장되고, 가죽띠(32)가 삽입되어지는 버클(30)의 상단면(34)에 누름대(46)의 가이드부(47)가 끼워지도록 한 장방형의 삽입홈(36)과 바클(30)의 하단면(38)에 힌지편(56)이 삽입되도록 한 힌지홈(40)이 형성돈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대(46)의 하부에 경사면(41)과 수직면(43)을 갖도록 한 수핀날(48)의 수가 3개이고, 이 누름대(46)와 대응되는 회동대(54)의 암핀날(52)의 수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바클의 고정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223U 1996-07-26 1996-07-26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KR0140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223U KR0140016Y1 (ko) 1996-07-26 1996-07-26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223U KR0140016Y1 (ko) 1996-07-26 1996-07-26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331U true KR980006331U (ko) 1998-04-30
KR0140016Y1 KR0140016Y1 (ko) 1999-05-15

Family

ID=1946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223U KR0140016Y1 (ko) 1996-07-26 1996-07-26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0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0016Y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2962A1 (en) A clip assembly
US5943882A (en) Self sizing ring
US5002213A (en) Harness knife and sheath
US2641812A (en) Belt fastener
US4528726A (en) Cuff link
KR980006331U (ko)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US5129510A (en) Necklace storage apparatus
US4974429A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US3992757A (en) Adjustable side opening watchband buckle
US3204314A (en) Retractable prong belt buckle
US4486925A (en) Fastening buckle for chains, strings of beads, pearls and like jewelry
US4226350A (en) Pocket organizer
JP2004135724A (ja) 衣服用ベルト具
US2447350A (en) Clamping means for ear ornaments and other articles of jewelry
US4062089A (en) Clasp mechanism
KR200275436Y1 (ko) 낚시대 안전 받침간
US5414909A (en) Self-opening clothing fastener device
US2568845A (en) Detachable strap and clasp for use therewith
KR200320795Y1 (ko) 혁대용 버클
KR940002934Y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벨트 클립고정 장치
US737429A (en) Watch guard or protector.
KR970005447Y1 (ko) 혁대
US2258417A (en) Securing device for connecting flexible members together
JP3130987U (ja) ブローチ等の装身具
KR200183174Y1 (ko) 벨트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