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681B1 -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8681B1 KR970008681B1 KR1019940021736A KR19940021736A KR970008681B1 KR 970008681 B1 KR970008681 B1 KR 970008681B1 KR 1019940021736 A KR1019940021736 A KR 1019940021736A KR 19940021736 A KR19940021736 A KR 19940021736A KR 970008681 B1 KR970008681 B1 KR 970008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dress
- data
- receiving
- protocol
- address dat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HDLC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프레인 구성도.
제2도는 일반적인 약속에 의해 그룹핑되어 확장된 주소영역의 일예.
제3도는 본 발명의 HDLC 프로토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HDLC 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주소영역의 확장을 위한 그룹핑 원리를 하드웨어적으로 실현시킨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초, 데이타 통신은 단말기에서 발생한 데이타를 전송로를 통하여 에러없이 전송하기 위한 파형전송이나 단순한 전송제어에 주목하였으나, 온-라인(on-line)시스템의 시발로 컴퓨터의 이용범위가 확대됨과 동시에 프로토콜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이것을 체계화한 아키텍쳐가 데이타통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데이타통신에서 인접한 장치간에 원활한 데이타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데이타링크계층의 기능이며, 종래 통신회선에 의한 단말장치와 컴퓨터간의 통신제어절차가 이 계층의 제어절차에 해당된다. 데이타링크계층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기능으로는 연속된 비트열(데이타)를 전송하는 전송단위로 분할하는 기능(서비스데이타 단위의 분량), 전송단위의 순서제어기능, 에러검출 및 회복기능, 흐름제어기능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송제어절차라고 하는 프로토콜은 대부분 이 계층에 위치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예컨대 BASIC(basic mode control procedure for data communication system) 프로토콜,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l) 프로토콜, 멀티링크(multi-link) 프로토콜 등이 있다.
상기 BASIC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단말장치간에 문자전송을 에러없이 행하기 위한 전송제어절차로 OSI 참조모델의 데이타링크 계층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써 7비트 부호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전송방식 및 데이타 신호속도에 관해서는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또, 통신방식으로는 단방향통신, 반이중통신, 전이중 통신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한 블록에 대해만 수신확인을 하는 블록전송방식이다.
한편, HDLC 프로토콜은 상기 BASIC 프로토콜이 메시지 송신 후 바로 수신응답을 하는 반이중통신을 채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양방향으로 동시에 메시지를 어떤 범위까지는 응답없이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선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또 상기한 BASIC 프로토콜의 경우 정보메시지에 에러검출부호가 부가되지만 감시순서에는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이 감시순서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검출할 수 없으나, HDLC 프로토콜에서는 모든 프레임에 전송에러검사를 위하여 에러검출부호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데이타전송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개방형 시스템 냉서의 HDLC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데이타링크 계층의 실체인 국이 정의되어 있는데, HDLC의 국 상호간에 주고 받는 정보의 기본전송단위로서 프레임이 있으며, 이 프레임은 명령프레임과 응답프레임으로 구성된 데이타링크 계층의 프로토콜 데이타 단위이다.
일반적인 HDLC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HDLC 프로토콜의 프레임 양끝에 위치하고 각각 8비트의 단위로 프레이의 개시 및 종결을 표시하는 개시플래그(11) 및 종결프래그(16), 명령프레임의 경우에는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단의 주소, 수신프레임의 경우에는 수신프레임을 송신하는 주소를 설정하는 1개 이상의 옥테트로 이루어진 주소영역(12), 제어동작을 명령하고 그 명령에 대해 응답을 하는데 사용하고, 8비트 또는 16비트단위로 구성된 제어영역(13), 이용자간에 교환되는 매시지와 제어정보가 삽입되는 정보영역(14), 및 상기 주소영역, 제어영역, 정보영역의 내용이 잘못됨이 없이 상대방에게 전송되어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프레임검사 순서영역(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에서 정보영역이 데이타링크 계층의 서비스 데이타 단위이고, 그 밖의 것은 프로토콜 제어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주소영역(12)은 1 옥테트(8비트)가 표준으로 이 1옥테트로는 256국을 표시할 수 있지만, 통신시스템이 방대하여 이 조합이 부족한 경우에는 여러개의 주소그룹을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약속에 따라 확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옥테트(21)의 최하위비트(b1)를 "0", 제2옥테트(22)의 최하위비트(b9)를 "0", 그리고 확장된 주소영역(23)의 최하위비트(b17)는 "1"을 취하는 것으로 3개의 주소영역을 그룹핑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중간영역 옥테트의 최하위비트에 "0"을 취하는 것으로 다수의 주소영역을 그룹핑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그룹핑 방식으로 확장된 주소영역의 일예가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서의 b는 임의의 비트를 표시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주소영역의 그룹핑을 위하여 HDLC 프로토콜의 수신단에 주소데이타 레지스터와 주소 마스크 레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고유주소와 주소 마스크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이용하여 주소영역을 그룹핑하며, 이와 같은 주소영역 그룹핑방식의 일예가 INTEL사의 "83C152 HARDWARE DESCRIPTION"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즉, 주소영역의 그룹핑을 위하여 마스크 레지스터가 사용되는데, 마스크 레지스터는 "1"로 세트되어 있는 같은 위치의 주소데이타 레지스터 비트를 비교하지 않음으로써 여러개의 주소영역을 그룹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주소영역 그룹핑 방식은 수신단의 마스크 레지스터에 미리 주소영역 그룹핑정보를 프로그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방식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소영역의 기본단위인 옥테트의 최하위비트가 "0"이면 다음번 옥테트로 주소영역이 확장되고, 옥테트의 최하위비트가 "1"이면 주소영역이 종료되는 주소영역 그룹핑원리를 이용하는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HDLC 프로토콜의 수신 고유주소 인식장치의 특징은, 복수개의 수신주소 데이타의 비트값을 각각 래치하기 위한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래치수단, 상기 복수개의 수신주소 데이타의 동일레벨의 데이타 비트에 해당하는 각각의 상기 플립플롭의 래치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하나의 수신고유주소 데이타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멀티플렉서로 이루어진 선택출력수단, 상기 멀티플렉서 각각의 출력을 이용하여 수신고유주소 데이타를 비트단위로 그룹핑하는 논리수단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또, 상기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고유주소 데이타를 비트단위로 그룹핑하는 대신에 상기 논리수단을 변형하여 바이트단위로 수신고유주소를 그룹핑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제3도는 수신주소 데이타가 4바이트로 이루어진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데이타를 비트단위로 그룹핑하여 인식하는 장치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보면, 복수개의 수신주소 데이타를 비트단위로 각각 래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D-플립플롭(D1~D32)으로 구성된 래치수단(31)과, 상기 복수의 수신주소 데이타의 동일레벨의 데이타 비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D-플립플롭의 래치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하나의 수신고유주소 데이타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멀티플렉서(M1~M8)로 구성된 선택출력수단(32)과 상기 멀티플렉서 각각의 출력을 이용하여 수신고유주소 데이타를 그룹핑하기 위하여 다수의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구성한 논리수단(33)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소영역이 4바이트로 된 프로토콜 구성에 의하면, 수신주소 데이타가 1바이트만 들어오고 확장되지 않을때, 아래의 3 바이트는 비교를 하지 않고 처음의 1 바이트만 가지고 수신고유주소를 비교하여 수신여부를 판별하고, 또 수신주소 데이타가 2 바이트만 들어오고 확장되지 않을때는 아래의 2 바이트는 무시되고 상위 2 바이트만 가지고 수신여부를 판별하며, 마찬가지로 수신주소 데이타가 3 바이트만 들어 오는 경우, 이 3바이트만을 가지고 수신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그리고, 4 바이트가 모두 들어온다면, 하나의 수신단만을 지정하게 되므로 수신주소영역이 그룹핑되지 않으므로 자연스럽게 그룹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수신주소영역의 그룹핑은 주소영역이 4 바이트로 된 프로토콜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주소영역이 2 바이트, 또는 3 바이트, 또는 그 이상의 바이트로 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HDLC 프로토콜의 수신주소 데이타의 인식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수신단이 주소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수신단의 마스크 레지스터에 주소영역의 그룹핑정보를 프로그래밍해야 하는데에 따른 시간손실 및 비용의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2)
- 복수개의 수신주소 데이타의 비트값을 각각 래치하는 다수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래치수단, 상기 복수개의 수신주소 데이타의 동일레벨의 데이타 비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플랩플롭의 래치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하나의 수신고유주소 데이타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멀티플렉서로 이루어진 선택출력수단, 상기 멀티플렉서 각각의 출력을 이용하여 수신고유주소 데이타를 바이트단위로 그룹핑하는 논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은 D-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21736A KR970008681B1 (ko) | 1994-08-31 | 1994-08-31 |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21736A KR970008681B1 (ko) | 1994-08-31 | 1994-08-31 |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8560A KR960008560A (ko) | 1996-03-22 |
KR970008681B1 true KR970008681B1 (ko) | 1997-05-28 |
Family
ID=1939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21736A KR970008681B1 (ko) | 1994-08-31 | 1994-08-31 |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8681B1 (ko) |
-
1994
- 1994-08-31 KR KR1019940021736A patent/KR9700086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8560A (ko) | 1996-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8035A (en) | End user data stream syntax | |
US5003533A (en) | Node processing system | |
KR100330335B1 (ko) | 2방향링크를통한데이터전송을동기화하는방법및시스템 | |
US578725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nodes | |
US4507782A (en) | Method and apparatus of packet switching | |
US4566097A (en) | Token ring with secondary transmit opportunities | |
US4156111A (en) | Apparatus for transition between network control and link control | |
JPH0561667B2 (ko) | ||
WO199401308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transmissions | |
KR19990081994A (ko) | 미니 셀 크기의 표시 방법 | |
CA2145600A1 (fr) | Dispositif d'auto-invalidation d'un terminal portatif du type radiotelephone mobile | |
US5845085A (en) | System for receiving a data stream of serialized data | |
US4943978A (en) | Digital interface unit | |
KR100194366B1 (ko) | 패턴 주입기 | |
JPH0472428B2 (ko) | ||
US6134608A (en) |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network services using a single serial communications port | |
EP0425839B1 (en) | Data processing system channel | |
KR920008450B1 (ko) | 동기 및 비동기 데이타 전송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JPH02288440A (ja) | 非同期時分割通信網における信号メッセージの処理装置 | |
US5550827A (en) | Control of the interchange of data packets in a network | |
KR970008681B1 (ko) | Hdlc 프로토콜의 수신고유주소 인식장치 | |
EP0725514A1 (en) | Port address resolution device | |
JPS5810943A (ja) | グル−プ同報通信方式 | |
EP0849682B1 (en) | Data communications adapter | |
JPS60149239A (ja) | 通信ネツトワ−ク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