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706690A - 비-비월 주사용 변환(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 Google Patents

비-비월 주사용 변환(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706690A
KR970706690A KR1019970701641A KR19970701641A KR970706690A KR 970706690 A KR970706690 A KR 970706690A KR 1019970701641 A KR1019970701641 A KR 1019970701641A KR 19970701641 A KR19970701641 A KR 19970701641A KR 970706690 A KR970706690 A KR 97070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luminance
image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다 고조
Original Assignee
요트. 게. 아. 롤페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 게. 아. 롤페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요트. 게. 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7070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6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용 필드 메모리의 수를 감소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세 개의 필드 메모리(53 내지 55)와, Y/C 분리기 및 움직임 감지기가 변환 장치 상에 정렬된다. Y/C 분리기에 의해 생성되는 휘도 신호와 색상 신호에 기초해서, 세 개의 휘도 신호와 세 개의 색상 차이 신호가 샘플(기준) 라인과 보완(complemented) 라인에 대해 생성된다. 상기 세 개의 휘도 신호와 세 개의 색상 차이 신호는 움직임 감지기의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서 선택된다. 선택이 수행되면, 움직임 픽셀에 대한 상기 휘도 신호와 색상 차이 신호는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발생되는 휘도 신호와 색상 차이 신호로 설정된다.

Description

비-비월 주사용 변환(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

Claims (3)

  1. 비월 주사 이미지 신호의 Y/C 분리, 및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한 비-비월 주사의 색상 차이 신호와 휘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하는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1의 휘도 신호와 제1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의 Y/C분리기와, 세 필드용 상기 이미지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구비하는 필드 메모리와,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와 상기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앞서 두 필드에서 발생된 필드 메모리 내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2의 휘도 신호와 제2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의 Y/C 분리기와,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앞서 각각 한 필드와 두 필드에서 발생된 필드 내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3의 휘도 신호와 제3의 색상신호를 발생하기위한 제2의 Y/C 분리기와, 상기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 및/또는 메모리 내에 기억된 상기 이미지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이미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기, 및 상기 움직임 감지기의 감지된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의 색상 신호와 상기 제1 내지 제3의 휘도 신호를 이용함으로서 비-비월 주사의 상기 색상 신호와 상기 휘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사형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
  2. 비월 주사 이미지 신호의 Y/C 분리, 및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한 비-비월 주사의 색상 차이 신호와 휘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하는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1의 휘도 신호와 제1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세 필드용 이미지 신호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와 상기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앞서 두 필드에서 발생되어 기억된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2의 휘도 신호와 제2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각각 상이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앞서 한 필드와 두 필드에서 발생되어 기억된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3의 휘도 신호와 제3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 및/또는 상기 기억된 이미지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의 색상 신호와 상기 제1 내지 제3의 휘도 신호를 이용함으로서 비-비월 주상의 색상 차이 신호와 휘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비월 주사용 변환 방법
  3. 비월 주사 시스템의 이미지 신호의 Y/C 분리, 및 상기 이미지 신호에 따라 비월 주사의 색상 차이 신호와 휘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하는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1의 휘도 신호와 제1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의 Y/C분리기와, 세 필드용 이미지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구비하는 필드 메모리와, 상기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와 가장 최근의 이미지 신호보다 두 필드 뒤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2의 휘도 신호와 제2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의 Y/C분리기와, 필드 메모리에 기억되고 한 필드 내지 세 필드 정도 지연된 이미지 신호에 기초해서 제3의 휘도 신호와 제3의 색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3의 Y/C분리기와, 이미지의 움직임이 상기 제2의 색상 신호에 의해 나타날 때 제1의 감지 신호를 유효한 상황으로 설정하고 이미지의 움직임이 상기 제3의 색상 신호에 의해 나타날 때 제2의 감지 신호를 유효한 상황으로 설정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기와, 상기 제1의 감지 신호가 유효한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1의 색상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의 감지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2의 색상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1의 스위치와, 상기 제1의 감지 신호가 유효한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1의 휘도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의 감지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2의 휘도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2의 스위치와, 상기 제2의 감지 신호가 유효한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1의 색상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감지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1의 스위치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3의 스위치와, 상기 제2의 감지 신호가 유효한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1의 휘도 신호를 선택하과 상기 제2의 감지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1의 스위치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4의 스위치와, 홀수 번째 필드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한 색상 차이 신호와 휘도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3의 스위치의 출력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 차이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홀수 번째 필드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한 색상 신호 및 휘도 신호와 상기 제2의 감지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3의 색상 신호에 기초한 색상 차이 신호와 휘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5 및 제6의 스위치, 및 상기 제5 및 제6의 스위치가 제3의 스위치로 선택될 때 상기 제4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5 및 제6의 스위치가 상기 제3의 색상 신호로 선택될 때 상기 제3의 휘도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7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비월 주사용 변환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701641A 1995-07-13 1996-07-03 비-비월 주사용 변환(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KR970706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00582A JPH0937298A (ja) 1995-07-13 1995-07-13 順次走査変換装置
JP95-200582 1995-07-13
PCT/IB1996/000638 WO1997003520A2 (en) 1995-07-13 1996-07-03 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690A true KR970706690A (ko) 1997-11-03

Family

ID=1642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641A KR970706690A (ko) 1995-07-13 1996-07-03 비-비월 주사용 변환(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54245A (ko)
EP (1) EP0786185A1 (ko)
JP (1) JPH0937298A (ko)
KR (1) KR970706690A (ko)
MY (1) MY133651A (ko)
WO (1) WO19970035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21B1 (ko) * 2001-10-20 2005-12-02 트라이던트 마이크로시스템즈, 인크. 3d y/c 콤 필터 및 비월-순차 변환기의 단일-칩 집적을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6198B2 (ja) * 1996-10-31 2006-10-18 株式会社フィリップス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 Y/c分離装置
US6208382B1 (en) * 1998-07-29 2001-03-27 Florida Atlantic University Color video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880B1 (ko) * 1983-07-25 1991-12-03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인터레이스된 텔레비젼 신호중의 화상의 움직임 검출회로
US4626892A (en) * 1984-03-05 1986-12-02 Rca Corporation Television system with menu like function control selection
US4672867A (en) * 1985-08-05 1987-06-16 Lisle Corporation Flexplate turning tool
US4882765A (en) * 1987-05-22 1989-11-21 Maxwell Ray F Data transmission system
JP2880168B2 (ja) * 1988-04-25 1999-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拡大表示可能な映像信号処理回路
JPH0229178A (ja) * 1988-07-19 1990-01-31 Sony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
US4967271A (en) * 1989-04-05 1990-10-30 Ives C. Faroudja Television scan line doubler including temporal median filter
US5428398A (en) * 1992-04-10 1995-06-27 Faroudja; Yves 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rom a standard-bandwidth television signal a signal which when reproduced provides a high-definition-like video image relatively free of artifa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21B1 (ko) * 2001-10-20 2005-12-02 트라이던트 마이크로시스템즈, 인크. 3d y/c 콤 필터 및 비월-순차 변환기의 단일-칩 집적을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03520A2 (en) 1997-01-30
WO1997003520A3 (en) 1997-03-13
US5754245A (en) 1998-05-19
MY133651A (en) 2007-11-30
JPH0937298A (ja) 1997-02-07
EP0786185A1 (en) 199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35448A (ko) 방향성 에지 보간을 사용한 모션 적응 스캔-율 변환
KR870001724A (ko) 연속 주사표시시스템
KR950035441A (ko) 프레임-주파수 변환장치
KR880004676A (ko) 틈 신호 발생 시스템
KR970058055A (ko) 더블 스캔 방식의 입체 tv
KR900002655A (ko) 보간신호 생성회로
KR970706690A (ko) 비-비월 주사용 변환(Conversion for non-interlaced scanning)
KR960033020A (ko)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ATE266295T1 (de) Scanning-umsetzschaltung
KR970004741A (ko) 부화면영상신호 수직압축회로
KR910001368A (ko) 차량의 운전상태 검출장치
KR970014390A (ko) 특징점에 의한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KR960028398A (ko) 오디오/비디오입력의 자동절환장치
KR970705309A (ko) 라인수 변환 기능을 갖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with line number conversion)
KR960039839A (ko) 진행형 스캔 텔레비젼
KR970072961A (ko) 주사선 변환장치
KR940017935A (ko) 손가락 모양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KR970004803A (ko) 와이드비전의 자동 화면비 변환회로
KR910008383A (ko) 부호기
KR940012835A (ko) 입력신호 자동절환회로
KR980007696A (ko) 감시 카메라
KR970058665A (ko) 내시경 영상제어시스템
KR960020343A (ko) 입력신호 자동선택장치
KR970056812A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멀티 대응 수평크기 자동 변환회로
KR940010667A (ko) 적응적 주사선 내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