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33B1 -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33B1
KR970011433B1 KR1019940028663A KR19940028663A KR970011433B1 KR 970011433 B1 KR970011433 B1 KR 970011433B1 KR 1019940028663 A KR1019940028663 A KR 1019940028663A KR 19940028663 A KR19940028663 A KR 19940028663A KR 970011433 B1 KR970011433 B1 KR 97001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earch
electronic
user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93A (ko
Inventor
연승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4002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433B1/ko
Publication of KR96002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팀 연결 구성도.
제 2 도는 본 말명에 따른 공동전화기 제어장치의 구성 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 외관의 기능 배치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액정패널부가 나타내는 검색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제 3 도의 다이얼 버튼군을 나타낸 도면.
제 6 도는 제 3 도의 검색 버튼군을 나타낸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조회 및 출력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국11 : 전자전화번화부 시스팀
12 : 교환기13 : 공중전화기
21 : ROM22 : RAM
23 : 중앙처리장치24 : 모뎀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에서 전화번호부를 검색할 수 있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년 수백만권씩 발간되는 전화번호부는 제작비 및 책자 유실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과, 노인이나 어린이의 전화번호부 검색에 어려움이 있었고, 114안내시스팀의 안내요원 확충의 한계로 인하여 서비스 요구가 증가할 시에 통화중으로 서비스를 받기 힘들며, 항시 대기요원들이 24시간 철야로 서비스에 종사함에 따른 과다한 인건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공중전화기는 하드 디스크나 메모리 칩들이 저용량에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액정패널기의 개발이 뒤떨어져 있어 고급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비용대 효과가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재 안내요원이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는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EDS)을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증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는, 전화국내의 교환기에 연결되는 공증전화기와, 상기 교환기에 접속되는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을 구비하는 공중전화시스팀에 적용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검색조회 및 출력 프로그램과 한글/영문 자모 모뎀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정보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을 검색하고 검색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간의 통신접속을 수행하는 모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은,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증전화기의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중앙처리수단이 저장수단내의 기본환경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환경설정을 완료하고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의 검색요구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검색요구가 있으면, 모뎀을 통해 전자전화번호부시스팀에 접속하여 프로그램 대기상태가 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대기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자료를 검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중앙처리수단이 자료를 찾으면,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가 선택하는 전화번호로 콜링(Calling)하여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팀 연결 구성도로써, 공중전화기(13)는 전화국(10)내의 교환기(12)에 연결되며, 상기 교환기(12)는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 접속된다.
상기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 저장되는 일반적인 전화번호정보량은 성명 또는 상호명, 주소, 전화번호로 구성되어 있어, 한 가입자의 정보량은 30자 이내(60Byte)의 정보량으로 증대규모 도시의 100만 가입자를 계산할 때 6,000만 바이트, 즉 60MByte 정도로써 충분히 수용 가능하지만 서울과 같은 대규모 가입자가 있는 곳(약 500만 가입자 : 300MByte)은 용량이 큰 저장장치를 사용하고, 공중전화기 자체내의 CPU(Central Processor Unit)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공중전화기 용량에다 검색조회 및 출력프로그램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의 것으로 교체한다.
그리고 전화번호부 자룐느 전화가설 및 철거 이전과 동시에 전화국 직원에 의하여 수시로 변경되는 자료로, 가장 최근의 내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변경 즉시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전화국내의 전자전화번호 시스팀에 저장되며, 보호되어야 하는 번호에는 가입자가 접근할 수 없게 프로그램상에서 처리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 제어장치의 구성 블럭도로써, 검색조회 및 출력 프로그램과 한글/영문 자모 모뎀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의 ROM(Read Only Memory)(21)과, 상기 ROM(21)의 정보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omory)(22)과, 상기 ROM(21)의 정보를 상기 RAM(22)에 놓고 버튼의 입력에 따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2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3)에 연결되어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 접속되는 모뎀(24)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중전화기는 검색 및 호설정(Calling)에 관련되는 제방 프로그램을 별도의 저장장치로 ROM(21)에 저장하고 항상 RAM(22)상에 로드(Load)되도록 하며, 또한 공중전화기에 추가로 들어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3), RAM(22), ROM(21)등이 저전력형 부속품이기 때문에 전원은 기존의 전원공급 장치로도 가능하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 외관의 기능 배치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기는, 카드의 잔액, 조회패널, 검색결과 표시부 등의 검색정보를 한 화면에 처리되도록 한 액정패널부(31)와, 다이얼링하기 위한 다이얼 버튼군(32)과, 표준 컴퓨터 자판의 배열을 변경하여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글 및 영문의 입력이 가능한 검색 버튼군(33)과, 공중전화 카드를 입력하기 위한 카드 투입구(34)와,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화기(35)를 구비한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액정패널부(31)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현재 요금 및 통화가능시간을 나타내는 카드정보부(41)와, 이름, 상호 및 지역을 나타내는 자료입력부(42)와, 검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검색결과부(43)와, 선택된 전화번호를 즉시 다이얼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완료 버튼(44)과,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 버튼(45)과, 검색영역스크롤을 위한 것으로 상향 화살표가 표시된 상향 스크롤 버튼(46)과, 하향 화살표가 표시된 하향 스크롤 버튼(47)이 있음을 보인다.
상기 액정패널부(31)가 넓으면 파괴의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자료입력부(42)와 검색결과부(43)의 사이와 이름과 상호, 상호와 지역명사이에 외관과 같은 재질로 액정 패널부(31)를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 버튼군(32)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검색 버튼군(33)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 버튼군(32)의 오른편에 배열하고 한글의 24 자모와 26자의 알파벳을 모두 수용하며, 이와는 별도로 한/영 전환 버튼(62), 쌍자음과 쌍모음을 위한 윗자 버튼(64)이 있다.
또한, 다이얼 버튼군(32)과 검색 버튼군(33) 사이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하여 토글(Toggle)형태의 기능선택 버튼(61)과 검색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완료 버튼(63)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증가되는 버튼의 총 수는 검색 버튼군(33)의 31개 버튼과 액정패널부(31)의 4개 버튼으로 35개이다.
상기와 같은 공중전화기의 사용은, 사용자가 기존의 방법처럼 수화기를 들고 동전이나 카드를 투입한후,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기능선택 버튼(61)을 눌러 이름과 지역명을 입력하여 찾고자 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동명이인의 경우에는 상하 스크롤버튼(46,47)으로 검색하고 찾는사람 주소의 전화번호 위치에서 선택완료 버튼(44)을 눌러 다이얼 한다.
그런데 현재 공중전화기와 전화국간의 아날로그 신호 형태는 PSTN(Public Su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구성되어 있어, 직접적으로 검색 버튼군(33)의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으로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 접속해야 하고, 단일 전화선내에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탈 신호를 동시에 수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이얼 버튼군(32)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기능선택 버튼(61)의 토글(Toggle)로 아날로그 신호로 교환기와 접속 처리하고, 다시 토글로 검색 버튼군(33)을 선택하면 PSDN으로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 접속하여 검색완료 후, 호접속(Calling)시에는 다시 PSTN으로 접속하는 루틴을 형성한다. 단 이러한 형태의 시스팀은 현재와 같은 아날로그 형태 위주의 통신망 상에서 처리하는 방식이고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처럼 디지탈 위주의 통신망상에서는 신호의 변경없이 단일 신호로 처리한다. 이 때 PSDN으로 접속하기 위한 보조장비로 모뎀(24)이 필요한데, 전송속도에 따라 가격차이가 있기 때문에 2,400bps, 9,600bps 14,400bps 그 이상 중에 타당성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 적용한다.
그리고 시스팀을 운영하기 위한 여러가지 종류의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전화번호를 공개해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전화번호공개/비공개 루틴과, 많은 호출이 114번호와 유사한 집중전화번호를 사용할 것인데 이를 적절히 114안내시스팀에 분배하는 프로그램과, 이 검색시스팀이 유료 서비스화 되었을 때의 과금계산 프로그램과, 검색조회 프로그램과, 전화번호 가설, 철거, 이전에 따른 전화번호최적유지 프로그램은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검색조회 및 출력을 위해 공중전화기에서 별도로 운용되는 프로그램으로써, LCD화면에 Emulator방식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해주는 루틴과, 카드저보를 읽어서 표시하는 루틴과, 통화량 계산 루틴과, 버튼입력 및 표시 루틴과,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루틴과, 조회 스크롤 루틴과, 선택완료 루틴과, 기능선택 및 선택완료 버튼에 따른 신호변환 루틴 등을 다음의 제 7 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조회 및 출력 처리 흐름도로써, 전원이 켜지면 중앙처리장치(23)는 ROM(21)상의 기본환경 프로그램을 무조건 수행하여 환경설정을 완료하고(701), 카드 투입구(14)로 입력된 카드의 정보를 읽어 금액을 표시한다(702). 그리고 기능선택 버튼(61)으로 검색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703), 검색요구가 없으면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할 수 있는 다이얼 버튼상태(704)에서 통화가능량을 계산하여 표시하고(705), 검색요구가 있으면 모뎀(24)에 접속한다(706).
이제 사용자가 프로그램 대가상태에서 자료입력부(22)에 커서를 이동하여 (707), 검색자료의 입력을 완료하면(708,709), 중앙처리장치(23)는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으로 데이타를 전송한다.(710). 상기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은 검색프로그램을 구동하고(711), 검색 데이타를 찾았는지 확인하여(712), 찾지못했으면 재시도 여부를 판단한다(713).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재시도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자료를 입력하는 단계(708)로 복귀하고, 재시도를 하지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61)을 눌러(714), 다이얼 버튼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하도록 하고 (715), 통화가능량을 표시한 후(716), 통화로를 설정한다(717).
한편 상기 검색 데이타를 찾았으면 중앙처리장치(23)는 자료전송 및 표시하고(718), 사용자가 상하스크롤 버튼으로 선택한 전화번호로 콜링(Calling)하면서 모뎀(24) 접속을 차단한다(719). 그리고 PSTN망에 접속하고(720), 통화가능량을 표시한 후(712), 통화를 설정하며(722), 송수화기 반환에 다라 무조건 다이얼 버튼상태를 유지한다(723).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공중전화기 자체에서 버튼의 조작만으로 검색하여 다이얼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전화번호부 제작비와 114 전화번호안내 운영비 등에 대한 경제적인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국(10)내의 교환기(12)에 연결되는 다수의 공증전화기(13)와, 상기 교환기(12)에 접속되는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을 구비하는 공중전화시스팀에 적용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검색조회 및 출력 프로그램과 한글/영문 자모 모뎀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ROM)(21), 상기 저장수단(21)의 정보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수단(RAM)(22), 사용자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21,22)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을 검색하고 검색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앙처리수단(23), 상기 중앙처리수단(23)과 상기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간의 통신접속을 수행하는 모뎀(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2.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중앙처리수단(23)이 저장수단(21)내의 기본환경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환경설정을 완료하고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의 검색요구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검색요구가 있으면, 모뎀(24)을 통해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 접속하여 프로그램 대기상태가 되는 제 2 단계, 상기 프로그램 대기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전화번호부 시스팀(11)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자료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상기 중앙처리 수단(23)이 자료를 찾으면,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가 선택하는 전화번호로 콜링(Calling)하여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수행 후,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자료를 찾지 못하면 재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재시도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단계로 복귀하고 재시도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하도록 다이이얼 버튼상태가 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수행 후, 검색요구가 없으면 다이얼 버튼상태에서 통화가능량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전화기의 제어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검색자료를 중앙처리수단(23)이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선택하는 전화번호로 콜링(Calling)하는 제 8 단계, 상기 전화번호를 콜링한 후, 모뎀접속을 차단하고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에 접속하는 제 9 단계, 상기 PSTN망 접속후, 사용자 카드의 통화가능량을 표시하고 통화를 설정하며 송수화기가 반환되면 다이얼 버튼상태가 되는 제 1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
KR1019940028663A 1994-11-02 1994-11-02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1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663A KR970011433B1 (ko) 1994-11-02 1994-11-02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663A KR970011433B1 (ko) 1994-11-02 1994-11-02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93A KR960020293A (ko) 1996-06-17
KR970011433B1 true KR970011433B1 (ko) 1997-07-10

Family

ID=1939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663A KR970011433B1 (ko) 1994-11-02 1994-11-02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4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9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546A (en) Memory dialing control system having improved telephone number retrieval function by using history information
US20020041292A1 (en) Method of displaying menus in mobile telephones
US4852156A (en) Private telephone system using a personal code number to access the telephone nearest to the code number holder
GB2321824A (en) Phone number database
KR930024403A (ko) 교환 시스템의 가변 다이알링 방법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JPH11234387A (ja) 携帯型電話機の電話帳メモリ検索方法とその装置
US5412713A (en) Display for a telephone terminal
KR20020083216A (ko) 전자 전화번호부의 즐겨찾기 방법 및 장치
KR970011433B1 (ko) 전자전화번호부 검색 공중전화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933058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211738B1 (ko) 이동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다이얼방법
KR950012592B1 (ko) 다기능 스마트카드 전화기 시스템
KR100639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관리방법
Matsuo et al. Personal telephone services using IC-cards
JPH0282855A (ja) 電子電話帳方式
KR0152768B1 (ko) 팩시밀리의 전화거는 방법 및 시스템
JPS6135043A (ja) メモ電話装置
JP2000032113A (ja) 電話端末における番号表示機能
JP2823296B2 (ja) 電話システム
KR1006056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이동방법
KR200200546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등록방법
KR920001683B1 (ko) 전자식 간이교환기 및 사설교환기에서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JPH0470049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H0470048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