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55847A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55847A
KR970055847A KR1019950053316A KR19950053316A KR970055847A KR 970055847 A KR970055847 A KR 970055847A KR 1019950053316 A KR1019950053316 A KR 1019950053316A KR 19950053316 A KR19950053316 A KR 19950053316A KR 970055847 A KR970055847 A KR 970055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function
clock
communic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6389B1 (ko
Inventor
정현숙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5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389B1/ko
Publication of KR97005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 산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환기를 활용하여 개인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지국 제어장치를 실현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국내 산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환기 TDX-10 개량형을 활용하여 개인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지국 제어장치를 이용해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Claims (4)

  1. 서로 통신하면서 다수의 유/무선 가입자가 원하는 상대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개인통신망과 이질적인 타망과의 연동 기능을 갖는 제1, 제2교환기(Mobile-Service Switching Center; MSC)(10,12)와; 가입자 위치 등록 및 갱신, 삭제 기능,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등록된 단말기(Mobile Station; MS) 프로파일 관리 그리고 PEI(Portable Equipment Identity)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전체 가입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교환기(Mobile-Service Switching Centre; MSC)(10,12)가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할시 해당 정보를 각각 인가해 주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14)와;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14)가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의 인증을 관리하는 인증 센터(AUthentication Centre; AUC)(16)와; 상기 제2교환기(12)에 의해 교환 기능을 제공받으며, 각각 다수의 해당 기지국(Base Trannsceiver Station; BTS)을 제어하는 제1, 제2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DSC)(18,20)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DSC)(18)의 제어를 받아 자신의 영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기(Mobile Station;MS)와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Mobile Station;MS)의 무선이동통신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제2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22,24)과; 상기 제2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DSC)(20)의 제어를 받아 자신의 영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기(Mobile Station; MS)와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Mobile Station; MS)의 무선이동통신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 제4기지국(Base Trannsceiver STation; BTS)(26,28)과; 해당 상기 제1, 제2, 제3, 제4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22,24,26,28)가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이동통신하는 제1, 제2, 제3, 제4 단말기(Mobile Station; MS)(30,32,34,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DSC)(18,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DSC)는, 다수의 상위 레벨 프로세서(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를 갖고 있으며, 기지국과 교환기와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 자원 관리 및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RCIS(Radio Control & Interworking Subsystem)(100)와; 상기 RCIS(Radio Control & Interworking Subsystem)(100)내의 상위 레벨 프로세서(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간 고속 통신을 위해 HIPC(High Spe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를 제공하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용 보전관리 기능을 위한 운용자 정합기능, OMC(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와의 정합 기능 및 경보 패널유니트(APU)를 제공하는 BMS(BSC Management Subsystem)(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이동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CIS(Radio Control & Interworking Subsystem)(100)는, 디지탈 중계선 정합기능, 링크 장애 감지 및 경보 송출 기능, 서브하이웨이(S)로 타임스위치와 정합하는 기능, TD-BUS(T)를 통하여 프로세서 DCIP(Digital CEPT Interface Processor)와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TD-BLS(T)를 통하여 하위 레벨 프로세서인 DCIP(Digital CEPT Interface Processor)와 정합하는 제1, 제2 DCIU(Digital CEPT Interface Unit)(102,104)와; 상기 제1, 제2 DCIU(Digital CEPT Interface Unit)(102,104)사이에서 타임 슬롯 교환기능을 수행하며, TD-BUS(T)를 통하여 프로세서 TSP(Time Switch Processor)와 정합하는 TSU(Time Switch Unit)(106)와; 음성코딩 변환 기능, 데이타 속도 정합 기능, DTX 운용시 배경 잡음(Comfort Noise)을 발생하는 기능, 서브하이웨이(S)로 상기 TSU(Time Switch Unit)(106)와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TD-BUS(T)를 통하여 하위 레벨 프로세서인 TRAP(Transcoder & Rate Adaptation Processor)와 정합하는 TRAU(Transcoder & Rate Adaptation Unit)(108)와; LAPD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기능, 서브하이웨이9S)로 상기 TSU(Time Switch Unit)(106)와 정합하는 기능, TD-BUS(T)를 통하여 프로세서 DSHP(Digitsl Signalling Handing Processor)와 정합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CCS7 MTP 레벨 2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DSTU(D. ch Signalling Terminal Unit)(110)와; 상기 TSU(106)의 서브하이웨이(S)에 접속되며, 다수개의 신호링크를 수용하는 DSTU(CCS7 Signalling Terminal Unit)(112)와; 상기 TSU(106) 및 상기 제2 DCIU(Digital CEPT Interface Unit) 104에 접속되며, 국사내 집중화된 외부 동기 기준 클럭(DOTS)에서 공급되는 2048Kbps 및 64/8 Kbps 복합 클럭 신호에 내부 클럭을 동기시킬 수 있는 외부 종속 동기와 교환기 로부터의 입력 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시스템의 클럭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 종속 동기와 외부 종속 동기 또는 수신 종속 동기 모드의 동작이 불가능할 때 장치 내에 있는 자체 클럭에 의해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내부 동기 모드중 운용 방식에 따라 한 모드로 내부 클럭을 동기시켜 사용하는 RNES(Network Synchronization)(114)와; PCM 링크 장애 경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 제2 DCIU(Digital CEPT Interface Unit)(102,104)의 전원 장애, 보드 탈장, 케이블 탈장 등의 경보 수신 기능; TD-BUS(T)를 통하여 E1 중계선 정합 회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글로발 버스(G)를 통하여 상위 레벨프로세서인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와 통신하는 제1, 제2 DCIP(Digital CEPT Interface Processor)(116,118)와; TD-BUS(T)를 통하여 상기 TSU(106)의 장애를 감시하며, 상기 TSU(106)의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제어하며, 글로발 버스(G)를 통하여 상위 레벨 프로세서인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와 통신하는 TSP(Time Switch Processor)(120)와; D 채널 계층 3신호 처리 기능, 무선 링크 품질 측정 데이타 전처리(Pre-processing)기능, 상기 DSTU(D. ch Signalling Terminal Unit)(110)의 실, 탈장상태 감지 및 정상 동작 상태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글로발 버스(Global BUS)(G)를 통하여 상위 레벨 프로세서인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와 통신하는 DSHP(Digitsl Signalling Handling Processor)(121)와; MTP 레벨 3의 신호 메시지 처리(Signalling Massage Handling) 기능 수행,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의 라우팅 및 신호 연결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며, 글로발 버스(G)를 통하여 상위 레벨 프로세서인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와 통신하는 CSHP(CCS7 Signalling Handling Processor)(122)와; 상기 TRAU(Transcoder & Rate Adaptation Unit)(108)의 동작 상태 감시 및 상기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108) 시험 가능, 전송 모드 변경을 제어하는 기능 수행하며,글로발 버스(G)를 통하여 상위 레벨 프로세서인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와 통신하는 TRAP(Transcoder & Rate Adaptation Processor)(124)와; 셀 형상 데이타 관리, 셀 기술 데이타 관리, 셀 측정 주파수 데이타 관리 등의 무선 자원 관리, 페이징, 무선 자원의 신호 채널 및 트래픽 채널 할당, 핸드오버 등의 호제어 기능, 하위 레벨 프로세서의 운용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1, 제2 RCP(Radio resource Control Processor)(126,128)와; 상기 RNES(114)에 접속되어 ipc 메시지의 삽입 및 추출 기능 그리고 데이타 링크를 제어 관리하는 RDL(13)과; 상기 RNES(114) 및 상기 RDL(130)를 제어하는 RLIP(132)와; 하드웨어 경보 수집 및 이를 보고하는 RCMP(RCIS Maintenalce Processor)(134)와; 상기 RCMP(RCIS Maintenance Processor)(134)로부터의 경보를 수집하는 FI(Fault Interface, 장애 정합 유니트)(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MS(BSC Management Subsystem)(200)는, 상기 상위 레벨 프로세서 제1, 제2RCP(126,128)간의 고속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HIPC(High Spe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202)와; 상기 HIPC(High Spe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202)에 접속되어, 운용자 정합을 위한 I/O(Input/Output) 포트를 제공하며, 시스템 프로그램 및 데이타 관리 기능, 시스템 내부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 운용유지보수센터(OMC(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와의 정합 기능,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BMP(BSC Managment Processor)(204)와; 경보를 수집하는 FI(Fault Interface, 장애 정합 유니트)(210)와; 상기 HIPC(High Spe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202)에 접속되어 해당 기지국 제어부의 모든 소프웨어 및 하드웨어 경보 처리 기능, 기설정된 APC(Alarm Panel Control)(208)를 통한 가시 및 가청 경보 구동 기능 등을 수행하며 상기 FI(Fault Interface, 장애 정합 유니트)(21)를 제어하는 BMMP(BMS Maintenance Processor)(206)와; 상기 HIPC(High Spe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202)와 상기 RDL(130)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타 에러를 검출하며 클럭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CDL(216)과; 상기 CDL(216)을 제어하는 CLIP(212)와; 상기 CLIP(212)와 상기 CDL(216) 사이에 접속되어 국사내 집중화된 외부 동기 기준 클럭(DOTS)에서 공급되는 2048Kbps 및 64/8Kbps 복합 클럭 신호에 내부 클럭을 동기시킬 수 있는 외부 종속 동기와 교환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시스템의 클럭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 종속 동기와 외부 종속 동기 또는 수신 종속 동기 모드의 동작이 불가능할 때 장치 내에 있는 자체 클럭에 의해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내부 동기 모드중 운용 방식에 따라 한 모드로 내부 클럭을 동기시켜 사용하는 CNES(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53316A 1995-12-21 1995-12-2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KR017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316A KR0176389B1 (ko) 1995-12-21 1995-12-2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316A KR0176389B1 (ko) 1995-12-21 1995-12-2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47A true KR970055847A (ko) 1997-07-31
KR0176389B1 KR0176389B1 (ko) 1999-05-15

Family

ID=1944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316A KR0176389B1 (ko) 1995-12-21 1995-12-2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269B1 (ko) * 1999-11-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 단말기간 동기화 시스템 및동기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60B1 (ko) * 2000-11-21 2007-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269B1 (ko) * 1999-11-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 단말기간 동기화 시스템 및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6389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6505B (fi) Langattoman tilaajaliittymän toteuttava radiojärjestelmä sekä tilaajalaite radiojärjestelmää varten
FI100084B (fi) Radiopuhelinliikenteen solukkojärjestelmä, joka on varustettu suojauks ella puhelunmenetystä vastaan
CN101904192B (zh) 移动核心网络节点冗余
WO1999045734A1 (en) Load balancing of ongoing calls between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JPH08506472A (ja) 通信システム内の局部装置間で通信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11178074A (ja) Iwwsの呼接続方法
EP2237605B1 (en)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without establishing a connection
CA2449453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interconnections in mobile communications
KR970055847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FI105436B (fi) Menetelmä tietoliikennekanavan vaihta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KR0154466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2569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KR950009400B1 (ko) 프레임 릴레이 방식의 이동통신 기지국 제어 장치
KR0161158B1 (ko) 전전자 교환기를 이용한 다층셀 구조에서의 셀 선택 방법
KR100311311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일반 호 설정 및해제 시험 방법
KR100320324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핸드오프시험 방법
KR100311312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멀티미디어 호설정 시험 방법
KR100387041B1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276765B1 (ko) 셀룰라시스템의통화루프형성방법
KR20000007834A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장치
KR100311313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인터넷 호 설정및 해제 시험 방법
KR20010001284A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의 위치등록절차 시험방법
KR2001010569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시 패킷 호 착신처리 방법
KR100271307B1 (ko) Imt-2000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능망에서의 입호 처리 방법
KR20010018262A (ko)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제어국의 노드장애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