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5283A -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serial resonance type converter system for induction heating cooker)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serial resonance type converter system for induction heating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25283A KR970025283A KR1019950034193A KR19950034193A KR970025283A KR 970025283 A KR970025283 A KR 970025283A KR 1019950034193 A KR1019950034193 A KR 1019950034193A KR 19950034193 A KR19950034193 A KR 19950034193A KR 970025283 A KR970025283 A KR 970025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 input
- terminal
- oscillation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교류전력원(1)과; 상기 교류전력으로부터 직류전력을 얻는 직류전력원(100)과; 제1 트랜지스터(210) 및 제1 다이오드(220)와 제2트랜지스터(230) 및 제2 다이오드(240)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각각 은 스위칭주파수신호에의해 온/오프되며, 스위칭수단(210,220,230,240)과,상기 스위칭수단에 순차로 직력연결되는 인덕터(250) 및 제1 커패시티(260)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인덕터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공진으로 인해 상기 인덕트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의 자계를 이용하여 부하를 가열하는 유도가열수단(200)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구동을 위해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발진수단(400)과;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상응하게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는 구동수단(300)과; 상기 교류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직류전력원(100)으로 흐르는 입력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전류의 양에 따라서 상기 발진수단(400)의 상기 입력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력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입력전류제어수단(500)과; 상기 인덕터(250)을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Ir)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공진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상이면 상기 발진수단(400)의 상기 입력전압의 크기를 즐이는 것에 의해 상기 공진전류(Ir)의 양을 줄이는 공진전류제한수단(600)과; 상기 발진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수단으로 상기 발진신호가 제공될 때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동시에 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드타임을 상기 구동수단에 제공하는 데드타임발생수단(700)과; 상기 교류전력원(1)으로부터의 상기 입력전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발진수단(400)으로부터의 상기 발진신호가 상기 구동수단으로 제공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입력전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진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발진신호가 상기 구동수단으로 제공되지 않게 하는 부하 유무판별수단(900)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제어수단(500)은 상기 교류전력원(1)에 연결되어서 상기 입력전류를 변류하는 제1 변류수단(10)과, 상기 제1 변류수단에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제1 정류수단(510,51l,512)과, 상기 제1 정류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서 그것의 출력을 평활하기 위한 제2 커패시터(513)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음의 단자에 연결되어서 소정의 제1 기준전압(V1)을 발생하는 제1 기준전압발생수단(Vcc,515,516)과, 반전입력단자가 저항(514)을 통하여 상기 제2 커패시터(5l3)의 양의 단자에 연결되고 그리고 출력단자가 저항(541)을 통하여 상기 발진수단(40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서 두 입력전압의 차전압을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520,521,522)과, 상기 제1 중폭수단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어서 상기 공진저류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는 소프트-스타트수단(530)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타트수단(530)은 상기 제l 증폭수단의 상기 비반전단자에 연결되어서 소정의 제2 기준전압(V2)을 발생하는 제2 기준전압발생수단(Vcc,531,532)과, 상기 제1 증폭수단의 상기 비반전입력단자와 접시 사이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2 기준전압발생수단과 각각 병렬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533) 및 노멀리-온 스위치(534)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전류제한수단(6O0)은 상기 인덕터(250)와 상기 제1커패시터(260)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공진전류를 변류하는 제2 변류수단(270)과, 상기 제2 변류수단에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제2 정류수단(610,611,612)과, 상기 제2정류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서 그것의 출력을 평활하기 위한 제3 커패시터(613)와, 상기 제3커패시터의 양의 단자에 반전입력단자가 연결되어서 두 입력전압의 차전압을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620,613,614)과, 상기 제2증폭수단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어서 소정의 제3 기준전압(V4)를 발생하는 제3 기준전압발생수단(621,622)과, 상기 제2증폭수단의 출력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되고 상기 발진수단(400)의 상기 입력단에 애노우드가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38)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제l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타임발생수단(700)의 출력신호의 위상과 소정의 기준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발진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에 스위칭주파수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차보정수단(800)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보정수단(800)은 소정의 제4기준전압(V5)을 발생하는 제4기준전압발생수단(Vcc,811,812)과, 상기 제2변류수단(270)이 일 단자에 연결됨과 아울러 저항(813)을 통하여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비반전입력단자와 상기 제4기준전압발생수단에 연결되는 반전입력단자를 갖고 그리고 상기 제4기준전압과 입력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수단(810)과, 상기 저11 비교수단의 출력신호(V6)의 위상과 상기 데드타임발생수단(700)의 출력신호(V7)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비교수단(820)과, 위상차의 제한을 위한 소정의 기준위상차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차제한수단(830)과, 저항(821)을 통하여 상기 위상비교수단(82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반전입력단자와 상기 위상차제한수단에 연결되는 비반전입단자를 갖고 그리고 두 입력전압의 차전압을 중폭하는 제3 증폭수단(840,841,842)과, 상기 제3 증폭수단의 출력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되고 상기 발진수단(400)의 입력단에 애노우드가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850)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유무판별수단(900)는 상기 제2 커패시터(513)의 양의 단자에 비반전입력단자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입력전류제어수단(500)의 출력단에 반전입력단자가 연결되어서 두 입력을 비교하는 제2비교수단(910)과, 상기 제2비교수단의 출력신호(V12)가 소정의 레벨로 되는 것에 의해 무부하운전상태를 나타낼 때 상기 구동수단(3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보호수단(920)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4193A KR0158503B1 (ko) | 1995-10-06 | 1995-10-06 |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4193A KR0158503B1 (ko) | 1995-10-06 | 1995-10-06 |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5283A true KR970025283A (ko) | 1997-05-30 |
KR0158503B1 KR0158503B1 (ko) | 1998-12-15 |
Family
ID=1942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4193A Expired - Fee Related KR0158503B1 (ko) | 1995-10-06 | 1995-10-06 |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85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8411B1 (ko) * | 2012-04-04 | 2013-09-13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고속 공진점 추종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유도가열시스템 |
KR20240016530A (ko) * | 2022-07-29 | 2024-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장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
-
1995
- 1995-10-06 KR KR1019950034193A patent/KR015850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58503B1 (ko) | 1998-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51287B1 (en) | High frequency power supply using a non-saturating magnetic amplifier controller | |
CA1160297A (en) | Induction heating apparatus incorporating an inverter circuit capable of broad output control | |
US5761055A (en) | Driving pulse output limiting circuit | |
US4709316A (en) | Single-ended DC-to-DC converter with lossless switching | |
JP3392128B2 (ja) | 共振インバータ | |
US5270904A (en) | Switching power apparatus with 3-state driver | |
US4847742A (en) | Multi-channel inverter circuit | |
US4962292A (en) |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having digital controlled inverter | |
US5222015A (en) | Inverter power supply with input power detection means | |
US6335520B1 (en) | Microwave ove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950035023A (ko) | 인버터의 전력 제어 회로 | |
JP2716105B2 (ja) | 交番定電流回路 | |
KR970025283A (ko) |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serial resonance type converter system for induction heating cooker) | |
EP0477587A1 (en) | Power apparatus | |
US4017786A (en) | Transformer saturation control circuit for a high frequency switching power supply | |
JP2532355B2 (ja) | インバ−タ装置 | |
KR100537721B1 (ko) | 마이콤용 레귤레이터 | |
JPH05928B2 (ko) | ||
KR920021938A (ko) | 전자렌지의 안정 구동 회로 | |
JPS6126306B2 (ko) | ||
JP3070249B2 (ja) | 高周波インバータ | |
KR930011814B1 (ko) | 인버터 전자레인지의 스위칭소자 구동회로 | |
KR0158499B1 (ko) |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
JP2004030089A (ja) | 交流電圧調整装置 | |
JPH0530742A (ja) | 直列共振コンバータ制御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2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