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449B1 -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449B1
KR970009449B1 KR1019940018792A KR19940018792A KR970009449B1 KR 970009449 B1 KR970009449 B1 KR 970009449B1 KR 1019940018792 A KR1019940018792 A KR 1019940018792A KR 19940018792 A KR19940018792 A KR 19940018792A KR 970009449 B1 KR970009449 B1 KR 97000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ynchronizing signal
signal
microprocessor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515A (ko
Inventor
황윤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449B1/ko
Publication of KR96000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comput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니터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모드 선택 과정을 보인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20 : 비디오 보오드
30 : 음극선관 40 : 온 모드 구동부
50 :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 60 : 오프 모드 구동부
70 : 대기 모드 구동부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의해 서스팬드 모드 또느 오프, 대기 모드가 선택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입출력 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모니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R, G, B 색신호를 증폭시키고, 그 R, G, B. 색신호에 대한 밝기신호를 출력시키는 비디오 보오드(2)와, 상기 비디오 보오드(2)에서 출력되는 R, G, B 색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음극선관(3)과, 모니터가 온 모드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를 처리한 후 화면의 전체의 밝기를 제어하는 화면 밝기신호 및 비디오 보오드(2)에서 출력되는 R, G, B 색신호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신호를 출력시키는 온 모드 구동부(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수평 동기신호(Hs)가 출력되면, 모니터를 서스팬드 모드로 절환시키는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5)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출력되지 않으면, 모니터를 오프모드로 절환시키는 오프 모드 구동부(6)로 구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모니터가 온 모드 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려되는 비디오 신호인 R, G, B 색신호가 비디오 보오드(2)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 음극선관(3)에 인가된다.
그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출력되고, 펄스 형태의 수평 동기신호(Hs) 및 수직 동기신호(Vs)는 온 모드 구동부(4)에 인가되어 삼각파형의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삼각파형의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는 증폭된 후 음극선관(3)의 편향 요크(DY)의 수직 편향코일 및 수평 편향코일에 인가되어 입력되는 R, G, B 색신호를 음극선관(3)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는 고압을 발생시킨후 그 고압에 의해 R, G, B 색신호가 마스크에 정확하게 주사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수평 동기신호(Hs)가 출력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서스팬드 모드 선택신호가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5)에 인가되어 모니터가 서스팬드 모드로 절환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수평 동기신호(Hs) 및 수직 동기신호(Vs)가 출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오프 모드 선택신호가 오프 모드 구동부(6)에 인가되어 모니터가 오프 모드로 절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별도의 서스팬드 모드 선택신호, 대기 모드 선택신호, 오프 모드 선택신호가 출력되는 3개의 입출력 핀이 필요하고, 각 입출력 핀마다 그 입출력 핀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서스팬드 모드 선택신호, 대기 모드 선택신호, 오프 모드 선택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별도로 내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모드 선택신호에 의해 서스팬드 모드, 대기 모드, 오프 모드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내장시킴으로써, 2개의 입출된 핀으로 3가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온 모드, 서스팬드 모드, 오프 모드, 대기 모드로 각각 절환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수직 동기신호(Vs)와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었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모두 고전위 신호로 출력되어 온 모드로 절환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평 동기신호(Hs) 가 입력되고, 수직 동기신호(Vs)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각각 저전위 및 고전위 상태로 출력되어 대기 모드로 절환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직 동기신호(Vs)및 수평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모두 저전위 상태로 출력되어 오프 모드로 절환되는 제 4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모드 선택방법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모드 선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모니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R, G, B 색신호를 증폭시키고, 그 R, G, B 색신호에 대한 밝기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디오 보오드(20)와, 상기 비디오 보오드(20)에서 출력되는 R, G, B 색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음극선관(30)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되어 수직 동기신호(Vs) 및/ 또는 수평 동기신호(Hs)를 처리한 후 화면의 전체의 밝기를 제어하는 화면 밝기 신호 및 비디오 보오드(20)에서 출력되는 R, G, B 색신호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신호를 출력시키는 온 모드 구동부(40),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50), 오프 모드 구동부(60) 및 대기 모드 구동부(7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모든 선택장치를 제3도의 동작 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우선,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인 R, G, B 색신호가 비디오 보오드(2)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 음극선관(30)에 인가된다.
그리고, 수평 동기신호(Hs) 및 수직 동기신호(Vs)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모드 선택신호(A1)(A2)가 모두 고전위 상태로 출력되어 온 모드 구동부(40)가 선택된다(S1-S3단계).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온 모드 구동부(50)에 인가되어 펄스 형태의 수평 동기신호(Hs) 및 수직 동기신호(Vs)가 삼각파형의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삼각파형의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는 증폭된 후 음극선관(30)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편향 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및 수평 편향코일에 인가되어 입력되는 R, G, B 색신호를 음극선관(30)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는 고압을 발생시킨 후 그 고압에 의해 R, G, B 색신호가 마스크에 정확하게 주사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수직 동기신호(Vs)가 입력되고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출력되는 모드 선택신호(A1)(A2)는 모두 고전위 상태 및 저전위 상태로 되어,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60)가 선택된다(S1-S2, S4단계).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모두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출력되는 모드 선택신호(A1)(A2)가 모두 저전위 상태로 되고, 이러한 저전위 상태의 모드 선택신호(A1)(A2)에 의해 오프 모드 구동부(70)가 선택되어 모니터가 오프 모드로 절환된다.(S1,S5, S7단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모든 선택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모드 선택신호의 상태가 결정되고, 그 모드 선택신호에 의해 온 모드 구동부,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 오프 모드 구동부, 대기모드 구동부가 선택되어 모니터의 모드가 절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선택방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의해 온 모드, 오프 모드, 대기 모드, 서스팬드 모드로 선택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되는 입출력 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온 모드, 서스팬드 모드 구동부, 오프 모드, 대기모드로 각각 절환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수직 동기신호(Vs)와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모두 고전위 신호로 출력되어 온 모드로 절환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직 동기신호(Vs)가 입력되고 수평 동기신호(Hs)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각각 고전위 및 저전위 상태로 출력되어 서스팬드 모드로 절환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고, 수직 동기신호(Vs)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각각 저전위 및 고전위 상태로 출력되어 대기 모드로 절환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직 동기신호(Vs) 및 수평 동기신호(Hs)가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드 선택신호(A1)(A2)가 모두 저전위 상태로 출력되어 오프 모드로 절환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KR1019940018792A 1994-07-30 1994-07-30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KR970009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92A KR970009449B1 (ko) 1994-07-30 1994-07-30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92A KR970009449B1 (ko) 1994-07-30 1994-07-30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15A KR960006515A (ko) 1996-02-23
KR970009449B1 true KR970009449B1 (ko) 1997-06-13

Family

ID=1938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92A KR970009449B1 (ko) 1994-07-30 1994-07-30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4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15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0972A (en) Self-diagnosis arrangement for a video display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US20100171776A1 (en) Picture display device
KR970009449B1 (ko) 모니터의 모드 선택방법
KR19990008542A (ko) 비디오 뮤트(Mute)시 OSD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150736A (ja) モニタ装置
KR10066136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동기신호 안정화장치
KR100294263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수평사이즈조절방법
KR100263169B1 (ko) 영상표시기기의 펄스 폭 변조 스위칭 주파수의수평주파수 동기화 장치
KR100224088B1 (ko) 형광표시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6461B1 (ko) 영상표시기기의 컨버전스 시스템
JP2655491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5984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다운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200148510Y1 (ko) 자체 클램프 펄스 발생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0136413B1 (ko)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KR0178183B1 (ko) 클램프 신호 생성 동작 제어방법
KR100205372B1 (ko) 온 스크린 표시장치
KR100201313B1 (ko) 모니터의 클램프 신호 발생회로
US6570625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S63132580A (ja) 信号発生機能付映像装置
KR960014150B1 (ko) 저소비 전력형 모니터
JP324618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28732B1 (ko) 자동휘도제한 상태의 표시회로
KR200224853Y1 (ko) 시그널프로세서를갖는모니터
GB2181028A (en) Hybrid display system
KR970056807A (ko) 편향각 변경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