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772A -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772A
KR970008772A KR1019950020091A KR19950020091A KR970008772A KR 970008772 A KR970008772 A KR 970008772A KR 1019950020091 A KR1019950020091 A KR 1019950020091A KR 19950020091 A KR19950020091 A KR 19950020091A KR 970008772 A KR970008772 A KR 97000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battery
supplied
ground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4531B1 (ko
Inventor
한재옥
Original Assignee
구자홍
Lg 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Lg 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531B1/ko
Publication of KR97000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캠코더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배터리 충전기의 충전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충전배터리(BAT)의 충전장치를 본체에 내장시킴으로써 수시로 배터리를 착탈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외부전원과 배터리전원이 자동으로 절환되게 함으로써 본체에 항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배터리(BAT)의 접지전위를 감지하여 이를 근거로 충전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전류제한용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급속충전용 직류정전류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충전기장치 중에서 교류/직류변환부(110)만을 본체와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충전장치의 소형화, 경량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에 대한 회로도, 제4도의 (가) 및 (나)는 제4도에서 충전전압 및 충전전류변화를 보인 파형도.

Claims (3)

  1. 마이크로컴퓨터의 전원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근거로 현재 입력되는 전압이 외부전압인지 충전배터리의 방전전압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의 판단결과 외부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직류전압공급용 잭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전압이 공급되면 충전배터리의 접지전위를 기준전위와 비교하여 클때 충전모드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충전모드로 판단되면 충전배터리 충전전류 공급경로를 형성하여 그 배터리를 충전시키면서 상기 배터리의 접지전위의 상승분을 검출하여 상승분이 설정치 이상일 때, 만충전으로 판단하여 그 충전전류 공급경로를 차단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의 충전동작 종료시간은 기 설정된 충전시간이 모두 카운트될 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3. 본체와 분리되어 입력교류전압을 소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변환부(110)와, 본체(120)에 충전장치를 내장설계함에 있어서, 자신의 전원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판단하여 그 단자전압이 외부전압인지 충전배터리(BAT)의 방전전압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충전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21)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충전배터리(BAT)에 직렬연결된 충전전류공급경로를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충전제어부(122)와, 상기 충전배터리(BAT)의 접지전위를 기준전압(V)과 비교하여 그 충전배터리(BAT)의 접지전위가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될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1)에 만충전신호(Vc)를 출력하는 만충전감지부(1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20091A 1995-07-08 1995-07-08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64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91A KR100364531B1 (ko) 1995-07-08 1995-07-08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91A KR100364531B1 (ko) 1995-07-08 1995-07-08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772A true KR970008772A (ko) 1997-02-24
KR100364531B1 KR100364531B1 (ko) 2003-02-05

Family

ID=3749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091A KR100364531B1 (ko) 1995-07-08 1995-07-08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795B1 (ko) * 2022-11-25 2024-01-08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용 도어락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795B1 (ko) * 2022-11-25 2024-01-08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용 도어락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4531B1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253A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charging type power supply device
TW346703B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automotive generator
KR970072584A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배터리 팩을 충전시키는 방법과 배터리 팩
KR970031144A (ko) 2차 전지팩(secondary battery pack)
KR950021947A (ko) 배터리 충전기와 방전기 및 특성 평가 시스템
KR960016052A (ko) 배터리의 초과 방전을 보호하기 위한 제어 회로
EP0706266A1 (en) Detection of input signal level exceeding a threshold value
JPH097641A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
US5537024A (en) Circuit arrangement to detect a voltage
US6002239A (en) Charging current adapter circuit for cells or batteries
KR950024400A (ko) 다중출력을 위한 직류/직류 컨버터
JP3278487B2 (ja) 充電式電源装置
KR970008772A (ko)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JP2995142B2 (ja) 直列電池の充電装置
KR960039478A (ko) 충방전제어회로
JPH08294236A (ja) 充放電制御回路
KR0151494B1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모드 변환 회로
JPS6439235A (en) Battery charging equipment
KR950009337B1 (ko) 배터리 충전회로
JPH07147734A (ja) 直列電池の充電装置
KR920009361B1 (ko) 충방전 제어회로
KR890002731B1 (ko) 방전등 점등장치
KR100478891B1 (ko) 배터리의 양부 판정방법
KR970077875A (ko) 정전압제어회로를 구비한 리튬이온배터리 팩과 이에 적합한 충전장치
JP3403916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